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224B1 -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 Google Patents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224B1
KR101765224B1 KR1020150163244A KR20150163244A KR101765224B1 KR 101765224 B1 KR101765224 B1 KR 101765224B1 KR 1020150163244 A KR1020150163244 A KR 1020150163244A KR 20150163244 A KR20150163244 A KR 20150163244A KR 101765224 B1 KR101765224 B1 KR 10176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pply
label
labeling
samp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203A (ko
Inventor
전상균
최균재
김완석
Original Assignee
(주)셀트라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트라존 filed Critical (주)셀트라존
Priority to KR102015016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2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2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6Devices for presenting articles in predetermined attitude or position a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외진단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검체용기와 슬라이드에 자동으로 라벨링을 실시하는 체외검사진단용 자동 라벨링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검체용기와 상기 슬라이드가 일측 방향에 복수의 열로 배열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일측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를 이송하면서 수량을 감지한 상태에서 라벨을 부착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방향에 복수 열로 배열하도록 배출되는 라벨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방향에 복수 열로 위치한 상기 검체용기와 한쌍을 이루도록 동일한 열의 하부에 각각 상기 슬라이드가 위치하도록 상기 라벨을 부착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Automatic Labeling for In-Vitro Diagnostics}
본 발명은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외진단에 사용되는 검체가 보관되는 검체용기와 검체용기에 담겨진 세포를 도말하는 슬라이드에 각각 검체별로 동일한 라벨이 부착되도록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라벨링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진단 시간을 단축시키고, 라벨에 의해 정확한 식별과 이력 추적이 가능함에 따라 진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체외진단용 자동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검사는 질환 및 건강관련 신체지표와 인체 내 물질이나 요인을 신속하게 측정하고 진단 할 수 있는 검사이다.
이런, 진단검사는 체내진단검사(in vivo diagnostics)와 체외진단검사 (in vitro diagnostics, IVD)로 나눌 수 있으며, 체내진단검사는 엑스레이, MRI, 심전도등 의료장비를 활용하는 것이고 체외진단검사는 혈액 및 뇨 등의 탈락세포를 체취하여 질병의 정도와 감염여부를 생체 밖에서 평가하는 검사이다.
체내진단검사에 경우에는 의료장비를 활용하는 것으로, 병원이나 검사기관에 피검자가 내방하여 의료장비를 취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의해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된 결과를 의사와 같은 전문 의료인에 의해 신체 상태와 질병 유무 판단을 하는 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피검자가 의료장비를 통해서 검사 시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검사를 위해서 약물이 피검자에게 투여되어야 함에 따라 피검자의 체질이나 상태에 따라 신체에 나쁜 작용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피검자의 신체에서 분비되는 혈액, 타액, 오줌 등의 검체를 수거하여 대량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다양한 형태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 한번의 검사로 여러 항목의 질환 및 건강관련 신체지표를 검사할 수 있는 체외진단검사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체외진단검사는 체외 물질인 검체를 이용함에 따라 피검자에 신체적으로 아무런 영향이 없이 수시로 검사할 수 있고, 검체를 가지고 검사할 수 있는 질환 및 건강관련 신체 지표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증대됨에 따라 질환의 초기발견과 건강이 나빠지는 신체 지표를 미리 인지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횟수와 수량이 증대되고 있다.
