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965B1 -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965B1
KR101765965B1 KR1020127010741A KR20127010741A KR101765965B1 KR 101765965 B1 KR101765965 B1 KR 101765965B1 KR 1020127010741 A KR1020127010741 A KR 1020127010741A KR 20127010741 A KR20127010741 A KR 20127010741A KR 101765965 B1 KR101765965 B1 KR 10176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im
vehicle
curtai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654A (ko
Inventor
브루스 앤드류 카란덱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탑승자를 차량(300) 내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커튼 에어백(100)은 정상부(130), 바닥부(132) 및 이들 정상부와 바닥부를 연결시켜 주는 제 1 측부(104)와 그 반대편의 제 2 측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부(130)는 차량(300)의 측부(302)에 있는 창문(304)의 위치의 상방에 있는 차량(300)의 대응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닥부(132)는 에어백(100)의 전개시 차량 창문(304)의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측부(104) 및 2 측부(106) 각각은 NHTSA 시험 머리 모형(20) 충돌 위치의 무게 중심의 아래쪽으로 25㎜ 이하의 정착 위치에서 차량(300)의 각각의 인접한 제 1 및 2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어백(100)의 팽창 부분은 정착 위치의 훨씬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에어백의 하부 팽창 부분은 시험 머리 모형(20)의 바닥부의 아래쪽으로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차량 창문 개구의 바닥부로부터 113㎜ 이상으로 연장되며, 전개되는 에어백은 바람직하게는 시험 머리 모형(20)의 하부로부터 에어백(100)의 바닥부의 접힌 보강된 부재까지 적어도 25㎜ 이상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에어백(100)의 하부 또는 바닥부 가장자리의 신장의 감소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EJECTION COUNTERMEASURES FOR CURTAIN AIR BAGS}
본 출원은 2009년 10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255,581 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이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고중에 차량 승객을 객실안에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NHTSA)은 커튼 에어백에 대한 새로운 내부 유지(containment) 시험을 제안하였다. 본 출원의 최초 출원일로부터 이 시험은 아직 공식적으로 확립되어야 한다. 이 시험을 통해, 측면 충돌이나 차량 전복 사고를 포함한 사고 중에 차량의 탑승자가 커튼 에어백에 부딪힐 때 그 커튼 에어백의 유효성을 예상할 수 있다.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NHTSA)은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측면 충돌시 머리와 몸통을 보호할 수 있는 측면 커튼 에어백을 2013년까지 모든 차량에 장착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NHTSA는 교차로에서 차량이 정지 신호에서 주행할 때 종종 일어나는 충돌시 에어백은 연간 311명의 생명을 구하고 또한 361건의 심한 부상, 특히 뇌부상을 방지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새로운 기준을 내놓았다.
운송 장관인 매리 피터스(Mary Peters)가 말한 바에 하면, NHTSA는 상기 규정으로 인해 차량 한대의 가격에 약 33달러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승용차의 측면 충돌은 종종 심하게 일어난다. 모든 사망자의 28%가 이러한 측면 충돌로 인한 것이며, 사망자의 대부분은 뇌손상과 관련이 있다. 안전 주창자들은 측면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가 더 많은 것을 하도록 요구할 것을 NHTSA에 오랫동안 촉구해 오고 있다. 처음으로, NHTSA는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충돌시 뒷좌석 승객을 위한 머리 보호도 제공할 것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고속도로 안전 보험협회는 그의 연구 결과 머리 보호 에어백은 스포츠 범용차에서 운전자 사망을 52% 감소시켰고 또한 승용차에서는 37% 감소시킨 것으로 보고했다.
NHTSA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2009년까지 측면 에어백을 설치하겠다고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나서 대략 6개월 후인 2004년 5월에 측면 충돌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제 자동차 제조업체는 다른 차량 뿐만 아니라 정지 물체(도로에 있는 나무 및 다른 물체와 같은)와의 측면 충돌로부터 사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차량은 동적 기둥 시험(정지 물체와의 측면 충돌을 나타냄), 차량 전복 시험 및 가동 변형 배리어(MDB)시험(다른 차량과의 측면 충돌을 나타냄)을 포함한 더 가혹한 성능 시험을 받게 될 것이다. 전에는 NHTSA는 MDB 시험만 사용해서 시험하였다.
몇몇 머리 보호 에어백의 추가적인 이점은 이 에어백이 전복 사고 중의 부상 및 방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전복에 대한 에어백은 두가지 점에서 표준형과 다르다. 첫째, 에어백은 이러한 유형의 사고시 오랜 시간 동안 보상하기 위해 더 길게 팽창 상태로 유지되며, 둘째 충돌이 없더라도 센서가 차량이 언제 전복되려고 할 것인가를 평가하게 된다.
전형적인 측면 충돌은 시작부터 끝까지 대략 60밀리초 동안 일어나게 되며, 전복 충돌은 수초간 지속될 수 있다.
전복 보호를 갖는 일부 커튼형 에어백은 팽창의 대략 80%를 대략 5초 동안(차량이 대략 3회 연속 구르는 동안) 유지한다. 전복 보호를 위해 설계된 에어백은 비전복 커튼 설계 보다 약간 더 크다. 전복 보호를 위해 설계된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전체 창문을 덮게 되는데, 그리 하여 탑승자가 차량에서 방출될 기회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통계에 따르면, 차량 전복은 승용차 충돌의 단지 3%만 차지하는데, 하지만 이러한 전복이 가장 치명적인 것이다.
