KR101588711B1 -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11B1
KR101588711B1 KR1020150092475A KR20150092475A KR101588711B1 KR 101588711 B1 KR101588711 B1 KR 101588711B1 KR 1020150092475 A KR1020150092475 A KR 1020150092475A KR 20150092475 A KR20150092475 A KR 20150092475A KR 101588711 B1 KR101588711 B1 KR 10158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pring
coupling
chai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란순
Original Assignee
김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란순 filed Critical 김란순
Priority to KR102015009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30) 상에 좌판(110) 및 등받이(120)가 각각 설치되는 의자(100)에서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120)가 지지프레임(130)상에서 일정 각도로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200)를 구현함에 그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등받이(120)의 배면 양측면으로 내부에 결합요홈(122)이 형성된 결합부(1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1)의 결합요홈(122)에 끼움 결합되어 힌지볼트(190)로 관통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삽입요홈(172)이 형성된 결속부(171)를 구비함과 동시에 타단에 형성된 끼움단(170a)을 통해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재(170)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회동결합부(200)는 결합부(121)와 결속부(171)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스프링의 일단 권선면이 넓고 타단 권선면이 좁은 형태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용수철스프링 타입의 스프링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Chair of up-down and revolution a board back}
본 발명은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등받이 사이에 탄성 회동될 수 있는 탄성부재를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등받이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이동 및 적재, 보관의 용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른바 스태킹 체어(Stacking Chair)가 널리 사용된다. 스태킹 체어란 포개 쌓을 수 있는 의자로서, 수납이나 이동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작고 가벼운 형태가 많고 제조비용 또한 저렴하다.
이러한 형태의 의자에 있어서 착석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는, 솜이나 스펀지 등의 쿠션부재의 충전에 의한 다소 간의 쿠션이 제공되거나 등받이의 자체 탄성에 의존한 쿠션만 제공될 뿐, 별도의 기구적인 탄성에 의한 쿠션기능이 구비되지는 않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오랜 시간 사용시에는 착석자로 하여금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안락한 사용감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닝 체어(Reclining Chair)가 사용된다. 리클라이닝 체어는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를 임의로 바꿀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이나 각각의 상황에 맞추어 최상의 휴식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의자로서, 복잡한 기구적 메카니즘이 적용되며 제조비용 또한 고가이다.
최근 리클라이닝 체어의 경우 등받이의 기울임을 탄력 지지하기 위해 등받이의 회전축에 토션바(torsion bar)를 설치하고 있다.
이처럼,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사무용 의자들은 복잡한 메카니즘이 채택된 모듈이 좌판과 등받이와 같은 시트부와 다리부 사이에 마련되어, 등받이와 좌판의 위치와 각도조절 뿐만 아니라 등받이가 소정각도로 젖혀지는 기능 또한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의자는 비교적 고가일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한 만큼 무겁고 취급이 조심스럽지 못할 경우 고장의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공중에 의해 공용되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사실상 개인이나 소수의 제한적인 범위내의 사람들에 의한 사용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렇게 넓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의 장소에서 공중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의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태킹 체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스태킹 체어는 일반적으로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에 사출 성형된 등받이와 좌판이 정형화되게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착석 및 지지 기능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에게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스태킹 체어와 같이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에 사출 성형된 등받이와 좌판이 정형화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 의자의 등받이에 쿠션감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연구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1931호(2006.7.1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33346호(2006.10.12. 공고)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90435호(2015.2.6. 공고) 등에 등받이가 일정각도로 탄성 회동됨으로써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1931호에 개시된 등판이 탄력지지되는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체 및 등을 각각 지지하는 좌판(2) 및 등판(3)과, 좌판(2)과 등판(3)을 각각 지지하는 좌판지지부(4)와 등판지지부(5)를 포함하고, 좌판(2) 및 등판(3)을 각각 지지하며 봉재로 된 프레임(1)을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반원형 홈이 마련된 돌출부(9)가 배면에 형성된 프레임(1)의 등판지지부(5)가 관통 삽입되고 일단이 등판(3)의 배면에 지지된 비틀림 코일스프링(6)과, 프레임(1)의 등판지지부(5)에 고정되며 비틀림 코일스프링(6)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토퍼(7)와, 등판(3)이 프레임(1)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등판(3)의 배면측에서 등판(3)에 고정되는 결합판(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등판(3)이 탄력지지되므로 안락한 사용감을 줄 수 있고, 구조 또한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0633346호에 개시된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에 착석을 위한 등판(20) 및 좌판(30)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서 