통상적인 체외진단검사는 스왑으로 검체를 체취한 후에 검체의 오염과 감염을 최소화하는 보존액이 담겨진 보존용기에 보관한 상태에서 검사 위치로 이동하여 검사 목적에 맞는 시약과 스왑에 흡수된 검체와 반응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런, 시약 검사인 경우에는 검사되는 항목이 제한적이고, 시약의 반응률과 검체의 채취 상태에 따라 확진율이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검체 내의 탈락 세포를 슬라이드에 도말한 상태로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양한 바이러스와 조기 암진단에 기여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술된, 슬라이드를 이용한 체외진단검사는 검체용기에 담겨진 검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슬라이드에 도말한 상태에서 현미경을 통해서 검체의 탈락 세포를 관찰하여 질환 및 건강관련 신체지표를 검사함에 따라 기존의 검사 방법 보다 확진율을 향상시키면서 검사 항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런, 슬라이드를 이용한 체외진단검사는 먼저, 피검자의 검체를 채집하여 보관하는 검체용기에 피검자의 정보를 채취자가 직접 수기로 라벨링을 실시하고, 검사자가 검체용기에서 검체를 도말한 슬라이드를 생성 시에 검체용기의 피검자 정보를 채취자가 작성된 정보를 기초로 라벨링을 실시한다.
즉, 피검자의 정보는 채취자가 기록한 라벨링 정보를 기반으로 검사자가 슬라이드에 기록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피검자의 정보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자는 대량으로 수거된 검체용기 각각에 대응되는 슬라이드에 피검자의 정보를 기록하면서 검체의 도말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검체용기의 라벨이 오염되거나, 실수에 의해 다른 피검자의 정보로 기록하게 되면 다른 검사 결과를 피검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검사 신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검체용기 별로 검사자가 슬라이드를 준비하여 기록하면서 도말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검사 시간이 지체되고, 검사 후에도 검체용기에 라벨링된 피검자와 슬라이드에 라벨링된 피검자의 일치되는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검사 시간이 지체되고, 검사의 숙련도에 따라 슬라이드에 실수 또는 오기로 기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슬라이드를 이용한 체외진단검사는 탈락 세포를 현미경을 관찰하여 다양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하고 많은 검사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나, 피검자의 정보가 부족하여 유용한 데이터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피검자의 다양한 정보를 검체용기와 슬라이드에 한쌍으로 자동으로 라벨링함에 따라 검체 용기와 슬라이드의 잘못된 표기와 오기재를 방지하면서 검사 후에 검사 결과 데이터와 함께 매칭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검사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외진단에 사용되는 검체가 보관되는 검체용기와 검체용기에 담겨진 세포를 도말하는 슬라이드에 각각 검체별로 동일한 라벨이 부착되도록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라벨링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진단 시간을 단축시키고, 라벨링에 의해 정확한 식별과 이력 추적이 가능함에 따라 진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는 체외진단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검체용기와 슬라이드에 자동으로 라벨링을 실시하는 체외검사진단용 자동 라벨링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검체용기와 상기 슬라이드가 일측 방향에 복수의 열로 배열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일측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를 이송하면서 수량을 감지한 상태에서 라벨을 부착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방향에 복수 열로 배열하도록 배출되는 라벨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방향에 복수 열로 위치한 상기 검체용기와 한쌍을 이루도록 동일한 열의 하부에 각각 상기 슬라이드가 위치하도록 상기 라벨을 부착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검체용기가 상부에서 이송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하부에서 이송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어 안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홈형태로 타측의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공급홈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홈과 연통되면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이송홈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홈과 연통되면서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에 위치한 상기 라벨부착부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공급정렬홈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정렬홈에 연통되어 상기 라벨부착부에서 상기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라벨링홈을 형성하며, 상기 라벨링홈과 연통되어 있으며, 라벨링된 상기 검체용기를 배출하여 일측에 복수의 열로 정렬되도록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라벨부착부에서 배출되어 복수 열로 정렬되는 배출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정렬홈의 하부에는 정렬된 상기 검체용기와 한쌍이 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드가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탈장착되는 공간형태의 슬라이드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상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이송 시에 일측에 정렬되는 상기 배출정렬홈의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된 몸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홈에서 삽입 이송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홈을 따라서 상기 검체용기를 상기 이송홈 위치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홈과 상기 이송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이송홈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공급회전체; 상기 공급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홈으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공급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홈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홈을 따라서 상기 검체용기를 상기 공급정렬홈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몸체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홈과 상기 공급정렬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공급정렬홈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이송회전체; 상기 이송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홈으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정렬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이송체; 및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정렬홈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정렬홈을 따라서 상기 검체용기를 상기 라벨부착부로 이송시키는 공급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라벨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정렬홈과 상기 라벨링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라벨링홈으로 공급시키도록 회전되는 라벨링공급회전체; 상기 