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065B1 -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065B1
KR101766065B1 KR1020150168505A KR20150168505A KR101766065B1 KR 101766065 B1 KR101766065 B1 KR 101766065B1 KR 1020150168505 A KR1020150168505 A KR 1020150168505A KR 20150168505 A KR20150168505 A KR 20150168505A KR 101766065 B1 KR101766065 B1 KR 10176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hydraulic pressure
coil
variable resistan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833A (ko
Inventor
명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0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08Control of circui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21Motor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품 제조 편차로 인한 유압 보정을 가변 저항을 적용하여 실행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를 삭제하고 가변 저항을 통해 성능 편차를 보정함으로써 중량이 감소하며, 제품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resistance typed solenoid}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품 제조 편차로 인한 유압 보정을 가변 저항을 적용하여 실행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 또는 무단 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주요 형태로는 변속제어유닛으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온/오프 타입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타입, 변속제어유닛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을 위한 듀티 제어신호 출력에 맞춰 구동부 역시 출력 듀티에 비례하는 전류의 양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는 VFS(Varible Force Solenoid) 타입 등이 있다.
특히, VFS 타입은 자동 변속기 또는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는 라인 압력 가변제어 시스템의 유압 응답성 및/또는 라인 압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차량에서 사용하는 이러한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와 동일하게 제어 시스템(TCU: Transmission Control Unit)에서 제어 전류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 공급 전류에 따라 아마츄어(amature)를 구동하는 힘이 변화하게 된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100)의 내측에는 코일(120), 아마츄어(110), 스풀(130), 스프링(140), 보정을 위한 스크류(150), 코일(120)에 전류를 공급하는 TCU(160) 등이 구성된다.
하지만, 제조 편차에 의해 제품간에 동일 전류를 공급해도 스풀의 거동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하부에 보정 스크류를 장착하여 발생한 편차를 보정한다. 부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 제조에 따른 성능 편차를 위해 스프링 받침을 스크류 형태로 구성하여 스크류 높이 조정을 통해 스프링력을 조절하여 제품간 편차를 조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스크류가 삽입되면서 좌면이 틀어져, 스크류를 조정하고 시험을 다시 진행해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용접을 통한 보정 스크류 위치 고정시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6-0116465호 2.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83661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품 제조 편차로 인한 유압 보정을 스크류 위치 조정을 통해 보정하는 대신에 제품을 단순화하여 보정할 수 있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구적인 문제(예를 들면, 스프링 좌굴, 마찰, 간섭 등)를 해소할 수 있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제조 편차로 인한 유압 보정을 스크류 위치 조정을 통해 보정하는 대신에 제품을 단순화하여 보정할 수 있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는, 코일과 아마츄어와 스풀과 스프링을 갖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 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은 회전형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는, 상기 스풀에 의한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 센서; 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측정된 유압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압 보정값을 생성하고, 센싱된 전류를 통해 전압을 계산하며, 상기 유압 보정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계산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가변 저항은 상기 가변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은 전자식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저항값은 전류, 전압 및 상기 유압 보정값에 저항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며, 상기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코일과 아마츄어와 스풀과 스프링을 갖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으로서, 제어기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유압 센서를 상기 스풀에 의한 유압을 측정하는 단계; 전류 센서가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측정된 유압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압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센싱된 전류를 통해 전압을 계산하며, 상기 유압 보정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이 상기 가변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를 삭제하고 가변 저항을 통해 성능 편차를 보정함으로써 중량이 감소하며, 제품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스크류를 조정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품간의 기구적인 문제인 마찰, 간섭, 스프링 좌굴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스크류 조정 및/또는 용접 공정을 삭제함으로써 공정 단순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내구에 따른 부품 특성 변화가 가변 저항을 통한 편차 보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A/S 성능 보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2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20)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가변 저항(25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26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27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로부터 생성되는 유압을 센싱하는 유압 센서(2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는 유입구, 유출구, 배출구가 형성되는 플랜지의 유입구 개폐 및/또는 배출구로의 유체가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시키는 스풀(230)과, 자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아마츄어(210), 아마츄어(210)를 내측에 감싸는 코일(220)이 설치된다. 또한, 일단에 복원력을 위한 스프링(240)이 구성된다.
동작을 설명하면, 코일(220)에 제어기(260)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자기력선이 형성되어 아마츄어(210)가 우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아마츄어(210)의 이동으로 스풀(230)도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유압이 개폐구(231)를 통해 배출 또는 유입된다. 이때 유압 센서(280)를 통해 배출 또는 유입되는 유압을 체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일(220)에 인가된 전류가 차단되면 압축된 스프링(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풀(23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구(231)는 폐색되어 유압의 배출 또는 유입이 막히게 된다.
유압 센서(280)는 이해를 위해 개폐구(231)의 앞단에 도시되었으나, 설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구(231)에 연결된 관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계측기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검시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계측기를 통해 계측된 값을 가지고 가변 저항(250)을 수동으로 동작하여 저항을 가변할 수 있다. 이때 가변 저항(250)은 회전형 가변 저항이 된다.
제어기(260)는 코일(220)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류 센서(270), 유압 센서(280), 가변저항(250) 및 제어기(260)는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200)의 구동력 F값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연하면, 제어기(260)는 측정된 유압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압 보정값을 생성하고, 센싱된 전류를 통해 전압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유압 보정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계산하고 상기 코일(220)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가변 저항(250)은 상기 가변 저항값에 따라 제어기(260)로부터 상기 코일(2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한다.
여기서, 가변 저항값은 전류, 전압 및 상기 유압 보정값에 저항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가변 저항(250)은 전자식 가변 저항이 된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의 구동력 값 F는 다음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5116656566-pat00001
여기서, B는 자기장, I는 전류, L은 길이를 나타낸다. 즉, 솔레노이드는 '앙페르 법칙', 즉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수직으로 작용한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힘을 이용한 장치이다.
차량에서 사용하는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와 동일하게 제어기(260)에서 제어용 전류가 코일(220)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공급된 전류에 따라 아마츄어를 구동하는 힘이 변화하게 된다.
한편, 제어기(260)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는 전류 센서(270)를 별도로 구성하였으나, 제어기(260) 내에 전류 센서(270) 또는 전압 센서를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전자식의 가변 저항(250), 제어기(260), 전류 센서(270) 및 유압 센서(280)를 통해 자동으로 보정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260)가 상기 코일(220)에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스풀(230)이 동작한다. 이에 따라 유압 센서(280)가 상기 스풀(230)에 의한 유압을 측정하고, 전류 센서(270)가 상기 코일(2202)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한다(단계 S310).
이후, 상기 제어기(260)가 측정된 유압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압 보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기(260)가 센싱된 전류를 통해 전압을 계산한다(단계 S320).
상기 유압 보정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계산한다(단계 S330).
이후, 상기 제어기(260)가 상기 코일(220)에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이 상기 가변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보정을 완료한다(단계 S340,S350).
2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20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210: 아마츄어 220: 코일
230: 스풀 231: 개폐구
240: 스프링
250: 가변 저항
260: 제어기
270: 전류 센서
280: 유압 센서