등판(20)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판지지부(12)에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일단부가 탄성을 갖는 자유단이 되도록 고정 설치하고, 스프링이 설치된 등판지지부(12)의 전면측으로부터 진입시킨 등판(20)과 배면측으로부터 진입시킨 고정브라켓(50)을 프레임(10)의 등판지지부(12)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로 상호 결합시켜 등판(20)은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프레임(10)의 등판지지부(12)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등판(20)을 전면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의 자유단에 의해 탄지되어 탄성복원함으로써 쿠션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판스프링(41) 형태를 가지고 있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등판(20)이 설치되는 등판지지부(12)에 2개의 판스프링(41)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41)은 후크형으로 둥글게 굴곡된 중간의 결합부(41a)가 프레임의 등판지지부(12)를 면접촉 상태로 둘러싸도록 설치된 후, 일측에서 볼트(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판스프링(41)의 한 쪽 단부는 등판(20)의 배면을 탄지하도록 소정 각도 굴곡되어 의자의 전면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자유단(41b)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쪽 단부는 굴곡되어 의자의 배면측을 향해 거의 수평방향으로 짧게 연장된 돌출단(41c)을 형성하여 등판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41)이 설치된 등판지지부(12)의 전면으로부터 등판(20)이 진입되고, 이 등판(20)은 등판지지부(12)의 배면쪽으로부터 진입한 고정브라켓(50)과 결합되어, 등판지지부(12)를 축으로 한 회전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50)과 등판(20)의 배면에는 각각 반원형 안착홈(51, 21)이 대응 형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 등판지지부(12)가 수용되고, 고정브라켓(50)과 등판(20)의 배면은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볼트(B)를 통해 견고히 결합되어, 고정브라켓(50)을 통해 등판(20)이 등판지지부(12)에 회전구조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의 등판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분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지작용과, 프레임에 대해 소정각 회전구조로 결합된 등판의 회전작용에 의해 등판이 쿠션을 갖도록 된 의자인 것이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490435호에 개시된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는, 지면에 안착되는 바퀴를 구성한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형성되어 좌판이 힌지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지지다리의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좌판을 안착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다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좌판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좌석부; 상기 좌석부의 결합부재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축과, 상기 끼움축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삽입홈과 결합홈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결속구로 구성되되, 상기 제1삽입홈은 링형상의 제1홈부와 제1홈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2결속홈으로 이루어진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제1삽입홈에 대향되도록 제2홈부와 제1, 2작동홈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홈을 형성하여 결속구에 밀착배치되는 작동구를 양측에 구성한 등받이; 일측이 좌석부의 지지다리에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결합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ㄱ자형상의 팔걸이; 상기 팔걸이를 통해 상기 고정결합부와 등받이의 중심에 축 결합되어 등받이와 팔걸이를 고정결합부에 연결하는 볼트축; 상기 볼트축이 내주에 위치되도록 고정결합부와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2홈부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결속홈과 제1작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1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링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결속홈과 제2작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2탄성돌기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 스태킹 의자 등에서 등판에 쿠션을 주기 위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탄성 회동시키는 방안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등판이 상부쪽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등을 뒤쪽으로 기댈 때 등판이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즉, 사용자의 앉는 자세에 맞춰 능동적으로 등판의 상하 회동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주로 등판을 가로지르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등판을 가로지르는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의자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기본적인 구조가 다양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프레임의 구조가 변경된 경우에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수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1931호(2006.7.19. 공고, 명칭: 등판이 탄력지지되는 의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33346호(2006.10.12. 공고, 명칭: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90435호(2015.2.6. 