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784B1 - 화물 운반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팔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1784B1 KR101761784B1 KR1020160154148A KR20160154148A KR101761784B1 KR 101761784 B1 KR101761784 B1 KR 101761784B1 KR 1020160154148 A KR1020160154148 A KR 1020160154148A KR 20160154148 A KR20160154148 A KR 20160154148A KR 101761784 B1 KR101761784 B1 KR 101761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allet
- support leg
- pallet body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303—Cell type, e.g. honeycom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8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 B65D2519/00791—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handles, handgrip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 B65D2519/0099—Dismountable elements single dismountable pallet element, e.g. for re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운반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구성 또는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한편, 사용 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니컴 부재와; 상기 하니컴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포함하는 팔레트 몸체부와;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 몸체부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니컴 부재와; 상기 하니컴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포함하는 팔레트 몸체부와;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 몸체부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운반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구성 또는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한편, 사용 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용 조립 박스는 박스의 하부가 팔레트 등의 받침부재와 결합되어 지게차 등에 의해 운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반적인 운반용 조립 박스는 박스와 팔레트가 일체로 구성되거나, 박스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부피가 커서 보관하거나 반송 등과 같이 이동할 경우에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관하거나 반송 등과 같이 이동할 경우에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조립 박스의 상하부를 팔레트에 부착한 팔레트 시스템을 적층되도록 한 후, 운반수단인 지게차 등의 포크를 팔레트의 사이에 삽입하여 운반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팔레트들 서로 겹치고, 조립 박스는 접어서 적층하여 회수하는 접이식 조립 박스 팔레트 시스템이 한국등록 특허 10-1591857에 나타난다.
한국 등록 특허 10-1591857에 팔레트나 상부 커버는 폴리프로필렌(일명 PP)를 이용하여 사출 제작을 하여 일체형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지 재질의 일체형 팔레트 또는 커버의 경우, 바닥에 던져지거나, 지게차 포크와 충돌하거나, 서로 팔레트/커버 끼리 충돌하는 경우, 파손되는 경우가 잦은 문제가 있었다.
즉, 테두리를 따라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지지 다리가 깨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이러한 파손 빈도수는 겨울철과 같이 온도 낮은 경우에 더더욱 빈번하게 나타나며, 일체형 팔레트 또는 커버의 경우, 국부적으로 파손이 발생하여도, 팔레트 또는 커버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내구성과 내충격성을 개선한 화물 운반용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영역에 파손이 발생하여도 해당 영역만 교체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니컴 부재와; 상기 하니컴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포함하는 팔레트 몸체부와;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 몸체부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 다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마련된 캐비티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다리는,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되 분할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그 내부에 캐비티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지지 다리와; 그 테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레트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다리의 상부는 플랜지부보다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단위 지지 다리 내부에는 바닥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브는 단위 지지 다리 내부의 캐비티에 교차되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 패널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화물 운반용 팔레트들이 적재되는 경우, 팔레트 몸체부 간에 상하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레트 몸체부에 지지 다리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하니컴 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배치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는 하니컴 부재를 구성하는 구획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블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는 하니컴 부재의 관통공 내부 테두리를 따라 연속체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레트 몸체부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 중 일부 지지 다리는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지지 다리의 플랜지는 외곽 프레임의 내측벽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팔레트 몸체부에 하니컴 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현저하게 강해진다.
또한, 하니컴 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배치하여 대부분의 외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수화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팔레트 몸체부에 지지 다리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여 지지 다리 파손을 인하여 파손된 지지 다리가 더 이상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 해당 지지 다리만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팔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다리가 상호 분할되어 구분되는 단위 지지 다리로 구현되기 때문에 하중 분산으로 인한 지지력이 배가된다. 그리고, 일부 단위 지지 다리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지지 다리가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서 일부 지지 다리 파손시에도 안정적인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수지 사출로 제작된 팔레트와 그 위에 베이스 보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베이스 보드를 없애고, 팔레트 상면이 베이스 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식 박스 조립체의 구성이 보다 단순화 되었다.
그리고, 지지 다리의 플랜지가 팔레트 몸체부의 하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하중의 분산이 일어날 수 있고, 지지 다리 플랜지와, 팔레트 몸체부 내부에 있는 고정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가 금속 인서트와 같은 단단한 고정 구조인 경우, 체결부재가 더욱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팔레트 몸체부의 외곽에, 테두리 프레임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부를 도입함으로써, 팔레트의 외곽 부분이 충돌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외곽 테두리에 안착홈을 만들어서, 이 부분에 박스 하면 테두리가 삽입되게 하여 박스가 팔레트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코너 연결부가 상호 교차되는 테두리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외곽 프레임 전체적인 구조적인 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커버 부재의 경우, 상면에 지지 다리 받침대를 배치함으로써, 운반용 박스 조립체가 복층으로 배치되는 경우,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커버 부재의 지지 다리 받침대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이러한 체결부재와 박스 내부의 수화물과 간섭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였다.
