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956B1 -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 - Google Patents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956B1
KR101764956B1 KR1020137033837A KR20137033837A KR101764956B1 KR 101764956 B1 KR101764956 B1 KR 101764956B1 KR 1020137033837 A KR1020137033837 A KR 1020137033837A KR 20137033837 A KR20137033837 A KR 20137033837A KR 101764956 B1 KR101764956 B1 KR 10176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ler
hook
coupled
hand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520A (ko
Inventor
존 에단 말도나도
제임스 비. 듀크
Original Assignee
이글루 프로덕츠 코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글루 프로덕츠 코옵 filed Critical 이글루 프로덕츠 코옵
Publication of KR2014004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쿨러는 내부에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포함하는 본체를 갖는다. 상기 쿨러는 상기 본체의 벽체에 회전식으로 또는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쿨러 본체의 공동 내에 보관된 액체를 얻기 위해 상기 덮개 내에 제공된 토출구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쿨러는 덮개 또는 본체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 핸들 조립체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덮개 또는 본체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 제 1 단부와 핸들에 커플링된 원위 측 제 2 단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후크 요소가 커플링되거나, 회전식으로 커플링되거나, 슬라이드식으로 그 내부에 배치되거나, 일체로 제공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된다.

Description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COOLERS WITH STORAGE HOOK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원은, 35 U.S.C. §119(e) 하에서,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라는 명칭으로 2011년 5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 61/489,480 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지면 또는 바닥면 위에 용기를 보관 또는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관 후크를 가진 식품 및 음료 쿨러에 관한 것이다.
차갑게 유지하여야 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개인용 쿨러와 음료 쿨러 또는 저그(jug) 등의 식품 및 음료 용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야구, 축구, 트랙 등의 야외 스포츠 또는 여가 활동을 하는 동안, 선수들의 쿨러를 보관하도록 지정된 장소가 없기 때문에, 이 쿨러들이 통상적으로 지면에 보관되거나 벤치에 놓여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쿨러를 지면이나 벤치에 보관하면, 음료 저그가 실수로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로부터 유체 및/또는 다른 내용물이 나오도록 지정된 영역을 포함하여 용기의 외부에 먼지가 묻거나 잠재적으로 오염될 수 있다. 또한, 누설이 발생하면, 쿨러가 놓여 있던 지면 영역이 질척거리거나 지저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장소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쿨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쿨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쿨러는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가진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덮개에 커플링된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본체에 커플링된 핸들 조립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본체에 커플링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 핸들 단부를 가진 핸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핸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쿨러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쿨러는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가진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덮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 베이스에 커플링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 핸들 단부를 가진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핸들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쿨러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쿨러는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가진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커플링된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플링된 핸들 조립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플링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 핸들 단부를 가진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핸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여타 양태들, 목적들,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가 다른 동등한 효과를 가진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도면들은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과 특징들이 반드시 척도에 따른 것은 아니며, 예시적 실시예들의 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강조되었다. 또한, 그 원리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임의의 치수들 또는 위치들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는,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다른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다른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대안적인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또 다른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또 다른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또 다른 예시적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또 다른 예시적 쿨러의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를 가진 또 다른 예시적 쿨러의 다양한 도면들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반드시 동일하거나 똑같지는 않지만, 유사한 요소들은 일관성을 위해 유사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는, 설명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들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길이, 폭 및 높이는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각각 기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예시적 보관 후크는 물체에 맞물려 쿨러를 매달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쿨러의 토출구, 핸들 및/또는 다른 부품에 대해 먼지, 진흙, 잔디 및/또는 다른 오염 물질을 유도할 수 있는, 지면이나 몇몇 다른 표면에 쿨러가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쿨러가 지면에 놓이도록 허용하는 대신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예를 이용하여 쿨러를 매달면, 우발적이거나 돌발적인 움직임에 의해 쿨러가 넘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쿨러를 매달 수 있는 이러한 물체의 예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펜스(예컨대, 철조망, 목재 펜스, 철재 펜스), (접이식 또는 기타) 의자 등받이, 유모차 핸들, 정글 짐, 놀이 구조물(예를 들면, 원숭이 바, 미끄럼틀) 및 관람석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 보관 후크와 함께 사용되는 예시적 쿨러는 많은 특징을 갖고 있다. 