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690B1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690B1
KR101768690B1 KR1020140101793A KR20140101793A KR101768690B1 KR 101768690 B1 KR101768690 B1 KR 101768690B1 KR 1020140101793 A KR1020140101793 A KR 1020140101793A KR 20140101793 A KR20140101793 A KR 20140101793A KR 101768690 B1 KR101768690 B1 KR 10176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category
scroll
sign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982A (ko
Inventor
김동미
권용준
박현준
양명석
Original Assignee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690B1/ko
Priority to JP2015003041A priority patent/JP2016038900A/ja
Priority to US14/620,437 priority patent/US9977588B2/en
Publication of KR2016001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1 페이지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카테고리가 나열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스크롤이 불가한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2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화면(screen)이나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를 세로(vertical) 및/또는 가로 (horizontal)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스크롤이라고 한다. 이동된 화면에서 사라진 부분만큼 반대측에서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하나의 페이지 내에서 표시하는 정보의 양이 화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이러한 스크롤 기능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스크롤을 수행하면서 화면 상의 정보를 읽어갈 수가 있다. 콘솔, 워드 프로세서, 모바일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 장치에는 거의 예외 없이 스크롤 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마우스와 같은 외부 기기가 구비되는 경우 휠을 움직이거나 스크롤 바를 드래그하여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고,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경우 화면 상의 페이지를 직접 클릭 또는 드래그하여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롤 신호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스크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페이지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1 페이지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카테고리가 나열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스크롤이 불가한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2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페이지에 대해 입력되는 스크롤 신호를 인식하는 스크롤 인식부;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스크롤이 불가한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카테고리로의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스크롤 판단부; 및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1 페이지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되고,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2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크롤 동작을 이용하여 페이지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크롤 동작과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페이지의 스크롤이 수행되거나 페이지의 전환이 수행되며, 페이지의 전환 시 스크롤 동작의 방향이 고려되고 다양한 표시 효과가 적용되므로, 사용자가 페이지의 전환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가 제공하는 화면이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제어 장치(100)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1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단말(10)의 화면(11)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예컨대 웹툰 컨텐츠일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웹툰 컨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일 카테고리에 포함된 웹툰 컨텐츠들을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화면(11) 상에 표시된 페이지가 스크롤될 때, 페이지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장치(100)는 페이지를 스크롤하거나, 페이지가 끝까지 스크롤되어 더 이상 스크롤이 불가할 때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표시된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100)는 스크롤 인식부(110), 스크롤 판단부(120), 및 표시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인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크롤 신호를 인식한다. 스크롤 신호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하여 입력될 수 있다. 스크롤 인식부(110)는 스크롤 신호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인식한다. 파라미터는 스크롤 신호의 속도, 방향, 위치 등을 포함한다. 스크롤 신호는 터치패널을 이용한 드래그, 제스쳐, 모션 등의 동작으로 입력되거나, 마우스의 휠, 조이패드 등 별도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되거나, 화면에 표시된 스크롤 바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판단부(120)는 인식된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의 스크롤을 제어한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화면 상의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스크롤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페이지의 전환을 위한 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페이지가 끝까지 스크롤되어 더 이상 스크롤이 불가능한 경우, 스크롤 판단부(120)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페이지는 일 카테고리에 관련된 페이지일 수 있고, 상기 명령은 카테고리 이동 명령일 수 있으며, 상기 명령에 따라 일 카테고리에 관련된 페이지가 다른 카테고리에 관련된 페이지로 전환될 수 있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에 따른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과 페이지의 화면 상 위치에 기초하여, 페이지의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의 제1 방향 최단부가 화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페이지의 제1 방향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의 페이지의 최하단이 화면의 하단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스크롤 판단부(120)는 페이지의 아래 방향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상기와 같은 판단 과정에서 스크롤 신호의 방향을 고려할 수 있는데, 예컨대 스크롤 신호의 방향이 페이지를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방향이고, 페이지의 제1 방향 최단부가 화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페이지의 제1 방향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스크롤 판단부(120)의 동작에 따르면, 스크롤 신호의 용도는 기본적으로 페이지의 스크롤이지만, 페이지의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 경우 스크롤 신호의 용도는 카테고리 이동으로 결정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판단부(120)는 인식된 스크롤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롤 신호의 용도를 결정할 수 있다. 