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076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076B1
KR101767076B1 KR1020160057119A KR20160057119A KR101767076B1 KR 101767076 B1 KR101767076 B1 KR 101767076B1 KR 1020160057119 A KR1020160057119 A KR 1020160057119A KR 20160057119 A KR20160057119 A KR 20160057119A KR 101767076 B1 KR101767076 B1 KR 10176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dth
circumferential direction
hea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경
박상욱
조명국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8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 B60C23/19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for dissipat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응력집중부와, 제1 너비를 갖고 상기 응력집중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돌기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공기압 타이어는 고속 주행 시 지면과의 마찰로 높은 열을 발생시킨다. 고무의 특성상 방열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고속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높은 열은 타이어의 특성을 악화시켜 내구성 저하를 가져 온다.
한편, 런플랫 타이어(Run-Flat Tire)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타이어의 바람이 새거나 손상되어 타이어 내의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일정 거리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안정성이 증가된 공기압 타이어다. 종래의 런플랫 타이어(Run-Flat Tire)는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주행할 때, 큰 변형으로 인해 사이드월에서는 높은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높은 열은 사이드월의 고무 물성을 저하시켰다. 이러한 이유로 사이드월 내측에 두꺼운 보강 고무를 내장하여,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변형을 줄여 타이어의 내구성을 확보했다. 종래에는 이러한 사이드월의 방열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월부에 방열기구인 쿨링핀(cooling fin)을 구비하여, 런플랫 타이어의 내구 성능 및 연비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드월부에 쿨링핀을 구비하는 경우,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주행할 때 타이어의 피로 파손이 발생될 위험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월부에 복수의 돌기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응력집중부와, 제1 너비를 갖고 상기 응력집중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돌기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력집중부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너비; 및 상기 둘레 방향과 다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너비보다 큰 제3 너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너비는 상기 제1 너비의 2배보다 크고, 상기 제1 너비의 4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유닛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부 중 어느 하나의 방열부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응력집중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부 중 어느 하나의 방열부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응력집중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곡률 반경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은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은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유닛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돌기 유닛은 방열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유닛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돌기 유닛은 상기 방열부가 둘러싸여 상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열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너비는 이웃하는 상기 응력집중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너비는 이웃하는 상기 응력 집중부 사이의 거리의 1/4배보다 크고 이웃하는 상기 응력 집중부 사이의 거리의 1/2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 유닛은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런플랫 공기입 타이어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돌기 유닛의 방열홈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켜 사이드월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응력집중부의 제3 너비를 방열부의 제1 너비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타이어의 주행 중 지속적인 굴신 운동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돌기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복수의 돌기 유닛들의 방열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돌기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는 트레드부(110), 비드부(130), 사이드월부(120) 및 복수의 돌기 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노면 등으로부터의 충격, 외상으로부터 타이어(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부(110)의 표면에는 타이어의 배수성 향상을 위해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블록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트레드부(110)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의 측면을 형상하는 부분으로, 주행 중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수축 및 팽창작용을 견디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바디플라이를 보호 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양단에 구비되어 림(R)에 장착될 수 있으며, 링 형태의 강선재를 포함하는 비드 코어(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돌기 유닛(10)은 사이드월부(120)의 외측면에 타이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돌기 유닛(10)은 일정한 두께(H1)를 갖고 사이드월부(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기 유닛(10)의 두께(H1)는 예를 들면, 1mm 내지 5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돌기 유닛(10)의 두께(H1)가 1mm 미만인 경우 방열효과가 미미하며, 5mm를 초과하는 경우 공기와의 충돌이 증가하여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돌기 유닛(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돌기 유닛(10)은 응력집중부(11) 및 복수의 방열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응력집중부(11)는 돌기 유닛(10)의 중심에 배치되며, 복수의 방열부(13)는 제1 너비(w1)를 갖고 응력집중부(1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부(13)의 제1 너비(w1)는 방열부(13)가 응력집중부(11)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갖는 너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열부(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돌기 유닛(10)은 적어도 4개 이상의 방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열부(13) 중 어느 하나의 방열부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는 둘레 방향으로 응력집중부(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13)는 제1 방열부(131), 제2 방열부(132), 제3 방열부(133) 및 제4 방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부(131)와 이웃하는 제2 방열부(132)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 방열부(131)와 대칭될 수 있다. 한편, 제3 방열부(133)는 타이어(1)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방열부(132)와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열부(133)와 이웃하는 제4 방열부(134)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3 방열부(133)와 대칭될 수 있다.