이 통계에 따르면, 측면 커튼 에어백은 기본적인 목적인 머리 부상 보호 장치에서 머리만 보호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차량에서 방출될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는 결합적인 장치로 발전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은 탑승자가 차량에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장 밴드 요소를 갖는 몇몇 측면 커튼 에어백을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 6,634,671 호에 이러한 장치가 교시되어 있다. 상기 인장 밴드 요소는 측면 커튼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에어백의 전개시 그 인장 밴드가 조여지고 나중에 약 7초 후에 풀어져 탑승자가 차량에서 빠져 나갈 수 있게 해준다.
이 종래 기술에 교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인장 밴드는 외부에서 측면 커튼 에어백의 하부 직물에 있는 구멍에 끼워져 있다.
개선은 측면 커튼 에어백의 전체적인 설계를 최적화하지 않고, 이러한 설계적절한 머리 부상 보호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머리 부상 보호 및 에어백 어셈블리와 에어백의 팽창가능한 쿠션 부분에 직접 설계된 통합형 내부 유지 및 방출 완화 대책 모두에 있어서 현저한 개선이 이루어진 개선된 측면 커튼 에어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를 차량 내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커튼 에어백을 포함하는 바, 이 커튼 에어백은 정상부, 바닥부 및 이들 정상부와 바닥부를 연결시켜 주는 제 1 측부와 그 반대편의 제 2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부는 차량의 측부에 있는 창문의 위치의 상방에 있는 차량의 대응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닥부는 에어백의 전개시 차량 창문의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2 측부 각각은 전개되는 에어백의 바닥부의 상방으로 대략 25㎜ 이하의 위치에서 차량의 각각의 인접한 제 1 및 2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은 에어백의 일체적인 부분 또는 그 에어백에 재봉되는 별개의 부분으로서 비팽창성 측면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에어백의 하부 또는 바닥부 가장자리의 보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을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c는 두열의 좌석을 갖는 승용차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을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측면 창문 개구의 바닥에서 측정된 차량에 대한 에어백 커튼 부착부의 수직방향 위치에 대한 추정된 내부 유지 가능성을 나타낸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3a 내지 도 3f는 에어백의 바닥 또는 하부 가장자리의 다른 상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제 1 실시 형태로서 측면 판넬의 하부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도 3a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3c는 접혀 에어백의 바닥을 따라 함께 재봉된 하부 가두리 영역을 나타내는 실시 형태이고, 도 3d, 도 3e 및 도 3f는 다른 대안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안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100)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에어백(100)은 승객 밴(van)이나 SUV와 같은 대형 차량(300)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에어백(100)은 차량(300)의 측면(302)에 대해 팽창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차량의 측면 창문은 가상선(304)으로 나타나 있다. 도 1b는 도 1a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백(100)을 나타내며, 양 도면에는 다수의 타원형 기호(102)가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기호(102)는 시험 인형의 머리가 NHTSA의 내부 유지 시험 절차에 따른 여러 시험 위치에서 에어백에 부딪히게 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커튼 에어백(100)의 다른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a의 단면 2-2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에어백(100)은 서로 마주하는 두 판넬재(104, 106)를 포함하며, 이들 판넬재는 당 업계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선택적으로 함께 재봉 또는 짜여져 있다. 실례를 들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된 에어백(100)은 함께 재봉된 에어백이지만, 에어백(100)은 일체형 직조 에어백 또는 판넬들이 함께 시일링되어 있는 에어백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술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판넬(104, 106)은 에어백의 주 팽창가능 영역(120)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주변 시임(seam: 110)(도 1a에도 나타나 있음)으로 함께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시일링된다. 에어백(100)의 주 팽창가능 영역(120)은 다수의 시일링된 직조이음부 또는 재봉된 시임(122)을 사용하여 더 작은 팽창가능 영역으로 세분될 수 있다. 이들 더 작은 팽창가능 영역은 도면부호 "124"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더 작은 팽창가능 영역의 수와 위치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많은 커튼 에어백에서 처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비팽창 영역(126)을 또한 포함하는데, 각 영역의 주변은 직조이음부 또는 재봉된 시임(125)으로 정해진다. 에어백(100)은 정상부(130), 바닥부(132)와 제 1 및 2 측부(134, 136)를 포함한다. 에어백(100)은 가스가 에어백에 들어가는 통로를 포함하며, 이 통로는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같이, 에어백(100)은 두개의 가스 유입부(140, 142)를 포함하는데, 이들 유입부는 엘보우(146)에 연결되는 유입부인 T-커넥터(144)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엘보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팽창기(148)에 연결되어 있다.
판넬(104, 106)에 있어서 시임(110)의 외부에 있는 영역(들)은 복수의 다양한 가두리 영역(150, 152, 154, 156)이 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두리 영역(150 내지 154)은 에어백(100)의 팽창가능 영역(120)의 외부에 위치되며, 따라서 각각의 가두리 영역은 팽창될 수 없다.