라벨링공급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정렬홈으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링공급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라벨링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라벨링공급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타측에 다른쪽 측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상기 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겨진 롤러 형태로 회전에 의해 상기 라벨을 공급하는 용기라벨공급체; 상기 몸체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타측에 한쪽 측면으로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에서 상기 라벨 부착 후 상기 공급지를 회수하기 위해서 회전하면서 권회하도록 구비된 용기라벨회수체;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와 상기 용기라벨회수체 사이에 복수의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 위치에서 상기 공급지가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라벨이 상기 검체용기 부착 위치로 이송시키는 용기라벨지지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한쪽 측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쐐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라벨이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에서 상기 용기라벨회수체로 이송되면서 걸림되어 상기 공급지에서 분리시켜 상기 검체용기에 부착되도록 설치된 라벨분리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과 상기 배출정렬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배출정렬홈으로 배출되도록 회전되는 라벨링배출회전체; 및 상기 라벨링배출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에서 상기 라벨이 라벨링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링배출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정렬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라벨링배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타측으로 상기 라벨링공급회전체와 상기 라벨분리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링홈으로 공급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공간에 탈 장착되도록 구비되어 일측면에 중앙으로 상기 배출정렬홈에 정렬된 상기 검체용기의 배열된 위치 마다 상기 슬라이드가 하나씩 공급되도록 관통된 공급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공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치홈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작동에 의해 적층된 상기 슬라이드 중에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공급공을 통해서 일측으로 이동 배출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배출체;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공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에 부착되는 상기 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겨진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라벨을 공급하는 라벨공급롤러;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공의 다른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상기 라벨이 부착된 상기 공급지가 상기 공급공을 거쳐 상기 라벨 부착한 후에 상기 공급지가 회전에 의해 회수되는 라벨회수롤러; 및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공급공의 상부 위치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라벨공급롤러에서 공급된 상기 라벨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하강에 의해 가압하여 부착하도록 설치된 가압부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공의 하부에 일측으로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하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상기 슬라이드배출체의 작동으로 배출된 상기 슬라이드가 지지되는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하부가 낮아진 경사 위치에 상부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상기 슬라이드의 이탈이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 지지되는 배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체외진단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검체가 보관된 검체용기를 이송하면서 자동으로 라벨링을 실시한 후에 복수로 배열하게 되면 배열된 위치마다 동일한 정보가 라벨링된 슬라이드가 자동으로 공급되어 검사자가 동일한 라벨이 라벨링된 슬라이드와 검체 용기를 한쌍으로 공급받아 라벨링을 실시함에 따라 라벨링 오류를 최소화하여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동일한 라벨이 라벨링된 검체용기와 슬라이드가 동일한 열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이송시켜 배열함에 따라 검사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동일한 라벨이 라벨링된 검체용기와 슬라이드를 한쌍으로 취급함으로써, 검사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검체용기와 슬라이드에 라벨링되는 라벨은 단순한 구조로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바코드나 QR코드 등의 기호 형태로 제작하여 검체용기와 슬라이드에 한쌍으로 부착되어 라벨링됨에 따라 피검자와 검사 형태에 따른 정보가 라벨링되어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검진 대상과 검진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양한 의료 정보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검체용기를 공급하면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라벨링을 실시하고, 라벨링을 실시하면서 공급되는 수량을 점검하면서 일측에 기설정된 수량을 한열로 정렬하도록 이동되면 하부에 동일한 열에 슬라이드를 배치하여 동일한 라벨이 라벨링시킨 후에 검체용기와 슬라이드를 동시에 한쌍으로 인출하여 사용함에 따라 검사 시간이 축소되고, 검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몸체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에서 몸체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에서 몸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에 슬라이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몸체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에서 몸체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에서 몸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에 슬라이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의 주요 부분인 슬라이드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100)는 체외진단검사를 위해서 채취된 검체를 검체용기(10)에 담겨진 상태에서 공급하면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라벨을 라벨링하여 일측에 복수열로 정렬 배출하고, 정렬된 위치의 하부에 각 열에 맞추어 검체용기(10)와 동일한 라벨을 라벨링하여 배출하여 동일한 라벨이 라벨링된 검체용기(10)와 를 한쌍으로 검사자에게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런,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100)는 복수의 검체용기(10)와 복수의 슬라이드(20)가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라벨링되는 몸체부(110), 이송부(120), 라벨부착부(130), 및 슬라이드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상부에 검체용기(10)가 이동하면서 라벨링하고, 하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라벨링하는 몸체(111), 및 몸체커버(118)를 포함한다.
