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474B1 -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474B1
KR101768474B1 KR1020100104706A KR20100104706A KR101768474B1 KR 101768474 B1 KR101768474 B1 KR 101768474B1 KR 1020100104706 A KR1020100104706 A KR 1020100104706A KR 20100104706 A KR20100104706 A KR 20100104706A KR 101768474 B1 KR101768474 B1 KR 10176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pixel
pieces
sequent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411A (ko
Inventor
김승태
김진형
배한진
임호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4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 및 이들 화소들에 접속된 m개(m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출력채널들을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 소자편차검출용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전송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원부;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상기 신호전송라인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m개의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의 화소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개의 소자편차검출용신호에 따라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고, 상기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m개의 화소신호에 따라 m*n개의 화소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제 1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m개의 화소정보들을 제 2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는 메모리제어부; 및,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소자편차정보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n*m개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n*m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상기 n*m개의 보정값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연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부에 구비된 소자들간의 편차를 보정값에 반영시켜 보다 정밀하게 화상 데이터들을 보정할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데이터 집적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들을 보정하기 위해 별도의 측정부를 각 데이터 집적회로에 내장하여, 이 출력들을 검출하여 보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측정부에 구비된 다수의 측정 소자들간의 편차로 인해 이 보정된 출력들조차도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측정부에 구비된 소자들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값을 보정값에 반영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 및 이들 화소들에 접속된 m개(m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출력채널들을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 소자편차검출용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전송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원부;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상기 신호전송라인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m개의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의 화소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개의 소자편차검출용신호에 따라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고, 상기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m개의 화소신호에 따라 m*n개의 화소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제 1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m개의 화소정보들을 제 2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는 메모리제어부; 및,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소자편차정보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n*m개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n*m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상기 n*m개의 보정값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연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k개(k는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집적회로들로 구성되며;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n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나누어 공급받으며;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은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을 나누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연산부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자신에게 제공된 화상 데이터들을 래치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들 각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다수의 버퍼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에 대응되는 k개의 단위 측정부들을 포함하며; k개의 단위 측정부들은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나누어 접속되며;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단위 측정부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각 단위 측정부는, 자신이 연결된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샘플링/홀더들; 상기 샘플링/홀더들로부터의 출력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스케일링하고 이 스케일링된 다수의 출력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스케일러/멀티플렉서; 및, 상기 스케일러/멀티플렉서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다수의 출력들을 차례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화소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이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의 구동전류에 의해 광을 출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n*m개의 화소정보는 각 화소에 구비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전자 이동도 및 누설 전류량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은 n개의 샘플링/홀더간의 출력 편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k개의 단위 측정부들은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에 하나씩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n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상기 연결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아 턴-온 동작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일측이 상기 신호전송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n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상기 공급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아 턴-온 동작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저장부는 n개의 저장셀들을 갖는 라인 메모리이고, 상기 제 2 저장부는 n*m개의 저장셀들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이며; 상기 발광표시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마다, 상기 측정부를 통해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이 생성되어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상기 발광표시장치에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측정부를 통해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이 생성되어 상기 제 1 메모리에 단 한번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 및 이들 화소들에 접속된 m개(m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출력채널들을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와, 소자편차검출용신호를 생성하여 전원전송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상기 신호전송라인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와,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의 화소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개의 소자편차검출용신호에 따라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고, 상기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m개의 화소신호에 따라 m*n개의 화소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제 1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m개의 화소정보들을 제 2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소자편차정보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n*m개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n*m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상기 n*m개의 보정값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부에 구비된 소자들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값을 보정값에 반영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데이터 드라이버 및 측정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소자편차장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화소정보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오프-셋 형태로 발생된 편차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게인 형태로 발생된 편차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얻어진 각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소자편차정보들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얻어진 화소정보들 중 하나의 수평라인분에 해당하는 화소정보들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5에서와 같은 동작으로 소자편차정보들과 화소정보들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정된 화상 데이터의 출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오히려, 이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도면에서, 층들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 크기는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는, 표시패널(DSP), 데이터 드라이버(DD), 제 1 스위칭부(SB1), 전원부(PB), 제 2 스위칭부(SB2), 게이트 드라이버(GD), 측정부(MB), 메모리제어부(MC) 및 연산부(CB)를 포함한다.
