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03B1 - 산림 해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산림 해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603B1
KR101572603B1 KR1020150125263A KR20150125263A KR101572603B1 KR 101572603 B1 KR101572603 B1 KR 101572603B1 KR 1020150125263 A KR1020150125263 A KR 1020150125263A KR 20150125263 A KR20150125263 A KR 20150125263A KR 101572603 B1 KR101572603 B1 KR 10157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funnels
trap
trap body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익
유찬열
강승미
김희주
권정화
황진형
심기보
이언동
오성윤
김황규
박만웅
엄재상
고득환
김재근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15012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수염하늘소와 같은 산림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다단의 깔때기(10)로 이루어진 트랩 몸체(20)와 상기 트랩 몸체(20) 하단의 포획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획장치에서; 다단의 깔때기가 상호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의 운반시에는 작은 부피로 운반하고, 설치시에는 자중에 의해 깔때기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며, 상기 깔때기의 하면 둘레에는 페로몬으로 유인된 산림 해충이 깔때기 주위를 선회하다가 충돌할 수 있는 충돌판(12)을 형성함으로써 산림 해충이 깔때기 내측으로 추락하여 포획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산림 해충 포획장치{A Trap for forest insect}
본 발명은 솔수염하늘소와 같은 산림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다단의 깔때기로 이루어진 트랩 몸체와 상기 트랩 몸체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획통으로 이루어진 포획장치에서 다단의 깔때기가 상호 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의 운반시에는 작은 부피로 수축시켜 운반하고, 설치시에는 자중에 의해 깔때기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며, 상기 깔때기의 하면 둘레에는 페로몬으로 유인된 산림 해충이 깔때기 주위를 선회하다가 충돌할 수 있는 충돌판을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선회하던 산림 해충이 깔때기 내측으로 추락하여 포획되도록 한 것이다.
우리 산림에는 수많은 곤충이 살고 있다. 산림 해충이란 이들 곤충 중에서 인간이 산림에서 기대하는 혜택을 직,간접으로 방해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크게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 외국에서 우연히 침입한 외래해충이다. 외래해충은 원산지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대부분이 천적을 동행하지 않기 때문에 극심한 피해를 나타내는 예가 많다. 북미대륙이 원산지인 미국흰불나방이 우리나라에 침입한 경우가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둘째, 과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던 종류가 어떤 원인으로 큰 피해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1960년대에 산지와 도로변의 사방지 약 60여만ha에 200여만본의 오리나무류가 식재되면서 오리나무잎벌레가 주요 해충화한 것을 들 수 있다. 셋째, 인간이 해충의 존재에 예민한 반응을 나타내 해충의 밀도나 피해는 종전과 별다름이 없어도 해충으로서의 위치가 증대되는 경우이다.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심화되면서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중시되고 병해충 방제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넷째, 어떤 원인으로 해충의 밀도억제 요인이 약화하거나 제거되어 해충밀도가 높아짐으로써 피해가 커지는 경우로서 돌발 해충에 의한 피해가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한편, 최근 문제가 심각한 소나무 재선충은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으로, 건강한 나무가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되면 수분과 양분 이동이 제대로 안 되어 솔잎이 아래로 처지며 시들기 시작하는데, 온도가 높은 시기에 많은 양의 소나무 재선충이 침입하면 빠르게 병징이 나타나며 1개월 정도가 지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나무가 죽기 시작한다. 소나무 재선충은 스스로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할 수 없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몸에 기생하여 다른 나무로 이동한다. 솔수염하늘소는 먹이가 풍부할 때는 이동 거리가 100m이내로 짧지만 먹이가 없을 때는 약 4km까지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다. 한편, 재선충 감염목을 무단 반출하여 건축자재나 생선상자, 파레트, 취사 연료 등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급속하게 확산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소나무 재선충병에 대한 연구는, 이동성이 거의 없으며 기주나무 내에서 서식하며 이동성이 거의 없는 소나무 재선충보다 이들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북방수염하늘소도 매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 종에 대한 연구도 실시되고 있다.