커버 몸체부의 외곽에, 테두리 프레임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부를 도입함으로써, 커버 부재의 외곽 부분이 충돌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외곽 테두리에 안착홈을 만들어서, 이 부분에 박스 상면 테두리가 삽입되게 하여 박스에 커버 부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코너 연결부가 상호 교차되는 테두리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외곽 프레임 전체적인 구조적인 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에서 팔레트와 박스 결합 부분 및 박스의 결합부분의 구체적으로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코너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코너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a)와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외곽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10(c)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테두리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지지 다리의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측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도18(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1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19(a)와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9(a)와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에서 박스가 접힌 상태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의 다수를 패키징 하기 위하여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에서 팔레트와 박스 결합 부분 및 박스의 결합부분의 구체적으로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코너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코너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a)와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외곽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10(c)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 사용되는 테두리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코너 연결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지지 다리의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측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도18(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1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19(a)와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9(a)와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팔레트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에서 박스가 접힌 상태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운반용 박스 조립체의 다수를 패키징 하기 위하여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100)(이하 '팔레트'라 한다) 및 팔레트(100)를 포함하는 박스 조립체(1)(이하 '박스 조립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박스 조립체(1)는 접는 형태로 마련되는 박스(200)와, 박스(200) 하부에 배치되는 팔레트(100)와, 박스(200) 위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30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300)는 판 형태로 마련되는 커버 몸체부(310)와, 커버 몸체부(310)의 외곽를 둘러싸고 있는 외곽 프레임(320)과, 커버 몸체부(310)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 받침대(350)를 포함한다.
박스 조립체(1)가 복층 형태로 쌓이는 경우, 상부층에 있는 박스 조립체(1)의 팔레트(100)의 지지 다리(150)는, 하부 층에 있는 박스 조립체(1)의 커버 부재(300)에 설치된 지지 다리 받침대(350)에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외곽 프레임(320)는 커버 몸체부(310)의 테두리를 따라서 길게 배치되는 테두리 프레임(3210)와, 각 테두리 프레임(3210)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테두리 프레임(3210)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부(3220)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커버 부재(300) 아래에는 접철식 박스(200)가 마련된다.
박스(2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의 외곽 부분을 둘러싸는 복수의 프레임부(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부(220)는 수평 프레임(221)과, 수직 프레임(2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200)가 접힐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222)과 인접한 수직 프레임부 (222)사이에는 접철 프레임(230)이 설치된다.
그리고, 플레이트(210)에는 핸들부(240)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핸들부(240)를 파지하여 박스 조립체(1)를 들 수 있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조립체(1) 하부에는 팔레트(100)가 설치된다.
박스(200)의 하부 테두리가 팔레트(100)에 설치된 설치부(미도시)에 수용됨에 따라서 팔레트(100) 위에 박스(200)가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100)는 팔레트 몸체부(110)와, 팔레트 몸체부(11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 프레임(120)와, 팔레트 몸체부(110)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150)를 포함한다.
지지 다리(150)는 복수로 구비되어 팔레트 몸체부(110) 하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2는 9개의 지지 다리가 개시되어 있고, 중앙에 한개, 각 테두리에 8개가 배치되는 것을 보이고 있지만, 이 수량은 박스 조립체(1)나 팔레트(10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지지 다리(150)는 여러개의 단위 지지 다리(151) 및 그 외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부(152)로 구성된다.
하나의 지지 다리(150)가 여러 개의 단위 지지 다리(151)로 나뉨으로써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만일 하나의 단위 지지 다리(151)가 파손되어서 제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나머지 온전한 단위 지지 다리(151)가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지지 다리가 단일의 통 형태(절두 형태의 사각 뿔 형태)로 마련되어, 그 부분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이 되어 지지역할을 못하는 경우, 박스 조립체가 비뚤어지게 되어 박스 조립체전체가 기울어지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지지 다리가 파손되어 제 기능을 못하면 팔레트 전체를 교체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지지 다리(150)가 복수의 단위 지지 다리(151)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단위 지지 다리(151)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단위 지지 다리(151)들이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하나의 통 형태의 지지 다리에 비해서 하중 분산이 보다 잘 이루어져서 더 무거운 수화물도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 다리(150)가 팔레트 몸체부(110)에 일체형태가 아니고 결합 형태로 되어 있어서, 하나의 지지 다리(150)가 완전히 파손되어 지지 역할을 못하면, 그 부분만 교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지지 다리(150)에는 플랜지부(152)가 마련된다.