쿨러는 식품 및/또는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절연 용기이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식품 및/또는 음료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쿨러는 절연되지 않는다. 쿨러는 식품 및/또는 음료가 저장되는 공동을 형성하는 바닥과 적어도 하나의 벽체를 포함하는 본체를 갖는다. 쿨러는 쿨러의 본체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커버라고도 하는) 덮개를 또한 갖는다. 덮개와 본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합식, 회전식, 힌지식, 슬라이드식 및 탈착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쿨러의 본체와 덮개는 하나 이상의 경질 물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금속), 하나 이상의 연질 물질(예를 들면, 비닐,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네오프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조된다. 덮개와 본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쿨러의 내용물에는 여러 가지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쿨러의 내용물에 액세스하기 위해 덮개가 제거된다. 다른 예로서, 쿨러의 덮개 및/또는 본체에 토출구가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토출구가 결합되었을 때(예컨대, 회전이나 연장에 의해, 폐쇄된 제 1 위치로부터 개방된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쿨러의 내용물에 액세스할 수 있다. 토출구는 여러 가지 유형의 토출구들 중 하나 이상의 토출구일 수 있다. 토출구 유형의 예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립 캡(flip cap), 홀, 스트로우 및 스피곳(spigot)이 포함된다. 토출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쿨러 본체의 베이스와 덮개를 포함하여, 쿨러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가 스트로우인 경우, 스트로우는 쿨러 내부로부터 액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트로우는 쿨러의 덮개 및/또는 본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스트로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및 탈착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쿨러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로우는 강성 및/또는 가요성일 수 있으며, 스트로우는 직선 및/또는 곡선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120, 122)를 가진 예시적 쿨러(100)의 사시도이다. 쿨러는 본체(102), 본체(102)에 나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104), 덮개(104)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선택적 토출구(106), 및 본체(102)에 힌지식으로 커플링된 핸들 조립체(110)를 포함한다. 핸들 조립체(1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112), 핸들(116), 및 적어도 하나의 후크(예컨대, 후크(120), 후크(122))를 포함하여, 다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핸들 조립체(110)의 부품들은 임의의 경질 물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금속), 임의의 연질 물질(예를 들면, 비닐,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네오프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각각 제조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110)의 각 부품은 핸들 조립체(110)의 다른 부품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조립체의 각 부품은 핸들 조립체(110)의 다른 부품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핸들 조립체(110)의 부품이 임의의 다른 부품(예를 들면, 본체(102), 덮개(104), 핸들 조립체(110)의 다른 부품)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는 경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체결 장치(예를 들면, 나사, 리벳, 스레드리스 볼트), 압축 이음쇠, 스냅 피팅, 다른 부품의 구멍 내부에 대한 하나의 부품의 돌출부 배치, 및 스레드 결합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회전식 커플링이 만들어진다. 회전식 커플링은 탈착가능하거나, 부품들 중 하나에 고정되거나, 및/또는 회전식으로 커플링된 모든 부품들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110)의 부품이 임의의 다른 부품(예를 들면, 본체(102), 덮개(104), 핸들 조립체(110)의 다른 부품)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되는 경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체결 장치(예를 들면, 나사, 볼트), 에폭시, 융착, 용접, 납땜, 압축 이음쇠, 스냅 피팅, 다른 부품의 구멍 내부에 대한 하나의 부품의 돌출부 배치, 및 스레드 결합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식 커플링이 만들어진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식으로 커플링되는 것으로 상술한 부품들은, 단일 부품으로서, 부품들 중 하나 이상의 부품과 일체로 형성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고정식으로 커플링되는 부품들 사이에 더 강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부품들의 고정식 커플링 영역에 부품의 물질을 주입함으로써, 부품의 오버몰드가 생성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핸들 조립체(110)가 베이스(102) 대신 덮개(104)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경우, 핸들 조립체(110)는 덮개(104)의 일부가 된다. 이러한 경우,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핸들 조립체(110)의 핸들 아암이 (덮개 베이스라고도 하는) 덮개(104)의 베이스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본체(102)에는 핸들 조립체(110)의 예시적 핸들 아암(112)(도 1a 내지 도 1c에는 2개가 도시됨)이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핸들 아암(112)은 본체(102)(또는 쿨러(100)의 임의의 다른 부분)를 핸들(116)에 기계적으로 커플링한다. 핸들 아암(112)은 여러 가지 형상, 크기, 및/또는 치수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과 관련하여, 핸들 아암(112)은 직선이거나, 곡선이거나, 각지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다. 핸들 아암(112)은 피벗 포인트(111)에 의해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쿨러(100)의 일부(예를 들면, 본체(102), 덮개(104))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피벗 포인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힌지식 및 회전식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부품들 사이의 임의의 커플링 포인트일 수 있다. 핸들 아암(112)은, 핸들 아암(112)을 따르는 및/또는 본체(102)를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본체(10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이 예에서는, 핸들 아암(112)의 원위 단부가 피벗 포인트(111)에서 본체(102)의 상부의 외면에 커플링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핸들 아암(112)이 덮개(104)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쿨러(100)는 단일의 핸들 아암(112), 2개의 핸들 아암(112), 또는 2개 초과의 핸들 아암(112)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핸들 아암(112)을 가진 핸들 조립체(110)의 경우, 하나의 핸들 아암(122)은 다른 핸들 아암(들)(112)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 형상 및/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핸들 아암(112)이 본체(102)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는 것에 부가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핸들 아암(11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슬라이드식, 탈착식 및 힌지식을 포함하여,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본체(10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핸들 아암(112)이 핸들 조립체(110)로부터 생략된다.
