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709B1 - 일회용 착용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709B1
KR101767709B1 KR1020137005784A KR20137005784A KR101767709B1 KR 101767709 B1 KR101767709 B1 KR 101767709B1 KR 1020137005784 A KR1020137005784 A KR 1020137005784A KR 20137005784 A KR20137005784 A KR 20137005784A KR 101767709 B1 KR101767709 B1 KR 10176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ndicator
liquid
core materia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266A (ko
Inventor
게이코 이치하라
도시야 야고
나오토 오하시
마코토 스에카네
히로키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6Wetness-indicators or colo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structure resisting compr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인디케이터가 흡액 구조체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는 빠르게 인디케이터를 변색시키는 일회용 착용물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기저귀(1)는, 내면 시트(11)와, 외면 시트(12)와, 이들 내외면 시트(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 구조체(20)를 갖는다. 제1 외면 시트(13)의 흡액 구조체(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5)는, 열용융성의 폴리머와,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지시약과, 가소화 오일을 포함한다. 흡액 구조체(20)는, 흡액성의 코어재(21)와, 코어재(21)를 덮는 액확산성의 피복 시트(22)를 갖는다. 코어재(21)의 저면(21b)과, 피복 시트(22)의 저면 영역(24)의 사이에는, 친수성의 저면 시트(40)가 배치되어 있다. 저면 시트(40)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W1)는,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W2)보다 크고, 코어재(21)의 그 치수(W3)보다 작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물품{DISPOSABLE ARTICLE OF WEAR}
본 발명은 일회용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가랑이 영역에 수분 또는 체액과의 접촉에 의해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의 토일렛ㆍ트레이닝 팬츠, 일회용 요실금 팬츠, 일회용 생리용 팬츠 등의 일회용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뒤 허리 영역과, 이들 앞뒤 허리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가랑이 영역에 뇨를 검출하는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에는, 표리면 시트와, 이들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고, 이면 시트의 내측에 변화제를 포함하는 핫멜트 조성물이 도포되어, 인디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는 액투과성의 시트가 배치되고, 이들 시트에 의해, 핫멜트 조성물의 변화제가 흡수체의 흡수성 코어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흡수성 코어로 변화제가 이행하면, 흡수성 코어에 약간 흡수되어 있는 대기중의 수증기에 의해 변화제의 색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을 방지함으로써, 특히 착용전에 기저귀의 인디케이터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52659호 공보(JP 2007-252659 A)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7386호 공보(JP 2004-337386 A)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흡수체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액투과성의 시트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는, 흡수체의 그것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배설된 뇨는, 흡수체 및 투액성의 시트를 투과하여 인디케이터에 도달한다. 투액성의 시트를 통해 뇨가 인디케이터에 접촉하기 때문에, 그만큼 인디케이터가 변색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여, 배뇨시의 빠른 변색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디케이터가 흡액 구조체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는 빠르게 인디케이터를 변색시키는 일회용 착용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지며, 신체측 및 그 반대측인 비신체측과, 앞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신체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와, 상기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와, 이들 내외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흡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면 시트의 상기 흡액 구조체에 대향하는 면에는, 수분 및 체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일회용 착용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일회용 착용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액 구조체는, 흡액성의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의 상기 신체측에 위치하는 면 및 상기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면을 덮고, 상기 코어재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에서 연속되는 액확산성의 피복 시트를 가지며, 상기 코어재의 상기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면과 상기 피복 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친수성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저면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저면 시트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는 상기 코어재의 그것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열용융성의 폴리머와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지시약과 가소화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 시트에 직접 접촉하며,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오일에 대한 흡수도가 상기 저면 시트의 그것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피복 시트의 클렘 흡수도가 상기 저면 시트의 그것보다 높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저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따르는 섬유 배향성을 가지며, 상기 저면 시트의 섬유 배향성을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영역이 연장된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따르는 섬유 배향성을 가지며, 상기 피복 시트 및 상기 저면 시트의 섬유 배향성이 일치하여 적층된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코어재는 적어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코어재의 총중량에 대하여 35∼70 중량%이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내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따르는 섬유 배향을 갖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내면 시트의 섬유 배향이 일치한다.