몸체(111)는 검체용기(10)가 상부에서 이송되고, 슬라이드부(140)가 하부에서 이송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어 안쪽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타측에서 일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검체용기(10)가 삽입 이동되는 홈형태의 이동통로를 구비하여 이동을 지지하고, 하부에는 슬라이드부(140)가 탈 장착되도록 구비된다.
몸체(111)의 안쪽에는 상부가 개방된 홈형태로 타측의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검체용기(10)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공급홈(112)을 형성한다. 공급홈(112)은 몸체(111)의 타측에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이어진 홈 형태로 검체용기(10)가 삽입 공급되어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몸체(111)의 안쪽에는 공급홈(112)과 연통되면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검체용기(10)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이송홈(113)을 형성한다. 이송홈(113)은 공급홈(112)에 연통되도록 일측에 다른쪽 측면에서 안쪽 측면으로 이어진 홈 형태로 검체용기(10)가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1)의 안쪽에는 이송홈(113)과 연통되면서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에 위치한 라벨부착부(130)로 검체용기(10)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공급정렬홈(114)을 형성한다. 공급정렬홈(114)은 이송홈(113)과 연통되어 라벨부착부(130)에서 라벨링하기 위해서 정렬되는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이어진 홈 형태로 검체용기(10)가 이송부의 작동으로 이송홈(113)에서 라벨부착부(130)로 공급되기 전에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몸체(111)의 안쪽에는 공급정렬홈(114)에 연통되어 라벨부착부(130)에서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검체용기(10)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라벨링홈(115)을 형성한다. 라벨링홈(115)은 타측에 검체용기(10)의 라벨링을 실시하는 라벨부착부(130)가 설치되어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이동 간에 라벨링이 실시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몸체(111)의 안쪽에는 라벨링홈(115)과 연통되어 있으며, 라벨링된 검체용기(10)를 배출하여 일측에 복수의 열로 정렬되도록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라벨부착부(130)에서 배출되어 복수 열로 정렬되는 배출정렬홈(116)이 형성된다. 배출정렬홈(116)은 라벨부착부(130)가 설치되어 라벨링을 실시하는 라벨링홈(115)과 연통되어 라벨링을 마친 검체용기(10)가 일측에 복수의 열로 배열하기 위해서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몸체(111)의 하부에는 배출정렬홈(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된 검체용기(10)와 한쌍이 되도록 슬라이드(20)가 공급되는 슬라이드부(140)가 탈장착되는 공간 형태의 슬라이드공간(117)이 형성된다.
몸체커버(118)는 몸체(111)의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111) 상부에서 이동되는 검체용기(10)의 이송 시 일측에 정렬되는 배출정렬홈(116)의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몸체커버(118)는 개방한 상태에서 검체용기(10)를 공급한 후에 폐쇄한 상태에서 검체용기(10)가 공급홈(112), 이송홈(113), 공급정렬홈(114), 및 라벨링홈(115)을 거쳐서 상부가 개방된 배출정렬홈(116)에 복수열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송부(120)는 공급홈(112)으로 공급된 검체용기(10)를 이동시키는 공급롤러(121), 공급회전체(122), 회전공급체(123), 이송롤러(124), 이송회전체(125), 회전이송체(126), 및 공급이송롤러(127)를 포함한다.
