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379B1 -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 Google Patents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7379B1 KR101767379B1 KR1020170038421A KR20170038421A KR101767379B1 KR 101767379 B1 KR101767379 B1 KR 101767379B1 KR 1020170038421 A KR1020170038421 A KR 1020170038421A KR 20170038421 A KR20170038421 A KR 20170038421A KR 101767379 B1 KR101767379 B1 KR 101767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h
- funnel
- nematode
- dish unit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4—Funnels, e.g. for liquids with non-automatic discharge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상부에 톱밥시료(S)가 올려지고 하단에는 집게(C)가 부착된 깔때기(100); 상기 깔때기(100)의 상부 내측에 안치되는 2중 디쉬(200); 상기 2중 디쉬(200)의 하단 중앙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집용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중 디쉬(200)는 상부 디쉬(210)와 하부 디쉬(220)가 2중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부 디쉬(210,220)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디쉬(210,22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출수공(212,2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디쉬(210)의 출수공(212)은 하부 디쉬(220)의 외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부 디쉬(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하부 디쉬(220)의 외곽을 월류하여 깔때기(100)의 하부로 배수되고 선충은 하향이동특성에 의해 월류되지 않고 하부 디쉬(220)의 중앙에 형성된 출수공(222)을 통해 포집용기(300,310)에 모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분리포집장치와 이 장치를 사용하는 선충 분리포집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기생 선충의 현미경 검경을 위한 베르만 깔때기법을 기본으로 하되 선충의 포집률을 극대화하고, 검사에 소요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속도가 빠르면서도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선충분리에 사용된 도구의 세척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방식의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 또는 수목에 서식하는 선충의 분리법에는 베르만(Baermann) 깔때기법, 개량(또는 변형) 깔때기법, 원심분리법의 3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살아있는 선충을 분리하기 위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것은 베르만 깔때기법이다.
베르만 깔때기법은 깔때기를 설치할 수 있는 선충 분리대 위에 고무호스를 연결한 깔때기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깔때기 위에 거름망 역할을 하는 성근 메시의 금속 체와 그 위에 톱밥 잔여물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티슈(거름망)를 올린 뒤 톱밥시료를 올리고, 마지막으로 톱밥시료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채워주는 방식이다.
이때, 고무호스 아랫쪽에 집게를 달아 물이 새는 것을 막아준다. 이 상태에서 실온 조건으로 24~48시간 정도 놔두면 중력에 의해 선충이 티슈(거름망)를 뚫고 아래로 향하게 되어 고무호스의 끝부분으로 모이게 되며, 이 부분의 선충을 취하여 와칭 글래스 위에 놓고 현미경으로 검경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베르만 깔때기법에서는 고무호스 부분으로 모인 선충을 포함한 물을 별도의 체로 걸러서 선충을 포집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선충의 포집단계가 복잡하여 숙달이 필요하고, 체에 포집된 선충을 다시 검경용 트레이(페트리 디쉬)에 옮기는 과정에서 선충의 포집률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된 체도 다시 세척을 해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또한, 기존의 선충 분리방법에서는 일정시간 경과 후, 집게(또는 코크)를 조절하여 고무 호스의 하단에 모인 선충을 포함한 물을 소량 받아내는 과정에서 집게(또는 코크)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물이 흘러넘치게 되어 포집된 선충을 유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을 수 있었다.