본 발명의 특히 그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의하면, 내외면 시트의 사이에 흡액 구조체가 배치되고, 흡액 구조체의 코어재의 저면과 이것을 덮는 피복 시트의 사이에 친수성의 저면 시트가 배치된다. 외면 시트에는, 인디케이터가 형성되고, 인디케이터와 피복 시트가 직접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피복 시트의 오일에 대한 흡수도를 저면 시트의 그것보다 높게 함으로써, 인디케이터가 흡액 구조체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에는, 피복 시트를 통해 빠르게 인디케이터를 변색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회용 착용물품의 일실시형태인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
도 2는 기저귀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기저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내면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물품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1)의 사시도, 도 2는,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로서 신체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기저귀(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에서, 각 탄성 요소는 그 수축력에 대항하여 신장시킨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기저귀(1)는,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한 가상 세로 중심선(P-P),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한 가상 가로 중심선(Q-Q)을 가지며, 가상 세로 중심선(P-P)에 관해 거의 대칭으로 되어 있다.
기저귀(1)는, 착용자의 신체측 및 그 반대측인 비신체측(착의측)과, 앞허리 영역(2)과, 뒤허리 영역(3)과, 앞뒤 허리 영역(2, 3)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4)과, 양 측가장자리(5)와, 앞뒤 허리 영역(2, 3)에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앞뒤 단가장자리(6, 7)를 갖는다. 기저귀(1)는, 신체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11)와,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외면 시트(12)와, 이들 내외면 시트(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 구조체(20)를 갖는다.
내면 시트(11)로는 투액성의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고,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5∼35 g/㎡,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25 g/㎡인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외면 시트(12)로는, 제1 및 제2 외면 시트(13, 14)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외면 시트(14)로 제1 외면 시트(13)의 외면을 덮도록 하고 있다. 제2 외면 시트(14)는, 내면 시트(11)와 거의 동일한 형태 동일한 크기이며, 제1 외면 시트(13)는 제2 외면 시트(14)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제1 외면 시트(13)로는,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25 g/㎡,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8 g/㎡인 통기성이고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고, 제2 외면 시트(14)로는,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5∼35 g/㎡,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7 g/㎡인 스펀본드ㆍ멜트블로우ㆍ스펀본드(SMS)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외면 시트(14)로 제1 외면 시트(13)를 덮는 것에 의해 외면 시트(12)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외면 시트(13)의 흡액 구조체(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수분 및 체액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5)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며, 가로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5)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4)에 형성되며, 가랑이 영역(4)으로부터 앞뒤 허리 영역(2, 3)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은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영역(15a)은, 양측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15) 사이의 길이 치수(W2)와, 인디케이터(15)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L2)에 의해 구획된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15a)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W2)보다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L2)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인디케이터(15)는, 열용융성의 폴리머와,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지시약과, 가소화 오일을 포함한다. 폴리머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일반적인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지시약으로는, 브로모크레졸 그린, 에틸 레드, 브로모페놀 블루 또는 레자주린 등의 pH 지시약을 이용할 수 있다. 가소화 오일로는, 일반적인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되는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지방산계 화합물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15)는, 증점 레진이나 왁스 희석액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내외면 시트(11, 12)의 사이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레그 탄성체(16)가 부착되어 있다. 레그 탄성체(16)는, 기저귀(1)의 양 측가장자리(5)를 따라서 부착되고, 적어도 가랑이 영역(4)에 위치하며, 세로 방향(Y)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그 탄성체(16)는, 도시하지 않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내외면 시트(11, 1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그 탄성체(16)를 부착함으로써, 기저귀(1)의 양 측가장자리가 착용자의 서혜부 근방에 밀착하여, 거기에서 뇨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면 시트(12)의 비신체측에는, 한쌍의 제1 결합 수단(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수단(31)은, 뒤허리 영역(3)에 부착되고, 외면 시트(12)로부터 그 가로 방향(X) 외측으로 연장하는 테이프 탭(32)과, 테이프 탭(32)의 연장 부분에 부착된 후크 요소(33)를 갖는다. 외면 시트(12)의 비신체측이자 앞허리 영역(2)에는, 제1 결합 수단(31)에 결합 가능한 제2 결합 수단(3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 수단(34)은, 후크 요소(33)에 결합 가능한 루프 요소를 포함하며, 양 측가장자리(5)의 사이에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결합 수단(31)을 제2 결합 수단(34)에 결합함으로써,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할 수 있다.
