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914B1 -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914B1
KR101764914B1 KR1020170011296A KR20170011296A KR101764914B1 KR 101764914 B1 KR101764914 B1 KR 101764914B1 KR 1020170011296 A KR1020170011296 A KR 1020170011296A KR 20170011296 A KR20170011296 A KR 20170011296A KR 101764914 B1 KR101764914 B1 KR 10176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exhaust port
main body
mixing tube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철
Original Assignee
(주)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환 filed Critical (주)미환
Priority to KR102017001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는 급기관(20)을 통해 축사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수단(B)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A)는 전면에 상기 배기구(11)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 혼합관체(30)와, 상기 혼합관체(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칸막이부재(41,42)로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하단에는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구(11)쪽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악취성분과 상기 오존공급수단(B)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오존이 복잡한 형태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혼합되어, 악취성분과 오존공급수단(B)이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악취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악취제거장치{air deodorant apparatus}
본 발명은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소나 돼지를 기르는 축사에서는 분뇨 등에 의한 악취가 발생된다.
이러한 악취는 가축의 분뇨 등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나 벤젠 등과 같은 악취성분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악취성분이 대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주변의 공기가 오염될 뿐 아니라,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이와 같이 악취를 발생시키는 악취성분은 오존과 혼합될 경우,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악취제거장치 또는 냄새저감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악취제거장치 또는 냄새저감장치는 다수의 소나 돼지를 기르는 축사에 적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3354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기관(20)을 통해 축사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수단(B)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A)는 전면에 상기 배기구(11)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 혼합관체(30)와, 상기 혼합관체(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칸막이부재(41,42)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하단에는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구(11)쪽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는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호 반대쪽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존공급수단(B)은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 상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1)과, 오존공급관(52a)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51)에 연결되어 분사노즐(51)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기구(11)에는 배기팬(1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부재(41,42)는 상기 혼합관체(30)의 외측에 구비된 내측칸막이부재(41)와, 상기 내측칸막이부재(41)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칸막이부재(42)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칸막이부재(41)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상측개구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칸막이부재(42)의 후방 하측에는 상기 하측개구부(42a)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외측칸막이부재(42)와 배기구(11)의 사이를 가로막도록 제1 및 제2 격판(43,4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판(43)의 상단에는 보조상측개구부(43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판(44)의 하단에는 보조하측개구부(44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격판(43)과 제2 격판(44)의 사이에는 악취성분을 포집하는 활성탄 재질의 필터체(45)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체(45)의 내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52)가 연결되는 오존분사관(53)이 배치되어, 상기 필터체(45)에 포집된 악취성분에 집중적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악취성분이 분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는 급기관(20)을 통해 축사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수단(B)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A)는 전면에 상기 배기구(11)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 혼합관체(30)와, 상기 혼합관체(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칸막이부재(41,42)로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하단에는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구(11)쪽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악취성분과 상기 오존공급수단(B)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오존이 복잡한 형태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혼합됨으로, 악취성분과 오존공급수단(B)이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악취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급기관(20)을 통해 축사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수단(B)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A)는 전면에 상기 배기구(11)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 혼합관체(30)와, 상기 혼합관체(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칸막이부재(41,42)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11)는 전면에 여러개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11)에는 배기팬(12)이 연결되다.
이러한 제트노즐식 배기팬은 고속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혼합관체(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관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단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용접결합된다.
이때, 상기 혼합관체(30)의 후측면 상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는 급기공(3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2)는 상기 혼합관체(30)의 후측면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급기관(20)은 상기 본체(A)의 후측면과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후측면을 관통하도록 외부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혼합관체(30)의 급기공(31)에 연결된다.
상기 칸막이부재(41,42)는 상기 혼합관체(30)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단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용접결합된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하단에는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는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호 반대쪽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칸막이부재(41,42)는 상기 혼합관체(30)의 외측에 구비된 내측칸막이부재(41)와, 상기 내측칸막이부재(41)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칸막이부재(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칸막이부재(41)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상측개구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칸막이부재(42)의 후방 하측에는 상기 하측개구부(4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외측칸막이부재(42)와 배기구(11)의 사이를 가로막도록 제1 및 제2 격판(43,4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격판(43)의 상단에는 보조상측개구부(43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판(44)의 하단에는 보조하측개구부(4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12)은 고압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트노즐식 배기팬(12)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팬(12)을 구동시키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어,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사 내부의 공기와 축사에서 발생된 악취성분이 상기 급기관(30)을 통해 혼합관체(30)의 내부로 흡입되며, 상기 흡입관체(30)로 공급된 공기와 악취성분은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와 보조상측개구부(43a) 및 보조하측개구부(44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면에서 점선의 화살표는 상기 배출구(32)와 하측개구부(42a) 및 보조하측개구부(44a)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실전의 화살표는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상측개구부(41a)와 보조상측개구부(43a)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오존공급수단(B)은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 상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1)과, 오존공급관(52a)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51)에 연결되어 분사노즐(51)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5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판(12)이 구동되어 축사내부의 공기와 악취성분이 상기 혼합관체(30)로 흡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오존공급수단(B)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로 공급하면, 악취성분가 오존이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에서 1차로 혼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혼합된 악취성분과 오존이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와 보조상측개구부(43a) 및 보조하측개구부(44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호 혼합되어 악취성분이 분해되고, 이와 같이 악취성분이 분해되어 발생된 무해한 가스만이 상기 배기구(11)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악취제거장치는 급기관(20)을 통해 축사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수단(B)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A)는 전면에 상기 배기구(11)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 혼합관체(30)와, 상기 혼합관체(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칸막이부재(41,42)로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하단에는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구(11)쪽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악취성분과 상기 오존공급수단(B)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오존이 복잡한 형태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혼합됨으로, 악취성분과 오존공급수단(B)이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악취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는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호 반대쪽 위치에 각각 형성됨으로, 상기 악취성분과 오존이 통과하는 유로의 형태가 더욱 복잡해져서, 악취성분과 오존이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존공급수단(B)은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 상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1)과, 상기 분사노즐(51)에 연결되어 분사노즐(51)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52)로 구성됨으로,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공급된 악취성분과 오존이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1)에는 배기팬(12)이 연결됨으로, 상기 배기팬(12)을 구동시키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어, 축사에서 발생된 악취성분이 공기와 함께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된다.
따라서, 축사에서 발생된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칸막이부재(41,42)는 2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격판(43)과 제2 격판(44)의 사이에는 악취성분을 포집하는 활성탄 재질의 필터체(45)가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공급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체(45)에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체(45)의 내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52)가 연결되는 오존분사관(53)이 배치되어, 상기 필터체(45)에 포집된 악취성분에 집중적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악취성분이 분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오존분사관(53)에는 상기 오존공급관(52a)에서 분기된 분기관(52b)이 연결되어, 상기 오존발생기(52)에서 발생된 오존이 상기 오존분사관(53)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악취제거장치는 입자가 큰 악취성분을 상기 필터체(45)를 이용하여 포집한 후, 상기 오존분사관(53)을 통해 상기 필터체(45)에 포집된 악취성분에 집중적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분해함으로, 입자가 큰 악취성분이 미처 분해되지 못한 상태로 배기구(11)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기팬(12)에는 순환관(60)이 연결되며, 상기 순환관(60)은 악취가 발생되는 축사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팬(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축사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관(60)을 이용하여 배기팬(1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축사로 순환되도록 하면, 악취제거수단을 통과하여 냄세성분이 제거된 공기중에 남아있는 악취성분이나 오존이 대기로 배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중에 남아있는 오존을 축사로 배출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오존공급수단(B)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본체 10. 외부케이스
20. 급기관 30. 혼합관체
41,42. 칸막이부재 B. 오존공급수단