국내에서 이러한 후각유인물을 이용하여 소나무 재선충을 방제하고자 하는 실험은 솔수염하늘소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북방수염하늘소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 있다. 솔수염하늘소를 대상으로 한 실험으로는, 2002년 임업연구원의 「소나무재선충 종합방제 기술 개발」에서 벤젠(benzene), α-피넨(α-pinene), 테르펜틴(terpentine), 소나무 정유 등을 사용한 실험, 2007년 부산발전연구원에서 α-피넨과 에탄올의 혼합물과 Ips 속 나무좀의 집합페로몬으로 알려져 있는 잎세놀(ipsenol)과 잎스디에놀(ipsdienol)을 사용한 실험,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연구하여 2009년 보고된 국립산림과학원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방법 연구」에서 한ㆍ중 공동연구 중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솔수염하늘소 유인재{주성분: α-피넨(약 86.7%) + β-피넨(약 11.5%)}를 사용한 실험 등이 있다. 북방수염하늘소를 대상으로 한 실험으로는, 충북대 식물의학과에서 잎세놀과 잎스디에놀을 사용하여 유인효과를 확인한 실험이 있다(「북방수염하늘소의 Ipsenol, Ipsdienol에 대한 유인효과」, 2008년). 또한, 중국에서 2-(운데실옥시)-1-에탄올, α-피넨 및 에탄올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유인력을 확인한 실험이 있다(Teale, et al., 2011).
한편, 이들 유인물을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나 북방수염하늘소를 포집하기 위한 기존의 포획틀은 특허문헌 1 내지 4 등에 개시된 깔때기형 포획틀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포획틀은 일반적인 과수나 원예에 해를 입히는 곤충을 포집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것을 전용하는 것이어서, 유인물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이 된 이후 탈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깔때기형 포획틀의 경우에는 본 출원인이 이를 무인 감시 카메라로 관찰한 결과, 다단으로 이루어진 깔때기 쪽으로 산림 해충이 페로몬에 의해 유인되더라도 산림 해충이 깔때기 주위를 선회하다 그냥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여 포획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음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산림 해충이 깔때기 주위를 선회할 때 선회영역에 물리적인 충돌이 발생하도록 하는 수단을 부가한다면 산림 해충이 깔때기 내측으로 추락하면서 효과적으로 포획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7892호(2004.11.05.등록) 발명의 명칭: 해충 포집 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9468호(2005.03.10.등록) 발명의 명칭: 곤충유인 포집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400호(2013.10.02.등록) 발명의 명칭: 해충 포집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9090호(2009.06.10.공개) 발명의 명칭: 원통형 해충트랩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솔수염하늘소나 북방수염하늘소와 같은 산림 해충을 포획하기 위한 산림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되 페로몬에 의한 유인과 더불어 주위를 선회하는 산림 해충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산림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작은 부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설치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산림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포획장치 내부에 카메라를 내장하기 적합하도록 하여 포획된 산림 해충의 행동특성을 원격으로 감시 관찰하기에 적합한 산림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콘형 깔때기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트랩 몸체; 상기 트랩 몸체의 상단에 부착되는 캡; 상기 트랩 몸체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되는 포획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깔때기는 하부 둘레에 복수의 충돌판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충돌판은 상,하로 인접하는 깔때기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충돌판의 하부와 깔때기의 경사면에는 각각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이 끼워져 걸리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깔때기 사이의 거리가 신축 가능하게 다단으로 연결된 산림 해충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된 충돌판의 중심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단관 형태의 코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충돌판의 지지와 더불어 상기 코어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포획된 산림 해충의 관찰 및 감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산림 해충 포획장치는 페로몬으로 유인된 산림 해충이 깔때기 주위를 선회할 때, 깔때기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충돌판에 충돌하여 깔때기 밑으로 추락함으로써 포획통으로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상기 다단의 깔때기로 이루어진 트랩 몸체는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시에는 작은 부피로 줄여서 운반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설치시에는 별도의 조립과정이 없이 매달기만 하면 각각의 깔때기 사이의 간격이 자중에 의해 벌어지게 됨으로써 충분한 길이의 트랩 몸체가 되도록 펼쳐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포획의 상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충돌판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단관 형태의 코어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포획상태의 감시 및 관찰을 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산림 