표시패널(DSP)은 화상을 표시하는 n*m개의 화소(PXL)들 및 이들 화소들에 접속된 m개(m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m) 및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을 포함한다.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n개의 화소들은 하나의 게이트 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m개의 화소들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n*m개의 화소(PXL)들은 적색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적색 화소들과, 녹색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녹색 화소들과, 그리고 청색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청색 화소들로 구분된다. 이러한 적색 화소들, 녹색 화소들 및 청색 화소들은 표시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각 화소(PXL)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이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의 구동전류에 의해 광을 출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DD)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출력채널들(OC1 내지 OCn)을 통해 출력한다. 이 데이터 드라이버(DD)는 연산부(CB)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공급된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n개의 출력채널들(OC1 내지 OCn)로 출력한다. 즉, 이 데이터 드라이버(DD)는 게이트 드라이버(GD)에 의해 구동된 한 수평라인의 화소들(n개의 화소들)에 해당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한 수평라인분의 화상 데이터들을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로 동시에 공급한다. 각 화소는 자신이 접속된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해 화상을 표시한다.
제 1 스위칭부(SB1)는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OC1 내지 OCn)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을 연결한다. 이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에 데이터 드라이버(DD)는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씩의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로 공급한다. 이 제 1 스위칭부(SB1)는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에만 n개의 출력채널들(OC1 내지 OCn)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을 서로 연결하며, 이 화상데이터출력기간을 제외한 기간에는 n개의 출력채널들(OC1 내지 OCn)과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이 연결되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전원부(PB)는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생성하여 신호전송라인(SL)으로 공급한다.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는 직류 전류 또는 직류 전압이 될 수 있다.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는 전원부(PB)로부터 직접 신호전송라인(SL)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원부(PB)로부터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전달받은 데이터 드라이버(DD)를 통해 신호전송라인(SL)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원부(PB)로부터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전달받은 표시패널(DSP)을 통해 신호전송라인(SL)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제 2 스위칭부(SB2)는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신호전송라인(SL)과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한다. 이 제 2 스위칭부(SB2)는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만 신호전송라인(SL)과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서로 연결시키며, 이 소자편차검출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이 신호전송라인(SL)과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이 연결되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게이트 드라이버(GD)는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m개의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m)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의 화소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에 접속시킨다. 즉, 이 패널데이터검출기간은 한 프레임 기간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하나의 패널데이터검출기간은 m개의 수평기간들을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GD)는 화상데이터출력기간에도 상술된 동작을 수행한다.
측정부(MB)는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로 공급된 n개의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에 따라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고,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m개의 화소신호에 따라 m*n개의 화소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한다.
메모리제어부(MC)는 측정부(MB)로부터의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제 1 저장부(M1)에 차례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부(MB)로부터의 n*m개의 화소정보들을 제 2 저장부(M2)에 차례로 저장한다. 제 1 저장부(M1)는 n개의 저장셀들을 갖는 라인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저장부(M2)는 n*m개의 저장셀들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제 1 저장부(M1)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이 제 1 저장부(M1)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때 발광표시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마다, 상기 측정부(MB)를 통해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이 생성되어 상기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된다. 즉, 발광표시장치의 전원이 꺼지면 이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모두 삭제되기 때문에, 이 제 1 저장부(M1)가 휘발성 메모리인 경우 발광표시장치의 전원이 켜질 때마다 측정부(MB)가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이들을 제 1 저장부(M1)에 저장한다. 반면, 이 제 1 저장부(M1)가 비휘발성 메모리인 경우 발광표시장치의 전원이 꺼져도 이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그대로 저장되므로, 이와 같이 제 1 저장부(M1)가 비휘발성 메모리인 경우에, 측정부(MB)는 발광표시장치의 출하 후 최초로 전원이 인가될 때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단 한 번만 생성하여 제 1 저장부(M1)에 저장한다. 이후, 발광표시장치가 꺼졌다가 다시 켜져도 측정부(MB)는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연산부(CB)는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된 소자편차정보 및 상기 제 2 저장부(M2)에 저장된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n*m개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제공되는 n*m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상기 n*m개의 보정값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DD)로 제공한다. 이 연산부(CB)는 화소정보에 해당하는 값으로부터 소자편차정보에 해당하는 값을 빼거나, 또는 화소정보에 해당하는 값과 소자편차정보에 해당하는 값을 서로 더하거나, 또는 화소정보에 해당하는 값과 소자편차정보에 해당하는 값을 서로 곱셈하거나, 또는 화소정보에 해당하는 값을 소자편차정보에 해당하는 값으로 나눔으로써 해당 화소에 공급될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산부(CB)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보정값과 화상 데이터간의 연산을 통해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연산은 상술된 바와 같이 덧셈, 뺄샘, 곱셈 및 나눗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는, 이 연산 대신에 별도의 알고리즘에 상술된 보정값과 화상 데이터를 적용하여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 데이터들을 재정렬하고, 이들을 타이밍에 맞추어 연산부(CB)로 공급한다. 또한, 이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트 클럭,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데이터 제어신호, 연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이 게이트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GD)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DD)의 동작을 제어하며, 연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연산부(CB)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된 데이터 드라이버(DD) 및 측정부(MB)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드라이버(DD) 및 측정부(MB)의 상세 구성도이다.