제1 방열부(131)는 타이어(1)의 둘레 방향으로 응력집중부(11)의 중심(O)을 지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소정의 제1 각도(θ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방열부(131)는 곡선으로서, 제1 각도(θ1)는 제1 방열부(131)의 외측단으로부터 응력집중부(11)의 중심(O)을 잇는 연결선 (TL)과 중심선(CL)과의 각도일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제1 각도(θ1)는 45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다. 방열부(13)는 중심선(CL)에 대하여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13)와 대칭이므로, 복수의 방열부(13) 중 어느 하나의 방열부(13)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13) 사이의 각도는 예각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방열부(131) 및 제2 방열부(132)는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3 방열부(133) 및 제4 방열부(134)도 대칭관계에 의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유닛(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 유닛(10)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유닛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돌기 유닛은 방열부(13)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숭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 유닛(10)은 이웃하는 돌기 유닛(10-1, 10-2)의 방열부(13)들끼리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일렬로 연결될 수 있다. 기준 돌기 유닛(10)의 제1 방열부(131) 및 제2 방열부(132)는 이웃하는 제1 돌기 유닛(10-1)의 제4 방열부(134-1) 및 제3 방열부(133-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준 돌기 유닛(10)의 제4 방열부(134) 및 제3 방열부(133)는 이웃하는 제2 돌기 유닛(10-2)의 제1 방열부(131-2) 및 제2 방열부(132-2)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방열부(13)들을 통해 복수의 돌기 유닛(10)은 서로 연결되며, 방열부(13)로 둘러싸인 복수의 방열홈(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돌기 유닛(10)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유닛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돌기 유닛은 방열부(13)가 둘러싸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열홈(A)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방열부(131) 및 제1 방열부(131)에 이웃하는 제2 방열부(132)는 예각을 이루므로, 방열부(13)로 둘러싸인 방열홈(A)은 타원형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돌기 유닛(10)은 제1 방향으로 길이(L1)가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 즉, 응력집중부(11) 사이의 거리(d1)보다 작은 유선형의 방열홈(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 유닛(10)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L1)는 응력집중부(11) 사이의 거리(d1)의 1/2배보다 크고 거리(d1)의 3/4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방열부(13)는 응력집중부(11)에서 멀어질수록 곡률반경이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유선형의 방열홈(A)은 타이어 주행 중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응력집중부(11)는 돌기 유닛(10)의 중심에 배치되며, 타이어(1)의 주행 중 굴신 운동으로 인한 응력이 집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응력집중부(11)는 타이어(1)의 둘레 방향으로 제2 너비(w2)를 갖고, 둘레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제3 너비(w3)를 가질 수 있다. 제2 너비(w2)는 복수의 돌기 유닛(10)의 이웃하는 응력집중부(11) 사이의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너비(w2)는 사이 거리(d1)의 1/4 배보다 크고 사이 거리(d1)의 1/2배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너비(w2)가 사이거리(d1)의 1/4배 미만인 경우 타이어(1)의 주행 중 굴신운동으로 파손 가능성이 높고, 제2 너비(w2)가 사이 거리(d1)의 1/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열부(13)에 의한 방열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한편, 응력집중부(11)들 사이의 거리(d1)는 예를 들면, 5 mm 내지 20 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집중부(11)의 제3 너비(w3)는 방열부(13)의 제1 너비(w1)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3 너비(w3)는 제1 너비(w1)의 두 배보다 크고, 제1 너비(w1)의 4 배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너비(w3)는 제1 방향으로 갖는 응력집중부(11)의 너비로서, 타이어(1)의 주행 중에 굴신 운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영역이다. 이러한 응력집중부(11)의 제3 너비(w3)가 방열부(13)의 제1 너비(w1)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다면, 응력집중부(11)는 지속적인 굴신 운동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 유닛(10)은 이러한 응력집중부(11)의 제3 너비(w3)를 방열부(13)의 제1 너비(w1)보다 크게 함으로써, 타이어(1)의 주행 중 변형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3 너비(w3)가 방열부(13)의 제1 너비(w1)의 4 배보다 큰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생길 수 있어 방열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 유닛(10)은 응력집중부(11)의 제3 너비(w3)를 방열부(13)의 제1 너비(w1)의 2배 내지 4배 사이의 값을 갖도록 함으로써,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돌기 유닛(10)은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유닛(10)들은 이웃하는 돌기 유닛(10-1, 10-2)들과 방열부(13)들을 서로 연결하지 않은 채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종류에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런플랫 타이어(Run-Flat Tir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전술한 복수의 돌기 유닛(10)을 적어도 하나의 열(row) 단위로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유닛(10)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열(row)들이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복수의 돌기 유닛(10)들의 방열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1)가 주행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사이드월부(120)에는 많은 열이 발생된다. 공기는 타이어의 주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돌기 유닛(10)의 방열홈(A)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타이어(1)는 이러한 와류를 통해 사이드월부(120)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20)는 주행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굴신운동(⇒)에 의한 힘이 가해진다. 특히, 방열부(13)들의 중심에 배치되는 응력집중부(11)에는 굴신운동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 유닛(10)은 응력집중부(11)의 제3 너비를 방열부(13)의 제1 너비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응력 집중에도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의 돌기 유닛(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 유닛(20)은 돌기 유닛(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응력집중부(21) 및 제1 너비(w1)를 갖고 응력집중부(2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분기되는 복수의 방열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 유닛(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 유닛(10)과 방열부(23)의 형태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방열부(23)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 유닛(20)은 4개의 방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23)는 제1 방열부(231), 제2 방열부(232), 제3 방열부(233) 및 제4 방열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부(231)는 타이어(1)의 둘레 방향으로 응력집중부(21)의 중심(O)을 지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소정의 제1 각도(θ1)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열부(232)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 방열부(231)와 대칭되며, 제3 방열부(233)는 타이어(1)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방열부(232)와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4 방열부(234)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3 방열부(233)와 대칭될 수 있다. 