에어백(100)은 복수의 장착 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이들 장착 부재(160)의 특정 형성과 구성은 본 발명과는 관련이 없다. 장착 부재는 복수의 탭(tab: 16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 탭은 에어백(100)의 정상부 가두리 영역(150)에 재봉되거나 그 영역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 탭(160)은 개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착 부재는 상부 가두리 영역(150)내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164)(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구멍(164)을 사용하는 실시 형태에서, 도 1a와 관련된 상부 가두리 영역은 크기가 증가되어 있으며, 따라서 구멍(164)은 루프 레일(320)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개구(163)및/또는 구멍(164)을 갖는 장착 부재(160)는 차량(300)에 있어서 측면 창문(304)의 위쪽에 위치하는 영역에 에어백(100)을 장착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튼 에어백은 루프 레일(320)에 장착될 것이다. 나사 체결구나 스냅인 체결구와 같은 복수의 체결구들(미도시)이 상기 개구(163) 또는 구멍(164)을 통해 수용되어 루프 레일(320)에 조여져, 이 루프 레일과 체결구 사이에 장착 부재가 체결되게 된다. 에어백(100)의 끝 가두리 영역 측부(134, 136)는 차량(300)의 인접한 필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삼각형 판넬로 나타나 있는 제 1 판넬(180)이 일체적인 연장부로 형성되어 있거나 가두리 영역(154)에 있는 끝 측부(134)에 고정되며 또한 차량(300)의 전방 필라(A)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끝 측부(136)는 차량의 종류, 즉 C-필라, D-필라 또는 E-필라인지에 따라 제 2 판넬(182)에 의해 차량의 최후방 필라에 연결되며, 그 제 2 판넬 또한 예컨대 삼각형이고 단부(136)에서 끝 측부 가두리 영역(156)의 일체적인 연장부에 고정된다. 판넬(180, 182)은 에어백의 일부분인 것으로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제 1 및 2 판넬 각각은 창문 개구를 가능한 한 많이 덮도록 형성된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너에는 차량(300)의 인접한 부분에 직접 체결될 수 있는 판넬(180, 182)의 부착 또는 앵커 위치가 있다. 앵커(184 또는 186)는 각각의 앵커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들 앵커는 구멍을 갖는 쇠고리나 탭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일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안적인 실시 형태의 측면 커튼 에어백(100A)이 나타나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이 에어백(100A)은 에어백(100)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에어백(100A)의 후방부에서 상이한 에어백 부착 요소를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로드(187)가 사용된다. 이 로드(187)는 하부(183)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어, 에어백(100A)이 전개될 때 그 에어백의 하부가 상기 구부러진 로드(187)에 의해 인장되게 된다. 슬라이드 로드(187)는 부착부 또는 앵커(185, 186)에서 최후방 필라(필라 C, D 또는 E)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앵커 위치에서, 에어백은 개구(188)가 있는 탭(189)을 가지며, 슬라이드 로드(187)가 이 개구를 통과하여 탭(189)이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해준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앵커(186)의 위치는 상부 앵커(185)의 위치보다 더 뒤쪽에 있다. 이 슬라이드 로드(187)를 외부 위치결정 테더(tether)(EPT) 로드(187)라고 한다. 이 특유의 후방 부착 외에도, 에어백(100A)은 도 1a의 에어백(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모든 특징적인 점들을 갖는다.
도 1c에는 두열의 좌석을 갖는 승객 차량에서 사용되는 에어백(100B)이 도시되어 있다. 이 더 작은 에어백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에어백(100, 100A)과 동일한 구성 요소 및 특징적인 점들을 갖지만, 본 발명의 방출 대책을 여전히 포함하면서 더 작은 차량에 적응되도록 약간 수정되었다. 에어백(100B)은 차량(300)의 두 측면 창문을 덮으며, 부착 위치에서 앵커(184, 18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필라(A, C) 사이에 정착된다.
여러 판넬(104, 106), 주변 시임(110), 정상부(130), 바닥부(132) 및 정상부 가두리 영역(150) 및 하부 또는 바닥부 가두리 영역(152)과 같은 가두리 영역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2를 다시 참조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백(100 또는 100A)의 바닥부를 간략하게 보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의 하부 가두리 영역(152)은 접혀 가두리 영역(152)에 실(162)로 꿰매어져 있어, 이 하부 가두리 영역(152)이 효과적으로 보강되어, 에어백(100 또는 100A)의 신장이 감소된다. 보강된 가두리 영역(152)은 측방 앵커(184, 186)까지 이른다. 앵커 위치에 있는 앵커는 체결구를 받아들이는 구멍을 갖는 쇠고리나 탭일 수 있다. 도 2는 또한 에어백(100 또는 100A)이 차량 탑승자를 대표하는 NHTSA 머리 모형(20)(아래에서도 언급됨)에 의해 하중을 받을 때 그 에어백이 어떻게 변형되는 가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를 나타내는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한다. 도 3a는 판넬(104, 106)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추가로, 이들 판넬의 하부는 도면부호 "104A, 106A"로 나타나 있고, 하부 주변 시임(110)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판넬(104A, 106A)의 하부는 하부 가두리 영역(152)이다. 주변 시임(110)은 에어백(100)의 팽창가능 부분(120)을 가두리 영역(150, 15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100)이 일체형 직조 기술로 만들어져 있으면, 하부 주변 시임(110)은, 판넬(104, 106)의 두 하단부가 함께 일체적으로 짜여져 또한 하부 가두리 영역(152)을 형성하게 되는 영역으로 대체될 것이다.