예시적 핸들 아암(112)은 후크(120)를 수용, 고정 및/또는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기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기구(114)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아암(112)의 외향면 상에, 핸들 아암(112)의 내향면 상에, 및/또는 (슬롯과 같은) 핸들 아암(112)의 일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고정 기구(114)는, 후크(120)와 커플링될 때, 후크(120)를 고정 기구(114)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기구(114)는 각 핸들 아암(112)의 외향면 상에 배치된 노치가 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 고정 기구(114)와 후크(120)는 후크(120) 및/또는 고정 기구(114)에 대한 요철면(예컨데, 범프, 덴트)의 적용 및/또는 긴밀한 공차를 통해 발생하는 마찰 결합(friction fit)을 서로 갖는다. 후크(120)가 고정 기구(114)에 고정되면, 원하지 않는 후크(1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 핸들(116)은 위치(126)에서 핸들 아암(11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핸들(116)은 핸들(116)을 따르는 및/또는 핸들 아암(112)을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핸들 아암(1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이 예에서는, (핸들 단부라 하는) 핸들(116)의 각 단부가 위치(126)에서 각 핸들 아암(112)의 근위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어 있다. 핸들(116)은 하나의 핸들 단부, 2개의 핸들 단부, 또는 2개 초과의 핸들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핸들(116)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회전식, 슬라이드식, 탈착식 및 힌지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핸들 아암(11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핸들 아암(112)이 핸들 조립체(110)로부터 생략된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핸들(116)이 덮개(104) 및/또는 본체(102)와 같은 쿨러(100)의 임의의 다른 부품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예시적 후크(120, 122)는 물체에 맞물려 쿨러를 매달 수 있도록 한다. 각 후크(120, 122)는 여러 가지 형상 및/또는 요소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적 후크(120, 122)는 곡선이거나, 각지거나, 및/또는 V자 형상이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후크(120, 122)의 단부는 뾰족하거나, 매끄럽거나, 직사각형이거나, 둥글거나, 곡선이거나, 및/또는 뭉툭하다. 또 다른 예로서, 후크(120, 122)의 표면은 매끄럽거나, 들쭉날쭉하며, 및/또는 미끄럼 방지 코팅과 같은 파지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후크(120, 122)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 경우, 후크(120, 122)는 고정된 형상이나 유연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 후크(120, 122)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된다.
예시적 핸들 조립체(110)는 핸들 조립체(110)의 하나 이상의 부품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후크(120, 122)를 포함한다. 핸들 조립체(110)의 단일 부품(예컨대, 핸들 아암(112), 핸들(116)) 또는 여러 부품들에 1개 초과의 후크(120, 122)가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가 핸들(116)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경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핸들(116)의 중앙에 하나의 후크(120)가 배치되거나, 하나의 핸들 단부에 후크(122)가 배치되거나, 2개의 핸들 단부에 각각 후크(120, 122)가 배치되거나, 핸들(116)을 따라 다수의 후크가 배치되는, 다양한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 후크(120, 122)는 피벗 포인트(124)에 의해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핸들(116) 및/또는 핸들 아암(11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여기서, 피벗 포인트(124)는 핸들(116)의 종축이나 또는 실질적으로 종축에 가까운 핸들 단부에 존재한다. 후크(120, 122)가 핸들(116)과 핸들 아암(11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면, 피벗 포인트(124)와 피벗 포인트(126)는 동일한 피벗 포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후크(120, 122)는 피벗 포인트(124)에서 핸들 아암(112)의 외향면에 (그리고, 간접적으로, 핸들(116)의 핸들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후크(120, 122)들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그리고/또는, 핸들(116)이 핸들 아암(112)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는 경우에는, 핸들(116)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어느 경우에도, 후크(120, 122)의 회전 범위는 고정 기구(11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각 후크(120, 122)는 핸들(116)과 핸들 아암(112)의 내향면 사이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경우, 후크(120, 122)들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그리고/또는, 핸들(116) 및/또는 핸들 아암(112)과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어느 경우에도, 후크(120, 122)의 회전 범위는 고정 기구(11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후크(120, 122)가 핸들(116)과 핸들 아암(11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면, 피벗 포인트(124)와 피벗 포인트(126)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피벗 포인트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피벗 포인트(124)에서 핸들 아암(112)의 외향면에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후크(120, 122)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120, 122)는 피벗 포인트(124)에 의해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핸들 조립체(110)는 피벗 포인트(111)에서 본체(102)에 원위 단부가 각각 회전식으로 커플링된 2개의 핸들 아암(1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핸들 아암(112)은 피벗 포인트(111)에 의해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a에서, 핸들 조립체(110)는 덮개(10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10)의 후크(120, 122)는 (펜스, 바, 또는 다른 구조물에 맞물리거나 걸리는 위치로) 상방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각 후크(120, 122)는 하나 이상의 물체 위에 놓일 수 있으며, 후크(120, 122)에 의해 쿨러(100)가 물체로부터 매달릴 수 있다.
