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199B1 -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199B1
KR101763199B1 KR1020170009744A KR20170009744A KR101763199B1 KR 101763199 B1 KR101763199 B1 KR 101763199B1 KR 1020170009744 A KR1020170009744 A KR 1020170009744A KR 20170009744 A KR20170009744 A KR 20170009744A KR 101763199 B1 KR101763199 B1 KR 10176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wells
fish
movem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근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JP201711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44455B2/ja
Priority to CN201710448047.8A priority patent/CN107505457B/zh
Priority to US15/623,131 priority patent/US104846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toxi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1Colorimeters; Construction thereof
    • G01N21/253Colorimeters; Construction thereof for batch operation, i.e. multisample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5Control or 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for digital or video micr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플레이트에 구획된 복수의 웰(well)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미세 대상물을 각각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복수의 웰 중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만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최단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대로 상기 카메라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OBSERVATION EQUIPMENT FOR FINE OBJECT}
본 발명은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의 알 및 발생과정의 독성을 관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설치류의 급성독성 및 발생독성을 대체하는 실험용 동물로 Fish egg, 특히 Zebra fish egg를 사용한다.
웰 플레이트(Wellplate)의 각 웰에 상이한 실험 조건을 설정하여 Egg를 심고 분화 및 발생 과정의 심장박동수를 관찰하여 각 유해성 물질의 유해도를 평가한다. 이때, 웰 플레이트(Wellplate)란 관찰 대상물을 담는 투명한 도구로서 평면 내에 우물 형태의 웰이 열과 행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이한 실험 조건이란, 상이한 유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Fish egg의 분화 시간(약 3-4시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실험 및 관찰을 빠른 시간 내에 완료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발생 과정의 독성은 1분 이상 심장박동을 관찰하여 심장이 뛰는 횟수를 분당 심장 박동수로 나타내야만 한다. 이때 일반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수동 작업으로 인한 긴 시간 소요 및 웰 간 관찰 시점의 차이에 의하여 분화 시간 내에 복수의 웰 플레이트의 웰을 관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수동 작업은 웰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 초점을 설정하는 것, 영상 촬영 후 다음 웰로 이동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둘째, 현미경은 상측에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반면, egg는 웰의 하측에 가라앉아 있으므로 웰의 상측보다 하측에서 촬영이 더 용이하고 선명하다. 마지막으로, 실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웰플레이트에 한 번에 담을 수 있는 샘플의 개수가 분화 시간 내에 실험의 완료가 가능한 수로 제한된다. 특히 현미경을 이용한 심장박동수 측정에는 상당한 관찰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실험결과의 정확도 감소되며, 대용량의 실험이 불가능하다.
또한, fish egg는 초음파가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므로, fish egg를 관찰하는 데 있어서 초음파 장비는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어류 알 및 발달에 미치는 유해성 물질의 영향평가를 위한 새로운 장비를 제공하고, 종래 측정방법에서 인식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미세 대상물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플레이트에 구획된 복수의 웰(well)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미세 대상물을 각각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복수의 웰 중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만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최단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대로 상기 카메라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방법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웰 중 상기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법은, 상기 복수의 웰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한 영상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像)이 검출되는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정지 영상(stopped image, still image) 및 동영상(video, moving imag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복수의 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웰들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최단 경로대로 이동하는 제1이동을 수행한 후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최단 경로대로 이동하는 제2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될 시 상기 미세 대상물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미세 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동을 하나의 세트로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하나의 세트 이동 수행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간격 값에 따라 간격을 두고 다음의 세트 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 각각의 촬영 시, 제1배율로 촬영한 후, 상기 제1배율보다 고배율인 제2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배율로 촬영된 영상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웰 내에서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배율로 촬영 시 상기 결정된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배율로 확대되는 미세 대상물의 상은 영상 내 중앙에 놓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플레이트의 일면과 나란한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방향과, 상기 제1 및 제2방향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3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 대상물이 어류의 알인 경우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상기 스캐닝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및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 대상물이 어류의 알인 경우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반복 수행되는 카메라 이동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 및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 대상물이 어류의 알인 경우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반복 수행되는 카메라 이동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 값 및 상기 입력된 시간 간격 값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미세 대상물을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회전 시 상기 백라이트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카메라 및 백라이트는 