스크롤 신호의 용도는 페이지의 스크롤, 또는 카테고리의 이동일 수 있다. 스크롤 신호의 용도를 결정하는 기준은, 스크롤 신호의 방향과 페이지의 화면 상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신호가 입력되고 페이지의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이 가능한 경우,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의 용도를 페이지 스크롤로 결정한다. 반면,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 신호가 입력되고 페이지의 최하단이 화면 하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더 이상 아래로 스크롤이 불가능한 경우,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의 용도를 카테고리 이동으로 결정한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의 용도가 페이지의 스크롤로 결정되면 스크롤 명령을 생성하여 페이지의 스크롤을 제어하고, 스크롤 신호의 용도가 카테고리 이동인 것으로 결정되면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페이지의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크롤 판단부(120)는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의 만족 여부를 한번 더 검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면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스크롤 판단부(120)는 페이지 스크롤이나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아무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드래그 조건은 스크롤 신호가 드래그 신호인 경우 해당 드래그 신호에 적용되는 조건으로써, 드래그 신호의 길이, 속도, 및 상기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총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세히, 드래그 조건은 드래그 신호의 길이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제1 조건, 또는 드래그 신호가 기설정된 지점을 통과하는 제2 조건, 또는 이들 조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래그 신호는 연속적인 터치 신호로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화면(11)을 표시하고, 스크롤 신호 및 카테고리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11)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0)는 화면(11)의 제1 영역에 페이지를 표시하고, 화면(11)의 제2 영역에 카테고리의 목록을 나열한다.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는 카테고리의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컨텐츠를 포함한다. 제1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제1 페이지에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되고, 제2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제2 페이지에는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다.
표시 제어부(130)는 복수의 카테고리 목록에 포함된 각 카테고리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에 표시된 페이지의 배경 일부 영역의 색상은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색상에 기초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제2 영역에 나열 및 표시된 복수의 카테고리 목록 중 제1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제1 페이지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동안 카테고리 목록에서 제1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하고, 카테고리 이동 명령에 따라 제1 페이지가 제2 페이지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카테고리 목록에서 제1 카테고리의 강조 표시를 해제하고, 제2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제2 영역에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고, 제2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영역에 표시된 페이지는 복수의 카테고리가 제2 영역에 나열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예컨대, 제2 영역에 복수의 카테고리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경우, 제1 영역에 표시된 페이지는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게 표시된다. 제2 영역에 복수의 카테고리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된 경우, 제1 영역에 표시된 페이지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게 표시된다.
표시 제어부(130)는 스크롤 신호에 따라 제1 영역에 표시된 페이지를 스크롤한다. 또는 카테고리 이동 명령에 따라 제1 영역에 표시된 페이지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1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지의 표시를, 제2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 페이지의 표시로 전환한다.
한편, 스크롤 판단부(120)가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30)가 카테고리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은 제1 카테고리에서 제2 카테고리로의 이동 명령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테고리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제1 페이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이며, 제2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목록에서 제1 카테고리에 인접하게 나열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카테고리 목록이 일렬로 나열되는 경우, 제1 카테고리에 인접하는 카테고리는 2개 존재하며, 이 때 제2 카테고리는 스크롤 신호의 방향, 또는 스크롤 신호가 의도하는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롤 신호가 페이지를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제2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의 아래에 나열된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롤 신호가 페이지를 위로 스크롤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제2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의 위에 나열된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에서 표시 제어부(130)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1 페이지를 제1 영역에 표시한다.