도 1b에서, 후크(120, 122)는, 일반적으로 고정 기구(114)의 역할을 하는 포지션 스탑(position stop)에 후크(120, 122)가 접촉할 때까지, 각각 하방으로 회전한다. 후크(120, 122)는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또는 고정 기구(114)에 의해 적절하게 고정될 수 있는 어느 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도 1a와 비교하여 도 1b에서, 핸들 아암(112)은 본체(102)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10)가 도 1b에 도시된 구성이면, 쿨러(100)는 운반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c에서, 핸들 아암(112)은, 핸들(116)이 본체(102)에 거의 접촉할 때까지, 하방으로 회전하고 있다. 도 1b에서와 같이, 후크(120, 122)는 고정 기구(114)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핸들 조립체(110)가 이 위치에 있으면, 쿨러(100)는 보관될 수 있다.
도 2는 대안적 쿨러(200)의 사시도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토출구(206)가 덮개(204)의 상부 대신 본체(202)의 바닥(베이스)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것을 제외하고, 대안적 쿨러(200)는 도 1a 내지 도 1c의 쿨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a 및 도 3b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보관 후크(320, 322)를 사용하는 대안적 쿨러(3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2)는 도 1a 내지 도 1c의 쿨러(100)의 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덮개(304)는 쿨러(100)와 비교하여 덮개(304) 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른 토출구(306)(이 경우, 플립 토출구)를 갖는다. 핸들 조립체(310)와 관련하여, 이 예에서, 후크(320, 322)는 핸들(316)의 핸들 단부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예컨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후크(320, 322)와 핸들(316)은 단일의 플라스틱 조각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핸들(316)과 후크(320, 322)의 조합은 핸들 아암(312)의 근위 단부(326)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경우, 후크(320, 322)는 핸들 아암(312)의 내향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핸들(316)과 후크(320, 322)의 조합이 핸들 아암(3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핸들(316)의 일부 및/또는 후크(320, 322)가 핸들 아암(312)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는, 후크(320, 322)가 핸들 아암(312)의 외향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후크(320, 322)에 맞물려 핸들(316)과 후크(320, 322)의 조합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포지션 스탑 역할을 하도록, 고정 기구(314)가 핸들 아암(312)의 내향면 또는 외향면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본체(102)에는 핸들 아암(312)의 원위 단부(311)가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후크(320, 322)는 서로에 대해 고정식으로 커플링되며, 후크(320, 322)는 핸들(316) 및/또는 핸들 아암(312)에 대해 회전식으로 또한 커플링된다. 예를 들면, 핀(미도시)이 핸들(316)의 길이를 따라 핸들 내부의 공동을 통과하게 되며, 핀의 각 단부는 후크(320, 322)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경우, 핀이 핸들(316)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크(320, 322)가 회전하게 된다.
도 3a에서, 핸들 조립체(310)는 덮개(30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310)의 핸들(316)과 후크(320, 322)의 조합은, 후크(320, 322)가 펜스, 바, 또는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맞물리거나 걸리게 배치되어 후크(320, 322)에 의해 쿨러(300)가 물체로부터 매달릴 수 있도록, 상방으로 회전한다.
도 3b에서, 핸들(316)과 후크(320, 322)의 조합은, 후크(320, 322)가 고정 기구(314)에 맞물리거나 접촉할 때까지, 하방으로 회전하고 있다. 핸들(316)과 후크(320, 322)의 조합은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또는 고정 기구(314)에 적절하게 맞물릴 수 있는 어느 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도 3a와 비교하여 도 3b에서, 핸들 아암(312)은 본체(102)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310)가 도 3b에 도시된 구성이면, 쿨러(300)는 운반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420, 422)를 포함하는 다른 대안적 쿨러(400)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2), 덮개(304), 및 분출구(306)는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상술한 대응하는 부품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핸들 조립체(410)와 관련하여, 핸들 아암(412)의 근위 단부와 핸들(416)의 핸들 단부는 서로에 대해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핸들 아암(412)과 핸들(416)은 단일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예시적 핸들 조립체(410)는 스트랩(430)을 포함한다. 스트랩(430)은 후크(42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스트랩(430)는 강성 또는 가요성일 수 있으며, 고정되거나 조절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트랩(430)은 하나의 후크(422) 또는 다수의 후크들에 대해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트랩(430)의 타단은 반대측 핸들 아암(412)을 따라 배치된 제 2 후크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스트랩(430)은 핸들(416)과 핸들 아암(412)의 조합에 대해 탈착식, 슬라이드식, 및/또는 고정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스트랩(4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 나일론, 플라스틱 및 네오프렌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스트랩(430)은 핸들(416)의 일부이거나, 핸들(416)로부터 분리된 부품일 수 있다. 스트랩(430)이 핸들(416)로부터 분리된 부품인 경우, 스트랩(430)은 핸들(416)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길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스트랩(4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탭, 슬롯, 그루브, 핸들(416)의 하나 이상의 융기된 측부, 및 공동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고정 기구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핸들(416)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기구는 핸들(416) 상부 및/또는 내부의 임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430)은 핸들(416)의 임의의 부분(예를 들어, 핸들 단부)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트랩(430)의 원위 단부는 고정식, 탈착식, 회전식, 힌지식 및 슬라이드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핸들(416)에 커플링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트랩(430)은 스트랩(430)의 종방향 단부(443)를 따라 각 후크(42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스트랩(4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회전식 및 슬라이드식 커플링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후크(422)에 커플링될 수 있다. 