프레임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단 이동 경로대로 카메라가 이동하며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만 촬영하므로, 보다 빠르게 복수의 미세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는 수평 방향인 제1 및 제2방향(x 및 y 방향)뿐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방향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대각선 방향인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최단 이동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미세 대상물이 어류의 알인 경우, 한정된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복수의 알을 여러 번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가 미세 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되므로 미세 대상물의 상측 또는 하측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 대상물이 플레이트의 웰에 가라앉아 있는 경우에도 보다 높은 품질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세 대상물이 백라이트에 의하여 빛을 공급받으므로, 보다 선명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이용한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해 각각의 웰에 수용된 복수의 미세 대상물의 심장 박동수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의 r축 방향 이동과 관련된 구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프레임의 x축 방향 이동과 관련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프레임의 y축 방향 이동과 관련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의 z축 방향 이동과 관련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의 스캐닝과 관련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단 이동 경로 설정과 관련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획득과 관련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는 카메라(100), 구동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100)는, 제1 및 제2배율 중 적어도 하나로 미세 대상물의 상을 획득하도록 제1 및 제2렌즈(111, 12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1)는 저배율 렌즈이고 제2렌즈(121)는 고배율 렌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렌즈(111)는 0.7~2.0의 배율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제2렌즈(121)는 10~50의 배율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100)는, 제1 및 제2카메라(110, 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카메라(110, 120)는 서로 다른 배율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카메라(110, 120)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렌즈(111, 121)는 각각 제1 및 제2카메라(110, 120)에 속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100)는, 필터, 이미지 센서 등 카메라 동작 및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0)는 본체(101) 및 상기 본체(10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1) 및 프레임(102)은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는 상기 프레임(102)을 지지하며 지면에 놓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1)에는 상기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0)의 전원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101a) 및 EMO 스위치(101b)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일측에는, 플레이트(104)가 놓일 수 있도록 검사 테이블(10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검사 플레이트(103)는, 제1 및 제2검사 플레이트(103a, 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검사 플레이트(103a, 103b)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검사 플레이트(103a)는 본체(101)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검사 플레이트(103b)는 상기 제1검사 플레이트(103a) 및 제2검사 플레이트(103b)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본체(101)의 타측에는, 프레임(102)이 상기 본체(10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2)은 제1 및 제2프레임(102a, 10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2a를 참조하여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동부(200)는, 본체(101)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102) 및 카메라(10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는 제1 내지 제4구동부(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구동부(210, 220, 230, 240) 각각은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의 프레임(102) 및 카메라(100) 중 적어도 하나를 r, x, y 및 z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210)는, 상기 카메라(100)가 상기 미세 대상물을 복수의 방향에서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부(210)는, 상기 카메라(100)가 미세 대상물의 상측 또는 하측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100)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구동부(210)에 의해 상기 카메라(100)는 미세 대상물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100)가 미세 대상물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며,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100)가 미세 대상물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프레임(102)은 제1 및 제2프레임(102a, 10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00)는 제2프레임(102b)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프레임(102a, 102b)은 상기 제1구동부(21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프레임(102b)이 제1프레임(102a)에 대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102b)에 장착된 카메라(100)가 미세 대상물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미세 대상물의 다양한 측면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미세 대상물을 보다 심도있게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 바닥에 놓여진 알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기에 용이하다. 이때, 상기 미세 대상물을 수용하는 플레이트(104)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100)는 미세 대상물의 상측 또는 하측에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카메라(100)가 미세 대상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가 카메라(100)의 위치가 0도에 대응되는 경우이고,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가 카메라(100)의 위치가 180도에 대응되는 경우라 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100)는 0~180 사이의 임의의 각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가 미세 대상물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에 위치된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카메라(1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구동부(220)는, 프레임(102)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2)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프레임(102)에 고정된 카메라(100)도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하면, 미세 대상물이 넓은 영역에 거쳐 검사 테이블에 놓인 경우에도, 상기 미세 대상물의 x축 방향의 스캐닝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구동부(220)는 스텝 모터, 직선 운동 가이드(LM GUIDE), 볼 스크류, 커플링, 리밋 센서(Limit sensor), 홈 센서(Hom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구동부(220)의 무빙 스트로크는 약 210mm일 수 있다. 