단계 22에서 스크롤 인식부(110)는 제1 페이지에 대해 입력된 스크롤 신호를 인식한다.
단계 23에서 스크롤 판단부(120)는 제1 페이지의 최단부가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에 따라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이 불가능한 상황인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 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24로 진행한다.
단계 24에서 스크롤 판단부(120)는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제어하며, 제1 페이지의 스크롤 명령을 표시 제어부(130)로 출력하여 표시 제어부(130)가 제1 페이지를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단계 25에서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가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 2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스크롤 신호는 드래그 신호일 수 있으며, 드래그 조건은 드래그 신호의 길이, 속도, 및 상기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총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스크롤 판단부(120)가 단계 23에서 스크롤 신호의 용도를 먼저 결정한 후, 단계 24에서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이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계 24가 단계 23에 선행하도록 구현되고, 단계 22에서 스크롤 신호가 인식되면 스크롤 판단부(120)는 스크롤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시도하고, 스크롤이 불가능한 경우 단계 25로 진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예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11)을 도시한 것이다. 화면(11)은 제1 영역(31)과 제2 영역(32)을 포함한다. 제1 영역(31)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목록이 나열되고, 제2 영역(32)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331)가 나열된 제1 페이지(33)가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페이지(33)에는 제1 카테고리(311), 즉 코믹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331)가 나열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표시 제어부(130)는 제1 영역(32)에 표시된 제1 페이지(33)에 대응되는 제1 카테고리(311)에 대하여 강조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강조 표시가 음영 처리인 예가 도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제1 영역(32)에 표시된 컨텐츠(331)들이 강조 표시된 제1 카테고리(311)에 포함된 컨텐츠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영역(31)에 나열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페이지의 배경 혹은 일부 영역은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페이지(33)의 배경은 제1 카테고리(311)의 색상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영역(31)에 나열된 복수의 카테고리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며, 제1 페이지(33)는 카테고리의 나열 방향, 즉 도 3의 경우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페이지를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하여 드래그 신호(34)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가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 된다는 것은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영역이 아래로 이동한다는 의미이며, 페이지의 최하단에 이르면 스크롤이 종료된다. 한편, 연속적인 터치 동작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34)의 방향은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예컨대, 드래그 신호(34)가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면, 제1 페이지는 드래그 방향의 반대 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 된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스크롤 신호로써 마우스의 휠 회전이 입력되는 경우, 회전 방향은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휠이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페이지는 휠 방향과 동일하게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도 4는 도 3의 화면(11)에 대하여 드래그 신호(34)가 입력되어 제1 페이지(33)의 최하단까지 스크롤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스크롤 인식부(110)는 드래그 신호(34)를 인식하고, 스크롤 판단부(120)는 드래그 신호(34)에 따른 제어 방법을 판단한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드래그 신호(34)가 아래 방향으로의 제1 페이지(33) 드래그를 위한 신호이고, 제1 페이지(33)의 최하단이 제1 영역(32)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더 이상 제1 페이지(33)를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없는 경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스크롤 판단부(120)는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기 전에, 드래그 신호(41)가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조건을 더 판단할 수 있으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페이지의 스크롤도 수행하지 않고, 카테고리의 이동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드래그 조건은 드래그 신호(41)의 길이, 속도, 위치 등의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조건을 포함한다. 예컨대, 드래그 신호(41)의 길이가 기설정된 기준 길이를 초과하면 드래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드래그 신호(41)의 드래그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드래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드래그 신호(41)가 기설정된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드래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드래그 신호(41)가 제1 영역(32)의 최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통과할 때까지 입력되면 드래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래그 조건의 판단에 따라, 페이지의 끝부분에서 스크롤 신호가 입력된다고 무조건 카테고리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신호가 입력되어야 카테고리가 이동되므로, 의도치 않게 카테고리가 이동되어 불편을 야기하는 일이 없게 된다.