후크(422)는 고정 기구(414)를 사용하여 핸들 또는 핸들 아암(412)에 탈착식으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고정 기구(414)는 핸들 아암(412)의 원위 단부 부근의 위치에서 핸들 아암(412)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다. 각 후크(422)는,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 주위에 후크(422)의 곡선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개별 돌출부와 맞물린다. 스트랩(430)이 가요성이면, 핸들 아암(412)을 따른 돌출부의 위치는 후크(422)가 돌출부와 맞물렸을 때 스트랩(430)이 장력을 받게 함으로써, 후크(422)가 돌출부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트랩(430)은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핸들 아암(4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아암(412)의 외향면은, 스트랩(430)이 슬롯 내부에 배치될 때 스트랩(430)과의 마찰 결합을 제공하는 슬롯을 그 길이를 따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핸들 아암(412)은 스트랩(4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 그루브 및 공동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고정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핸들 아암(412)은, 스트랩(430)이 통과하여 핸들(416)과 맞물려 유지되거나 핸들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핸들이 핸들 아암으로 전환되는 각 핸들 단부(480)에 인접하여, 핸들 아암(412)의 근위 단부는, 스트랩(430)이 통과하여 핸들(416)의 하면의 길이를 따르는 슬롯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멍을 갖는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스트랩(430)이 강성이며, 핸들(416)의 핸들 단부 및/또는 핸들 아암(412)의 근위 단부에 힌지식으로 커플링된다.
핸들 단부(480)는 핸들 아암(412)의 근위 단부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각 핸들 아암(412)의 원위 단부(411)는 피벗 포인트(411)에서 본체(102)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도 4에 도시된 쿨러(400)는 오직 하나의 핸들(422)과 스트랩(440)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가적인 핸들과 스트랩이 쿨러(400)의 반대측 핸들 아암(412)에 의해 도면으로부터 감춰져 있을 수 있다.
도 5는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540, 542)를 구비한 핸들 조립체(575)를 가진 예시적 쿨러(50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예시적 쿨러(501)는 도 4의 쿨러(4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예시적 쿨러(501)에서, 후크(540, 542)는 철조망 형태의 물체(580)와 맞물려 있다. 스트랩(550)은, 핸들(546)의 전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스트랩(550)을 고정하고 있는 슬롯(590)을 횡단하는 번지 코드(bungee cord)이다. 또한, 스트랩(550)은 핸들(546)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 각 핸들 아암(542)의 근위 단부 측의 구멍을 통해 배치된다. 각 핸들 아암(542)의 원위 단부는 본체(502)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어 있고, 각 핸들 아암(542)의 외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크(540, 542)의 곡선부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돌출부 형태의 고정 기구(514)를 포함한다. 쿨러(501)는 본체(502)에 회전식으로 결합된 덮개(504)를 포함한다.
도 6은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620)를 가진 또 다른 대안적 쿨러(6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 쿨러(600)는 핸들 아암(612)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 핸들(616)을 포함한다. 각 핸들 아암(612)은 아암(612)의 원위 단부(611) 부근에서 본체(102)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핸들 조립체(610)는 피벗 포인트(690)에서 핸들(616) 길이의 일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크(620)를 포함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피벗 포인트(690)는 실질적으로 핸들(616)의 종방향 길이의 중심이다. 피벗 포인트(690)에서 후크(620)에 인접하여 고정 기구(6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고정 기구(614)는, 후크(620)가 고정 기구(614)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후크(620)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마찰 결합을 이용하는 노치이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핸들(616)은 핸들(616)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후크(620)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부가하여, 단일의 후크(620)가 핸들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2개의 후크(620)가 각 핸들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후크(620)가 핸들(616)의 길이를 따라 여러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3개의 후크(620)가 핸들(616)의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임의의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보관 후크(720)를 가진 쿨러(700)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제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 쿨러(700)는 핸들 단부가 대향하여 구비된 각각의 핸들(712)의 일 단부(또는 핸들 단부)에서 대향 단부 상에서 한 쌍의 핸들 아암(712)에 커플링된 핸들(717)을 포함한다. 각 핸들 단부는 핸들 아암(712)의 근위 단부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되고, 후크(720, 722)들 중 하나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핸들 아암(712)의 원위 단부(711) 부근에 있는 각 아암(712)의 한 지점이 본체(102)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된다. 후크(720, 722)는, 핸들(716)이 본체(102)와 접촉할 때까지 핸들 조립체(7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도 8은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예시적 핸들 조립체(810)는 쿨러(800)의 본체(102)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구체적으로, 핸들 조립체(810)는 핸들 조립체의 원위 단부(811)부근에 있는 본체(102)에 회전식으로 결합된다. 핸들 조립체(810)는 각 핸들 단부에서 핸들 아암(812)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되는 핸들(816)을 포함한다. 고정부(827)와 액추에이터(825)를 포함한 후크(820)는 핸들 아암(812) 내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조정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핸들 아암(812)은 슬롯형 공동(830)을 가지며, 이 슬롯형 공동은 슬롯형 공동(830) 내부에 배치되는 후크(820) 부분을 위해 후크(820)의 해당 치수보다 약간 더 큰 치수(예컨대, 길이, 폭, 높이)를 갖는다. 슬롯형 공동(830)의 슬롯 및/또는 수용부는, 후크(820)가 슬롯형 공동(830)의 적어도 소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후크(820)의 수용부 및/또는 슬롯에 대응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후크(820)가 슬롯형 공동(830)의 가장 높은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820)가 완전히 연장된 것이다.