플랜지부(152)는 지지 다리(150)와 팔레트 몸체부(110), 또는 지지 다리(150)와 외곽 프레임(120)이 연결되는 경우,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플랜지부(152)는 팔레트 몸체부(110)의 하면 또는 외곽 프레임(120)의 하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랜지부(152)의 연장길이는 설치되는 지지 다리(150)가 팔레트 몸체부(110)의 어느 영역에 설치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레트 몸체부(110)의 정중앙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150(150a))의 경우, 플랜지부(152)의 연장길이가 사방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 다리(150(150b))가 팔레트 몸체부(110)의 코너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코너를 이루는 두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다른 부분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테두리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150(150c))의 플랜지(152)외곽 테두리 방향, 즉 한쪽 방향으로는 길게 연장되고, 나머지 세 개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랜지부(152)의 하면에는 상호 구획된 리브(15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리브(1521)는 플랜지부(152) 두께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와, 박스(200)와, 팔레트(10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버부재(300)의 하면 테두리는 박스(200)의 상면 테두리에 안착되고, 박스(200)의 하면 테두리는 팔레트(100)의 상면 테두리에 안착되어 조립된다.
이를 위해서, 커버부재(300)의 외곽 프레임(320)에는 박스(200)의 상부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상부 안착홈(도17참조, 3213, 3223)이 마련되고, 팔레트(100)의 외곽 프레임(120)에도 박스(200) 하부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하부 안착홈(1213, 1223 )이 마련된다.
박스(200)의 접철 프레임(230)은 도3의 기준으로 박스(200)의 각 코너와, 박스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핸들부(240)는 박스(200)의 양 측면의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300) 상면에 있는 지지 다리 받침대(350)는 커버 몸체부(310)의 중앙부와, 코너, 그리고 각 테두리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박스 조립체(1)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팔레트(100)의 팔레트 몸체부(110) 상면 대부분은 평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지지 다리(150)가 위치한 부분만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지지 다리 내에 있는 캐비티(1511)가 보인다.
캐비티(1511)가 상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팔레트(100)를 누적시켜서 쌓을 수 있다.
캐비티(1511)는 각각 단위 지지 다리(151)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다리(150) 주위에 체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어서, 지지 다리(150)와 팔레트 몸체부(110), 또한, 지지 다리(150)와 외곽 프레임(120)을 결합시킨다.
팔레트(100)에 설치된 지지 다리(150)는 팔레트 몸체부(110)의 중앙부와, 코너, 그리고 각 테두리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박스 조립체(1)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1140mm * x 1140 mm 의 정사각형 평면을 갖는 박스 조립체를 도시하였지만, 이보다 작거나 큰 크기의 정사각형 평면, 및 직사각형 평면을 갖는 박스 조립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4는 도3에서 나타난 분해 사시도보다 더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박스(200)는 각각 플레이트부(210)와, 플레이트 부(210)를 둘러싸는 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220)은 다시 수직 프레임(222)과 수평 프레임(221)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박스(200)의 접히는 영역에는 수직 프레임(222)과 수직 프레임(222) 사이에 접철 프레임(240)이 마련되어 서로 이웃한 플레이트(210)에 결합된 수직 프레임(222)을 연결한다.
도4에서 오른쪽 확대원에서 구체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왼쪽 플레이트부(210)에 설치된 수직 프레임(222)과, 오른쪽 플레이트(210)에 설치된 수직 프레임(222) 사이에 수직 배치된 접철 프레임(2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222)의 측단은 접철 프레임(240)의 측단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직 프레임(222)의 측단과 접철 프레임(240)의 측단은 서로 맞물리는 암수 슬라이드 레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의 왼쪽 확대원에는 팔레트(100)의 외곽 프레임(120)에 마련된 하부 안착홈(1213, 1223)에 박스(200)의 하부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커버 부재(300)의 상부 안착홈(도17참조, 3213, 3223)이나, 팔레트(100)의 하부 안착홈(1213, 1223)은 모두 그 테두리를 따라서 연속된 홈 형태로 마련되고, 그 형태는 박스(200)의 테두리 형태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안착홈(1213, 1223) 및 상부 안착홈(3212, 3223)은 외곽 프레임(120, 320) 상면 변 부분 및 코너 부분을 따라서 연속된 폐루프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부 안착홈(1213, 1223)과 상부 안착홈(3213, 3223)에 박스 테두리가 삽입되어 걸리기 때문에 커버 부재(300)나 팔레트(100)가 수평방향으로 박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5는 팔레트(1)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 몸체부(110)의 테두리에는 외곽 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외곽 프레임(120)은 팔레트 몸체부(110)의 테두리 변쪽에 설치되는 테두리 프레임(121)과, 팔레트(100)의 코너 부분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테두리 프레임(121)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테두리 프레임(121)의 단부에는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는 제1경계영역(121a)과, 제1경계영역(121a)과 연결되며 바깥방향으로 이어져 있는 제2경계 영역(121b)이 마련된다.