카테고리 이동 명령은 제1 카테고리(311)인 코믹 카테고리로부터, 제1 카테고리(311)에 인접하는 제2 카테고리인 로맨스, 또는 무협 카테고리로의 이동 명령일 수 있으며, 카테고리가 이동되면 제1 영역(32)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전환될 수 있다.
제2 카테고리는 드래그 신호(34)에 따른 페이지 스크롤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드래그 신호(34)는 제1 페이지(33)를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신호이므로, 제2 카테고리는 현재 표시된 제1 페이지에 대응되는 제1 카테고리(311)인 코믹 카테고리의 아래에 나열된 무협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30)는 제1 페이지(33)의 표시를 전환하기 전에,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면 제1 페이지(33)의 가장자리에 제2 카테고리로의 전환을 예고할 수 있는 패널(332)를 표시할 수 있다. 패널(332)의 위치는 스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도 4의 경우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은 아래 방향이므로, 패널(332)은 제1 페이지(33)의 최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패널(332)는 제2 카테고리의 이름을 표시하거나, 아래 방향의 카테고리로 이동함을 의미하는 아래 방향 화살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패널(332)의 표시는 도 4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카테고리의 색상을 표시하거나, 제2 카테고리의 패턴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드래그 신호(41) 입력에 따라 제1 페이지가 제2 페이지로 전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히 도 5는 도 4의 드래그 신호(41)에 대한 판단에 따라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어, 카테고리가 이동된 후의 화면(11)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역(32)에 표시된 제2 페이지(51)는 제2 카테고리(312)에 포함된 컨텐츠(511)를 나열하고 있다. 제1 카테고리(도 4의 311)에 표시되었던 강조 표시는 해제되었으며, 제2 카테고리(312)에 강조 표시가 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페이지(51)의 배경 색상은 제2 카테고리(312) 색상(또는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5에 표시된 제2 페이지(51)를 제1 영역(32)에 노출시킬 때 제2 페이지(51)에 대하여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페이지(51)에 포함된 컨텐츠(511)들의 크기가 확장되는 애니메이션, 각 컨텐츠(511)가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적용은, 사용자가 기존의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가 단순히 스크롤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페이지로 전환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페이지를 스크롤 하다가 페이지의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되는 페이지는 드래그 신호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페이지의 전환에 따라 제2 영역(31)의 표시도 동기적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페이지가 어떻게 전환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화면(11)과 동일한 구성의 화면(11)이 표시되었을 때, 도 3의 드래그(34)와 반대 방향의 드래그(61)가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래그 신호(61)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입력이며, 이는 제1 페이지(62)를 위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도 6을 참조하면, 제1 영역(32)에 표시된 제1 페이지(62)의 최상단이 제1 영역(32)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현재 더 이상 위 방향으로의 스크롤이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스크롤 판단부(120)는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카테고리 이동 명령은, 제1 카테고리에서 제2 카테고리로의 이동일 수 있으며, 카테고리 이동에 따라 제1 영역(32)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전환되고, 제2 영역(31)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드래그 신호(61)에 의한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제2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경우 드래그 신호(61)에 의한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은 위 방향이며, 제2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311)의 위 방향에 나열된 로맨스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스크롤 판단부(120)는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기 전에 드래그 신호(61)가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조건을 판단할 수 있으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페이지의 스크롤도 수행하지 않고, 카테고리의 이동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제1 페이지(62)의 표시를 전환하기 전에,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면 제1 페이지(62)의 가장자리에 제2 카테고리로의 전환을 예고할 수 있는 패널(621)를 표시할 수 있다. 패널(621)의 위치는 스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도 6 경우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은 위 방향이므로, 패널(621)은 제1 페이지(62)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패널(621)는 제2 카테고리의 이름을 표시하거나, 위 방향의 카테고리로 이동함을 의미하는 위 방향 화살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패널(621)의 표시는 도 6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카테고리의 색상을 표시하거나, 제2 카테고리의 패턴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드래그(61)에 의해 제1 페이지가 제2 페이지로 전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히, 도 7은 도 6의 드래그 신호(41)에 대한 판단에 따라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어, 카테고리가 이동된 후의 화면(11)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영역(32)에 표시된 제2 페이지(71)는 제2 카테고리(312)에 포함된 컨텐츠(711)를 나열하고 있다. 