또한, 직선 운동 가이드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리밋 센서 사이 간격은 약 200mm일 수 있다. 또한, 볼 스크류 리드는 약 2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치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구동부(230)는, 프레임(102)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2)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프레임(102)에 고정된 카메라(100) 또한 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하면, 미세 대상물이 넓은 영역에 거쳐 검사 테이블에 놓인 경우에도, 상기 미세 대상물의 y축 방향의 스캐닝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구동부(230)의 세부 구성요소는 상기 제2구동부(220)의 세부 구성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220)의 직선 운동 가이드와 제3구동부(230)의 직선 운동 가이드는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220)의 직선 운동 가이드가 제3구동부(230)의 직선 운동 가이드 상에서 직선 운동하고, 프레임은 제2구동부(220)상에 고정됨에 따라 프레임(102)이 전체적으로 y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구동부(230)의 무빙 스트로크는 약 310mm일 수 있다. 또한, 직선 운동 가이드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리밋 센서 사이 간격은 약 300mm일 수 있다. 또한, 볼 스크류 리드는 약 2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치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구동부(240)는, 카메라(10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4구동부(240)는 프레임(102)에 연결된 카메라(100)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100)가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렌즈와 검사 테이블 사이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4구동부(240)와 상기 카메라(100) 사이에는,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부(24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카메라(100)는 연결부(240a)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240a)가 상기 프레임(102)상에서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4구동부(240)의 세부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210, 220)의 세부 구성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4구동부(240)의 무빙 스트로크는 약 60mm일 수 있다. 또한, 직선 운동 가이드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리밋 센서 사이 간격은 약 50mm일 수 있다. 또한, 볼 스크류 리드는 약 1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치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제1 내지 제4구동부(210, 220, 230, 240)의 동작과 세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미세 대상물을 관측하기 위한 제어부(30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살핀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레이트(600)는 구획된 복수의 웰(610)을 구비한다. 각각의 복수의 웰(610)은 서로 다른 조건의 미세 대상물(E1, E2)을 수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조건의 미세 대상물이란, 서로 다른 물질과 혼합된 미세 대상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 대상물은 어류의 알이며, 상기 서로 다른 물질은 서로 다른 유해성 물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어류의 알에 대한 각 유해성 물질의 유해도에 대하여 실험 및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의 상이 각각 획득되도록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과 나란한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200)는, 제1 및 제2방향(d1, d2)과 상기 제1 및 제2방향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3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렌즈(111, 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방향(d1, d2)은 각각 x축 및 y축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방향은, 대각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600)의 복수의 웰(610)에 대한 개수, 크기 및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렌즈(111, 121)의 제1 및 제2방향의 이동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제1 및 제2렌즈(111, 121)가 복수의 웰(61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기 설정된 루트(T1)를 따라 스캐닝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렌즈(111, 121)의 제1 및 제2방향의 이동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측 장치(1)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조이스틱일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을 통해 신호 값을 입력받고, 상기 신호 값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렌즈(111, 121)의 이동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촬영이 필요한 웰들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지정된 웰들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설정된 최단 경로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렌즈(111, 121)가 이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렌즈(111, 121)는 x축 및 y축 이동의 조합을 통해 상기 최단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제1 및 제2렌즈(111, 121)가 복수의 웰 중 선택된 웰을 기 설정된 루트(T2)를 따라 스캐닝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관측 대상이 존재하고, 관측 대상의 관측 시간(예를 들어, 알의 분화 시간)이 제한적이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기 설정된 방법에 근거하여 복수의 웰 중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웰 전체를 한번에 촬영한 영상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像)이 검출되는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이란, 상기 상(像)이 기 저장된 미세 대상물의 형태 또는 색상과 같은 특징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으나,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는 상기 미세 대상물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웰의 각각의 감지부에서 미세 대상물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복수의 웰 중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들의 배치는 서로 연속되거나 연속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들은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기 설정된 방법에 근거하여 복수의 웰 중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일부의 웰들(610a, 610b, 610c, 610d)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일부의 웰들(610a, 610b, 610c, 610d)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부의 웰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610a)가 시작점으로 지정된 경우, (610a, 610b, 610c, 610d), (610a, 610b, 610d, 610c), (610a, 610c, 610b, 610d), (610a, 610c, 610d, 610b), (610a, 610d, 610b, 610c) 및 (610a, 610d, 610c, 610b)의 6가지의 경우의 이동 경로가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는 6가지의 이동 경로 중 그 이동 경로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경로를 최단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610a, 610b, 610c, 610d)의 이동 경로(T3)가 최단 이동 경로로 결정된다.