도 3,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흡액 구조체(20)는, 흡액성의 코어재(21)와, 코어재(21)를 덮는 액확산성의 피복 시트(22)를 갖는다. 코어재(21)는, 신체측, 즉 내면 시트(11)측에 위치하는 흡수면(21a)과, 비신체측, 즉 외면 시트(12)측에 위치하는 저면(21b)을 갖는다. 코어재(21)로는, 플러프 펄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함유량은, 코어재(21)의 총중량에 대하여 약 35∼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5∼55 중량%로 할 수 있다.
피복 시트(22)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앞뒤 단가장자리(22a, 22b)와,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측가장자리(22c)를 가지며, 양 측가장자리(22c)가 흡수면(21a)에서 서로 겹쳐 있다. 피복 시트(22)는, 코어재(21)의 흡수면(21a)을 덮는 흡수 영역(23)과, 저면(21b)을 덮는 저면 영역(24)으로 구획되며, 이들 흡수 영역(23)과 저면 영역(24)은, 코어재(21)의 가로 방향(X) 외측에서 절곡된 1장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연속되어 있다. 피복 시트(22)로는,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25 g/㎡인 티슈페이퍼를 이용할 수 있다.
코어재(21)의 저면(21b)과 피복 시트(22)의 저면 영역(24)의 사이에는, 친수성의 저면 시트(40)가 배치되어 있다. 저면 시트(40)로는, 유제 등으로 친수 처리를 실시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50 g/㎡인 스펀본드ㆍ멜트블로우ㆍ스펀본드(SMS) 섬유 부직포나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5∼50 g/㎡인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저면 시트(40)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W1)는,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W2)보다 크고, 코어재(21)의 그 치수(W3)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저면 시트(4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L1)는,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의 치수(L2)보다 크게 되어 있다.
피복 시트(22) 및 저면 시트(40)는, 그 형성시의 카드 공정 등에 의해 한방향으로 섬유의 배향성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방향(Y)을 따라서 배향성을 갖도록, 피복 시트(22) 및 저면 시트(40)가 배치된다. 피복 시트(22)의 세로 방향(Y)에서의 클렘 흡수도는, 약 30∼45 mm, 바람직하게는 약 33∼45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38 mm이며, 가로 방향(X)에서의 클렘 흡수도는, 약 25∼40 mm, 바람직하게는 약 30∼40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35 mm이다. 저면 시트(40)의 세로 방향(Y)에서의 클렘 흡수도는, 약 10∼35 mm, 바람직하게는 약 12∼30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5 mm이며, 가로 방향(X)에서의 클렘 흡수도는, 약 7∼25 mm, 바람직하게는 약 10∼20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0 mm이다. 피복 시트(22) 및 저면 시트(40)의 클렘 흡수도는, 섬유의 배향성에 의해 세로 방향(Y)보다 가로 방향(X)에서 낮게 되어 있다. 클렘 흡수도는 JIS-P8141에 준하여 측정했다.
피복 시트(22)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의 클렘 흡수도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면 시트(40)의 그것보다 높게 되어 있다. 즉, 피복 시트(22)는 저면 시트(40)보다 액확산성이 높다. 따라서, 기저귀(1) 내에 뇨가 배설된 경우에는, 뇨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11)를 투과하여 액확산성의 피복 시트(22)에 도달하여, 피복 시트(22)의 흡수 영역(23)으로부터 저면 영역(24)으로 확산된다. 저면 영역(24)에는 인디케이터(15)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피복 시트(22)에서 확산된 뇨는, 빠르게 인디케이터(15)를 변색시킬 수 있다.