공급롤러(121)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홈(112)에서 삽입 이송되는 검체용기(10)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형태로 설치되어 공급홈(112)을 따라서 검체용기(10)를 이송홈(113)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공급회전체(122)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홈(112)과 이송홈(113)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검체용기(10)가 이송홈(113)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회전공급체(123)는 공급회전체(122)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공급홈(112)으로 이송된 검체용기(10)가 걸림된 상태에서 공급회전체(122)의 회전에 의해 이송홈(113)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이송롤러(124)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홈(113)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검체용기(10)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이송홈(113)을 따라서 검체용기(10)를 공급정렬홈(114)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이송회전체(125)는 몸체(111)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홈(113)과 공급정렬홈(114)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검체용기(10)가 공급정렬홈(114)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회전이송체(126)는 이송회전체(125)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이송홈(113)으로 이송된 검체용기(10)가 걸림된 상태에서 이송회전체(125)의 회전에 의해 공급정렬홈(114)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공급이송롤러(127)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정렬홈(114)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검체용기(10)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공급정렬홈(114)을 따라서 검체용기(10)를 라벨부착부(130)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체용기(10)는 지그재그 형태의 홈을 따라서 이송부(120)의 작동으로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에 따른 충격 발생을 최소화하고, 검체용기(10)의 적재량을 증대시켜 많은 수량의 검체용기(10)를 공급하여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라벨부착부(130)는 몸체(111)에 라벨링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회전되는 라벨링공급회전체(131), 회전라벨링공급체(132), 용기라벨공급체(133), 용기라벨회수체(134), 용기라벨지지체(135), 라벨분리체(136), 라벨링배출회전체(137), 회전라벨링배출체(138), 및 수량감지센서(139)를 포함한다.
라벨링공급회전체(131)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정렬홈(114)과 라벨링홈(115)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검체용기(10)가 라벨링홈(115)으로 공급시키도록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회전라벨링공급체(132)는 라벨링공급회전체(131)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공급정렬홈(114)으로 이송된 검체용기(10)가 걸림된 상태에서 라벨링공급회전체(131)의 회전에 의해 라벨링홈(115)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용기라벨공급체(133)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라벨링홈(115)의 타측에 다른쪽 측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겨진 롤러 형태로 회전에 의해 라벨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용기라벨공급체(133)는 용기부착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복수회 권회된 롤러형태로 구비되어 라벨링홈(115)의 타측에 다른쪽 측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에 의해 권회된 공급지가 한쪽 측면으로 이동되면서 용기부착라벨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용기라벨회수체(134)는 몸체(111)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라벨링홈(115)의 타측에 한쪽 측면으로 용기라벨공급체(133)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용기라벨공급체(133)에서 라벨 부착 후 상기 공급지를 회수하기 위해서 회전하면서 권회하도록 구비된다. 용기라벨회수체(134)는 용기라벨공급체(133)에 권회되어 있는 용기부착라벨이 부착된 공급지에서 라벨이 검체용기(10)에 부착한 후에 남은 공급지를 회전에 의해 권회하면서 회수하는 롤러 형태로 구비된다.
용기라벨지지체(135)는 용기라벨공급체(133)와 용기라벨회수체(134) 사이에 복수의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 위치에서 공급지가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라벨이 검체용기(10) 부착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라벨분리체(136)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라벨링홈(115)의 한쪽 측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쐐기 형태로 구비되어 라벨이 용기라벨공급체(133)에서 용기라벨회수체(134)로 이송되면서 걸림되어 공급지에서 분리시켜 검체용기(10)에 부착되도록 설치된다. 라벨분리체(136)는 쐐기 형태로 검체용기(10)에 부착되도록 이동되는 라벨과 공급지 사이에 삽입되면서 라벨을 분리시키도록 구비된다.