제어부는, 최단 이동 경로가 결정되면,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대로 상기 카메라가 이동하며 플레이트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70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710)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스캐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세 대상물을 보다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00)에는, 복수의 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720)가 출력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웰 플레이트(600)가 N개의 웰을 구비한 경우, 디스플레이부(700)에는 N개의 웰 각각에 대응되는 N개의 복수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배치는 상기 복수의 웰의 배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웰이 N1*N2의 매트릭스 형태로 플레이트에 배치된 경우, 복수의 이미지 역시 N1*N2의 매트릭스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00)에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에 대응되는 이미지들(720a, 720b, 720c, 720d)은 나머지 이미지들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즉각적으로 스캐닝이 이루어질 웰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웰들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도 7b의 (a) 및 (b)를 참조하면,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에는 선택이 되었다는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720c)의 선택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선택이 해제된 이미지(720c)에 대응되는 웰들은 이동 경로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 7b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진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웰들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재결정할 수 있다(도 7b의 (c)의 T3' 참조).
한편, 도 7b에서는, 제어부에 의하여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들이 결정된 후, 상기 웰들 중 일부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이동 경로에서 제외되는 예를 도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미세 대상물이 수용된 웰들이 결정된 후 사용자가 상기 결정된 웰들 외의 웰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을 추가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웰들 외의 웰들을 추가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카메라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최단 경로대로 이동하는 제1이동을 수행한 후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최단 경로대로 이동하는 제2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미세 대상물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즉, 카메라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세 대상물의 상측에 배치된 채로 플레이트의 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이동을 수행하고,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세 대상물의 하측에 배치된 채로 플레이트의 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이동을 마친 후 제2이동을 수행하기 전, 카메라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미세 대상물에 대하여 약 180도 회전된다.
나아가, 제어부는, 카메라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이동을 하나의 세트로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700)에는 사용자 입력부(73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30b)를 통해 사용자는 반복 횟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복 횟수에 '2'가 입력된 경우, 카메라는 제1이동, 제2이동, 제1이동 및 제2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는 회전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하나의 세트 이동 수행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간격 값에 따라 간격을 두고 다음의 세트 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된 사용자 입력부(730c)를 통해 사용자는 시간 간격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복 횟수에 '2'가 입력되고 상기 시간 간격 값에 '1'(분)이 입력된 경우, 카메라는 일 세트의 제1 및 제2이동 수행을 마치고 1분 후 다음 세트의 제1 및 제2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된 사용자 입력부(730a)를 통해 사용자는 관찰 시작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시간이 관찰 시작 시간이 되면 카메라의 스캐닝이 시작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웰에 수용된 미세 대상물의 관측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렌즈를 통해 제1 및 제2배율로 미세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1 및 제2영상이라 지칭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배율은 제1배율보다 고배율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영상보다 확대된 미세 대상물의 상을 포함하는 제2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의 좌측 도면이 제1영상을 나타내고, 우측 도면이 제2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1렌즈(111)를 통해 상기 제1배율로 확대된 미세 대상물의 상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을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기설정된 색상 또는 형태 등에 기초하여 제1배율로 확대된 미세 대상물의 상에서 픽셀 단위로 검사하여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자동 엣지 검출 알고리즘 또는 이상점 제거 방법에 근거하여 미세 대상물 세부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배율로 확대된 미세 대상물의 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프로그램의 측정 도구를 통해 대상물 측정 가능, 점, 선, 원, 호, 다각형, 다각선, 타원 등의 형태로 중점, 최대, 평균, 최소 거리 등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2배율로 촬영 시, 상기 결정된 미세 대상물의 세부 위치에 근거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의 위치 조정은, 제1 및 제2렌즈의 위치 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의 위치 조정에 의하여, 제2배율로 확대되는 미세 대상물의 상은 제2영상 내 중앙에 놓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제1 및 제2배율로 확대된 미세 대상물의 상에 근거하여 상기 미세 대상물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각각의 웰에 담긴 미세 대상물의 위치 및 크기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 있는 제1 및 제2렌즈(111, 121)의 이동에 의하여, 복수의 웰에 담긴 복수의 미세 대상물의 