제1 카테고리(도 6의 311)에 표시되었던 강조 표시는 해제되었으며, 제2 카테고리(312)에 강조 표시가 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페이지(71)의 배경 색상은 제2 카테고리(312) 색상(또는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7에 표시된 제2 페이지(71)를 제1 영역(32)에 노출시킬 때 제2 페이지(71)에 대하여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의 예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페이지를 스크롤 하다가 페이지의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다가 페이지의 아래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아래 카테고리의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페이지를 위로 스크롤하다가 페이지의 위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위 카테고리의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되는 페이지는 드래그 신호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페이지의 전환에 따라 제2 영역(31)의 표시도 동기적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페이지가 어떻게 전환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11)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카테고리 목록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고, 페이지의 스크롤이 상하 방향으로 가능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8은 그 반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카테고리 목록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1 페이지(83)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영역(82)과 제2 영역(81)은 서로 위 아래에 배치된다. 제1 영역(82)은 제1 카테고리(811)의 컨텐츠(831)를 나열하는 제1 페이지(83)를 표시하며, 제2 영역(81)은 복수의 카테고리 목록을 나열한다.
도 8 참조하면, 드래그 신호(84)에 의해 왼쪽으로의 스크롤 명령이 인식된다. 드래그 신호(84)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드래그 신호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페이지(83)를 왼쪽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 왼쪽 방향으로의 스크롤이 인식되었는데 제1 페이지(83) 왼쪽 최측단이 제1 영역(8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더 이상 왼쪽으로 스크롤 불가한 상황임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의 스크롤 판단부(120)는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카테고리 이동 명령은, 제1 카테고리에서 제2 카테고리로의 이동일 수 있으며, 카테고리 이동에 따라 제1 영역(82)에 표시되는 페이지가 전환되고, 제2 영역(81)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스크롤 판단부(120)는 드래그 신호(84)에 의한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제2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경우 드래그 신호(84)에 의한 페이지의 스크롤 방향은 왼쪽 방향이며, 제2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811)의 왼쪽 방향에 나열된 로맨스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스크롤 판단부(120)는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기 전에 드래그 신호(84)가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조건을 판단할 수 있으며,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페이지의 스크롤도 수행하지 않고, 카테고리의 이동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카테고리를 이동하기 전 카테고리의 이동을 알릴 수 있는 표시를 제1 페이지 좌측 단에 패널로써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패널에 그라데이션으로 음영처리가 된 모습이 도시되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널은 이동될 카테고리의 정보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고, 단지 카테고리가 이동된다는, 또는 페이지가 전환된다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화면(11)에서 드래그 신호(84)의 입력에 의해 페이지가 전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히, 도 9은 도 8의 드래그 신호(84)에 대한 판단에 따라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어, 카테고리가 이동된 후의 화면(11)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영역(82)에 표시된 제2 페이지(93)는 제2 카테고리(812)에 포함된 컨텐츠(931)를 나열하고 있다. 제1 카테고리(도 8의 811)에 표시되었던 강조 표시는 해제되었으며, 제2 카테고리(812)에 강조 표시가 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페이지(93)의 배경 색상은 제2 카테고리(812)의 색상(또는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9에 표시된 제2 페이지(93)를 제1 영역(82)에 노출시킬 때 제2 페이지(93)에 대하여 애니메이션을 적용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의 예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페이지를 좌우로 스크롤 하다가 페이지의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페이지를 왼쪽으로 스크롤하다가 페이지의 왼쪽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왼쪽 카테고리의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페이지를 오른쪽으로 스크롤하다가 페이지의 오른쪽 끝부분에 다다랐을 때 소정의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페이지를 오른쪽 카테고리의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되는 페이지는 드래그 신호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페이지의 전환에 따라 제2 영역(31)의 표시도 동기적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페이지가 어떻게 전환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테고리 항목을 직접 클릭하지 않고서도, 일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다 본 후에, 스크롤 동작 만으로 다음 카테고리 또는 이전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를 보기 위한 스크롤 동작의 연속 동작으로 다음 카테고리 또는 이전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고리의 이동을 별도의 영역에 나열된 카테고리 목록에서의 강조 표시를 통해 알려주고, 각 카테고리의 색상, 패턴 등에 따라 페이지의 배경을 다르게 표시하고, 카테고리 이동이 있을 때에는 소정의 패널을 표시하여 카테고리의 이동을 예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롤 동작에 의해 카테고리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가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의 컨텐츠로 잘못 인식하는 일이 없게 된다.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이를 배포하는 배포 서버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제어 장치
110: 스크롤 인식부