후크(820)는 액추에이터(825)를 이용하여 슬롯형 공동(830) 내부에서 슬라이딩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액추에이터(825)를 내측으로 누르고(압축성) 및/또는 슬롯형 공동(830) 내부에서 후크(820)를 슬라이딩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에 대해 힘을 가한다. 이 예에서, 액추에이터(825)는 후크(810)의 고정부(827)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액추에이터(825)는 후크(820)의 일부이거나, 후크(82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825)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고무, 나일론, 압축성 실리콘 및 금속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825)는 후크(820)의 잔여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슬롯형 공동(830) 및/또는 후크(820)는, 후크(820)가 슬롯형 공동(830)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예컨대, 완전히 연장되거나, 완전히 후퇴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요소의 예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범프, 덴트, 스프링 잠금 기구, 마찰 결합 및 요철면이 포함된다. 각 예시적 후크(820)는 다른 후크(820)와는 독립적으로 해당하는 슬롯형 공동(830) 내부에 배치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롯형 공동(830)은 핸들 아암(812) 대신 핸들(816) 내부에 배치된다.
도 9a 및 도 9b는 쿨러를 위한 다른 예시적 핸들 조립체(911)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예시적 핸들 아암(932)은 핸들(926)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된다. 고정식 커플링의 피벗 포인트 또는 그 부근에서, 핸들 아암(932)과 핸들(926)의 하면에는 공동(943)이 또한 배치되어 있다. 공동(943)은 후크(934)의 고정부(935)를 수용한다. 후크(934)의 고정부(935)는 고정부(935)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952)을 통해 공동(943)으로부터 돌출하고 공동 속으로 후퇴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후크(934)의 고정부(935)는, 후크(934)가 매달리게 되는 물체에 대해 고정부(935)가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935)가 공동(943)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후, 고정부(935)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935)는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거나, 다수의 분리된 위치들 중 하나 이상으로 회전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회전하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935)가 공동(943) 내부로 완전히 후퇴하면, 고정부(935)의 상단은 구멍(952) 내부에 있는 핸들(926)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게 된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공동(943)이 핸들 조립체(911)로부터 생략된다. 이러한 경우, 후크(934)의 고정부(935)는 핸들 아암(932) 내부의 공동 속으로 후퇴하며 그 공동으로부터 연장된다. 임의의 경우에, 슬롯(940)은 액추에이터(942)가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940)은, 후크(934)의 고정부(935)가 완전히 후퇴하는 경우에, 액추에이터(942)가 슬롯(94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폐쇄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슬롯(940)은, 후크(934)의 고정부(935)가 완전히 연장하는 경우에, 액추에이터(942)가 슬롯(94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될 때, 개방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후크(934)의 액추에이터(942)는 핸들 아암(932)의 외향면에 배치된 슬롯(940) 내부에서 슬라이딩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액추에이터(942)를 내측으로 누르고(압축성) 및/또는 슬롯(940) 내부에서 액추에이터(942)(와 그에 따른 후크(934)의 고정부(935))를 슬라이딩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에 대해 힘을 가한다. 액추에이터(942)는 후크(934)의 일부이거나, 후크(934)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94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고무, 나일론 및 금속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942)는 후크(934)의 나머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슬롯(940) 및/또는 액추에이터(942)는, 액추에이터(942)가 슬롯(940)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예컨대, 완전히 연장되거나, 완전히 후퇴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요소의 예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범프, 덴트, 스프링 잠금 기구, 마찰 결합 및 요철면이 포함된다. 후크(934)를 위한 액추에이터(942)는 다른 후크(934)를 위한 액추에이터(942)와는 독립적으로 해당하는 슬롯(9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임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슬롯(940)은 핸들 아암(932) 대신 핸들(926) 상에 배치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쿨러를 위한 다른 예시적 핸들 조립체(1013)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슬롯(940) 내부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액추에이터(1042)를 유지하기 위해, 슬롯(1040)이 경질 범프, 덴트 또는 돌출부 형태의 잠금 요소(1071)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핸들 조립체(1013)는 도 9a 및 도 9b의 핸들 조립체(9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은 쿨러가 대지 위에 놓여지는 대신 물체로부터 매달릴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쿨러는 지상에 있으면서 넘어지지 않고, 진흙과 먼지에 놓여지지 않으며, 보행로의 장애물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통합되고 후퇴가능한 보관 후크는 쿨러가 안전하게 이동되고, 휴대되며, 및/또는 후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4)

  1. 쿨러로서,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
    상기 덮개에 커플링된 토출구; 및
    상기 본체에 커플링된 핸들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에 커플링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 핸들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의 외향면과 상기 핸들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외향면 상에 배치된,
    쿨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 내의 노치인,
    쿨러.