공고, 명칭: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본 발명은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등받이를 가로지르는 형태가 아니고, 등받이의 양측면쪽에 지지 결합하는 지지프레임을 갖는 스태킹 의자 종류에 적용함으로써, 등받이를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의자를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등받이 사이에 탄성 회동될 수 있는 탄성부재를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등받이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에 착석을 위한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등받이가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배면 양측면으로 내부에 결합요홈이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결합요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삽입요홈이 형성된 결속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타단에 형성된 끼움단을 통해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결속부를 관통 결합하는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등받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회동결합부는, 스프링의 일단 권선면이 넓고 타단 권선면이 좁은 형태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용수철스프링 타입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결합요홈 내부에 형성되어 스프링부재의 넓은 하단면을 지지 고정하는 이동제한턱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삽입요홈내부에 형성되어 스프링부재의 좁은 상단면을 끼움 고정하는 지지요홈판을 갖는 결속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 및 결속부에는 힌지볼트를 관통되게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힌지볼트공 및 볼트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볼트장공은 등받이의 상하 회동에 따른 스프링부재의 압축량에 맞춰 힌지볼트의 이동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등받이 사이에 탄성 회동될 수 있는 회동결합부를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등받이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결합부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써, 고탄성력을 갖으면서 스프링의 일단 권선면이 넓고 타단 권선면이 좁은 형태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용수철스프링 타입의 스프링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조립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의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해서 적절하게 탄성 작용을 구현하여 등받이의 상하 회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1931호에 개시된 등판이 탄력지지되는 의자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0633346호에 개시된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0633346호에 개시된 의자의 등판 설치 상태에 대한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등받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배면에 회동결합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배면에 회동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에서 등받이의 상하 회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는, 좌판(110)을 접음으로써 다수 개의 의자를 겹쳐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판(110)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받이(120)에 등을 기댐에 따라 등받이(120)의 각도가 상하 소정각도로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맞춰 편안한 착석감을 느끼도록 하는 의자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는, 통상의 스태킹 의자와 마찬가지로, 좌판(110)과 등받이(120)가 지지 기능을 갖는 지지프레임(130)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바, 크게 좌판(110), 등받이(120), 지지프레임(130), 지지다리(140), 팔걸이(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좌판(110)은 사용자가 앉기 위한 통상의 구성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40)에 의해 안착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바, 상기 지지다리(140)에는 좌판(110)이 힌지결합되는 힌지축(160)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다리(140)는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되고, 각각의 다리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하여 바퀴가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110)은 통상의 결합구를 볼트 결합하는 것을 통해 힌지축(160)에 힌지결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좌판(110)은 힌지축(160)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140)에는 사용자가 좌판(110)에 앉을 수 있도록 회동하는 좌판(110)의 저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등받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13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지지다리(140) 및 힌지축(160)을 중심으로 의자 뼈대를 형성하는 부위로써, 등받이(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다리(140)에서 좌판(110)의 양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 형성된 뼈대와, 좌판(1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축(160)과 거의 동일한 선상으로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 빼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좌판(11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다리(140)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프레임(130)은 좌판(110)의 양측면쪽에서 좌판(110)의 후방 상측으로 연장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30)은 힌지축(160)을 중심으로 지지다리(140)에 결합 또는 용접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지지다리(14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걸이(150)는 착석한 사용자가 팔을 걸어 놓거나, 착석 또는 일어설 때에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지지다리(140)의 상단 힌지축(160)쪽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재(170)쪽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팔걸이(150)의 일단과 회동결합부재(17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등받이(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결합부재(170)에 의해 지지프레임(130)상에 연결 설치되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회동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회동결합부재(170)는 일단에 끼움단(170a)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고, 회동결합부재(170)의 타단인 결속부(171)는 등받이(120)에 형성된 결합부(121)에 끼워진 후 힌지볼트(190)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결합부재(170)는 팔걸이(15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회동결합부재(170)는 격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등받이(12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121)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등받이(120)가 회동결합부재(170)로 인해서 수직한 지지프레임(13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 고정되게 된다.