120: 스크롤 판단부
130: 표시 제어부
10: 단말
11: 화면

Claims (15)

  1.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1 페이지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카테고리가 나열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스크롤이 불가한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페이지의 최단부에 제2 카테고리의 이름을 표시하는 패널을 표시한 후, 상기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2 페이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애니메이션과 함께, 상기 제2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대응시켜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신호는 드래그 신호이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방향이 상기 제1 페이지를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제1 방향 최단부가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결정 단계; 및
    상기 스크롤 신호가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결정 단계와 상기 제2 결정 단계의 결정 결과가 모두 긍정인 경우,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드래그 조건은 상기 드래그 신호의 길이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제1 조건과 상기 드래그 신호가 상기 화면의 상기 제1 방향 최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통과하는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인
    표시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상기 제2 영역 상에서 제1 카테고리와 인접하게 나열된 카테고리이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의 색상은 서로 다르게 표시되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색상은 상기 제1 카테고리의 색상에 기초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색상은 상기 제2 카테고리의 색상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카테고리의 강조 표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를 강조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방향이 상기 제1 페이지를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방향이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상기 제1 방향 최단부가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페이지의 상기 제1 방향 최단부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제1 방향으로의 스크롤이 더 이상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조건은 상기 드래그 신호의 길이, 속도, 및 상기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총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신호는 연속적인 터치 신호로 입력되는
    표시 제어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페이지를 상기 제2 페이지로 전환할 때, 상기 제2 페이지에 소정의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표시 제어 방법.
  12. 삭제
  13.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제1 페이지에 대해 입력되는 스크롤 신호를 인식하는 스크롤 인식부;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페이지의 스크롤을 수행하고, 상기 제1 페이지의 위치에 따라 스크롤이 불가한 경우 상기 스크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카테고리로의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스크롤 판단부; 및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1 페이지를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가 나열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표시되고,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이 생성되면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페이지의 최단부에 제2 카테고리의 이름을 표시하는 패널을 표시한 후, 상기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컨텐츠가 나열된 제2 페이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애니메이션과 함께, 상기 제2 페이지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신호는 드래그 신호이고,
    상기 스크롤 판단부는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방향이 상기 제1 페이지를 제1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페이지의 제1 방향 최단부가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롤 신호가 기설정된 드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드래그 조건은 상기 드래그 신호의 길이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제1 조건과 상기 드래그 신호가 상기 화면의 상기 제1 방향 최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통과하는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와 인접하게 나열된 카테고리이고,
    상기 스크롤 판단부는
    상기 스크롤 신호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표시 제어 장치.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5 항, 제7 항 내지 제8 항, 및 제10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01793A 2014-08-07 2014-08-07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6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793A KR101768690B1 (ko) 2014-08-07 2014-08-07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003041A JP2016038900A (ja) 2014-08-07 2015-01-09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4/620,437 US9977588B2 (en) 2014-08-07 2015-02-12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display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793A KR101768690B1 (ko) 2014-08-07 2014-08-07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32A Division KR20170095782A (ko) 2017-08-08 2017-08-0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982A KR20160017982A (ko) 2016-02-17
KR101768690B1 true KR101768690B1 (ko) 2017-08-30

Family