도 3a의 하부를 참조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가두리 영역(152)은 제 1 상부 영역(152A), 제 2 하부 영역(152B) 및 접음선(160)으로 나누어진다. 측면 판넬(180, 182)에는 유사한 하부 가두리 영역(역시 도면부호 "152"로 나타나 있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들 측면 판넬은 가두리 영역(152A, 152B)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접음선(160)은 하부 주변 시임(110)의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며, 가두리 부분(152A, 152B)은 시임(110)으로부터 적어도 15㎜의 거리(Z)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하부 영역(152B)은 접음선(160) 위로 접혀 주변 시임(110)의 위쪽에 위치된다. 이어서, 제 2 하부 가두리 영역(152B)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변 시임(110)의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서 시임(162)으로 판넬(104, 106)을 통해 재봉된다. 또한, 판넬(180, 182)의 부분(152A, 152B)은 시임(110)의 연장부에서 함께 재봉된다. 도 3d는 가두리 영역이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4a 및 도 4b를 간략하게 참조한다. 도 4a에서, 접음선(160)은 시임(110)에서 더 멀리 위치한다. 전과 같이 제 2 하부 가두리 영역(152B)은 제 1 방향으로 접음선(160) 위로 접힌다. 그러나, 이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하부 가두리 영역(152B)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임(110)의 위치 아래쪽의 위치에서 시임(162)에 의해 상부 가두리 영역(152A)에 재봉된다. 가두리를 접어 다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가두리 영역의 신장률과 같거나 보다 작은 신장률을 갖는 스트립재(193)(도 3e에 나타나 있음)가 가두리 영역(152)에 재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 넓은 스트립(193)이 가두리 영역(152) 위로 접혀져 실(162)로 재봉될 수 있으며, 그리 하여 그 스트립(193)은 두개의 두께 층을 형성하게 된다. 경험에 의하면, 가두리 영역의 비용 효과적인 폭은 약 30㎜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가두리 영역의 폭은 이 치수의 배수일 수 있으며, 도 4c 및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말리거나 접히거나 또는 주름 잡혀서 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상에서 다중의 접힘부내에 단일 스트립(193)을 추가하면, 도 4c의 실시 형태는 도 4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정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도 4f는 판넬(104)이 스트립(193) 주위로 접혀 있고 또한 판넬(106)은 반대 방향으로 제 2 스트립(193) 주위로 접혀 실(162)로 함께 재봉되어 있는 하부 가두리 영역(152)을 나타낸다. 이들 모든 실시 형태는 이 하부 가두리 영역(152)을 보강하게 하여 탑승자에 대한 우수한 내부 유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가두리 영역(152B)을 접어 에어백(100)의 인접 부분(152)에 고정시키면, 가두리 영역(152)이 접혀 있지 않는 경우보다 에어백(100)의 하측 부분의 신장을 더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에어백의 신장 능력의 감소는 열린 창문을 통한 탑승자의 방출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또한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관련된 실시 형태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들 실시 형태에서, 판넬(104, 106)이 통상적으로 함께 재봉되어 있지만 접혀져 있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보강되어 있지 않은 변경 안된 또는 원래의 상태로 있는 에어백에 비해, 접혀 있는 가두리 영역 안에 어떤 물체가 내포되어 에어백의 하부 주변의 신장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5a에서, 가요성 로프 또는 와이어 또는 좌석 벨트와 같은 납작한 또는 말린 직조 재료 또는 부직 재료(170)가 판넬(104)에 인접하여 접음선(160)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가두리 영역(152)이 접음선(160) 주위로 접혀 로프나 와이어(170)를 에워싸게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처럼, 하부 가두리 영역(152B)은 시임(162)으로 에어백에 고정된다. 이 시임(162)은 또한 로프, 와이어, 벨트 또는 재료(170)에 가깝게 위치되어 그 로프나 와이어(170)를 에어백(100)의 바닥부(132)에 있는 접음선(160)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도 6a 및 도 6b를 간략하게 참조한다. 이들 도면에서 좌석 벨트 웨브(193)와 같은 소정 길이의 직물이 접음선(16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웨브(193)가 충분히 두꺼우면 접혀질 필요는 없는데, 하지만 그 웨브(193)에 의해 제공되는 보강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또한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웨브 자체를 접을 수 있다. 접히거나 그렇지 않는 웨브(193)는 접음선(16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두리 영역(152)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혀 웨브(193)를 감싸게 되며 시임(162)으로 측부(104, 106)에 재봉된다. 대안적으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봉 시임(195)에 의해 웨브(193)는 에어백(100 또는 100A)에 직접 재봉된다. 측면 충돌 중에, 차량의 탑승자는 팽창된 에어백(100 또는 100A)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로프, 와이어(170) 또는 좌석 벨트 웨브(193)가 있거나 없는 접힌 부분(152A, 152B)을 갖는 이제 더 보강하게 되어 있는 가두리 영역(152)은 전개되어 팽창된 에어백의 신장을 크게 감소시키며 또한 보강된 하부 영역(152)이 없는 에어백보다 탑승자를 차량(300)의 객실내에 유지시키는데 있어 더 효과적이다. 와이어나 로프(170) 또는 좌석 벨트 웨브의 단부는 각 앵커(184, 186)까지 이른다.