피복 시트(22)에서 확산 가능한 양 이상의 뇨가 배설된 경우에는, 그 뇨는 피복 시트(22)를 투과하여, 코어재(21)의 흡수면(21a)으로부터 저면(21b)을 향하여 흡수된다. 저면(21b)에는 저면 시트(40)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뇨는 저면 시트(40)를 투과하고, 피복 시트(22)의 저면 영역(24)을 투과하여, 인디케이터(15)에 도달한다. 또, 저면 시트(40)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W1)는, 코어재(21)의 그 길이 치수(W3)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저면 시트(40)의 가로 방향(X) 외측에서는, 저면 시트(40)를 통하지 않고 뇨가 피복 시트(22)의 저면 영역(24)으로 이행하여, 인디케이터(15)에 도달한다. 따라서, 비교적 다량의 뇨가 배설된 경우에는, 인디케이터(15)는, 피복 시트(22)에서 확산된 뇨와, 코어재(21) 및 저면 시트(40)를 투과한 뇨와, 저면 시트(40)의 외측에서 코어재(21)를 투과한 뇨에 의해 변색 가능하다. 또한, 뇨는, 코어재(21)의 흡수면(21a)으로부터 흡수되는 것 외에, 저면(21b)으로부터도 흡수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기저귀(1)에 의하면, 액확산성의 피복 시트(22)와 인디케이터(15)를 직접 접촉시키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뇨가 저면 시트(40)를 투과하기 전에 인디케이터(15)를 빠르게 변색시킬 수 있다. 또, 소량의 뇨라도, 피복 시트(22)에서 확산되어 인디케이터(15)를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저귀(1)에서, 코어재(21)는, 특히 높은 흡수력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공기중의 수증기를 흡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코어재(21)와 인디케이터(15) 사이에는 저면 시트(40)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재(21)에 흡수된 수증기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어, 이 수증기에 의해 인디케이터(15)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복 시트(22)의 세로 방향(Y)에서의 오일에 대한 흡수도는, 약 10∼25 mm, 바람직하게는 약 15∼25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7 mm이며, 가로 방향(X)에서의 흡수도는, 약 10∼25 mm, 바람직하게는 약 15∼25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18 mm이다. 저면 시트(40)의 세로 방향(Y)에서의 오일에 대한 흡수도는, 약 6∼12 mm, 바람직하게는 약 6∼9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8 mm이며, 가로 방향(X)에서의 흡수도는, 약 6∼12 mm, 바람직하게는 약 6∼9 mm,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7 mm이다. 또, 피복 시트(22)의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 중 어느 한쪽의 흡수도가, 저면 시트(40)의 흡수도보다 높아지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복 시트(22) 및 저면 시트(40)의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의 흡수도 중,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피복 시트(22)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오일에 대한 흡수도는, JIS-P8141의 클렘 흡수도의 측정 방법을 기본으로 측정했다. JIS-P8141에서는, 침지 용기를 물로 채우고, 시험편의 하단을 이 물속에 침지시키지만, 오일에 대한 흡수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파라핀 오일을 침지 용기에 채우고, 시험편의 하단을 이 파라핀 오일속에 침지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시험에서, 37.8℃에서의 점도가 40∼85 ㎟/S인 파라핀 오일을 이용했다. 그 밖의 시험 조건은 클렘 흡수도의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피복 시트(22)의 오일에 대한 흡수도가 저면 시트(40)의 그것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인디케이터(15)에는 오일이 포함되지만, 상기 흡수도로 함으로써 오일이 코어재(21)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복 시트(22)의 흡수도는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5)의 오일은 피복 시트(22)의 저면 영역(24)으로는 이행하여, 오일에 포함되는 지시약에 의해 저면 영역(24)이 착색된다. 그러나, 저면 시트(40)의 흡수도는 피복 시트(22)보다 낮기 때문에, 오일은 피복 시트(22)로부터 저면 시트(40)로는 이행하기 어려워, 피복 시트(22)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오일이 코어재(21)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일이 코어재(21)로 이행하지 않기 때문에, 코어재(21)에 흡수된 대기중의 수증기에 의해, 이행된 오일에 포함되는 지시약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착용전의 기저귀(1)의 지시약이 변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것은, 인디케이터와 코어재 사이에 배치한 시트에 의해, 인디케이터가 코어재측으로 이행하는지의 여부를 실험한 결과이다. 실험은,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제1 외면 시트에 인디케이터(단위면적당 질량 약 30 g/㎡)를 도포하여, 실험 시료 1∼7과 같이 시트를 적층시키고, 최상부의 시트 위에 여과지를 얹어, 약 40 g/㎡의 가압 조건하에, 온도 50℃, 습도 0%로 하루 방치한다. 그 후, 여과지에 도달한 인디케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각 시트는, 인디케이터에 인접하는 쪽부터 제1층, 제2층, 제3층으로 하고 있다. 각 층에 이용된 시트로서, 본 실시형태의 피복 시트로서 이용되는 티슈페이퍼, 또는 저면 시트로서 이용되는 투액성의 SMS 섬유 부직포를 이용했다. 이 실험에서 이용한 티슈페이퍼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약 17 g/㎡이고, SMS 섬유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약 10 g/㎡이다.