상호 인접하고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테두리 프레임(120)의 제1경계영역(121a)은 서로 맞대어진 상태가 된다.
상호 인접하고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테두리 프레임의 제2경계 영역(121b)은 서로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코너 공간(CS, 도6참조)이 형성된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공간(C)에 코너 연결부(122)가 위치한다.
테두리 프레임(121)에는 하부 안착홈(1213)과, 하부 안착홈(1213) 외측의 외측벽(1211)과, 하부 안착홈(1213) 내측의 내측벽(1212), 안착홈(1213) 아래에 바닥벽(1214)이 마련된다.
그리고, 코너 연결부(122)에도 하부 안착홈(1223)과, 하부 안착홈(1223) 외측의 외측벽(1221)과, 하부 안착홈(1223) 내측의 내측벽(1222), 하부 안착홈(1223) 아래에 바닥벽(1224)이 마련된다.
코너 연결부(122)가 서로 인접한 테두리 프레임(121)을 연결한다.
이에 의하여 테두리 프레임(121)의 하부 안착홈(1213)과, 코너 연결부(122)하부 안착홈(1223)이 서로 연통하게 되고,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과, 코너 연결부(122)의 내측벽(1222)이 연결되며, 테두리 프레임(121)의 외측벽(1211)과, 코너 연결부(122)의 내측벽(1221)이 연결된다.
따라서, 박스(200)가 테두리 프레임(121)의 하부 안착홈(1213)과, 코너 연결부(122)의 하부 안착홈(1223)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22)과, 외측벽(1221)에는 각각 공간부(1221a, 1222a, 1222b)가 형성되고, 코너 연결부(122)에는 돌출부(1225)가 마련된다.
그리하여, 코너 연결부(122)가 코너 공간(CS)에 위치하는 경우, 돌출부(1225)가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 및 외측벽(1211)에 있는 공간부(1221a, 1222a, 1222b)에 삽입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간부가 코너 연결부(122)에 형성되고, 돌출부가 테두리 프레임(121)에 형성되는 반대 형상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121)과 코너 연결부(1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23)가 코너 연결부(122) 방향으로 삽입된 후, 테두리 프레임(121) 방향으로 깊숙히 들어가서 체결된다.
이에 의하여 테두리 프레임(121)과 코너 연결부(122)가 상호 고정된다.
도5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100)의 상면 대부분은 평면 형태로 되어 있고 지지 다리(150)가 설치된 부분만 캐비티(1511)가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캐비티(1511)의 면적 비율은 팔레트 전체 면적 대비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수화물이 캐비티(1511)에 들어가는 가능성이 적고, 평면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게다가 캐비티(1511)는 단위 지지 다리(151) 만큼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하나의 통 형태로 된 지지다리의 캐비티에 비해서 진입 입구 면적이 작아진다.
도7은 팔레트(1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팔레트(100)는 크게 팔레트 몸체부(110), 외곽 프레임(120), 지지 다리(150)로 구성되는데, 도면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서 지지 다리(150) 및 지지 다리(15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도6, 123)는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도7에 의한 팔레트(100)의 제1실시예에서 보면, 팔레트 몸체부(110)는 그 중심에 하니컴 부재(111)와, 하니컴 부재(111)의 상면과 하면에 이를 커버하는 상면 패널(112)과, 하면 패널(113)을 포함한다.
하니컴 부재(111)는 벌집 모양의 다수 격벽 및 이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을 포함하며, 상하 충격이나 부하에 강한 특성을 보이는 부재이다.
하니컴 부재(111)는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또는 수지를 함침한 종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면 패널(112)과 하면 패널(113)은 금속판, 플라스틱 판 등으로 구성될 수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니컴 부재(111) 중 지지 다리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 관통공(111a)이 형성되는데, 이는 지지 다리(도5참조, 150)의 캐비티(도5참조, 1511)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관통공(111a) 주변에는 하니컴 부재(110)의 구획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물체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면 패널(112), 하니컴 부재(111), 하면 패널(113)이 결합되어 팔레트 몸체부(110)가 만들어지고, 그 외곽에 외곽 프레임(120)이 설치된 후, 팔레트 몸체부(110) 및 외곽 프레임(120)에 지지 다리(도5참조, 15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도15참조, 163)가 필요하다.
체결부재(도15참조, 163)는 스크류나 또는 리벳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체결부재(163)와 결합하여 너트 역할이나 지지부 역할을 하도록 제1관통공 (111a)주변에 하니컴 부재(111)의 구획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물체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고정부재(170a)라고 정의한다.