  3. 쿨러로서,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로서,
    덮개 베이스;
    상기 덮개 베이스에 커플링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 핸들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상기 핸들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
    상기 덮개에 커플링된 분출구를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의 외향면과 상기 핸들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외향면 상에 배치된,
    쿨러.
  4. 쿨러로서,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체와 바닥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체에 탈착식으로 커플링된 덮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커플링된 토출구;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플링된 핸들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플링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 핸들 단부를 포함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근위 단부의 외향면과 상기 핸들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의 외향면 상에 배치된,
    쿨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 내의 노치인,
    쿨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 내의 노치인,
    쿨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은 2개의 핸들 아암을 포함하는,
    쿨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수용할 때, 상기 고정 기구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마찰 결합되어 있는,
    쿨러.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기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요철면을 포함하는,
    쿨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후크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은 2개의 핸들 아암을 포함하는,
    쿨러.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수용할 때, 상기 고정 기구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마찰 결합되어 있는,
    쿨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기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요철면을 포함하는,
    쿨러.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후크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17.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18.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 아암은 2개의 핸들 아암을 포함하는,
    쿨러.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수용할 때, 상기 고정 기구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마찰 결합되어 있는,
    쿨러.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기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요철면을 포함하는,
    쿨러.
  2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후크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23.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24.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쿨러.
KR1020137033837A 2011-05-24 2012-05-23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 KR101764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9480P 2011-05-24 2011-05-24
US61/489,480 2011-05-24
PCT/US2012/039153 WO2012162398A1 (en) 2011-05-24 2012-05-23 Coolers with storage hoo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520A KR20140049520A (ko) 2014-04-25
KR101764956B1 true KR101764956B1 (ko) 2017-08-03

Family

ID=4721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837A KR101764956B1 (ko) 2011-05-24 2012-05-23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46498B2 (ko)
JP (1) JP6096761B2 (ko)
KR (1) KR101764956B1 (ko)
CN (1) CN103635396B (ko)
AU (1) AU2012258850B2 (ko)
CA (1) CA2837157C (ko)
HK (1) HK1192868A1 (ko)
MX (1) MX344337B (ko)
WO (1) WO2012162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002B2 (en) 2012-04-27 2016-08-16 Ecolab Usa Inc Ice handling container
JP6532383B2 (ja) * 2015-10-30 2019-06-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噴出容器
US10899503B2 (en) 2016-04-20 2021-01-26 Yeti Coolers, Llc Spigot and spigot guard for an insulating container
US10526130B2 (en) 2016-04-20 2020-01-07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US10138047B2 (en) 2016-04-20 2018-11-27 Yeti Coolers, Llc Spigot and spigot guard for an insulating container
US10046885B2 (en) 2016-04-20 2018-08-14 Yeti Coolers, Llc Spigot and spigot guard for an insulating container
WO2018136481A2 (en) * 2017-01-18 2018-07-26 Horizon Home Products, Inc. Devices and systems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liquids
USD830116S1 (en) 2017-07-12 2018-10-09 Yeti Coolers, Llc Container mounting apparatus
USD835471S1 (en) 2017-07-12 2018-12-11 Yeti Coolers, Llc Container
USD835470S1 (en) 2017-07-12 2018-12-11 Yeti Coolers, Llc Container
USD830123S1 (en) 2017-07-12 2018-10-09 Yeti Coolers, Llc Dispenser
USD835947S1 (en) 2017-07-12 2018-12-18 Yeti Coolers, Llc Container mounting apparatus
USD839661S1 (en) 2017-07-12 2019-02-05 Yeti Coolers, Llc Container mounting apparatus
USD830122S1 (en) 2017-07-12 2018-10-09 Yeti Coolers, Llc Dispenser
USD835472S1 (en) 2017-07-12 2018-12-11 Yeti Coolers, Llc Combined container mounting apparatus and container
USD835946S1 (en) 2017-07-12 2018-12-18 Yeti Coolers, Llc Container
IT201700113384A1 (it) * 2017-10-09 2019-04-09 Ecoplast Srl Cestino per bucato
USD843180S1 (en) 2017-10-25 2019-03-19 Yeti Coolers, Llc Container mounting apparatus
CN108382687B (zh) * 2018-02-25 2020-06-19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吊筐
CN108516195A (zh) * 2018-04-27 2018-09-11 无锡华美钼业有限公司 具备悬挂功能的便携式钼杆存储放置架
US11970313B2 (en) 2018-12-12 2024-04-30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USD965409S1 (en) 2018-12-12 2022-10-04 Yeti Coolers, Llc Latch portion
US10766672B2 (en) 2018-12-12 2020-09-08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MX2021007923A (es) * 2019-02-27 2021-08-11 Cool Gear Int Llc Recipiente que incluye enasmble de asa giratorio y de deslizamiento lineal con porcion de gancho.