실험 시료 제1층 제2층 제3층 여과지로의
이행의 유무
1 티슈페이퍼 - -
2 SMS 섬유 부직포 - -
3 티슈페이퍼 티슈페이퍼 -
4 티슈페이퍼 티슈페이퍼 티슈페이퍼
5 티슈페이퍼 SMS 섬유 부직포 -
6 티슈페이퍼 SMS 섬유 부직포 SMS 섬유 부직포
7 티슈페이퍼 SMS 섬유 부직포 티슈페이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슈페이퍼만 및 SMS 섬유 부직포만의 경우에는, 여과지로의 인디케이터의 이행이 보였다(실험 시료 1 및 2). 또, SMS 섬유 부직포를 2장 또는 3장 적층시킨 경우도 여과지로의 이행이 보였다(실험 시료 3 및 4). 티슈페이퍼에 SMS 섬유 부직포를 적층시킨 경우에는 여과지로의 이행이 보이지 않아(실험 시료 5), 이 실시형태에서의 효과를 실증하는 결과가 되었다. 또, 티슈페이퍼에 SMS 섬유 부직포를 적층시킨 후, 제3층에 티슈페이퍼 또는 SMS 섬유 부직포를 적층시킨 경우에는, 모두 여과지로의 이행은 보이지 않았다(실험 시료 6 및 7).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디케이터에 접촉하도록 피복 시트를 배치하고, 피복 시트에 저면 시트를 적층시키는 것이, 인디케이터가 여과지로 이행하지 않기 위해서 중요하며, 또한 저면 시트에 다른 시트를 적층시키더라도, 이 효과가 상실되지 않는 것이 이해된다.
인디케이터(15)는, 열용융성의 폴리머를 가지며, 가열 용융시킨 상태로 제1 외면 시트(13)에 도포되고, 식어서 고화하기 전의 용융 상태로 흡액 구조체(20)가 적층된다. 용융 상태의 인디케이터(15)는, 고화한 상태에 비해 피복 시트(22)의 저면 영역(24)으로 이행하기 쉽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코어재(21)로의 이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저면 영역(24)으로 인디케이터(15)가 이행함으로써, 이 이행한 인디케이터(15)의 변색이 가능해진다. 저면 영역(24)으로부터 인디케이터(15)가 도포된 제1 외면 시트(13)에 뇨가 도달하기 전에, 저면 영역(24)으로 이행한 인디케이터(15)가 변색되게 되므로, 한층 더 빠르게 뇨의 배설을 검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5)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배뇨가 소량인 경우에는, 뇨는 피복 시트(22)의 흡수 영역(23)으로부터 저면 영역(24)으로 이행될 뿐, 코어재(21)에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 방향(X) 양측의 인디케이터(15)만이 변색되고, 중앙의 인디케이터(15)는 변색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가로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 인디케이터(15)의 변색의 정도에 따라, 배뇨의 양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인디케이터(15)는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이 1개이어도 좋고, 또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 외에, 도형이나 문자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인디케이터(15)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저면 영역(24)과 외면 시트(12)는, 도시하지 않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지만, 이들 접합 수단이 뇨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재(21)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중량비율을 약 35∼70%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비교적 많게 함으로써, 코어재(21)의 두께 치수를 약 1.0∼3.5 mm로 얇게 할 수 있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비율을 많게 하면, 코어재(21)는 공기중의 수증기를 흡수하기 쉬워지지만, 저면 시트(22)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전의 기저귀(1)에서 코어재(21)에 흡수된 수증기에 의해 인디케이터(15)가 변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플러프 펄프의 섬유 사이에 유지되도록 이들을 혼합시키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많아지면, 플러프 펄프의 사이에서 유지되지 않고 외측으로 새어나오는 경우가 있다. 새어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저면 영역(24)측에 편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로서, 여기에 공기중의 수증기가 흡수된 경우라 하더라도, 이 수증기에 의해 인디케이터(15)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복 시트(22) 및 저면 시트(40)는, 그 섬유 배향성이 동일해지도록 적층되어 있지만, 서로 교차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들 섬유 배향성이 세로 방향(Y)을 따르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세로 방향(Y)을 따라서 배향됨으로써, 세로 방향(Y)으로의 뇨의 확산이 향상된다. 흡액 구조체(20)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코어재(21)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 세로 방향(Y)을 따르는 섬유 배향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피복 시트(22) 및 저면 시트(40)의 섬유 배향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섬유 배향성이 가로 방향(X)을 따르도록 한 경우에는, 가로 방향(X)으로 뇨가 확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한층 더 인디케이터(15)에 대한 도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배뇨시의 빠른 변색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저면 시트(40)는, 피복 시트(22)와 코어재(21) 사이에 1장만 인접해 있지만, 이것이 2장 이상 적층되도록 해도 좋다. 복수장의 저면 시트(40)가 적층된 경우에는, 그만큼 코어재(21)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인디케이터(15)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15)의 오일이 코어재(21)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복 시트(22)는, 흡수 영역(23)과 저면 영역(24)이, 코어재(21)의 가로 방향(X) 외측에서 절곡된 1장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코어재(21)의 흡수면(21a)을 덮는 제1 피복 시트와, 저면(21b)을 덮는 제2 피복 시트를 가지며, 이들 2장의 시트가, 핫멜트 접착제, 히트 시일, 소닉 시일 등에 의해, 적어도 코어재(21)의 가로 방향 외측에서 연속되도록 해도 좋다.