고정부재(170a)는 허니컴 부재(111)의 구획공간이 육각형인 경우, 육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관통공(111a, 112a, 113a)은 하니컴 부재(111), 상면 패널(112), 하면 패널(113)의 중앙부와 그 테두리 부분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다.
편의상 하니컴 부재(111)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1관통공(111a), 상면 패널(112)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2관통공(112a), 하면 패널(113)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3관통공(113a)이라고 정의한다.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170b)는 제1관통공(111a)의 주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서 중앙 부분에 있는 제1관통공(111a) 주변에는 제1관통공(111a)의 4개의 변을 따라서 최소한 4개의 고정부재(170a)가 배치되고, 코너 부분에 있는 제1관통공(111a) 주변에는 제1관통공(111a)의 2개의 내측 변을 따라서 최소 2개의 고정부재(170a)가 배치된다.
그리고, 허니컴 부재(111) 외곽 테두리 변 중앙부분에 있는 제1관통공(111a) 주변에는 제1관통공(111a)의 3개의 내측 변을 따라서 최소 3개의 고정부재(170a)가 배치된다.
하면 패널(113)의 제3관통공(113a) 주위에는 체결부재(도15참조, 163)가 통과하도록 체결 안내공(113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코너 부분에 있는 제1관통공(111a) 주변에 있는 2개의 외측변 및 허니컴 부재(111)의 외곽 테두리 변 중앙부분에 있는 제1관통공(111a)의 외측 변에는 고정부재(170a)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여기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63)는 외곽 프레임(12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외곽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에는 하니컴 부재(111)의 외곽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215)이 형성된다.
삽입공간(1215)은 내측벽(1212)과, 내측벽(1212)의 상면에서 내측 방향(하니컴 부재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1215a)와, 내측벽(121)의 하면 에서 내측 방향(하니컴 부재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부(1215b)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공간(1215)에 하니컴 부재(111)의 외곽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코너 연결부(122)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테두리 프레임(121) 사이의 코너 공간에 배치되어, 두 개의 테두리 프레임(121)을 연결할 수 있다.
도8은 팔레트의 제2실시예이다.
도7에 의한 제1실시예와, 도8에 의한 제2실시예의 차이점은 제1실시예에서는 각 고정부재(170a)가 하니컴 부재(110)의 구획공간에 맞게 작은 블록 형태로 되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제1관통공(111b) 테두리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는 점이다.
다만, 하니컴 부재(111)의 외곽 테두리에 대향되는 쪽은 고정부재의 구성이 빠져 있는데, 이는 체결 부재(도15참조, 163)가 직접 외곽 프레임(120)에 결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중앙에 있는 제1관통공(111b) 주위에는 'ㅁ' 자 형태의 고정부재(170b)가 설치된다.
그리고, 4군데의 코너 영역에는 'ㄴ' 자 또는 'ㄱ'자 형태의 고정부재(170b)가 설치된다. 그리고, 4군데의 테두리 중앙 영역에는 'ㄷ'자 형태의 고정부재(170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제외 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나머지설명을 생략한다.
도9는 팔레트의 제3실시예이다.
도7에 의한 제1실시예 및 도8에 의한 제2실시예와 도9에 의한 제3실시예의 차이점은, 제3실시예에서는 모든 고정부재(170c)가 동일하게 'ㅁ'자 형태로 마련되어 각 제1관통공(111c) 주위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모든 고정부재(170c)를 동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 원가가 제2실시예보다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니컴 부재(111)는 '#' 형태로 마련된다.
정 중앙의 제1관통공(111c)을 제외하고는 코너에 있는 관통공(111c)의 외측 방향과, 테두리 변 중앙에 있는 관통공(111c)의 외측 방향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위와 같은 하니컴 부재(111)에 고정부재(170c)를 장착하고, 외곽 프레임(120)을 결합하면, 하니컴 부재의 테두리(고정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테두리 부분) 및 하니컴 부재(111)의 코너와 테두리 중간에 있는 고정부재(170c)의 일부분이 외곽 프레임(120)의 삽입공간(121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제외 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제1,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나머지 설명을 생략한다.
도10은 외곽 프레임(1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10(a)와 도10(b)는 외곽 프레임(120)에서 테두리 프레임(121)과 코너 연결부(122)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결합된 상태에서는 테두리 프레임(121)과 코너 연결부(122)가 면대면으로 상호 연속적인 형태가 된다.
즉, 테두리 프레임(121)의 하부 안착홈(1213)과, 코너 연결부(122)의 하부 안착홈(1223)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테두리 프레임(121)의 외측벽(1211)과, 코너 연결부(122)의 외측벽(1221)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과, 코너 연결부(122)의 내측벽(1222)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의 상부 테두리 및 코너 연결부(122)의 내측벽(1222)의 상부 테두리에는 하부 안착홈(1213, 1223)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212f, 1222f)이 형성된다.