데이터 드라이버(DD)는 k개(k는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집적회로들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2에는 2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D-IC1, D-IC2)을 포함하는 데이터 드라이버(DD)의 예가 나타나 있다.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제공되는 n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나누어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데이터 집적회로(D-IC1, D-IC2)는 n/2개씩의 화상 데이터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각 데이터 드라이버(DD)가 서로 다른 수의 화상 데이터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데이터 집적회로 중 하나는 n/4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공급받고, 나머지 하나의 데이터 집적회로는 n3/4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은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을 나누어 가진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는 n/2씩의 출력채널들을 갖는다. 물론, 각 데이터 드라이버(DD)가 서로 다른 수의 출력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데이터 집적회로(D-IC1, D-IC2) 중 하나는 n/4개의 출력채널들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의 데이터 집적회로는 n3/4개의 출력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각 데이터 집적회로(D-IC1, D-IC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LAT), 다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 및 다수의 버퍼부(BF)들을 포함한다.
래치부(LAT)는 연산부(CB)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 자신에게 제공된 화상 데이터들을 래치한다.
각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들은 래치부(LAT)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들 각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각 버퍼부(BF)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들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들을 버퍼링한다.
측정부(MB)는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에 대응되는 k개의 단위 측정부(MB)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MB)는 2개의 단위 측정부(UMB1, UMB2)를 포함할 수 있다.
k개의 단위 측정부(MB)들은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에 나누어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위 측정부(UMB1) 중 하나는 n/2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되며, 나머지 하나의 단위 측정부(UMB2)는 다른 n/2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된다. 물론, 각 단위 측정부(UMB1, UMB2)가 접속된 데이터 라인들의 수가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단위 측정부(UMB1, UMB2) 중 하나는 n/4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되며, 나머지 하나는 n3/4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응되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단위 측정부(UMB1, UMB2)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와 제 1 단위 측정부(UMB1)은 제 1 내지 제 3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3)에 접속된다.
각 단위 측정부(MB)는 다수의 샘플링/홀더(SH)들,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를 포함한다.
각 샘플링/홀더(S/H)는 자신이 연결된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이 샘플링/홀더(S/H)는 자신에게 공급된 입력 신호를 샘플링하고 홀딩한다.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는 샘플링/홀더(S/H)들로부터의 출력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스케일링하고 이 스케일링된 다수의 출력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즉, 이 스케일러는 각 샘플링/홀더(S/H)로부터의 출력들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이 샘플링/홀더로부터의 출력을 일정 비율로 감압시키거나 승압시킨다.