도 5, 6은, 이 실시형태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내면 시트(11)의 평면도로서, 그 일부를 파단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내면 시트(11)의 중앙 시트(11a)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양태에서는, 내면 시트(11)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중앙 시트(11a)와, 중앙 시트(11a)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 시트(11b)를 갖는다. 적어도 중앙 시트(11a)는, 액투과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61)와, 이들 볼록부(61)의 사이에 위치하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부(6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측 시트(11b)는, 투액성 또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4에 나타낸 기저귀(1)와 동일하다.
중앙 시트(11a)는, 예를 들면, 오목부(62)의 형성 부분을 향해 주로 기체로 이루어진 열풍 등의 유체를 불어 넣어, 볼록부(61) 및 오목부(6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체를 불어 넣는 것에 의해, 오목부(62)의 섬유가 그 양측으로 밀리기 때문에, 오목부(62)에서의 섬유는 세로 방향(Y)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중앙 시트(11a)에서는, 가로 방향(X)으로 배향되는 섬유보다 세로 방향(Y)으로 배향되는 섬유가 많아져, 전체적으로 세로 방향(Y)을 따르는 섬유 배향성을 보다 현저하게 할 수 있다.
중앙 시트(11a)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는, 코어재(21)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와 같거나, 그것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앙 시트(11a)의 섬유 배향의 측정은, 예컨대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현미경 VHX-100 등의 현미경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미경에 의해 관찰된 화상 데이터의 일정 범위내에서, 세로 방향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하여 +45도∼-45도의 범위내에 있는 섬유의 경우에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가로 방향에 평행한 가상선에 대하여 +45도∼-45도의 범위에 있는 섬유의 경우에 가로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수와, 가로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수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섬유 배향성을 측정ㆍ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총섬유 수를 100%로 한 경우에,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수의 비율이 55% 이상인 경우에, 세로 방향(Y)을 따르는 섬유 배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섬유 배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 측정 외에,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시트의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는 샘플을 각각 작성하여, 일정한 신장시의 인장 강도를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한다. 세로 방향(Y)을 따라서 연장되는 샘플의 인장 강도가, 가로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는 샘플보다 큰 경우에는, 세로 방향(Y)을 따르는 섬유 배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내면 시트(11)는, 중앙 시트(11a)의 섬유 배향이 세로 방향(Y)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도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즉, 중앙 시트(11a)의 섬유 배향의 방향과,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이 연장되는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중앙 시트(11a)에 배설된 뇨는, 그 섬유 배향을 따라서 세로 방향(Y)으로 확산된다. 확산된 뇨는 흡액 구조체(20)를 통해 인디케이터(15)에 도달하지만,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도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영역(15a)에서 뇨가 부착되어 이것을 변색시킬 수 있다. 인디케이터(15)가 넓은 범위에서 변색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가 가로 방향(X)보다 큰 기저귀(1)에서는, 중앙 시트(11a)의 섬유 배향 및 인디케이터(15)가 형성된 영역(15a)을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인디케이터(15)의 시인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제1」 및 「제2」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기저귀(1)로서, 소위 오픈 타입의 것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풀온팬츠 타입의 기저귀에 적용할 수도 있다.