본 발명의 측면 커튼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점은, 그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의 팽창되는 목표 영역(102)의 전략적인 배치에 있다. 이들 목표 영역(102)은 측면 충돌 또는 전복 상태시 에어백에 있어서 머리 충돌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영역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6c에 있는 각각의 가두리 구성은 측면 판넬(180, 182)의 하측 부분에도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커튼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은 차량 탑승자를 차량(300)내에 구속시키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300)의 측부에 있는 창문(304)의 바닥 근처에 있는 목표 위치(102)에서 시험 머리 모형(20)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머리 모형(20)은 무게 중심(CG)을 갖는다. 목표 위치(102)의 하부는 에어백(100)의 보강된 가두리 영역(152)으로부터 25㎜ 이상의 거리로 벗어나 있다. 에어백(100)은 차량(300)의 측부(302)에 있는 창문(304)의 위치의 위쪽에서 그 차량(300)의 루프 레일(3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상부(130), 에어백(100)의 전개시 차량 창문(304)의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닥부(132), 및 상기 정상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제 1 및 2 측부(134, 136)를 가지며, 각각의 측부는 창문의 벨트 라인, 즉 차량의 창문 개구의 하부의 위쪽으로 138㎜ 이하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차량(300)의 각 인접 구조물에 판넬(180, 182)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NHTSA 시험 머리 모형(20)의 충돌 지점의 CG에 있거나 또는 그 CG의 아래쪽으로 최대 25㎜인 지점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성인과 어린이를 유리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튼 에어백, 바람직하게는 에어백(100)의 바닥부는 앞에서 도 3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된다.
커튼 에어백은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의 바닥부(132)를 가지며, 이 바닥부는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의 팽창가능 부분(120)의 아래쪽에 있는 가두리(152)를 포함한다. 이 가두리(152)는 에어백(100)의 팽창가능 부분(120)의 아래쪽에 있는 제 1 가두리 부분(152A) 및 이 제 1 가두리 부분(152A)의 아래쪽에 있는 제 2 가두리 부분(152B)을 포함하며, 제 2 가두리 부분(152B)은 제 1 가두리 부분(152A) 위로 접히거나 말려 접힘부 또는 말림부를 형성하게 되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152A, 152B)은 함께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어, 에어백(100)의 바닥부를 보강하고 또한 본질적으로 에어백(100)의 바닥부(132)의 전체 보강성을 포함하는 에어백의 하측 말단부의 신장을 감소시키게 된다.
신장 억제 부재라고도 하는 보강 부재(170 또는 193)가 제 1 및 2 가두리 부분(152A, 152B)을 함께 고정하기 전에 상기 접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 또는 신장 억제 부재(170 또는 19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부(160)의 바닥부 근처에 배치되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152A, 152B)을 함께 체결하는 시임(162)이 또한 보강 부재(170 또는 193)를 대체로 접힘부(160)의 바닥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유지한다. 각각의 보강 부재의 단부는 인접한 앵커(184, 186)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 부재(170, 193)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측면 판넬(180, 182)의 바닥부에 있는 접힘부(162)를 따라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프나 와이어(170) 또는 직물 또는 웨브(193) 중의 하나일 수 있다(이것은 예컨대 재봉질, 접착, 초음파 용접 또는 다른 유사한 수단으로 주름잡히거나, 말리거나, 접히거나 또는 부착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탑승자를 차량내에 유지시키기 위한 커튼 에어백(100, 100A 또는 100B)은 바람직하게는 정상부(130), 바닥부(132) 및 이들 정상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제 1 측부(134)와 그 반대편의 제 2 측부(136)를 갖는다. 정상부는 차량의 측부에 있는 창문(304)의 위치의 상방에서 차량(300)의 대응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부(132)는 에어백의 전개시 차량 창문(304)의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2 측부(104, 106) 각각은 NHTSA 시험 머리 모형 충돌 위치의 무게 중심의 아래쪽으로 25㎜ 이상의 정착 위치(X)에서 판넬(180, 182)을 사용하여 차량(300)의 각 인접한 제 1 및 2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적으로 상기 정착 위치는 창문 개구의 최하부의 위쪽으로 적어도 113㎜인 지점에 있도록 배치된다. 실례를 들기 위한 113㎜ 높이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장착 범위의 상한에 있다.
이 에어백(100)에서 전개되어 팽창된 에어백의 보강된 하부는 전복 상태 중에 차량 탑승자의 머리와 목 보다 훨씬 아래쪽에 있게 될 것이며, 그리 하여 머리는 에어백(100)의 정착 위치와 보강된 바닥부 모두의 위쪽에서 부딪힐 수 있게 된다. 앵커(184, 186)를 위한 정착 위치가 에어백(100)의 측방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있게 되면, 탑승자를 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탑승자가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판넬(180, 182)의 하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의 보강된 하부는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여, 에어백이 충돌 사고 중에 절단되거나 조기에 찢어지는 경우에 에어백(100) 안에 남아 있는 팽창 압력의 양에 상관 없이 탑승자가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음영 영역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착 위치의 최적 위치는 바람직한 장착 범위의 상한 근처에 도시되어 있는데, 하지만 앵커는 그 바람직한 장착 범위내의 어느 지점에도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정착 위치가 고정되면, 측면 커튼 에어백의 팽창되는 부분이 충돌 머리의 하부를 넘어 적어도 25㎜까지 연장되도록, 보강된 바닥부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는 보강된 하부의 위쪽에서 에어백의 팽창된 부분에 이상적으로 부딪히게 될 것이다.