해충 포획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획장치를 저면에서 본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산림 해충 포획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트랩 몸체의 수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트랩 몸체를 구성하는 깔때기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트랩 몸체를 구성하는 깔때기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산림 해충 포획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콘형 깔때기(10)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트랩 몸체(20); 상기 트랩 몸체(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캡(30); 상기 트랩 몸체(20)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되는 포획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깔때기(10)는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14)의 하부 둘레에 복수의 충돌판(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충돌판(12)은 상,하로 인접하는 깔때기(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충돌판(12)의 하부와 깔때기(10)의 경사면(14)에는 각각 걸림편(13)과 상기 걸림편(13)이 끼워져 걸리는 슬릿(15)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깔때기(10) 사이의 거리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하게 다단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편(13)은 슬릿(15)에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충돌판(12)의 하부에서 좌우로 평행하게 절개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15)도 상기 절개홈(13a) 사이의 간격만큼은 걸림편(13)이 끼워지는 부분(15a)은 폭이 넓고 나머지 부분은 충돌판(12)의 두께 정도로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걸림편(13)이 끼워질 때에는 걸림편(13)의 경사진 턱이 상기 슬릿(15)에 접촉하면서 걸림편(13)이 뒤로 젖혀지게 되면서 슬릿(15)의 폭이 넓은 부분(15a)으로 삽입되게 되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에는 걸림편(13)의 경사진 턱이 슬릿(1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하 깔때기 사이는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현장에서 설치한 후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조립상태가 와해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중간의 깔때기가 파손된 경우 이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3개의 충돌판에 형성된 걸림편(13) 3개를 동시에 측방향으로 누르면서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트랩 몸체(20)를 구성하는 깔때기(10)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면(14)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유인된 산림 해충을 내측 중심의 구멍쪽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깔때기(10)의 경사면(14) 하부에 형성되는 충돌판(12)은 3개가 각각 120°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돌판(12)을 2개나 4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충돌판(12)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충돌판(12)은 마치 비행기나 로켓의 꼬리날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부에 짧은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 코어(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얇은 충돌판(12)의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코어(16)는 충돌판(12)의 지지와 더불어 이 코어(16)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포획된 산림 해충의 관찰 및 감시가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돌판(12)의 외곽 하부와 깔때기(10)의 경사면(14)에는 각각 걸림편(13)과 상기 걸림편(13)이 끼워져 걸리는 슬릿(15)이 형성되어 있어 깔때기(10)를 상,하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깔때기(10) 사이의 거리가 신축 가능하게 다단으로 연결되게 되며, 상기 걸림편(13)은 슬릿(15)에의 삽입시에는 경사면이 자연스럽게 타고 들어가면서 결합되지만 반대로는 잘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어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7은 상기 코어(16)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으로, 카메라를 설치할 때 고정나사 등을 체결하는 부위이고, 부호 18은 상기 충돌판(1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는 최하단의 깔때기(10')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다.
또, 부호 19는 상기 충돌판(12)과 코어(16)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으로, 이 슬릿(19)은 코어(16)가 서로 상하로 끼워지면서 적층될 때 충돌판(12)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부호 32는 상기 캡(30)에 부착된 고리로, 여기에 끈을 연결하여 포획장치를 나무 위에 매달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콘형 깔때기(1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트랩 몸체(20)로는 내부에 설치된 페로몬(도시 생략됨)에 의해 사방에서 해충이 트랩 몸체(20) 내측으로 바로 유인되기도 하고, 깔때기(10)의 주위를 선회하기도 하는데, 근처로 유인된 산림 해충은 선회도중 충돌판(12)에 부딪히게 되면서 밑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깔때기(10)의 내,외측 경사면은 미끄러우므로 아래쪽 즉, 트랩몸체(20) 하단에 결합된 포획통(40) 안으로 떨어져 갇히게 된다.