1 :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물품) 2 : 앞허리 영역
3 : 뒤허리 영역 4 : 가랑이 영역
11 : 내면 시트 12 : 외면 시트
15 : 인디케이터 20 : 흡액 구조체
21 : 코어재 21a : 흡수면
21b : 저면 22 : 피복 시트
40 : 저면 시트 X : 가로 방향
Y : 세로 방향

Claims (6)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지며, 신체측 및 그 반대측인 비신체측과, 앞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신체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와, 상기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와, 이들 내외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흡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면 시트의 상기 흡액 구조체에 대향하는 면에는, 수분 및 체액의 어느 하나 또는 둘다와의 접촉에 의해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일회용 착용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액 구조체는, 흡액성의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의 상기 신체측에 위치하는 면 및 상기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면을 덮고, 상기 코어재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에서 연속되는 액확산성의 피복 시트를 가지며,
    상기 코어재의 상기 비신체측에 위치하는 면과 상기 피복 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친수성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저면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저면 시트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는 상기 코어재의 그것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열용융성의 폴리머와 정색 반응을 나타내는 지시약과 가소화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 시트에 직접 접촉하며,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오일에 대한 흡수도가 상기 저면 시트의 그것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클렘 흡수도가 상기 저면 시트의 그것보다 높은 일회용 착용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따르는 섬유 배향성을 가지며, 상기 저면 시트의 섬유 배향성을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영역이 연장되는 일회용 착용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따르는 섬유 배향성을 가지며, 상기 피복 시트 및 상기 저면 시트의 섬유 배향성이 일치하여 적층되는 일회용 착용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코어재의 총중량에 대하여 35∼70 중량%인 일회용 착용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따르는 섬유 배향을 갖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 중 어느 한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내면 시트의 섬유 배향이 일치하는 일회용 착용물품.
KR1020137005784A 2010-08-10 2011-07-19 일회용 착용물품 KR10176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9818A JP5591018B2 (ja) 2010-08-10 2010-08-10 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10-179818 2010-08-10
PCT/JP2011/066306 WO2012020623A1 (ja) 2010-08-10 2011-07-19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266A KR20130096266A (ko) 2013-08-29
KR101767709B1 true KR101767709B1 (ko) 2017-08-11

Family

ID=4556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784A KR101767709B1 (ko) 2010-08-10 2011-07-19 일회용 착용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92316B2 (ko)
EP (1) EP2604239A4 (ko)
JP (1) JP5591018B2 (ko)
KR (1) KR101767709B1 (ko)
CN (1) CN103052370B (ko)
EA (1) EA021988B9 (ko)
TW (1) TWI558386B (ko)
WO (1) WO2012020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81710U (zh) * 2014-03-27 2014-07-11 Homeway Technology Co Ltd 多功能衛生棉護墊
RU2018105369A (ru) * 2015-09-22 2019-10-23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с изогнутыми каналами
JP5916935B1 (ja) * 2015-11-05 2016-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US11890177B2 (en) * 2017-10-31 2024-02-06 Kia Xiong Post-partum undergarment system
US20220387230A1 (en) * 2021-05-28 2022-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ushiony Softn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190A (ja) 2003-08-04 2005-03-03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5304826A (ja) 2004-04-22 2005-11-04 Daio Paper Corp 排尿が分かる吸収性物品
US20070100305A1 (en) 2005-10-31 2007-05-0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20090326494A1 (en) 2006-09-29 2009-12-31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5827A (en) * 1965-03-30 1968-04-02 Kimberly Clark Co Sanitary napkin with flow control element
US3759261A (en) * 1972-03-09 1973-09-18 R Wang Yer diapers disposable diapers and disposable diapers with water proof la
US4229813A (en) * 1978-06-26 1980-10-21 Akzona Incorporated Elapsed time indicator
US4681576A (en) * 1986-03-17 1987-07-21 Malcolm Nicol & Co. Wetness indicating hot-metal adhesives
US4743238A (en) * 1986-03-17 1988-05-10 Malcolm Nicol & Co. Wetness indicating hot-melt adhesives
US4931051A (en) * 1987-02-06 1990-06-05 Edge Enterprises, Inc. Wetness indicator
US5089548A (en) * 1990-06-28 1992-02-18 H. B. Fuller Company Hot-melt moisture indicator material for disposable articles
US5300054A (en) * 1991-01-03 1994-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acquiring, wrapped multiple layer absorbent body