상기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다수의 출력들을 차례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k개의 단위 측정부(MB)들은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에 하나씩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에는 제 1 단위 측정부(MB)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에는 제 2 단위 측정부(MB)가 내장되어 있다
제 1 스위칭부(SB1)는 n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한다.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n개의 출력채널들(OC1 내지 OCn)과 n개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n) 사이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이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상기 연결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아 턴-온 동작이 제어된다. 즉, 이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이들의 각 게이트단자에 연결신호가 공급될 때만 턴-온되는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1 스위칭부(SB1)가 6개의 스위칭소자들(SW1 내지 SW6)을 포함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제 2 스위칭부(SB2)는 n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한다. 이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일측이 상기 신호전송라인(SL)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이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상기 공급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아 턴-온 동작이 제어된다. 즉, 이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이들의 각 게이트단자에 공급신호가 공급될 때만 턴-온되는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2 스위칭부(SB2)가 6개의 스위칭소자들(SW11 내지 SW66)을 포함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소자편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패널(DSP)에 포함된 총 화소들이 총 12개(n=6, m=2)이고, 게이트 라인이 2개이고, 데이터 라인이 6개이고,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DD)가 두 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D-IC1, D-IC2)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즉, 데이터 드라이버(DD)는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 및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만이 나타나 있다.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의 동작 역시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의 동작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제 2 스위칭부(SB2)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3 스위칭소자들(SW11 내지 SW33)이 턴-온된다. 물론, 이 기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4 내지 제 6 스위칭소자들(SW44 내지 SW66)도 동시에 턴-온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칭부(SB1)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스위칭소자들(SW1 내지 SW6)은 모두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가 턴-온된 제 1 내지 제 3 스위칭소자들(SW1 내지 SW3)을 통해 제 1 내지 제 3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3)에 공급된다. 물론, 이 기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 4 내지 제 6 데이터 라인(DL4 내지 DL6)에도 상술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가 동시에 공급된다.
제 1 내지 제 3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3)에 공급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는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내의 샘플링/홀더(S/H)들을 통해 샘플링 및 홀딩된다. 물론, 이 기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 4 내지 제 6 데이터 라인(DL4 내지 DL6)에 공급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가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에 구비된 샘플링/홀더(S/H)들을 통해 샘플링 및 홀딩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에 구비된 3개의 샘플링/홀더들을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제 1, 제 2 및 제 3 샘플링/홀더로 구분하여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에 구비된 3개의 샘플링/홀더들을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제 4, 제 5 및 제 6 샘플링/홀더로 구분하여 부르기로 한다.
상술된 과정을 통해 총 6개의 소자편차출용신호가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들에 동시에 저장된다.
이후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에 구비된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에 제 1 내지 제 3 제어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그 다음에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에 구비된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에 제 4 내지 제 6 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는 제 1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스케일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로 출력한다. 그러면,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는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디지털 변환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가 제 1 샘플링/홀더(S/H)와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소자편차정보를 합한 정보이다. 메모리제어부(MC)는 제 1 샘플링/홀더(S/H)와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소자편차정보가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되도록 제 1 저장부(M1)를 제어한다.
이어서,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가 제 2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스케일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로 출력한다.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는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디지털 변환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가 제 2 샘플링/홀더(S/H) 와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소자편차정보를 합한 정보이다. 메모리제어부(MC)는 제 2 샘플링/홀더(S/H)와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소자편차정보가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되도록 제 1 저장부(M1)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 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가 제 3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스케일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로 출력한다.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는 이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디지털 변환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가 제 3 샘플링/홀더(S/H) 와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소자편차정보를 합한 정보이다. 메모리제어부(MC)는 제 3 샘플링/홀더(S/H)와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소자편차정보가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되도록 제 1 저장부(M1)를 제어한다.
이어서 제 4 내지 제 6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가 제 4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된 소자편차검출용신호(Vref)들을 차례로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내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제어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면, 제 1 저장부(M1)에는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들과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6개의 소자편차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이들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들 과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6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차례로 제 1 내지 제 6 소자편차정보로 구분하여 부르기로 한다.
요약하면,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들과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에 대한 제 1 내지 제 6 소자편차정보들이 생성되어 제 1 저장부(M1)에 저장된다. 이외 같이 제 1 내지 제 6 소자편차정보들에 각각의 데이터 집적회로(D-IC1, D-IC2)에 배치되어 있는 샘플링/홀더(S/H)들과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의 편차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데이터 집접회로(D-IC1, D-IC2)간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4는 화소정보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제 2 스위칭부(SB2)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3 스위칭소자들(SW11 내지 SW33)은 턴-오프된다. 물론, 이 기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4 내지 제 6 스위칭소자들(SW44 내지 SW66)도 동시에 턴-오프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칭부(SB1)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6 스위칭소자들(SW1 내지 SW6)은 모두 턴-오프된다.