라벨링배출회전체(137)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라벨링홈(115)과 배출정렬홈(116)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검체용기(10)가 배출정렬홈(116)으로 배출되도록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회전라벨링배출체(138)는 라벨링배출회전체(137)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라벨링홈(115)에서 라벨이 라벨링된 검체용기(10)가 걸림된 상태에서 라벨링배출회전체(137)의 회전에 의해 배출정렬홈(116)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수량감지센서(139)는 몸체(11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라벨링홈(115)의 타측으로 라벨링공급회전체(131)와 라벨분리체(136) 사이에 위치하여 라벨링홈(115)으로 공급되는 검체용기(10)의 수량을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수량감지센서는 라벨링되는 검체용기(10)의 수량을 측정하여 일측에 배열되는 검체용기(10)의 수량을 조절하여 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검체용기(10)의 이송량을 조절하고, 슬라이드부(140)에서 공급되는 슬라이드(20)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배열된 동일 열에 동일한 라벨이 부착되도록 수량을 조절함에 따라 라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부(140)는 슬라이드(20)를 공급하는 공급몸체(141), 슬라이드배출체(144), 라벨공급롤러(145), 라벨회수롤러(146), 가압부착체(147), 배출몸체(148), 및 배출돌기(149)를 포함한다.
공급몸체(141)는 몸체(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공간(117)에 탈 장착되도록 구비되어 일측면에 중앙으로 배출정렬홈(116)에 정렬된 검체용기(10)의 배열된 위치 마다 슬라이드(20)가 하나씩 공급되도록 관통된 공급공(142)을 형성하고, 공급공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복수의 슬라이드(20)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치되는 안치홈(143)이 형성된다.
슬라이드배출체(144)는 공급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치홈(143)의 최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드(20)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작동에 의해 적층된 슬라이드(20) 중에 최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드(20)가 공급공(142)을 통해서 일측으로 이동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라벨공급롤러(145)는 공급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공(142)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슬라이드(20)에 부착되는 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겨진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라벨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라벨회수롤러(146)는 공급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공(142)의 다른쪽 측면에 위치하여 라벨공급롤러(145)에서 공급되는 라벨이 부착된 공급지가 공급공(142)을 거쳐 라벨 부착한 후에 공급지가 회전에 의해 회수되도록 구비된다.
가압부착체(147)는 공급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공급공(142)의 상부 위치에 각각 위치하여 라벨공급롤러(145)에서 공급된 라벨이 슬라이드(20) 방향으로 하강에 의해 가압하여 부착하도록 설치된다.