박스의 하부 테두리가 하부 안착홈(1213, 1223)으로 진입하는 경우, 경사면(1212f, 1222f)을 만나서 하부 안착홈(1213, 1223) 방향으로 보다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10(c)는 코너 연결부(122)의 사시도이다.
코너 연결부(122)의 내측벽(1222)과, 외측벽(1221)은 각각 평면도상 'ㄱ'자 형태로 절곡되고, 내측벽(1222)과 외측벽(1221) 사이의 하부 안착홈(1223)도 평면도상 'ㄱ'자로 절곡된다.
한편, 내측벽(1222)의 내면에는 돌출부(1225)가 마련되는데, 돌출부(1225)는 테두리 프레임(121)의 측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돌출부(1225)는 서로 다른 부분을 향하도록 배열되는데, 이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테두리 프레임(121)과 각각 결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각각의 돌출부(1225)는 제1돌출부(1225a)와, 제2돌출부(1225b)를 포함하고, 제1,2돌출부(1225a, 1225b) 사이는 슬릿 형태의 이격 공간(122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격된 부분 중심에는 원형 형태의 공간부(1225d)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225a)의 높이는 제2돌출부(1225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1돌출부(1225a)의 상부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에 있는 제1공간부(1212a)의 내부 높이가 제2공간부(1212b)의 높이보다 높고, 그 상부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호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2돌출부(1225a, 1225b) 사이의 이격공간(1225c)은 테두리 프레임(121)의 측면의 내측벽(1212) 내부에 있는 구획리브(1212c)가 끼워지는 곳이며, 원형 형태( 또는 C 자 형태)의, 공간부(1225d)는 테두리 프레임(121)과 코너 연결부(122)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도12, 참조 123)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체결 부재(123)의 삽입을 위해서 코너 연결부(122)의 서로 다른 면의 외측벽(1221)에는 외측 삽입공(1221a)이 형성되고, 내측벽(1222)에는 내측 삽입공(1222a)이 형성되며, 외측 삽입공(1222a)과 내측 삽입공(1222b) 사이에는 바닥이 파여진 형태의 삽입 안내 채널(1223a)이 마련된다.
삽입 안내 채널(1223a)은 하부 안착홈(1223)의 바닥벽(1224)이 약간 파여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 삽입 안내 채널(1223a)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내측 삽입공(1222a)은 상술한 원형 형태의 공간부(1225d)와 연통된다.
도11(a)는 코너 연결부(122)의 측면도이며, 도11(b)는 이와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121)의 측면도이다.
도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연결부(122)의 외측벽(1221)과 내측벽 사이에는 하부 안착홈(1223)이 마련되고, 하부 안착홈(1223) 아래에는 바닥벽(1224)이 마련된다.
그리고, 외측벽(1221), 내측벽(1222), 바닥벽(1224)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이는 강도 보강, 무게 감소를 위함이다
내측벽(1222)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술한 경사면(1222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돌출부(1225b)와 제2돌출부(1225a) 사이에는 이격공간(1225c)이 형성되어 있고, 이격 공간(1225c)에는 원형 형태(또는 C 형태)의 공간부(1225d)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삽입공(1222a)과 원형 형태(또는 C 형태)의 공간부(1225d)는 연통되어 있는데, 내측 삽입공(1222a)의 내경은, 원형 형태(또는 C 형태)의 공간부(1225d)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외측 삽입공(1221a)을 통해서 내측 공간부(1222a)로 진입하는 체결부재(도12참조, 123)의 헤드부(123a)가 내측 삽입공(1222a) 입구 테두리에서 걸려서 더 이상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테두리 프레임(121)도 외측벽(1211)과, 내측벽(1212), 하부 안착홈(1213), 하부 안착홈(1213) 아래의 바닥벽(1214)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측벽(1212)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내부 방향(하니컴 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1215a)와 하부 연장부(1215b)가 있다.
상부 연장부(1215a)와 하부 연장부(1215b) 사이에는 삽입공간(1215)이 형성되어 이 부분으로 하니컴 부재(도7참조, 111)의 테두리가 삽입된다.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의 상부 테두리에도 경사면(1212f)이 형성되어 하부 안착홈(1213)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한편, 내측벽(1212)의 공간부는 제1공간부(1212a)와 제2공간부(1212b)로 나뉘고, 제1공간부(1212a)와 제2공간부(1212b)는 구획 리브(1212c)에 의하여 구획된다.