이때, 게이트 드라이버(GD)는 제 1 수평기간동안 제 1 게이트 라인(GL1)으로 제 1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여 이 제 1 게이트 라인(GL1)에 접속된 6개의 화소들(제 1 내지 제 6 화소들)이 제 1 내지 제 6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6)에 모두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 1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해 제 1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2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2 데이터 라인(DL2)을 통해 제 2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3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3 데이터 라인(DL3)을 통해 제 3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4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4 데이터 라인(DL4)을 통해 제 4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5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5 데이터 라인(DL5)을 통해 제 5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그리고 제 6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6 데이터 라인(DL6)을 통해 제 6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된다.
이후, 상술된 제 1 내지 제 3 제어신호가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에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이어서 제 4 내지 제 6 제어신호가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에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들에 저장된 제 1 내지 제 6 화소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스케일링 및 디지털 변환된다. 이 디지털 변환된 화소신호들이 화소정보들이다. 즉, 이 화소정보들은 제 1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2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3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4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5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및 제 6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들을 의미한다.
메모리제어부(MC)는 제 1 내지 제 6 화소정보들이 제 2 저장부(M2)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도록 제 2 저장부(M2)를 제어한다.
이어서, 게이트 드라이버(GD)는 제 2 수평기간동안 제 2 게이트 라인(GL2)으로 제 2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여 이 제 2 게이트 라인(GL2)에 접속된 6개의 화소들(제 7 내지 제 12 화소들)이 제 1 내지 제 6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6)에 모두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 7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해 제 1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8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2 데이터 라인(DL2)을 통해 제 2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9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3 데이터 라인(DL3)을 통해 제 3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10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4 데이터 라인(DL4)을 통해 제 4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제 11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5 데이터 라인(DL5)을 통해 제 5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되고, 그리고 제 12 화소의 화소신호가 제 6 데이터 라인(DL6)을 통해 제 6 샘플링/홀더(S/H)에 저장된다.
이후, 상술된 제 1 내지 제 3 제어신호가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에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이어서 제 4 내지 제 6 제어신호가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의 스케일러/멀티플렉서(SCL/MUX)에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들에 저장된 제 7 내지 제 12 화소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스케일링 및 디지털 변환된다. 이 디지털 변환된 화소신호들이 화소정보들이다. 즉, 이 화소정보들은 제 7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8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9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10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제 11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 및 제 12 화소에 대한 화소정보들을 의미한다.
메모리제어부(MC)는 제 7 내지 제 12 화소정보들이 제 2 저장부(M2)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도록 제 2 저장부(M2)를 제어한다.
요약하면,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제 1 내지 제 12 화소들에 대한 제 1 내지 제 12 화소정보들이 생성되어 제 2 저장부(M2)에 저장된다.
또 다른 구현 방법으로 제 1 내지 제 12 화소정보들이 생성되어 제 2 저장부(M2)에 저장될 때 제 1 내지 제 6 소자편차정보들을 사용하여 측정부의 편차를 보정한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연산부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 2저장부의 데이터만 입력된다.