배출몸체(148)는 공급몸체(141)의 일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공급공(142)의 하부에 일측으로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하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슬라이드배출체(144)의 작동으로 배출된 슬라이드(20)가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배출돌기(149)는 배출몸체(148)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하부가 낮아진 경사 위치에 상부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슬라이드(20)의 이탈이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라벨링장치 110 : 몸체부
111 : 몸체 112 : 공급홈
113 : 이송홈 114 : 공급정렬홈
115 : 라벨링홈 116 : 배출정렬홈
117 : 슬라이드공간 118 : 몸체커버
120 : 이송부 121 : 공급롤러
122 : 공급회전체 123 : 회전공급체
124 : 이송롤러 125 : 이송회전체
126 : 회전이송체 127 : 공급이송롤러
130 : 라벨부착부 131 : 라벨링공급회전체
132 : 회전라벨링공급체 133 : 용기라벨공급체
134 : 용기라벨회수체 135 : 용기라벨지지체
136 : 라벨분리체 137 : 라벨링배출회전체
138 : 회전라벨링배출체 139 : 수량감지센서
140 : 슬라이드부 141 : 공급몸체
142 : 공급공 143 : 안치홈
144 : 슬라이드배출체 145 : 라벨공급롤러
146 : 라벨회수롤러 147 : 가압부착체
148 : 배출몸체 149 : 배출돌기

Claims (7)

  1. 체외진단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검체용기와 슬라이드에 자동으로 라벨링을 실시하는 체외검사진단용 자동 라벨링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검체용기와 상기 슬라이드가 일측 방향에 복수의 열로 배열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몸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일측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를 이송하면서 수량을 감지한 상태에서 라벨을 부착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방향에 복수 열로 배열하도록 배출되는 라벨부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방향에 복수 열로 위치한 상기 검체용기와 한쌍을 이루도록 동일한 열의 하부에 각각 상기 슬라이드가 위치하도록 상기 라벨을 부착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검체용기가 상부에서 이송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하부에서 이송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어 안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홈형태로 타측의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공급홈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홈과 연통되면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이송홈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홈과 연통되면서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에 위치한 상기 라벨부착부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공급정렬홈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정렬홈에 연통되어 상기 라벨부착부에서 상기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서 다른쪽 측면에서 한쪽 측면으로 상기 검체용기가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홈형태의 라벨링홈을 형성하며, 상기 라벨링홈과 연통되어 있으며, 라벨링된 상기 검체용기를 배출하여 일측에 복수의 열로 정렬되도록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라벨부착부에서 배출되어 복수 열로 정렬되는 배출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정렬홈의 하부에는 정렬된 상기 검체용기와 한쌍이 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드가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탈장착되는 공간형태의 슬라이드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상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이송 시에 일측에 정렬되는 상기 배출정렬홈의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된 몸체커버;를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홈에서 삽입 이송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홈을 따라서 상기 검체용기를 상기 이송홈 위치로 이송시키는 공급롤러;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홈과 상기 이송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이송홈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공급회전체;
    상기 공급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홈으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공급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홈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홈을 따라서 상기 검체용기를 상기 공급정렬홈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몸체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홈과 상기 공급정렬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공급정렬홈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이송회전체;
    상기 이송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홈으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정렬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이송체; 및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정렬홈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정렬홈을 따라서 상기 검체용기를 상기 라벨부착부로 이송시키는 공급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정렬홈과 상기 라벨링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라벨링홈으로 공급시키도록 회전되는 라벨링공급회전체;
    상기 라벨링공급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정렬홈으로 이송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링공급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라벨링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라벨링공급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타측에 다른쪽 측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상기 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겨진 롤러 형태로 회전에 의해 상기 라벨을 공급하는 용기라벨공급체;
    상기 몸체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타측에 한쪽 측면으로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에서 상기 라벨 부착 후 상기 공급지를 회수하기 위해서 회전하면서 권회하도록 구비된 용기라벨회수체;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와 상기 용기라벨회수체 사이에 복수의 롤러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 위치에서 상기 공급지가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라벨이 상기 검체용기 부착 위치로 이송시키는 용기라벨지지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한쪽 측면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쐐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라벨이 상기 용기라벨공급체에서 상기 용기라벨회수체로 이송되면서 걸림되어 상기 공급지에서 분리시켜 상기 검체용기에 부착되도록 설치된 라벨분리체;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과 상기 배출정렬홈의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체용기가 상기 배출정렬홈으로 배출되도록 회전되는 라벨링배출회전체; 및