특허문헌 1은 특허 제10-0905224호 '식물기생 선충 검역 및 세척방법'으로, 호스와 누수방지 가능하게 연결된 코크부의 코크를 회동시켜 호스를 막은 후 깨끗한 물을 깔때기에 채우고, 거름종이에 7mm 크기의 식물 뿌리 시료를 담아 치상시킨후, 24시간 동안 치상된 상태로 정치하면 대롱에 시료로부터 분리된 선충이 포집되고, 코크를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선충이 포집된 물을 채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식물기생 선충을 건져내고 슬라이드 그라스에 고정시킨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동정하고, 동정이 끝나면 호스와 코크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깔때기를 세척하고 건열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거치대에 단순히 깔때기와 페트리 디쉬를 안치하기만 할 뿐 검경이 완료된 후 깔때기의 청소와 멸균을 별도의 장소에서 수행한 후 이를 다시 안치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이러한 청소와 멸균 및 재세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실험기구가 쉽게 손상되는 단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2는 특허 제1668578호 '선충 분리용 깔때기'로 기존의 선충 분리용 깔때기가 고무 호스에 집게를 끼워서 사용하거나 볼 밸브 타입의 코크를 사용하고 있어 한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깔때기 상부에 시료를 안정적으로 안치하거나 시료의 종류에 따라 거름망의 규격을 맞추기가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체식 거름망을 사용하였고, 깔때기 하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드레인 밸브가 구비되어 한 손으로도 개폐조작이 가능하고, 깔때기 내부에는 거름망을 안치시킬 수 있는 안치턱을 형성한 것 뿐이다.
특허문헌 2의 선충 분리용 깔때기는 선충 분리를 위한 코크 조작을 한 손으로 편리하게 할 수는 있으나, 깔때기의 세척 및 재사용을 위한 멸균처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소에서 수행한 후 이를 다시 거치대에 안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한편, 특허문헌 3은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34672호 '토양선충의 분리기구'로, 폴리튜브 및 메시가 다른 필터를 다층화한 필터로 구성되는 선충의 분리기구이다. 이는 튜브 내에서 비중액과 토양 분산액을 이용해 토양을 침강시키고 분리한 선충 수용액을 취득해 필터로 선충을 취득할 경우에 있어서 폴리튜브를 다층화한 필터에 직결함으로써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선충을 사이즈별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폴리튜브?? 구조가 복잡하고 시료 검경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허문헌 4는 일본특허 제5831731호 '토양선충의 분리방법'으로, 연질 튜브에 비중액을 넣고 핀치코크로 멈추고, 토양 분산액을 비중액의 상부에 넣고 핀치코크를 떼어 토양을 침강시키며, 튜브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정치해 연질 튜브를 감아 분리한 선충의 용액을 배출 취득해, 침강한 토양은 튜브 내에 잔류시키도록 되어 있다.
위의 특허문헌 3 및 4는 수작업에 의한 선충분리기구 또는 방법으로, 이들 도구의 세척 및 멸균을 위한 작업 역시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기생 선충의 현미경 검경을 위한 베르만 깔때기법 적용시 시료로부터 선충의 포집률을 극대화하면서도 포집과정을 단순화하여 비숙련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충분리작업을 할 수 있으며, 검사의 신뢰도 또한 제고할 수 있는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선충 분리포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시료가 올려지고 하단에는 집게(또는 코크)가 부착된 깔때기; 상기 깔때기의 상부 내측에 안치되는 2중 디쉬; 상기 2중 디쉬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앰플 또는 페트리 디쉬로 이루어진 포집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충분리장치로;
상기 2중 디쉬는 상부 디쉬와 하부 디쉬가 2중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부 디쉬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디쉬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출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디쉬의 출수공은 하부 디쉬의 외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부 디쉬에서 흘러내린 물이 하부 디쉬의 외곽을 월류하여 깔때기의 하부로 배수되고 선충은 하향이동특성에 의해 월류되지 않고 하부 디쉬의 중앙에 형성된 출수공을 통해 앰플 또는 페트리 디쉬로 이루어진 포집용기에 포집되도록 한 선충 분리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디쉬의 상부 외곽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선충의 유영성에 따른 월류를 방지하여 선충의 포집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 상술한 선충 분리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깔때기의 상부에 올려진 시료로부터 이중 디쉬의 하부에 장착된 앰플이나 페트리 디쉬에 곧바로 선충을 분리포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베르만 깔때기법을 기본으로 하되 선충의 포집률을 극대화할 수 있고, 검사에 소요되는 과정이 단순화되어 비숙련자도 속도가 빠르게 실험을 할 수 있으면서도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2중 디쉬의 하부에 끼워진 앰플이나 페트리 디쉬를 분리하여 곧바로 현미경 검경을 하게 되므로 선충분리에 사용된 도구의 수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재사용을 위한 도구의 세척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선충 분리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선충 분리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선충 분리포집장치의 2중 디쉬와 포집용기(앰플 또는 페트리 