위치 및 크기 정보가 모두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플레이트(104)의 각 웰의 미세 대상물의 영상들은 하나의 영상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합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촬영 주기에 근거하여 촬영이 수행되도록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카메라(100)는, 시작 시간부터 종료 시간까지 촬영 주기마다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 대상물은 어류의 알일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또는 촬영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스캐닝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및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반복 횟수 값이 입력된 경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반복 수행되는 카메라 이동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 및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반복 횟수 값 및 시간 간격 값이 입력된 경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 값 및 상기 입력된 시간 간격 값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은 어류의 종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이미 알려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웰에 복수의 어류의 알이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촬영이 시작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의 기설정된 루트가 T1인 경우,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스캐닝이 완료되도록 할 수 상기 스캐닝 속도(구동부의 구동 제어 속도) 또는 각각의 웰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웰에서는,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배율 및 고배율 촬영이 순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웰에서는, 제4구동부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가 제어되며, 웰간 이동과 관련해서는, 제2 및 제3구동부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의 상측의 스캐닝이 완료되면, 제1구동부에 의해 카메라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플레이트의 하측의 스캐닝이 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어부가 플레이트의 고유한 속성 정보에 따라 스캐닝 루트를 자동으로 제어하므로 종래 기술에서 웰 간 카메라의 위치 이동에 관한 수동 작업으로 인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104)의 웰의 전체가 스캔되거나 일부가 선택적으로 스캔되도록, 카메라(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상기 카메라(100)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미세 대상물을 향하여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10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0) 및 백라이트(105)는 프레임(102)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미세 대상물이 백라이트(105)에 의하여 빛을 공급받으므로, 보다 선명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어류의 알을 관찰하도록 구성된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웰(well)로 구획된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웰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어류의 알을 각각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를 스캐닝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어류의 알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웰을 스캐닝하는 최단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i)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최단 이동 경로대로 이동하는 제1이동을 수행한 후,
    ii)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180°회전이동하고,
    iii) 상기 카메라가 상기 다른 하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최단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경로대로 이동하는 제2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상기 카메라의 제1 및 제2이동이 완료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방법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웰 중 상기 어류의 알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기 설정된 방법은,
    상기 복수의 웰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한 영상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像)이 검출되는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어류의 알이 수용된 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은, 정지 영상(stopped image, still image) 및 동영상(video, moving image) 중 적어도 하나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복수의 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웰들의 위치에 근거하여 최단 이동 경로를 수정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상기 제1이동, 회전이동 및 제2이동을 하나의 세트로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하나의 세트 이동 수행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간격 값에 따라 간격을 두고 다음의 세트 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어류의 알이 수용된 적어도 일부의 웰 각각의 촬영 시, 제1배율로 촬영한 후, 상기 제1배율보다 고배율인 제2배율로 촬영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배율로 촬영된 영상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웰 내에서 어류의 알의 세부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배율로 촬영 시 상기 결정된 어류의 알의 세부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율로 확대되는 어류의 알의 상은 영상 내 중앙에 놓이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어류의 알이 수용된 플레이트의 일면과 나란한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방향과, 상기 제1 및 제2방향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3방향 중 적어도 하나인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및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반복 수행되는 카메라 이동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 및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내에 입력된 반복 횟수 값에 따라 반복 수행되는 카메라 이동이 완료되도록, 상기 어류의 알의 분화 시간, 상기 결정된 최단 이동 경로, 상기 입력된 반복 횟수 값 및 상기 입력된 시간 간격 값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 속도 및 각각의 웰에 대한 촬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는, 본체 및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백라이트는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놓일 수 있는 검사 테이블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KR1020170009744A 2016-06-14 2017-01-20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KR10176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6194A JP6444455B2 (ja) 2016-06-14 2017-06-13 微細対象物観察装置