상기 트랩 몸체(20)는 나무의 수피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솔수염하늘소와 같은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경우에는 소나무의 수피와 같은 적갈색 계통의 수지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한편, 상기 포획통(40)은 해충의 포획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한 투명 소재로 형성한다.
상기 포획통(40)의 바닥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42)이 형성되고, 상기 포획통(40)의 상단에는 최하단의 깔때기(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턱(44)과 결합홈(4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 저면에는 고리(48)가 형성되어 있ㅇ어 여기에 끈(도시 안 됨)을 연결하여 포획장치가 바람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포획통(40)이 결합되는 트랩 몸체(20) 최하단의 깔때기(10') 저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턱(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랩 몸체(20) 최상단의 깔때기(10)에 결합되는 캡(30)에는 깔때기(10)의 상단 둘레가 탄성결합되는 탄성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산림 해충 포획장치는 공장에서 트랩 몸체와 캡 및 포획통을 일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트랩 몸체를 구성하는 다단의 깔때기를 수축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소한의 크기로 포장하여 설치현장으로 운송하면 되므로 물류비의 절감은 물론 이를 하나씩 설치현장으로 운반하는 작업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현장에서는 별도의 조립과정이 필요없이 캡에 끈을 연결하여 나뭇가지에 매달면 포획장치의 자중에 의해 수축되어 있던 트랩 몸체가 길게 늘어나면서 깔때기 사이의 간격이 정상적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산림 해충의 포획이 가능해지게 되고, 특히, 깔때기의 하면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충돌판에 선회중이던 산림 해충이 충돌하면서 밑으로 떨어지게 되어 포획통에 갇히게 됨으로써 페로몬에 의한 유인과 충돌판에 의한 물리적인 포획작용이 조합됨으로써 산림 해충의 효과적인 포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포획장치는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포획상태의 감시 및 관찰을 할 수 있으므로 포획된 해충의 행동특성 등을 연구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10 : 깔때기
10' : 깔때기(트랩 몸체 최하단)
12 : 충돌판
13 : 걸림편
13a : 절개홈
14 : 경사면
15 : 슬릿
15a : 걸림편이 끼워지는 부분(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부분)
16 : 코어
17 : 고정구멍
18 : 걸림턱
19 : 슬릿
20 : 트랩 몸체
30 : 캡
32 : 고리
40 : 포획통
42 : 배수공
44 : 결합턱
46 : 결합홈
48 : 고리

Claims (5)

  1. 복수의 콘형 깔때기(10)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트랩 몸체(20); 상기 트랩 몸체(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캡(30); 상기 트랩 몸체(20)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되는 포획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깔때기(10)는 하부 둘레에 페로몬으로 유인된 산림 해충이 깔때기(01) 주위를 선회하다가 충돌할 수 있는 복수의 충돌판(1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충돌판(12)은 상,하로 인접하는 깔때기(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충돌판(12)의 하부와 깔때기(10)의 경사면(14)에는 각각 걸림편(13)과 상기 걸림편(13)이 끼워져 걸리는 슬릿(15)이 형성되어 상기 깔때기(10) 사이의 거리가 신축 가능하게 다단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 해충 포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12)은 중심부에 짧은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 코어(1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 해충 포획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12)과 코어(16) 사이에는 코어(16)가 서로 상하로 끼워지면서 적층될 때 충돌판(12)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슬릿(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 해충 포획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랩 몸체(20)는 나무의 수피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 해충 포획장치.