방열부(13)는 이웃하는 방열부(13)와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제2 방열부 내지 제4 방열부(232, 233, 234) 또한 중심선(CL)과 제1 각도(θ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각도(θ1)는 45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방열부(231) 및 제2 방열부(232)는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3 방열부(233) 및 제4 방열부(234)도 대칭관계에 의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돌기 유닛(20)들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돌기 유닛(20)의 방열부(23)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배열할 수도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도 4a와 같이 복수의 돌기 유닛(2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방열부(23)들로 둘러싸인 방열홈(A)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부(231)와 제2 방열부(232)는 예각을 이루므로, 둘레 방향으로 장축을 갖고, 제1 방향으로 단축을 갖는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둘레 방향으로 긴 마름모의 경우도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선형을 갖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방열홈(A)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 사이드월부(120)의 방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타이어
110 : 트레드부
120 : 사이드월부
130 : 타이어 부재의 내벽
10 : 돌기 유닛
11 : 응력집중부
13 : 방열부

Claims (16)

  1. 지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응력집중부와, 제1 너비를 갖고 상기 응력집중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돌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열부 중 어느 하나의 방열부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응력집중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와 서로 예각을 이루고,
    상기 응력집중부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너비 및 상기 둘레 방향과 다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너비보다 큰 제3 너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은 유선형의 방열홈을 형성하는, 타이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너비는 상기 제1 너비의 2배보다 크고, 상기 제1 너비의 4배보다 작은,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유닛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상기 방열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부 중 어느 하나의 방열부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열부는, 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응력집중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인, 타이어.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타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응력집중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곡률 반경이 증가하는,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은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타이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은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되는, 타이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유닛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돌기 유닛은 방열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타이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돌기 유닛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돌기 유닛은 상기 방열부가 둘러싸여 상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열홈을 형성하는, 타이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너비는 이웃하는 상기 응력집중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타이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너비는 이웃하는 상기 응력 집중부 사이의 거리의 1/4배보다 크고 이웃하는 상기 응력 집중부 사이의 거리의 1/2배보다 작은, 타이어.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유닛은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둘레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은, 타이어.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런플랫 공기입 타이어인, 타이어.
KR1020160057119A 2016-05-10 2016-05-10 타이어 KR10176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19A KR101767076B1 (ko) 2016-05-10 2016-05-10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19A KR101767076B1 (ko) 2016-05-10 2016-05-10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076B1 true KR101767076B1 (ko) 2017-08-10

Family

ID=5965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119A KR101767076B1 (ko) 2016-05-10 2016-05-10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0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505A (ja) * 2001-10-03 2003-04-1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4291937A (ja) * 2003-03-28 2004-10-21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505A (ja) * 2001-10-03 2003-04-1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4291937A (ja) * 2003-03-28 2004-10-21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445B2 (en) Heavy duty tire
EP3560733B1 (en)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US20160023518A1 (en) Pneumatic tire
JP2006273240A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KR101623276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15034004A (ja) 冷却ピンのピッチ決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172271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767076B1 (ko) 타이어
JP2966759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260700B2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KR101807200B1 (ko) 타이어
JP63914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20212505A1 (en) Pneumatic tire
JP2010120586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1445936B1 (ko) 방열 및 배수 성능이 우수한 공기입 타이어
KR101773122B1 (ko) 타이어
KR100812810B1 (ko) 냉각핀이 삽입된 공기입 타이어
JP7298336B2 (ja) タイヤ
KR102325371B1 (ko) 타이어
KR101141143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070025784A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KR20070025783A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알 타이어
KR102547341B1 (ko) 방열판 및 방열판이 장착된 타이어
US20230311580A1 (en) Tire
KR102393084B1 (ko) 고속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