    상기 라벨링배출회전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에서 상기 라벨이 라벨링된 상기 검체용기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링배출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정렬홈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회전라벨링배출체;를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라벨링홈의 타측으로 상기 라벨링공급회전체와 상기 라벨분리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링홈으로 공급되는 상기 검체용기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공간에 탈 장착되도록 구비되어 일측면에 중앙으로 상기 배출정렬홈에 정렬된 상기 검체용기의 배열된 위치 마다 상기 슬라이드가 하나씩 공급되도록 관통된 공급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공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치홈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작동에 의해 적층된 상기 슬라이드 중에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공급공을 통해서 일측으로 이동 배출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배출체;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공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에 부착되는 상기 라벨이 공급지에 부착된 상태에서 감겨진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라벨을 공급하는 라벨공급롤러;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공의 다른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라벨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상기 라벨이 부착된 상기 공급지가 상기 공급공을 거쳐 상기 라벨 부착한 후에 상기 공급지가 회전에 의해 회수되는 라벨회수롤러; 및
    상기 공급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공급공의 상부 위치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라벨공급롤러에서 공급된 상기 라벨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하강에 의해 가압하여 부착하도록 설치된 가압부착체;를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공의 하부에 일측으로 일부 돌출된 상태에서 하부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상기 슬라이드배출체의 작동으로 배출된 상기 슬라이드가 지지되는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하부가 낮아진 경사 위치에 상부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상기 슬라이드의 이탈이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 지지되는 배출돌기;를 더 포함하는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KR1020150163244A 2015-11-20 2015-11-20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KR10176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44A KR101765224B1 (ko) 2015-11-20 2015-11-20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44A KR101765224B1 (ko) 2015-11-20 2015-11-20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03A KR20170059203A (ko) 2017-05-30
KR101765224B1 true KR101765224B1 (ko) 2017-08-14

Family

ID=5905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44A KR101765224B1 (ko) 2015-11-20 2015-11-20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236A1 (ko) * 2020-10-23 2022-04-28 이종수 Qr/2차원바코드 스왑 키트를 이용한 식품 위생 검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3056B (zh) * 2017-09-14 2020-04-17 北京东南易行科技有限公司 旋转式试管掉落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570B2 (ja) 1993-06-15 2001-02-26 小原株式会社 溶接機における電極ストロ―ク制御装置
JP4746764B2 (ja) 2001-05-15 2011-08-10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準備装置
JP2015145795A (ja) 2014-01-31 2015-08-13 株式会社サニー・シーリング 検体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570B2 (ja) 1993-06-15 2001-02-26 小原株式会社 溶接機における電極ストロ―ク制御装置
JP4746764B2 (ja) 2001-05-15 2011-08-10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準備装置
JP2015145795A (ja) 2014-01-31 2015-08-13 株式会社サニー・シーリング 検体情報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236A1 (ko) * 2020-10-23 2022-04-28 이종수 Qr/2차원바코드 스왑 키트를 이용한 식품 위생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03A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0177B (zh) 一种用于采血管的处理系统
US3540858A (en) Sample holder with filter means
KR102435609B1 (ko) 생물학적 표본의 자동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4444986B2 (ja) 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US9581608B2 (en) Sample analyz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ple analyzer
US20170227562A1 (en) Sample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biological samples
US9733157B2 (en) Automatic blood-sampling tube preparation system
CN108780104A (zh) 自动分析装置
US20110045521A1 (en)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KR101765224B1 (ko) 체외진단검사용 자동 라벨링장치
CN102841211A (zh) 用于为样品管去盖和重新加盖的装置
JP6073771B2 (ja) 容器ホルダの保管および取り出し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281604A (ja) 検体処理装置及び検体処理方法
JP2016075566A (ja) 採血後採血管仕分け装置
ITMI20081258A1 (it) &#34;apparato di marcatura automatica di contenitori di campioni biologici&#34;
CN111837041A (zh) 架的运送方法、样本测定系统
JP4444985B2 (ja) トレイ又は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US11613427B2 (en) Horizontal-flow-typ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porting reagent cartridges
CN207606006U (zh) 一种用于采血管的处理系统
CN109515896B (zh) 试管自动贴标设备及其方法
WO20140484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fluid sample to analyzing apparatus
KR101759449B1 (ko) 병리조직 검사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JP2009036642A (ja) 試験管用ラックの制御装置
CN114778867A (zh) 一种样本检测装置
JP4332404B2 (ja) 採血管自動準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