디쉬)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충 분리포집장치에서 시료가 담겨져 선충이 앰플에 포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선충 분리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선충 분리포집장치의 2중 디쉬와 포집용기(앰플 또는 페트리 디쉬)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충 분리포집장치에서 시료가 담겨져 선충이 앰플에 포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이 선충 분리포집장치에 의해 시료로부터 선충을 분리포집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에 톱밥시료(S)가 올려지고 하단에는 집게(C; 또는 코크)가 부착된 깔때기(100); 상기 깔때기(100)의 상부 내측에 안치되는 2중 디쉬(200); 상기 2중 디쉬(2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집용기(300 또는 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2중 디쉬(200)는 상부 디쉬(210)와 하부 디쉬(220)가 2중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부 디쉬(210,220)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디쉬(210,22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출수공(212,2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디쉬(210)의 출수공(212) 하단은 하부 디쉬(220)의 외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부 디쉬(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하부 디쉬(220)의 외곽을 월류(overflow)하여 깔때기(100)의 하부로 배수되고 선충은 하향이동특성에 의해 외곽으로 월류되지 않고 하부 디쉬(220)의 중앙에 형성된 출수공(222)을 통해 포집용기(300 또는 310)에 모이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H는 고무호스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깔때기(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호스(H)가 끼워진 실험용 깔때기는 물론, 깔때기 하단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형 집게(C)가 아닌 밸브형 코크가 일체로 부착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2중 디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디쉬(210)와 하부 디쉬(220)가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 디쉬(210)의 하면과 하부 디쉬(220) 상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홈(216)과 결합돌기(2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시 이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성형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214는 출수공(212)의 상부에 이격 형성된 루프(roof)로, 출수공(212)이 티슈나 톱밥시료에 눌려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부호 224는 하부 디쉬(220)의 외곽 턱으로, 이 외곽 턱(224)은 상부 디쉬(210)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출수공(212)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디쉬(220)의 외곽 턱(224) 상부측에는 선충이 월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린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집용기(300,310)는 실험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존의 앰플(300)이나 페트리 디쉬(310)로, 앰플(300)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디쉬(220)의 출수공(222) 내측에 끼우고, 페트리 디쉬(31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디쉬(220)의 하면 외측에 형성된 보조 장착돌기(223)에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상기 앰플(300)은 하부 디쉬(220)의 출수공(222) 내측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선충을 포집하게 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 하부 디쉬로부터 분리하여 페트리 디쉬에 포집된 선충(물 포함)을 부어 검경하면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리 디쉬(310)를 하부 디쉬(220)에 장착하여 선충을 포집하게 되면 이를 분리하여 곧바로 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선충 분리포집장치를 사용하여 채취된 톱밥시료로부터 선충을 분리포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100)의 내측에 앰플(300)이 끼워진 2중 디쉬(200)를 안치한다.
다음, 깔때기(100) 위에 티슈(T)를 깔아서 톱밥시료(S)가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 티슈(T) 위에 톱밥시료(20)를 안치하고, 톱밥시료(S)가 잠길 정도로 상온의 물을 붓고, 젖은 티슈(T; 거름망)를 접어 톱밥시료(20)를 덮어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24~48시간 정도 방치를 하면 되는데, 톱밥시료(S)의 목질부 내부에 있던 선충들이 약 3~4시간 정도 경과하게 되면 티슈를 뚫고 하향이동한다. 이때. 깔때기 위로 부어진 물은 2중 디쉬(200)의 상부 디쉬(210)에서 하부 디쉬(220) 쪽으로 흘러내리게 되면서 하부 디쉬(220) 중앙의 출수공(222)에 끼워진 앰플(300)에 채워지게 되며, 상,하부 디쉬(210,220)에도 물이 채워지게 되는데, 잉여의 물은 하부도 4에서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쉬(220) 외곽을 월류하여 깔때기(100)의 목을 통해 밑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상술한 방치시간동안 선충은 물속에서 유영을 하게 되는데 하향이동특성에 의해 물속에서 계속 하방으로 유영하여 앰플의 하단으로 모이게 되며, 하부 디쉬(220)의 외곽은 상부 디쉬(210)의 출수공(212)보다 수위가 높으므로 선충이 하부 디쉬(220)의 외곽으로 월류하여 탈출하지는 못하게 된다.