CA3131361A1 (en) * 2019-02-27 2020-09-03 Cool Gear International, Llc Vessel with suspension system
CN210810369U (zh) * 2019-11-29 2020-06-23 深圳奇辉模具塑胶有限公司 一种可摆放物品的提手、盖子和水杯
US20210378444A1 (en) * 2020-06-05 2021-12-09 Richard Godlove Food Warming Container
TWI805198B (zh) * 2021-02-09 2023-06-11 皇冠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吊掛件之飲料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2018A (ja) 2006-11-27 2008-06-12 Zojirushi Corp 液体容器
JP2008302168A (ja) 2007-06-06 2008-12-18 Yoshihiro Machida 洗濯かご吊り下げ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1772A (en) * 1947-09-04 1950-03-28 Guard Edward John Beverage bucket
US2541261A (en) * 1949-02-26 1951-02-13 Johnson Co C S Bail construction
US3152729A (en) 1961-06-28 1964-10-13 Hamilton Skotch Corp Dispensing spigot for containers
US3467562A (en) * 1964-09-10 1969-09-16 Hamilton Skotch Corp Method of making an insulated container
USD306545S (en) 1987-06-15 1990-03-13 Tom Rosdick Insulator for fluid containers
US5050760A (en) * 1990-10-05 1991-09-24 Garcia Robert L Clothespin caddy
JPH0581035U (ja) * 1992-04-03 1993-11-02 キンシ化学工業株式会社 篭体用係止装置
US5806817A (en) * 1996-04-19 1998-09-15 Bruce K. Loud Attachment device for a ladder
JP3167647B2 (ja) * 1997-07-18 2001-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全自動洗濯機
US8240626B2 (en) 2008-08-06 2012-08-14 Kennedy Matthew P Recycling system and carrying apparatus
CN201494696U (zh) * 2009-07-29 2010-06-02 李焯俊 一种可拆装的挂篮
CN201457878U (zh) * 2009-08-21 2010-05-12 韩雅琳 新式水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2018A (ja) 2006-11-27 2008-06-12 Zojirushi Corp 液体容器
JP2008302168A (ja) 2007-06-06 2008-12-18 Yoshihiro Machida 洗濯かご吊り下げ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520A (ko) 2014-04-25
US8746498B2 (en) 2014-06-10
JP6096761B2 (ja) 2017-03-15
CA2837157C (en) 2018-07-17
JP2014518819A (ja) 2014-08-07
AU2012258850B2 (en) 2017-04-20
MX2013013681A (es) 2014-11-10
US20120298672A1 (en) 2012-11-29
CN103635396A (zh) 2014-03-12
MX344337B (es) 2016-12-07
CN103635396B (zh) 2015-11-25
CA2837157A1 (en) 2012-11-29
WO2012162398A1 (en) 2012-11-29
HK1192868A1 (zh)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956B1 (ko) 보관 후크를 가진 쿨러
AU2012258850A1 (en) Coolers with storage hooks
US11623793B2 (en) Container with one or more tray retention portions and support stand
US8245894B2 (en) Cup holder for shopping carts that retracts into the basket of the shopping cart
US8356712B2 (en) Portable container with integrated table surface
US8322666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and
US7334802B2 (en) Combination portable cooler and retractable tray
US20170082342A1 (en) Multi-componential cooler
US8371447B2 (en) Portable caddy
WO2006009537A1 (en) Insulated ice chest with accessory holders
US20050051690A1 (en) Cup holder
US20180116485A1 (en) Drying rack
US10463228B2 (en) Wine glass drying rack
US20120223548A1 (en) Platform assembly and article of furniture incorporating the same
US9297568B1 (en) Cooler with collapsible chair storage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US10201218B2 (en) Receptacle having locking handles
HUE026088T2 (en) storage device
US20090206211A1 (en) Collapsible stand
AU2010101487A4 (en) A Surface of a Container
AU2011203096A1 (en) Improved Tradesman's Lunchbox
NZ540400A (en) An adjustable tray for supporting tools and equipment, such as tins of paint, on a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