ID=5526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793A KR101768690B1 (ko) 2014-08-07 2014-08-07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77588B2 (ko)
JP (1) JP2016038900A (ko)
KR (1) KR101768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9023B2 (ja) * 2016-09-09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2337875B1 (ko) * 2017-03-31 2021-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5567B1 (ko) * 2017-08-22 202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621411B (zh) * 2017-09-30 2022-05-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803028B (zh) * 2017-09-30 2019-03-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346722B1 (ja) * 2017-11-09 2018-06-20 楽天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918517B (zh) * 2017-11-13 2020-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旋转的响应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275741B (zh) * 2018-03-15 2022-10-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7135421B2 (ja) * 2018-05-11 2022-09-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39087B1 (ko) 2019-09-19 2020-07-29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인덱스 리두 로그를 이용한 인덱스 복구를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210033880A (ko) 2020-07-16 2021-03-29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인덱스 리두 로그를 이용한 인덱스 복구를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7099511B2 (ja) * 2020-12-16 2022-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991A (ja) * 2000-04-21 2001-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通信端末の機能設定装置
JP2013161379A (ja) * 2012-02-07 2013-08-19 Yahoo Japan Corp 表示装置、プログラム、表示方法、およびサーバ
JP2014123402A (ja) * 2014-03-07 2014-07-03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1193B2 (ja) 1996-02-26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2010113420A (ja) * 2008-11-04 2010-05-2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99806B2 (en) * 2008-12-31 2014-08-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abbed content view on a touch-screen device
KR101731843B1 (ko) 2010-09-02 2017-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9645733B2 (en) * 2011-12-06 2017-05-09 Google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document viewing windows
JP2013161427A (ja) * 2012-02-08 2013-08-19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92125A1 (en) * 2012-09-28 2014-04-03 Apple Inc. Filtering Documents Based on Device Orientation
JP5994543B2 (ja) 2012-10-03 2016-09-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852592B2 (ja) * 2013-01-07 2016-02-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ッチ操作型入力装置
JP2013200894A (ja) * 2013-06-25 2013-10-03 Hitachi Ltd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991A (ja) * 2000-04-21 2001-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通信端末の機能設定装置
JP2013161379A (ja) * 2012-02-07 2013-08-19 Yahoo Japan Corp 表示装置、プログラム、表示方法、およびサーバ
JP2014123402A (ja) * 2014-03-07 2014-07-03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982A (ko) 2016-02-17
US20160041713A1 (en) 2016-02-11
US9977588B2 (en) 2018-05-22
JP2016038900A (ja)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69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282086B2 (e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KR101260834B1 (ko) 타임라인 바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US10712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scrolled content by modifying the content as the content is being scrolled to a designed loc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EP2529288B1 (en) Edge gestures
US9411504B2 (en) Copy and staple gestures
US20170052699A1 (en) Link Gestures
US20110191719A1 (en) Cut, Punch-Out, and Rip Gestures
US20110185299A1 (en) Stamp Gestures
US20110191704A1 (en) Contextual multiplexing gestures
WO2011094046A2 (en) Cross-reference gestures
CN110968227B (zh) 智能交互平板的控制方法和装置
JP6694114B2 (ja) 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610882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7411008B2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95590B1 (ko)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산물
CN107704184A (zh) 用于操作装置的方法和操作设备
US20220269382A1 (en) Command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apparatus
KR101804500B1 (ko)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95782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41063B1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44527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79605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31104B1 (ko)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KR10161088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