Claims (11)

  1.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를 감싸는 코일과 스풀과 스프링을 갖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 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에 의한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 센서; 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측정된 유압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압 보정값을 생성하고, 센싱된 전류를 통해 전압을 계산하며, 상기 유압 보정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계산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가변 저항은 상기 가변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고,
    상기 가변 저항값은 전류, 전압 및 상기 유압 보정값에 저항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은 회전형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은 전자식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며, 상기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8.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를 감싸는 코일과 스풀과 스프링을 갖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기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유압 센서를 상기 스풀에 의한 유압을 측정하는 단계;
    전류 센서가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측정된 유압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압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센싱된 전류를 통해 전압을 계산하며, 상기 유압 보정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가변 저항이 상기 가변 저항값에 따라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저항값은 전류, 전압 및 상기 유압 보정값에 저항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인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은 전자식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며, 상기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방법.
KR1020150168505A 2015-11-30 2015-11-3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6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05A KR101766065B1 (ko) 2015-11-30 2015-11-3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05A KR101766065B1 (ko) 2015-11-30 2015-11-3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33A KR20170062833A (ko) 2017-06-08
KR101766065B1 true KR101766065B1 (ko) 2017-08-07

Family

ID=5922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505A KR101766065B1 (ko) 2015-11-30 2015-11-30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0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3337A (ja) * 2011-02-03 2012-08-30 Denso Corp 自動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の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3337A (ja) * 2011-02-03 2012-08-30 Denso Corp 自動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33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9257B2 (ja) ディザ電流給電制御方法及びディザ電流給電制御装置
US7857281B2 (en) Electrohydraulic valve control circuit with magnetic hysteresis compensation
US11569017B2 (en)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solenoid valves
US8918257B2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adjustment method for output characteristic thereof
AU2008295672B2 (en) Shielding gas flow controller for a welding apparatus
CN105974789B (zh) 用于求取用于滑动模态调节器的开关函数的方法以及滑动模态调节器
US8392077B1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JP2008215611A (ja) 閉ループパルス幅変調弁伝達制御システムのモード選択およびスイッチングロジック
US7474948B2 (en) Concept for using software/electronics to calibrate the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WO20170277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enoid position measurement and control
KR20150052142A (ko) 아날로그화된 형태로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환 방법,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용
JP4463527B2 (ja) 油圧回路の圧力レベルの調整のための比例圧力調整弁
KR101766065B1 (ko) 가변 저항형 솔레노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9502058A (ja) 環境条件および製品寿命に基づくソレノイドバルブの補償性能
JP2005038390A (ja) 作動流体の負荷を受け入れる負荷要素の状態検出装置、および流体圧制御回路の状態検出装置
US11442478B2 (en) Pressure control device
JP6234561B2 (ja) 流体式変速機の油圧を制御する方法
JP6546754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130320250A1 (en) Electronic flow control method for a spring diaphragm irrigation control valve using a pulsed signal
JP5381333B2 (ja) ソレノイド駆動弁の開度制御装置
EP3879358B1 (en) Generalized hysteresis control
KR20090047753A (ko) Pwm 밸브 기반 피드백 제어 시스템, pwm 밸브 기반피드백 제어 시스템의 재캘리브레이션 방법, pwm 밸브기반 피드백 제어 방법 및 pwm 밸브 기반 피드백 제어시스템을 재캘리브레이션하는 시스템
AU2007221928A1 (en) Mode selection and switching logic in a closed-loop pulse width modulation valve-based transmission control system
JP6513212B2 (ja) 燃料調量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11112810B2 (en) Analog control loop with digital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