24~48시간이 경과되면, 깔때기(100) 하단의 집게(C)를 열어 배수시키고, 깔때기(100) 상부의 톱밥시료(S)는 티슈와 함께 수거하여 폐기한 후, 깔때기(100) 내측의 2중 디쉬(200)를 들어내어 이로부터 앰플(300)을 분리시켜, 앰플(300) 속의 물을 페트리 디쉬(도시 안 됨)에 부어 현미경으로 검경을 하면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앰플을 사용하지 않고 페트리 디쉬(310)를 하부 디쉬(220)에 장착하여 선충을 분리포집하는 경우에는 이중 디쉬(200)를 들어낸 후 이로부터 페트리 디쉬(310)를 조심스럽게 분리한 후 곧바로 현미경 검경을 실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선충 분리포집장치는 베르만 깔때기법을 기본으로 하되 잉여의 물을 모두 배수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수과정에서 선충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선충의 행동특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선충이 앰플이나 페트리 디쉬로 이루어진 포집용기의 하단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선충의 포집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선충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용기가 깔때기 내측의 2중 디쉬 하단에 바로 끼워져 곧바로 포집됨과 아울러 앰플이나 페트리 디쉬에 포집된 선충을 곧바로 검경할 수 있으므로 선충의 포집에 소요되는 과정이 단순화되어 비숙련자도 속도가 빠르게 실험을 할 수 있으면서도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선충분리에 사용된 도구의 수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재사용을 위한 도구의 세척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0 : 깔때기
200 : 2중 디쉬
210 : 상부 디쉬
220 : 하부 디쉬
212,222 : 출수공
223 : 보조 장착돌기
214 : 루프
216 : 결합홈
224 : 외곽 턱
226 : 결합돌기
300,310 : 포집용기
C : 집게(또는 코크)
H : 고무호스
S : 톱밥시료
T : 티슈(거름망)
200 : 2중 디쉬
210 : 상부 디쉬
220 : 하부 디쉬
212,222 : 출수공
223 : 보조 장착돌기
214 : 루프
216 : 결합홈
224 : 외곽 턱
226 : 결합돌기
300,310 : 포집용기
C : 집게(또는 코크)
H : 고무호스
S : 톱밥시료
T : 티슈(거름망)
Claims (5)
- 상부에 톱밥시료(S)가 올려지고 하단에는 집게(C)가 부착된 깔때기(100); 상기 깔때기(100)의 상부 내측에 안치되는 2중 디쉬(200); 상기 2중 디쉬(2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앰플이나 페트리 디쉬로 이루어진 포집용기(300 또는 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중 디쉬(200)는 상부 디쉬(210)와 하부 디쉬(220)가 2중으로 이루어지되 상,하부 디쉬(210,220)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디쉬(210,22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출수공(212,222)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공(212)의 상부에는 출수공(212)이 티슈나 톱밥시료에 눌려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루프(21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디쉬(210)의 출수공(212)은 하부 디쉬(220)의 외곽 턱(224)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부 디쉬(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하부 디쉬(220)의 외곽을 월류하여 깔때기(100)의 하부로 배수되고 선충은 하향이동특성에 의해 월류되지 않고 하부 디쉬(220)의 중앙에 형성된 출수공(222)을 통해 포집용기(300 또는 310)에 모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분리포집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중 디쉬(200)는 상부 디쉬(210)와 하부 디쉬(2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분리포집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쉬(210)의 하면과 하부 디쉬(220) 상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홈(216)과 결합돌기(2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분리포집장치.