그리고 구획리브(1212c)에는 'C'자 형태로 마련되어 코너 연결부(122)를 통과한 체결부재(도12참조, 123)의 몸체부(123b)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부(1212d)가 마련된다.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에 있는 제1공간부(1212a)의 내부 높이가 제2공간부(1212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2공간부(1212b)의 높이가 제1공간부(1212a)의 높이보다 작은 이유는 제2공간부(1212b)의 바닥벽의 두께가 제1공간부(1212a)의 바닥벽의 두께보다 두껍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2공간부(1212b)의 바닥벽의 두께가 두꺼운 이유는 추후 지지 다리(150)의 플랜지부(152)가 그 아래에 배치되고, 플랜지부(152)를 관통하는 지지 다리(151)의 체결부재(도15참조, 163)의 몸체부(163b)가 제2공간부(1212b)의 바닥벽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제2공간부(1212b)의 바닥벽이 제1공간부(1212a)의 바닥벽 처럼 얇게 되면, 지지 다리(150)의 체결부재(163)의 몸체부(163b)를 잡아주는 힘이 약하여 체결부재(163)가 외부로 이탈되고, 이에 의하여 지지 다리(150)의 지지가 해제되는 문제가 있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테두리 프레임(121) 사이에 코너 연결부(122)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123)를 삽입한다.
체결부재(123)도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체결부재(123)는 코너 연결부(122)의 외측 삽입공(1221a)과, 삽입 안내채널(1223a), 내측 삽입공(1222b)을 통과하여 코너 연결부(122)와 테두리 프레임(121)을 연결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체결부재(123)가 외측 삽입공(1223a), 삽입 안내 채널(1223a), 내측 삽입공(1223b)을 향하여 이동한다.
특히, 체결부재(123)의 몸체부(123a)(외주에 나사산 형성됨)는 내측 삽입공(1222a) 및 도10과 도11에서 나타난 원형 형태의 공간부(1225d)를 통과한 이후에, 도12(b)에서 나타난 테두리 프레임(122)의 내측벽(1222)에 있는 고정부(1212d)에 체결된다.
다만, 체결 부재(123)의 헤드부(123a)는 몸체부(123b)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코너 연결부(122)의 내측벽(1222)에 있는 내측 삽입공(1222a) 테두리에 걸려서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하나의 체결부재(123)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완료되면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워지는 다른 체결부재(123)도 동일한 방식을 체결된다.
물론 두 개의 체결부재(123)의 체결 방향은 교차하지만, 종국적으로, 체결 완료된 위치는 간섭되지 않고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코너 연결부(122)에 있는 내측 삽입공(1222a)이 서로 이격되면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두개의 테두리 프레임(121)의 제1경계 영역(121a)은 상호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팔레트 몸체부(110)에는 지지 다리(150)를 구성하는 단위 지지 다리(151)가 위치하여 캐비티(1511)가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캐비티(1511) 내부에는 리브(1512)가 형성되고, 리브(1512)는 상호 교차되게 마련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14는 지지 다리(150)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다리(150)는 복수의 단위 지지 다리(151)와, 지지 다리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 다리(150)의 최상단부는 플랜지부(152)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어 있어서, 이 부분이 팔레트 몸체부(110)의 관통공(110a; 111a, 112a, 113a)에 삽입된다.
그리고, 플랜지부(152)에는 각각 체결공(15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 다리(151)와 팔레트 몸체부(11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도15참조, 163)가 삽입되도록 한다.
플랜지부(152)의 상면은 매끈한 평면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52)의 하면은 리브(도2참조, 1521)로 구획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중앙에 있는 지지다리(150(150a))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51)의 길이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동일하다.
그리고 각 코너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150(150b))에 있는 플랜지부(152) 중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길고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면적을 넓히기 위함이다.
또한, 외곽 프레임(120)과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52)의 부분이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의 원활화 및 이에 따른 하중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테두리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보면, 복수의 단위 지지 다리(151)가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티(1511)의 입구 면적도 그 분할된 수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단위 지지 다리(151)의 캐비티(1511)의 입구 크기보다 작은 수화물이 아니면, 캐비티(1511)로 수화물이 들어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위 지지 다리(1511)의 형상은 절두 형태의 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 모서리(151a)는 경사면 또는 챔퍼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5는 팔레트(100)에서 팔레트 몸체부(110)와, 외곽 프레임(120)과, 지지 다리(150)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팔레트 몸체부(110)의 외곽 방향, 즉, 테두리 방향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 다리(150(150b/150c))를 고정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지지 다리(150)의 플랜지부(152) 중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부분은 외곽 프레임(120)의 하면에 밀착하고,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 부분은 팔레트 몸체부(110)의 하면에 밀착한다.
체결부재(163)는 각각 하니컴 부재(111)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70; 170a~170c) 및 외곽 프레임(120) 중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에 체결된다.
체결부재(163)는 스크류 형태로 마련되며, 헤드부(163a) 및 외주에 나사산이 있는 몸체부(163b)를 포함한다.