상기 등받이(120)와 지지프레임(130) 사이의 간격은 등받이(120)의 상하 회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120)의 결합부(121)와 회동결합부재(170)의 결속부(171)가 힌지볼트(190)를 중심으로 상호 끼움결합됨에 따라 등받이(120)가 지지프레임(130)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상하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등받이(120)의 결합부(121)와 회동결합부재(170)의 결속부(171)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힌지볼트(19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등받이(120)의 회동을 가능하게 구현하는 회동결합부(2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회동결합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120)를 지지프레임(130)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구현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결합부(200)는, 등받이(120)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에 끼움 삽입되는 회동결합부재(170)의 일단에 형성된 결속부(171)와, 상기 결합부(121)와 결속부(171)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1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21)는 결속부(17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요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부(171)가 결합부(121)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결속부(17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171)에도 중공 형태의 삽입요홈(1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21)와 결속부(171)는 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형상적으로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21)가 등받이(120)의 양측 후방면에서 대략 반호형 구조로 돌출 형성되는 형상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결속부(171)는 결합부(121)의 반호형 구조에 맞춰서 맞물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곡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상기 결합부(121)와 결속부(171)의 형상구조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상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결합부(121)와 결속부(171)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힌지볼트(19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형상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1) 및 결속부(171)의 외측면 중앙에는 힌지볼트(190)를 끼울 수 있는 힌지볼트공(124)과 볼트장공(17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장공(174)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등받이(12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부재(180)가 압축됨에 따라 회동 각도에 맞춰 힌지볼트(190)의 이동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공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80)는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탄성 압축되면서 등받이(120)의 회동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180)는 고탄성력을 갖는 용수철 스프링의 일종으로, 스프링의 일단 권선면이 넓고 타단 권선면이 좁은 형태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마름모꼴 기둥 형태의 스프링부재(180)를 사용하는 이유는, 등받이 회동시에 하나의 스프링으로 압축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꺽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180)의 형상을 사각 형태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구조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180)는 결합부(121)에 결속부(171)를 끼워서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속부(171)의 삽입요홈(172)과 결합부(121)의 결합요홈(122) 사이에 장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121)의 결합요홈(122)에는 스프링부재(180)의 일단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이동제한턱(123)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부(171)의 삽입요홈(172)에는 스프링부재(180)의 타단을 끼워서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지지요홈판(173)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스프링부재(1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결합부(121)의 이동제한턱(123)사이에 끼워지고, 타단이 결속부(171)의 지지요홈판(173) 사이에 각각 끼워져 고정 배치됨에 따라 등받이(120)와 회동결합부재(170) 사이에 회동결합부(200)가 구현됨으로써,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120)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될 때, 등받이(120)를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제거되면 등받이(12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등받이(120)와 회동결합부재(170)의 조립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먼저, 회동결합부재(170)의 결속부(171)에 형성된 삽입요홈(172) 내부의 지지요홈판(173) 사이에 스프링부재(180)의 일단이 밀착되게 끼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링부재(180)와 회동결합부재(170)의 결속부(171)가 등받이(120)의 결합부(121)에 형성된 결합요홈(122)에 끼워져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80)의 타단은 각각 결합요홈(122)에 형성된 이동제한턱(123)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스프링부재(180)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1)와 결속부(171)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힌지볼트공(124)과 볼트장공(174)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로 조립되면, 상기 힌지볼트공(124)과 볼트장공(174)을 관통하여 힌지볼트(190)가 체결됨으로써 등받이(120)와 회동결합부재(17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등받이(120)와 회동결합부재(170)의 조립이 완료되면, 회동결합부재(170)의 끼움단(170a)을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에 형성된 홈(즉, 파이프공)에 각각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130)에 대한 등받이(120)의 조립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결합부재(170)와 팔걸이(15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분리되어 별도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는바, 회동결합부재(170)와 팔걸이(150)가 별도로 사출 성형된 경우에는 회동결합부재(170)에 팔걸이(150)의 일단을 맞물려 조립하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조립작업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때, 좌판(11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앉은 자세에 따라 등받이(120)에 압력이 전해지게 되면, 등받이(120)가 힌지볼트(19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엉덩이를 등받이(120) 뒤쪽으로 밀어넣게 되면, 등받이(120)의 하단쪽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등받이(120)는 힌지볼트(190)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등쪽으로 자연스럽게 밀착되게 되고,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120)에 밀착된 상태로 뒤쪽으로 기대게 되면, 등받이(120)는 힌지볼트(190)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쿠션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등받이(120)와 회동결합부재(170) 사이에 구현된 회동결합부(200)에서는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스프링부재(180)가 