설명을 위해, 차량 필라에 정착 또는 커튼 부착물을 전략적으로 배치하는 본 발명의 구상이 도 2a에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이 그래프에서, 내부 유지 가능성은 앵커 위치가 창문 개구의 최하부(보통 벨트 라인이라고 함)의 위쪽으로 113㎜에서 설정될 때 최고가 된다. 앵커 위치가 상기 개구의 위쪽으로 138㎜까지 올라가면(이는 시험 머리 모형(20)의 CG의 위치에 대응함), 내부 유지가 크게 저하되지는 않는데, 하지만 앵커 위치가 이 거리를 초과함에 따라 내부 유지는 빠르게 저하된다. 흥미롭게도, 이 113㎜ 위치 아래의 정착 위치는 내부 유지에 있어 열등하게 된다. 이는 앵커를 창문 개구에 두거나 그 아래쪽에 두면 내부 유지에 대한 이점이 얻어지지 않음을 의미하는데, 사실 약간이지만 그럼에도 내부 유지 가능성이 상당히 감소되며 또한 에어백의 가격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보강된 하부 또는 바닥부 가두리 영역(152)만 보강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주변 시임(110)을 따른 모든 단부(152, 154, 156)가 보강될 수 있다. 루프 레일을 따라 고정되는 정상부는 추가적인 보강는 필요 없을 수 있지만, 에어백의 전후방 단부는 필요한 경우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00 또는 100A)은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필요한 경우 팽창부에 인접한 주변을 따라 추가적으로 보강되어, 전개된 측면 커튼 에어백의 하부를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각 판넬(180, 182)의 외측 측면 가장자리(154A, 156A)를 따라 있는 보강된 부분을 갖는 다른 에어백(100C)을 나타낸다. 이 에어백(100C)은 또한 신장 억제 부재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전형적인 측면 판넬(180, 182)의 구성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판넬(180, 182)은 가두리 영역(152A)을 갖는 하부 가두리 영역(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또한 접음선(160) 및 시임(162)의 부분에 있어서 판넬(180, 182)의 일부분(152A, 152B)을 함께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에어백(100C)은 기능면에서 하부 가두리 영역(152)과 유사한 확대된 상부 가두리 영역(252)을 포함하는 점에서 전술한 에어백과 다르다. 양 판넬(180, 182)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보강된 가두리 영역(262)은 탑승자를 위한 향상된 보호를 제공한다.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이 상부 가장자리는 인장된다. 가두리 영역(252)은 부분(252A, 252B)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가두리 영역(152A, 152B)이 시임(162)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부분(252B)은 접음선(160) 위로 접혀 시임(162)을 사용하여 부분(252A)에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장 억제 부재(170, 193) 중 어느 것도 상하부 가두리 영역의 접힌 부분으로 형성되는 단(hem)을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접힌 가두리 영역(152)내에 있는 신장 억제 부재는 각 하부 앵커(184 또는 186)에서 끝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신장 억제 부재(170 또는 193)는 상부 가두리 영역(252)의 접힌 부분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앵커(184 또는 186)로부터 대응 탭(160)까지 이를 수 있다. 하부의 접힌 가두리(152)에 있는 신장 억제 부재(170, 192)는 하부 앵커(184 또는 186)를 통과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상부 탭(160)까지 이를 수 있다. 도 7은 대안적인 측방 앵커(184, 186)를 나타내는데, 이 앵커는 판넬(184, 186)에 고정되는 탭 및 이 탭에 고정되는 링(256)을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되어 있는 본 발명의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에서 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특정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와 상세를 나타냈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의 첨부된 청구 범위로 규정되어 있는 같은 본 발명의의도하는 완전한 범위내에 속하는 변경이 전술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차량 탑승자를 차량(300) 내부에 구속시키는 커튼 에어백(100, 100A)으로서, 상기 에어백은 차량의 측부에 있는 창문(304)의 바닥부 근처의 목표 위치에서 시험 머리 모형(20)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 모형은 무게 중심(CG)을 가지며, 상기 목표 위치의 하부는 에어백의 팽창되는 부분의 바닥부에서 벗어나 있는,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차량의 측부에 있는 창문의 위치의 상방에 있는 차량(300)의 루프 레일(3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상부(130),
    에어백의 전개시 차량 창문의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닥부(132), 및
    상기 정상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제 1 측부(104)와 제 2 측부(106)를 포함하고,
    각각의 측부는 측방향 단부(180, 182)를 가지되, 상기 측방향 단부(180, 182)는 상기 머리 모형의 무게 중심의 충돌 지점의 아래쪽으로 25mm 또는 수직방향 위치 X에서 각각 차량의 인접한 제 1 및 제 2 필라에, 상기 커튼 에어백(100)의 상기 측방향 단부(180, 182)측에서의 앵커 위치(184, 186)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앵커 위치는 상기 창문의 개구의 가장 낮은 부분 위에 설정되고,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는 보강되어 있고,
    상기 앵커 위치는 상기 창문의 개구의 가장 낮은 부분 위 113mm 내지 138mm 사이에 설정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되는 부분은 상기 머리 모형의 충돌 지점보다 낮은 부분을 지나서 상기 커튼 에어백(100)의 보강된 바닥부(132)로 적어도 25mm 연장되며,
    상기 보강된 바닥부(132)는 상기 에어백의 전체 길이를 따라 측방향의 앵커(184, 186)까지 연장되는
    커튼 에어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의 신장(elongation)이 원래 에어백의 신장보다 감소하는
    커튼 에어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의 아래쪽에 있는 가두리(selvage)(150 내지 156)를 포함하고, 상기 가두리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120)의 아래쪽에 있는 제 1 가두리 부분, 및 상기 제 1 가두리 부분의 아래쪽에 있는 제 2 가두리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두리 부분이 다른 재료층의 추가에 의해 보강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가두리 부분이 제 1 가두리 부분 위로 접히거나 말려 접힘부 또는 말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이 함께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됨으로써, 에어백의 바닥부를 보강하여 에어백의 신장을 감소시키는
    커튼 에어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전에, 강화 부재(170, 193)가 상기 접힘부 내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부재는 접힘부의 바닥부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을 함께 체결하는 시임이 또한 강화 부재를 접힘부의 바닥부에 유지시키는
    커튼 에어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부재는 소정 길이의 로프, 와이어, 직물, 웨브 중 하나인