CN201710448047.8A CN107505457B (zh) 2016-06-14 2017-06-14 微细对象物观察装置
US15/623,131 US10484614B2 (en) 2016-06-14 2017-06-14 Apparatus for observing fine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075 2016-06-14
KR20160074075 2016-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199B1 true KR101763199B1 (ko) 2017-08-03

Family

ID=5965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744A KR101763199B1 (ko) 2016-06-14 2017-01-20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84614B2 (ko)
JP (1) JP6444455B2 (ko)
KR (1) KR101763199B1 (ko)
CN (1) CN1075054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09B1 (ko) * 2020-01-09 2021-07-02 (주)유아이엠디 고배율 촬상을 위한 최적 촬상경로 연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6230B1 (ja) * 2017-02-09 2018-04-04 Ckd株式会社 半田印刷検査装置、半田印刷検査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US20220187587A1 (en) * 2020-12-16 2022-06-16 Singular Genomics Systems, Inc. Kinematic imaging system
CN112811121A (zh) * 2020-12-30 2021-05-18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视觉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318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測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測定方法
JP5354978B2 (ja) 2008-07-02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検査条件決定方法
JP2014194376A (ja) * 2013-03-29 2014-10-0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欠陥検査方法および欠陥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0638B2 (ja) * 2001-12-28 2007-1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走査型レーザ顕微鏡システム
EP2188660B1 (en) * 2007-09-13 2018-11-14 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Method of dispersing immersion liquid on a specimen substrate for high resolution imaging and lithography
JP2011048013A (ja) * 2009-08-25 2011-03-10 Nikon Corp 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を用いた顕微鏡システム
US20110090327A1 (en) * 2009-10-15 2011-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with enhanced depth of field
JP5822345B2 (ja) * 2011-09-01 2015-11-24 島田 修 ホールスライドイメージ作成装置
KR20130055932A (ko) 2011-11-21 2013-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가공품의 무인 검사 시스템
JP2014219623A (ja) 2013-05-10 2014-11-20 ソニー株式会社 観測システム、観測プログラム及び観測方法
JP5784790B2 (ja) * 2014-04-28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蛍光観察装置
JP6450700B2 (ja) * 2016-03-29 2019-01-09 Ckd株式会社 基板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978B2 (ja) 2008-07-02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検査条件決定方法
JP2013145318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測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測定方法
JP2014194376A (ja) * 2013-03-29 2014-10-0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欠陥検査方法および欠陥検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09B1 (ko) * 2020-01-09 2021-07-02 (주)유아이엠디 고배율 촬상을 위한 최적 촬상경로 연산 방법
WO2021141381A1 (ko) * 2020-01-09 2021-07-15 (주)유아이엠디 고배율 촬상을 위한 최적 촬상경로 연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23951A (ja) 2017-12-21
US20180097999A1 (en) 2018-04-05
JP6444455B2 (ja) 2018-12-26
US10484614B2 (en) 2019-11-19
CN107505457B (zh) 2019-06-25
CN107505457A (zh)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199B1 (ko)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JP6374197B2 (ja) デジタル顕微鏡およびデジタル顕微鏡の作業工程を最適化する方法
EP2813803B1 (en) Machine vis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igh-speed focus height measurement operations
US107125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scanning of images in digital microscopes
JP2011186305A (ja) バーチャルスライド作成装置
JP7319903B2 (ja) 高速tagレンズ支援3d計測及び拡張被写界深度撮像
RU2009138941A (ru)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тестирования для контроля множества параметров, касающихся работы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различных видов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JP2013050379A (ja) 硬さ試験機
JP2000180330A (ja) 硬度計
JPH11304721A (ja) 外観検査装置
EP1684107B1 (en) Examination method and examination-assisting tool
KR20070016752A (ko) 길이 측정장치 및 방법
WO2019003274A1 (ja) 細胞観察システム
JP2007033372A (ja) 外観検査装置
KR100897674B1 (ko) 표본 검사 시스템 및 표본 검사 방법
JP2020517966A (ja) 対象物を光学的に検査する検査装置、検査装置を備えた製造システム、及び、検査装置を用いて対象物を光学的に検査する方法
JP6640610B2 (ja) 観察装置、測定システム及び観察方法
KR100752989B1 (ko)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겸용 물체 측정장치
JP7297204B2 (ja) 毛髪観察方法及び位相差顕微鏡システム
US7170075B2 (en) Inspection tool with a 3D point sensor to develop a focus map
JP2003295066A (ja) 顕微鏡装置
CN116859577A (zh) 一种超越景深的显微拍摄方法
JP4073700B2 (ja) 硬度計
JPH11304439A (ja) 非接触伸び計
JPS62135705A (ja) 画像処理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