도 5는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부(CB)는 제 1 저장부(M1)로부터 제 1 내지 제 6 소자편차정보들과 제 1 내지 제 12 화소정보들에 근거하여 제 1 내지 제 12 화소들에 대한 보정값들을 생성한다. 즉, 제 1 편차정보와 제 1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1 화소에 대한 제 1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2 편차정보와 제 2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2 화소에 대한 제 2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3 편차정보와 제 3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3 화소에 대한 제 3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4 편차정보와 제 4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4 화소에 대한 제 4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5 편차정보와 제 5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5 화소에 대한 제 5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6 편차정보와 제 6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6 화소에 대한 제 6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1 편차정보와 제 7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7 화소에 대한 제 7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2 편차정보와 제 8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8 화소에 대한 제 8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3 편차정보와 제 9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9 화소에 대한 제 9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4 편차정보와 제 10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10 화소에 대한 제 10 보정값을 생성하고, 제 5 편차정보와 제 11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11 화소에 대한 제 11 보정값을 생성하고, 그리고 제 6 편차정보와 제 12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제 12 화소에 대한 제 12 보정값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12 보정값에 제 1 내지 제 6 샘플링/홀더(S/H)라는 소자에 대한 편차값, 즉 소자편차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내지 제 12 보정값을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1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게 되면, 상기 소자에 대한 편차값이 반영되므로 더욱 정확하게 제 1 내지 제 12 화상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측정부에 구비된 단위 측정부(UMB1, UMB2)의 수를 줄이기 위해, 2개 이상의 출력채널이 1개의 샘플링/홀더에 시분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샘플링/홀더 당 2개의 출력채널들이 이에 순차적으로 접속되거나, 도는 1개의 샘플링/홀더 당 3개의 출력채널들이 이에 순차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출력채널이 1개의 샘플링/홀더에 시분할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전체 샘플링/홀더의 수는 n/2개가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만약 3개의 출력채널이 시분할 방식으로 1개의 샘플링/홀더에 연결될 경우, 전체 샘플링/홀더의 수는 n/3개가 된다.
도 6은 오프-셋 형태로 발생된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는 실제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가 나타나 있다. 실제 데이터는 도 5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화소정보를 의미하며, 이상 데이터는 샘플링/홀더(S/H)들간의 편차가 고려되지 않은 이상적인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6을 보면, 화소정보와 이상적인 데이터간에는 오프-셋(off-set) 형태로 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편차는 실제 데이터에서 이상 데이터를 빼거나, 또는 이 실제 데이터에 이상 데이터를 더함으로써 구해진다. 이 편차는 상술된 편차값을 의미한다.
도 7은 게인 형태로 발생된 편차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는 실제 데이터와 이상 데이터가 나타나 있다. 실제 데이터는 도 5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화소정보를 의미하며, 이상 데이터는 샘플링/홀더(S/H)들간의 편차가 고려되지 않은 이상적인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7을 보면, 화소정보와 이상적인 데이터간에는 게인(gain) 형태로 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편차는 실제 데이터의 기울기와 이상 데이터의 기울기간의 비율을 산출하고 이 비율을 실제 데이터에 곱함으로써 구해진다. 이 편차는 상술된 편차값을 의미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얻어진 각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소자편차정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의 X축은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들 및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들의 출력채널들을 나타낸 것이고, Y축은 각 데이터 집적회로의 출력채널에 대응되는 소자편차정보들의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출력채널간 소자편차정보들의 편차 및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소자편차정보들의 편차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얻어진 화소정보들 중 하나의 수평라인분에 해당하는 화소정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의 X축은 제 1 데이터 집적회로(D-IC1)들 및 제 2 데이터 집적회로(D-IC2)들의 출력채널들을 나타낸 것이고, Y축은 각 데이터 집적회로의 출력채널에 대응되는 화소정보들 중 하나의 수평라인분에 해당하는 화소정보들의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출력채널간 화소정보들의 편차 및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화소정보들의 편차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각 출력채널간 소자편차정보들의 편차 및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소자편차정보들의 편차가 높기 때문에 발생된 것이다.