US7102054B1 (en) * 1991-12-17 2006-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used layers
US5354289A (en) * 1993-07-23 1994-10-11 Principle Business Enterprises Inc. Absorbent product including super absorbent material and a fluid absorption capacity monitor
EP0631768B1 (en) * 1993-06-30 1998-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having improved fluid handling properties
JP3310842B2 (ja) * 1995-11-29 2002-08-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KR100302898B1 (ko) * 1996-03-22 2001-11-02 데이비드 엠 모이어 개선된포획능을갖는흡수코어및그를함유하는흡수제품
US6372952B1 (en) * 1996-03-22 2002-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JP3533285B2 (ja) * 1996-05-16 2004-05-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0964894A1 (en) * 1997-02-19 1999-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xed-bed ion-exchange hydrogel-forming polymer compositions and absorbent members comprising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these compositions
US6420626B1 (en) * 1999-06-08 2002-07-16 Buckeye Technologies Inc. Unitary fluid acquisition, storage, and wicking material
US6673982B1 (en) * 1998-10-02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enter fill performance
US6653522B1 (en) * 1999-04-09 2003-11-25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s based on sulfonated polyesters comprising wetness indicator
AR024567A1 (es) * 1999-06-14 2002-10-16 Bki Holding Corp Una estructura absorbente y producto absorbente que utiliza dicha estructura.
US6297424B1 (en) * 1999-06-15 2001-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indicating graphics providing an interactive training aid
US6369290B1 (en) * 2000-02-17 2002-04-09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Time release odor control composition for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3811010B2 (ja) * 2001-01-12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677597B2 (ja) 2001-08-31 2011-04-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40167489A1 (en) * 2003-02-14 2004-08-26 Kellenberger Stanley R. Compact absorbent article
WO2004084765A2 (en) * 2003-03-24 2004-10-07 Precision Laminates Inc. Wetness indicator
JP4111866B2 (ja) * 2003-05-16 2008-07-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5052390A (ja) * 2003-08-05 2005-03-03 Shigeru Matsudo 電気掃除機の吸引部(ノズル部)
JP4460878B2 (ja) * 2003-11-20 2010-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4628292B2 (ja) * 2006-03-23 2011-02-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53765B2 (ja) * 2006-10-31 2012-06-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24400B2 (ja) * 2007-03-01 2013-07-03 株式会社大貴 吸収体及び該吸収体を使用する衛生用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8383875B2 (en) * 2007-08-30 2013-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indicator with hydrophanous element for an absorbent article
ES2529228T3 (es) * 2009-06-12 2015-02-18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Lámina absorbente de agua
JP5631097B2 (ja) * 2010-08-02 2014-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190A (ja) 2003-08-04 2005-03-03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5304826A (ja) 2004-04-22 2005-11-04 Daio Paper Corp 排尿が分かる吸収性物品
US20070100305A1 (en) 2005-10-31 2007-05-0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20090326494A1 (en) 2006-09-29 2009-12-31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291315A1 (ru) 2013-06-28
JP2012034969A (ja) 2012-02-23
JP5591018B2 (ja) 2014-09-17
CN103052370B (zh) 2015-09-09
KR20130096266A (ko) 2013-08-29
US9592316B2 (en) 2017-03-14
EA021988B1 (ru) 2015-10-30
TWI558386B (zh) 2016-11-21
EP2604239A4 (en) 2014-04-09
CN103052370A (zh) 2013-04-17
EP2604239A1 (en) 2013-06-19
TW201221121A (en) 2012-06-01
EA021988B9 (ru) 2016-03-31
US20130131619A1 (en) 2013-05-23
WO2012020623A1 (ja)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1097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US1193800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10524963B2 (en)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8080704B2 (en) Absorbent article
JP4675161B2 (ja) 外装体及び吸収性物品
JP2018512211A (ja) 腰部ガスケット要素及びレッグカフを備える吸収性物品
KR101767709B1 (ko) 일회용 착용물품
JP2018512054A (ja) 腰部ガスケット要素及びレッグカフを備える吸収性物品
TWI552734B (zh) Absorbent items
JP2011240050A (ja) 吸収性物品
WO2007052417A1 (ja) 吸収性物品
TW201012443A (en) Absorptive article
JP49792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4337386A (ja) 吸収性物品
WO2020105278A1 (ja) 吸収性物品
JP200433738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