KR1020150125263A 2015-09-04 2015-09-04 산림 해충 포획장치 KR10157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263A KR101572603B1 (ko) 2015-09-04 2015-09-04 산림 해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263A KR101572603B1 (ko) 2015-09-04 2015-09-04 산림 해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603B1 true KR101572603B1 (ko) 2015-12-01

Family

ID=5488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263A KR101572603B1 (ko) 2015-09-04 2015-09-04 산림 해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379B1 (ko) 2017-03-27 2017-08-11 대한민국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CN111226664A (zh) * 2020-03-16 2020-06-05 潮州市茶叶科学研究中心 一种防治茶天牛的方法
EP3874948A1 (fr) 2020-03-03 2021-09-08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pour l'agriculture, l'alimentation et l'environnement Composition attractive pour les mâles et les femelles bruches de la févero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563A (en) 1982-05-25 1984-09-18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imited Insect trap
WO1998004126A1 (en) * 1996-07-22 1998-02-05 Gunnar Nove Insect trap
KR101360234B1 (ko) 2012-04-25 2014-02-12 대한민국 산림해충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563A (en) 1982-05-25 1984-09-18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imited Insect trap
WO1998004126A1 (en) * 1996-07-22 1998-02-05 Gunnar Nove Insect trap
KR101360234B1 (ko) 2012-04-25 2014-02-12 대한민국 산림해충 포집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J헬로비전 뉴스 ‘소나무재선충병 '페로몬'으로 퇴치’ (2015.4.27. 공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379B1 (ko) 2017-03-27 2017-08-11 대한민국 선충 분리포집장치 및 분리포집방법
EP3874948A1 (fr) 2020-03-03 2021-09-08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pour l'agriculture, l'alimentation et l'environnement Composition attractive pour les mâles et les femelles bruches de la féverole
FR3107812A1 (fr) 2020-03-03 2021-09-10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Pour L'agriculture, L'alimentation Et L'environnement (Inrae) Composition attractive pour les mâles et les femelles bruches de la féverole
CN111226664A (zh) * 2020-03-16 2020-06-05 潮州市茶叶科学研究中心 一种防治茶天牛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skey et al. Development of behaviorally-based monitoring tools for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Heteroptera: Pentatomidae) in commercial tree fruit orchards
JP6067194B2 (ja) 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とカラフトヒゲナガカミキリの発生予察及び大量捕獲によるマツ材線虫病の防除方法
Sunderland et al. Populations and communities
Olckers Targeting emerging weeds for biological control in South Africa: the benefits of halting the spread of alien plants at an early stage of their invasion: working for water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101572603B1 (ko) 산림 해충 포획장치
Mahob et al. Field evaluation of synthetic sex pheromone traps for the cocoa mirid Sahlbergella singularis (Hemiptera: Miridae)
Bradley Effect of Formica obscuripes (Hymenoptera: Formicidae) on the predator–prey relationship between Hyperaspis congressis (Coleoptera: Coccinellidae) and Toumeyella numismaticum (Homoptera: Coccidae)
CN101554178A (zh) 松墨天牛成虫引诱剂及其诱捕装置
Bänziger et al. The remarkable nest entrance of tear drinking Pariotrigona klossi and other stingless bees nesting in limestone cavities (Hymenoptera: Apidae)
Adis et al. Arthropods obtained from the Amazonian tree species" Cupiuba"(Goupia glabra) by repeated canopy fogging with natural pyrethrum
JP4505542B1 (ja) 鱗翅目昆虫防除器
Pointing The Biology and Behaviour of the European Pine Shoot Moth, Rhyacionia buoliana (Schiff.), in Southern Ontario I. Adult1
CN105532605A (zh) 柑橘象鼻虫灭杀箱
KR20160143161A (ko) 소나무 재선충병 방지용 통발구조 해충 포획트랩
Pennell et al. AvanexTM unique endophyte technology-bird deterrent endophytic grass for amenity turf and airports.
KR101559274B1 (ko)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틀
KR101681449B1 (ko) 노린재 트랩
KR20160139865A (ko) 스프링 코일 타입 나선형 해충 포획장치
KR101613047B1 (ko) 해충 포획용 트랩장치
CN202340663U (zh) 一种灌木林害虫诱捕器
Rajapakse et al. Pheromone baited trap for the management of red palm weevil, Rhynchophours ferrugineus F.(Coleoptera: Curculionide) population in coconut plantation
CN208095806U (zh) 一种环保型诱蝇装置
Rodríguez‐González et al. Evaluation of commercial and prototype traps for Xylotrechus arvicola (Coleoptera: Cerambycidae), an insect pest in Spanish vineyards
Langille et al. Mating behavior of the southwestern corn bo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