Claims (5)

  1. 급기관(20)을 통해 축사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수단(B)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A)는
    전면에 상기 배기구(11)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0)이 연결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 혼합관체(30)와,
    상기 혼합관체(3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칸막이부재(41,42)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하단에는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상기 급기관(20)을 통해 본체(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구(11)쪽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개구부(41a)와 하측개구부(42a)는 상기 칸막이부재(41,42)의 상호 반대쪽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수단(B)은
    상기 혼합관체(30)의 내부 상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1)과,
    오존공급관(52a)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51)에 연결되어 분사노즐(51)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에는 배기팬(1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41,42)는
    상기 혼합관체(30)의 외측에 구비된 내측칸막이부재(41)와,
    상기 내측칸막이부재(41)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칸막이부재(42)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칸막이부재(41)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상측개구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칸막이부재(42)의 후방 하측에는 상기 하측개구부(42a)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외측칸막이부재(42)와 배기구(11)의 사이를 가로막도록 제1 및 제2 격판(43,4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판(43)의 상단에는 보조상측개구부(43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판(44)의 하단에는 보조하측개구부(44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격판(43)과 제2 격판(44)의 사이에는 악취성분을 포집하는 활성탄 재질의 필터체(45)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체(45)의 내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52)가 연결되는 오존분사관(53)이 배치되어,
    상기 필터체(45)에 포집된 악취성분에 집중적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악취성분이 분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
KR1020170011296A 2017-01-24 2017-01-24 악취제거장치 KR10176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96A KR101764914B1 (ko) 2017-01-24 2017-01-24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96A KR101764914B1 (ko) 2017-01-24 2017-01-24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914B1 true KR101764914B1 (ko) 2017-08-14

Family

ID=6014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96A KR101764914B1 (ko) 2017-01-24 2017-01-24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141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에코브릿지 복합 반응형 탈취 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141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에코브릿지 복합 반응형 탈취 시설
KR102215962B1 (ko) * 2019-05-27 2021-02-17 (주)에코브릿지 복합 반응형 탈취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562B1 (ko) 공기 정화 및 탈취장치
KR101891474B1 (ko) 마이크로버블 복합 다단 탈취장치
JP5366027B2 (ja) 空気清浄器
KR101800230B1 (ko) 농축산용 살균 및 악취제거장치
KR101901719B1 (ko) 다단 선회류 습식 집진장치
KR20100134393A (ko) 분뇨악취제거장치
JP5847424B2 (ja) ガス処理装置
KR20140114119A (ko) 실험실 장비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1764914B1 (ko) 악취제거장치
KR102331251B1 (ko)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101774201B1 (ko) 악취가스 탈취장치의 가스인젝터
JP3117053U (ja) 脱臭装置
KR20170049270A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20080101959A (ko) 탈취 장치
KR20010081486A (ko) 산소를 발생하는 공기정화기
KR102328529B1 (ko) 살균 장치
KR102217994B1 (ko) 악취가스 처리장치
CN213314274U (zh) 一种垃圾中转站废气收集除臭协同处理系统
JP2007032975A (ja) 加除湿・除菌・消臭ウォールユニット
CN210934400U (zh) 一种多功能复合型离子除臭机
KR102304882B1 (ko)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KR102208770B1 (ko) 악취저감장치
JP2006141864A (ja) 空気浄化装置
CN110953658A (zh) 一种微型湿式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