    커튼 에어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측부(154A, 156A)를 포함하고, 이들 측부(154A, 156A)는 에어백의 각 측부의 신장이 원래 에어백의 신장보다 감소하도록 보강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의 측부(154A 내지 156A)에서 제 1 측면 가두리(25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면 가두리는 에어백의 정상부를 따른 앵커에서부터 에어백의 측부를 따른 앵커(184, 186)까지 연장되며, 제 1 측면 가두리 부분이 다른 재료층의 추가에 의해 보강되거나, 또는 가두리 부분이 제 1 측면 가두리 부분 위로 접히거나 말려 접힘부 또는 말림부를 형성하고, 제 1 측면 가두리 부분이 함께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됨으로써, 에어백의 측부를 보강하여 에어백의 각 측부의 신장을 감소시키는
    커튼 에어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가두리의 접힌 영역 내에는 소정 길이의 로프, 와이어, 직물 또는 웨브 중 하나를 포함하는 강화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11. 차량 탑승자를 차량(300) 내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커튼 에어백(100, 100A)에 있어서,
    정상부(130), 바닥부(132), 및 상기 정상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제 1 측부(104)와 그 반대편의 제 2 측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부는 차량의 측부에 있는 창문(304)의 위치의 상방에 있는 차량의 대응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는 에어백의 전개시 차량 창문의 하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 1 및 제 2 측부는 측방향 단부(180, 182)를 가지되, 상기 측방향 단부(180, 182)는 차량 창문 개구의 바닥부의 상방으로 113mm 이상인 위치에서 각각 차량의 인접한 제 1 및 제 2 필라에, 상기 커튼 에어백(100, 100A)의 상기 측방향 단부(180, 182)측의 앵커 위치(184, 186)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되는 부분의 바닥부는 강화된(stiffened) 바닥부의 접힌 가장자리 부분까지 연장되고,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는 보강되어 있고,
    상기 보강된 바닥부(132)는 상기 에어백의 전체 길이를 따라 측방향의 앵커(184, 186)까지 연장되는
    커튼 에어백.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의 아래쪽에 있는 가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두리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의 아래쪽에 있는 제 1 가두리 부분, 및 상기 제 1 가두리 부분의 아래쪽에 있는 제 2 가두리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두리 부분이 제 1 가두리 부분 위로 접히거나 말려 접힘부 또는 말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이 함께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됨으로써, 에어백의 바닥부를 보강하여 에어백의 바닥부의 신장을 감소시키는
    커튼 에어백.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및 2 가두리 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전에, 강화 부재가 상기 접힘부 내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부재는 접힘부의 바닥부 근처에 배치되며, 제 1 및 2 가두리 부분을 함께 체결하는 시임이 또한 강화 부재를 접힘부의 바닥부 근처에 유지시키는
    커튼 에어백.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부재는 소정 길이의 로프, 와이어, 직물 또는 웨브 중 하나인
    커튼 에어백.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측부(154A, 156A)를 포함하고, 이들 측부(154A, 156A)는 에어백의 각 측부의 신장이 원래 에어백의 신장보다 감소하도록 보강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바닥부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의 측부(154A 내지 156A)에서 제 1 측면 가두리(25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면 가두리는 에어백의 정상부를 따른 앵커에서부터 에어백의 측부를 따른 앵커(184, 186)까지 연장되며, 제 1 측면 가두리 부분이 다른 재료층의 추가에 의해 보강되거나, 또는 가두리 부분이 제 1 측면 가두리 부분 위로 접히거나 말려 접힘부 또는 말림부를 형성하고, 제 1 측면 가두리 부분이 함께 재봉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됨으로써, 에어백의 측부를 보강하여 에어백의 각 측부의 신장을 감소시키는
    커튼 에어백.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가두리의 접힌 영역 내에는 소정 길이의 로프, 와이어, 직물 또는 웨브 중 하나를 포함하는 강화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KR1020127010741A 2009-10-28 2010-10-27 커튼 에어백 KR10176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558109P 2009-10-28 2009-10-28
US61/255,581 2009-10-28
PCT/US2010/054236 WO2011056637A1 (en) 2009-10-28 2010-10-27 Ejection countermeasures for curtain air ba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654A KR20120098654A (ko) 2012-09-05
KR101765965B1 true KR101765965B1 (ko) 2017-08-07

Family

ID=4363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741A KR101765965B1 (ko) 2009-10-28 2010-10-27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82151B2 (ko)
KR (1) KR101765965B1 (ko)
DE (1) DE112010004206B4 (ko)
GB (1) GB2486623B (ko)
WO (1) WO2011056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1626A1 (ja) * 2012-04-23 2013-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9156427B2 (en) * 2014-01-08 2015-10-13 Autoliv Asp, Inc.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KR101718690B1 (ko) * 2014-02-12 2017-04-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JP2017065398A (ja) * 2015-09-29 2017-04-06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9908499B2 (en) * 2016-02-23 2018-03-06 Autoliv Asp, Inc. Curtain airbag assembly with stiffening chamber
EP3459795B1 (en) * 2016-05-20 2020-11-2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US10836342B2 (en) * 2017-10-31 2020-11-17 Toyoda Gosei Co., Ltd. Airbag for head protection
JP7070302B2 (ja) * 2018-10-03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DE102018129578A1 (de) * 2018-11-23 2020-05-28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EP3900986B1 (en) * 2018-12-20 2023-10-18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130466B2 (en) 2019-03-08 2021-09-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deployment controlling tether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54A (ja) 1998-06-01 2001-01-09 Takata Corp エアバッグ
US20050230939A1 (en) * 2004-04-20 2005-10-20 Takata Corporation Knee-ba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4068B (en) * 1997-04-11 2001-01-1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US6073961A (en) * 1998-02-20 2000-06-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side airbag curtain module