도 10은 도 5에서와 같은 동작으로 소자편차정보들과 화소정보들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정된 화상 데이터의 출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출력채널간 보정 화상 데이터의 편차 및 데이터 집적회로간의 보정 화소 데이터의 편차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M1: 제 1 저장부 M2: 제 2 저장부
MB: 측정부 MC: 메모리제어부
CB: 연산부 TC: 타이밍 콘트롤러
PB: 전원부 GD: 게이트 드라이버
DD: 데이터 드라이버 PXL: 화소
SB1: 제 1 스위칭부 SB2: 제 2 스위칭부
SL: 신호전송라인 DL1 내지 DLn: 데이터 라인
GL1 내지 GLm: 게이트 라인 DSP: 표시부
OC1 내지 OCn: 출력채널

Claims (16)

  1.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 및 이들 화소들에 접속된 m개(m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출력채널들을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
    소자편차검출용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전송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원부;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상기 신호전송라인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m개의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의 화소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개의 소자편차검출용신호에 따라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고, 상기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m개의 화소신호에 따라 m*n개의 화소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제 1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의 n*m개의 화소정보들을 제 2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는 메모리제어부; 및,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소자편차정보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n*m개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n*m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상기 n*m개의 보정값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연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k개(k는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집적회로들로 구성되며;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n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나누어 공급받으며;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은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을 나누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 집적회로는,
    상기 연산부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자신에게 제공된 화상 데이터들을 래치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들 각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들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다수의 버퍼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들에 대응되는 k개의 단위 측정부들을 포함하며;
    k개의 단위 측정부들은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나누어 접속되며;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데이터 집적회로와 단위 측정부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단위 측정부는,
    자신이 연결된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샘플링/홀더들;
    상기 샘플링/홀더들로부터의 출력들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스케일링하고 이 스케일링된 다수의 출력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스케일러/멀티플렉서; 및,
    상기 스케일러/멀티플렉서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다수의 출력들을 차례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화소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이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의 구동전류에 의해 광을 출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n*m개의 화소정보는 각 화소에 구비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전자 이동도 및 누설 전류량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은 스케일러/멀티플렉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n개의 샘플링/홀더간의 출력 편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k개의 단위 측정부들은 상기 k개의 데이터 집적회로에 하나씩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n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연결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아 턴-온 동작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일측이 상기 신호전송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n개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n개의 스위칭소자들은 공급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아 턴-온 동작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n개의 저장셀들을 갖는 라인 메모리이고, 상기 제 2 저장부는 n*m개의 저장셀들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이며;
    상기 발광표시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마다, 상기 측정부를 통해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이 생성되어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상기 발광표시장치에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측정부를 통해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이 생성되어 상기 제 1 저장부에 단 한번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화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화소들 및 이들 화소들에 접속된 m개(m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들을 n개의 출력채널들을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화상데이터출력기간 동안 상기 n개의 출력채널들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1 스위칭부와, 소자편차검출용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전송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상기 신호전송라인과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2 스위칭부와,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매 수평기간마다 n개의 화소들을 n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자편차검출기간 동안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개의 소자편차검출용신호에 따라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고, 상기 패널데이터검출기간 동안 상기 n개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된 n*m개의 화소신호에 따라 m*n개의 화소정보들을 생성하여 차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소자편차정보들을 제 1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고, 상기 n*m개의 화소정보들을 제 2 저장부에 차례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소자편차정보 및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화소정보에 근거하여 n*m개의 보정값을 생성하고, n*m개의 화상 데이터들을 상기 n*m개의 보정값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00104706A 2010-10-26 2010-10-26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76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06A KR101768474B1 (ko) 2010-10-26 2010-10-26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06A KR101768474B1 (ko) 2010-10-26 2010-10-26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11A KR20120043411A (ko) 2012-05-04
KR101768474B1 true KR101768474B1 (ko) 2017-08-17

Family

ID=4626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706A KR101768474B1 (ko) 2010-10-26 2010-10-26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167B1 (ko) * 2013-12-31 2020-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56069B1 (ko) * 2014-09-03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KR102320425B1 (ko) * 2014-12-24 2021-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부
KR102526249B1 (ko) * 2017-12-19 2023-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트롤러,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2655051B1 (ko) * 2019-07-01 2024-04-05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426A (ja) * 2007-03-01 2008-09-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データ信号の供給回路、供給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0091825A (ja) * 2008-10-08 2010-04-22 Seiko Epson Corp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426A (ja) * 2007-03-01 2008-09-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データ信号の供給回路、供給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0091825A (ja) * 2008-10-08 2010-04-22 Seiko Epson Corp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11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305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7978259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用于检测oled的驱动特性的电路
US985886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EP208117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13959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3736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8180566A (ja) 検出回路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
US840558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84794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008329A1 (zh) 一种像素矩阵的外围补偿系统、方法和显示系统
KR101768474B1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80071469A (ko) 표시 장치
JP5469384B2 (ja) 表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201430804A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107564463B (zh) 校准装置和方法以及包括校准装置的有机发光显示器
KR2015006478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열화 보상 방법
KR101370044B1 (ko) 데이터 구동 장치, 데이터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
KR10243111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보정 방법
JP4877536B2 (ja) 画素駆動装置、発光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8134442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CN114023246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45033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0113153A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2613850B1 (ko)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17008741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스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