- 삭제
-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선충 분리포집장치를 사용하여 톱밥시료의 선충을 분리 포집하는 선충 분리포집방법으로,
깔때기(100)의 내측에 앰플(300)이 끼워진 2중 디쉬(200)를 안치하고, 깔때기(100) 위에 티슈(T)를 깐 후, 상기 티슈(T) 위에 톱밥시료(20)를 안치하고, 톱밥시료(S)가 잠길 정도로 상온의 물을 붓고 24~48시간 정도 방치하여 선충이 물속에서 계속 하방으로 유영하여 포집용기(300 또는 310)의 하단으로 모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분리포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421A KR101767379B1 (ko) | 2017-03-27 | 2017-03-27 |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421A KR101767379B1 (ko) | 2017-03-27 | 2017-03-27 |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7379B1 true KR101767379B1 (ko) | 2017-08-11 |
Family
ID=5965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8421A KR101767379B1 (ko) | 2017-03-27 | 2017-03-27 |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73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110A (ko) | 2021-12-08 | 2023-06-15 | 한국임업진흥원 | 재선충병 목편 시료 운반 겸 선충 분리 백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5224B1 (ko) | 2008-11-27 | 2009-07-01 | 대한민국 | 식물기생 선충 검역 및 세척방법 |
KR101572603B1 (ko) | 2015-09-04 | 2015-12-01 | 경상남도 | 산림 해충 포획장치 |
KR101668578B1 (ko) | 2016-03-04 | 2016-10-21 | 박재호 | 선충 분리용 깔때기 |
-
2017
- 2017-03-27 KR KR1020170038421A patent/KR1017673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5224B1 (ko) | 2008-11-27 | 2009-07-01 | 대한민국 | 식물기생 선충 검역 및 세척방법 |
KR101572603B1 (ko) | 2015-09-04 | 2015-12-01 | 경상남도 | 산림 해충 포획장치 |
KR101668578B1 (ko) | 2016-03-04 | 2016-10-21 | 박재호 | 선충 분리용 깔때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Bulletin OEPP/EPPO Bulletin, Vol. 43, pp. 471-495 (2013.)*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110A (ko) | 2021-12-08 | 2023-06-15 | 한국임업진흥원 | 재선충병 목편 시료 운반 겸 선충 분리 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9085B1 (ko) | 세포 채취용 필터 용기 | |
EP2349574B1 (en) | Centrifugal assembly for ova detection | |
KR100995285B1 (ko) | 면봉 테스트 장치 및 방법 | |
CN104780848A (zh) | 尿收集和分析设备 | |
IL183358A (en) | Flask for preparing a cytological suspension | |
JP2012509489A (ja) | 初尿採取器 | |
US20060149164A1 (en) | Liquid sampler and method | |
CN106769327A (zh) | 一种收集蠕虫虫卵的夹层杯及检验方法 | |
US5514119A (en) | Embryo collection device | |
CN206540729U (zh) | 一种尿液取样器 | |
KR101767379B1 (ko) |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 |
EP0089972A1 (en) | Faeces collection and concentration receiver | |
CN104807669A (zh) | 一种粪便肝吸虫卵采集分离设备及方法 | |
KR101587975B1 (ko) | 자동 세포 도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US9295453B2 (en) | Biological fluid collection and sampling container | |
JPH02249942A (ja) | 尿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コンテナ付尿サンプリング装置 | |
CN207248594U (zh) | 一种生精小管染色专用新型ep管 | |
JP3586531B2 (ja) | フィルター付プレパラートを用いる検体標本作製装置 | |
KR101668578B1 (ko) | 선충 분리용 깔때기 | |
CN205616548U (zh) | 一种采血管开盖装置 | |
CN110068693A (zh) | 一种自动涂片镜检机和涂片镜检方法 | |
CN217980965U (zh) | 一种斑马鱼早期胚胎样品收集装置 | |
CN207882285U (zh) | 一种自动涂片镜检机 | |
CN208948090U (zh) | 一种用于废液收集的杯槽 | |
US814661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phthalmic len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