JP2000085510A (ja) * 1998-09-14 2000-03-28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とインフレータとの連結構造
US6176515B1 (en) * 1999-10-07 2001-01-2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JP2001246999A (ja) * 2000-03-02 2001-09-11 Takata Corp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US6382660B1 (en) * 2000-04-07 2002-05-07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assembly
US6450529B1 (en) * 2000-06-23 2002-09-17 Breed Automotive Technologies, Inc. Inflatable side air bag curtain module with chamber separators
DE20018091U1 (de) 2000-10-23 2001-03-08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US6338498B1 (en) * 2000-10-26 2002-01-15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 bag providing enhanced coverage
US6626456B2 (en) * 2001-06-26 2003-09-30 Autoliv As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table curtain wrap
GB2377913B (en) * 2001-07-26 2004-09-01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 bag arrangement
US6709008B2 (en) * 2001-11-19 2004-03-23 Autoliv Asp, Inc. Retractable tethering device for curtain airbag
US6695347B2 (en) * 2001-11-29 2004-02-24 Autoliv Asp, Inc. Self-adjusting tether strap for inflatable curtain
US6758492B2 (en) * 2001-12-18 2004-07-06 Delphi Technology, Inc. Curtain air bag including inflatable perimeter gas channel
US7413214B2 (en) * 2002-01-08 2008-08-19 Milliken & Company Airbag made from low tenacity yarns
GB2389823A (en) * 2002-06-21 2003-12-24 Autoliv Dev An airbag having a gusset of excess fabric between the gas inlet throat and the inflatable region of the bag
US6991255B2 (en) * 2002-06-25 2006-01-31 Autoliv Asp, Inc. Interconnectable inflatable airbag cushion module
GB2399792A (en) * 2003-03-24 2004-09-29 Autoliv Dev An air-bag mounting arrangement
DE10392877T5 (de) * 2003-06-24 2005-09-01 Autoliv ASP, Inc., Ogden Verbindbares Airbagkissen-Modul
US7278655B2 (en) * 2003-09-24 2007-10-09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US20050082797A1 (en) * 2003-10-16 2005-04-21 Richard Welford Expanding net integral with an inflatable airbag curtain
US20050184492A1 (en) * 2004-02-20 2005-08-25 Shilliday David M. Inflatable cushioning devices
US7404571B2 (en) * 2004-02-26 2008-07-2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Linear inflator and mounting clip
DE102005042313B4 (de) * 2004-09-08 2015-12-31 Toyoda Gosei Co., Ltd. Airbaggerät und Airbagfaltverfahren
DE102005001598A1 (de) * 2005-01-12 2006-07-2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irbags
US20060208466A1 (en) * 2005-03-18 2006-09-21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Curtain airbag bottom fill
US7547038B2 (en) * 2005-07-28 2009-06-16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with multi-layered tab
EP1925510B1 (en) * 2006-11-24 2012-08-15 Mazda Motor Corporation Interior structure of vehicle equipped with curtain airbag device
JP4780021B2 (ja) * 2007-04-02 2011-09-28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963549B2 (en) * 2009-04-02 2011-06-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cushion assemblies with modified throat portions
US8056924B2 (en) * 2009-08-20 2011-11-15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alignment apertures
US8196952B2 (en) * 2009-09-02 2012-06-12 Autoliv Asp, Inc. Integrated airbag closing and inflator mounting members for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54A (ja) 1998-06-01 2001-01-09 Takata Corp エアバッグ
US20050230939A1 (en) * 2004-04-20 2005-10-20 Takata Corporation Knee-ba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654A (ko) 2012-09-05
GB201207174D0 (en) 2012-06-06
US8382151B2 (en) 2013-02-26
GB2486623A (en) 2012-06-20
US20120193898A1 (en) 2012-08-02
GB2486623B (en) 2017-01-18
DE112010004206B4 (de) 2017-01-26
WO2011056637A1 (en) 2011-05-12
DE112010004206T5 (de)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965B1 (ko) 커튼 에어백
JP673488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KR10148176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US9580039B2 (en)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JP6373547B2 (ja) 乗員拘束システム
US7922193B2 (en) Airbag device
US7073619B2 (en) Vehicle frontal airbag system
US7665761B1 (en)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9533652B1 (en) One-directional valve for multi-chamber airbags
JP3020795U (ja) エアバッグ
JP5656646B2 (ja) エアバッグ
US7712773B2 (en) Cinch ring for tightening tethers of an inflatable airbag
US8641088B2 (en) Side-impact airbag module
US8613466B2 (en) Side-impact airbag module
JP590191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WO2012009049A1 (en)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arm-manipulating side airbags
US7735858B2 (en) Airbag device
US9963102B1 (en) Top fill curtain airbags
CN117460649A (zh) 具有辅助展开包裹件的正面安全气囊系统
EP1256491B1 (en) Head-protecting bag device for occupants in an automobile
JP5938176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5577134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02067848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