압축되어 탄성복귀력을 가지게 되므로,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등받이(120)의 회동 각도가 상하 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되고, 상기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부재(18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등받이(120)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120)에 등을 기대게 되면,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스프링부재(180)가 가압되면서 등받이(120)가 힌지볼트(19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80)가 고탄성력을 가지는 것에 의해 등받이(120)가 너무 쉽게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는 편안한 착석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140)와 지지프레임(130)의 회동결합부재(170)사이를 연결하는 팔걸이(150)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 또는 일어서는데 힘을 지탱하거나, 착석한 상태에서 팔을 걸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결합부재(170)를 보조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등받이(120)에 과도한 압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회동결합부재(170)가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가 간단하므로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 견고성에 의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좌판(110)을 힌지축(16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기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다수 의자를 포개어 겹쳐 보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관이나 이동배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의자 110 : 좌판
120 : 등받이 121 : 결합부
122 : 결합요홈 123 : 이동제한턱
124 : 힌지볼트공 130 : 지지프레임
140 : 지지다리 150 : 팔걸이
160 : 힌지축 170 : 회동결합부재
170a: 끼움단 171 : 결속부
172 : 삽입요홈 173 : 지지요홈판
174 : 볼트장공 180 : 스프링부재
190 : 힌지볼트 200 : 회동결합부

Claims (2)

  1.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30) 상에 착석을 위한 좌판(11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등받이(120)가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20)의 배면 양측면으로 내부에 결합요홈(122)이 형성된 결합부(1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1)의 결합요홈(1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삽입요홈(172)이 형성된 결속부(171)를 구비함과 동시에 타단에 형성된 끼움단(170a)을 통해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1)와 결속부(171)를 관통 결합하는 힌지볼트(190)를 중심으로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120)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결합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회동결합부(200)는, 스프링의 일단 권선면이 넓고 타단 권선면이 좁은 형태를 갖는 마름모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용수철스프링 타입의 스프링부재(180)와, 상기 결합요홈(122) 내부에 형성되어 스프링부재(180)의 넓은 하단면을 지지 고정하는 이동제한턱(123)을 갖는 결합부(121)와, 상기 삽입요홈(172)내부에 형성되어 스프링부재(180)의 좁은 상단면을 끼움 고정하는 지지요홈판(173)을 갖는 결속부(1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1) 및 결속부(171)에는 힌지볼트(190)를 관통되게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힌지볼트공(124) 및 볼트장공(17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볼트장공(174)은 등받이(120)의 상하 회동에 따른 스프링부재(180)의 압축량에 맞춰 힌지볼트(190)의 이동거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20150092475A 2015-06-29 2015-06-29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588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75A KR101588711B1 (ko) 2015-06-29 2015-06-29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75A KR101588711B1 (ko) 2015-06-29 2015-06-29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711B1 true KR101588711B1 (ko) 2016-02-12

Family

ID=5535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475A KR101588711B1 (ko) 2015-06-29 2015-06-29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31B1 (ko) 2001-09-04 2004-03-11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Imt-2000 데이터 핵심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노드와 aaa 서버 간 사용자 정보 전송 방법
KR200405353Y1 (ko) *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토치 스태킹 의자에 있어서의 등판의 탄성 설치구조
KR200421931Y1 (ko) * 2006-04-13 2006-07-19 현대금속 (주) 등판이 탄력지지되는 의자
KR100633346B1 (ko) 2005-04-22 2006-10-12 주식회사 토치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KR101179498B1 (ko) * 2011-09-01 2012-09-07 이두형 틸팅 의자
KR101490435B1 (ko) 2014-10-29 2015-02-06 (주)디에스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101505666B1 (ko) * 2014-05-02 2015-03-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31B1 (ko) 2001-09-04 2004-03-11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Imt-2000 데이터 핵심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노드와 aaa 서버 간 사용자 정보 전송 방법
KR100633346B1 (ko) 2005-04-22 2006-10-12 주식회사 토치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KR200405353Y1 (ko) *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토치 스태킹 의자에 있어서의 등판의 탄성 설치구조
KR200421931Y1 (ko) * 2006-04-13 2006-07-19 현대금속 (주) 등판이 탄력지지되는 의자
KR101179498B1 (ko) * 2011-09-01 2012-09-07 이두형 틸팅 의자
KR101505666B1 (ko) * 2014-05-02 2015-03-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KR101490435B1 (ko) 2014-10-29 2015-02-06 (주)디에스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580A (ko) 의자 구조 및 의자
KR101355473B1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490435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0633346B1 (ko)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KR101588711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691858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1240670B1 (ko) 프레임 의자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101461809B1 (ko) 회동지지부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이 구비된 의자
KR20140068501A (ko) 접철식 좌식의자
KR10185442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의자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JP2020058759A (ja) 椅子
KR102391758B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장치
CN115530561B (zh) 自适应坐具
CN218635642U (zh) 一种腰靠可调节的座椅
CN216822429U (zh) 一种适用范围广的坐姿调整装置
KR200226584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N211559452U (zh) 一种新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