외곽 프레임(120)에 최종적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163)는 우선 지지 다리(150)의 플랜지부(152)를 통과하고, 테두리 프레임(121)의 내측벽(1212)의 제2공간부(1212b)의 바닥벽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그 헤드부(163a)는 플랜지부(152)의 하면에 걸려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공간부(1212b)의 바닥벽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체결부재(163)의 몸체부(163b)를 보다 넓은 영역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하니컴 부재(111)에 설치된 고정부재(170)에 최종적으로 체결부재(163)는, 우선 플랜지부(152)를 지나서, 하면 패널(113), 그리고 고정부재(170)에 삽입된다.
그 헤드부(163a)는 플랜지부(152)의 하면에 걸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팔레트 몸체부(110)의 중앙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150(150a))의 경우, 모든 체결부재(163)는 하니컴 부재(111)에 있는 고정부재(170)에 최종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팔레트 몸체부(110)의 중앙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다리(150(150a))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63)는, 플랜지부(152)를 지나서, 하면 패널(113), 그리고 고정부재(170)에 삽입된다.
그 헤드부(163a)는 플랜지부(152)의 하면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163)를 통해서 모든 지지 다리(150)는 팔레트 몸체부(110) 및 외곽 프레임(1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만일 일부 지지 다리(150)의 파손 상태가 심각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 파손된 지지 다리(150)에 연결된 체결부재(163)를 풀어서 파손된 지지 다리(150)를 분리하고, 새로운 지지 다리(150)를 그 자리에 설치하면 된다.
한편, 단위 지지 다리(151) 내부의 캐비티(1511)의 바닥면과 내측벽에는 리브(1512)가 배치되어 있으며, 리브(1512)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봤을 때는 '#'자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리브(1512)는 각 단위 다리(151)의 강도를 보강하고,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플랜지부(152)는 외곽 프레임(120)의 하면이나, 팔레트 몸체부(110)의 하면 패널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곽 프레임(120)의 하면과 플랜지부(152)의 관계는 단차가 형성된 관계가 되고, 또한 팔레트 몸체부(110)의 하면 패널(113)과 플랜지부(152)의 관계도 단차가 형성된 관계로 구현된다.
이러한 단차 형성 관계로 인하여 완성된 팔레트(110)가 쌓여서 층을 이루는 경우, 상층에 있는 팔레트 몸체부(110)와, 하층에 있는 팔레트 몸체부(110) 사이에 이격되고, 이 부분으로 지게차 포크가 진입하거나, 작업자가 파지하여 팔레트(110)를 들어올릴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즉, 종래 누적형 팔레트의 경우, 위와 같은 단차 관계가 존재하지 않아서, 팔레트가 다층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팔레트 몸체부간의 간격이 없거나 매우 조밀하여 그 사이에 지게차 포크가 진입하거나 작업자가 파지할 수 없어서 이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들어올리는 작업성이 개선되었다.
도16은 커버 부재(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300)는 커버 몸체부(310)와, 커버 몸체부(310) 상면의 다수의 설치부(311)에 배치되는 지지 다리 받침대(350)와, 커버 몸체부(31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설치부(311)는 홈 형태로 마련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지지 다리 받침대(350)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예, 돌기부, 요철부, 체결구조 등).
그리고 외곽 프레임(320)은 다시 커버 몸체부(310)의 테두리 변에 설치되는 테두리 프레임(321)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테두리 프레임(321)을 연결하고, 커버 몸체부(310)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 연결부(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두리 프레임(321)과, 코너 연결부(322)의 구성은 전술한 팔레트의 테두리 프레임(121)과 코너 연결부(122)의 구성과 유사하며, 다만 상부 안착홈(도17참조, 3213,3223)이 아래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커버 부재(310) 상면에 형성되는 설치부(311)은 팔레트 몸체부(110)의 관통공(110a; 111a, 112a, 113a) 처럼 위아래로 완전하게 뚫려있지 않고, 상면 일부가 일정 깊이 만큼 파여져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설치부(311)의 깊이는 커버 몸체부(310)의 두께보다 작다.
지지 다리 받침대(350)가 설치부(311)에 배치되면, 그 아래 쪽에서 체결부재(173)가 삽입되어 지지 다리 받침대(173)를 커버 몸체부(310)에 고정시킨다.
지지 다리 받침대(350)의 역할은 조립 박스 조립체가 다층 구조로 쌓이는 경우, 위 층의 조립 박스 조립체의 팔레트 지지 다리(15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받쳐주고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 다리 받침대(350)도 지지 다리(150)의 배열에 맞게 커버 몸체부(310)의 내부와, 외곽 테두리를 따라서 배열된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 다리(150)가 복수의 단위 지지 다리(151)로 분할되는 것처럼, 하나의 지지 다리 받침대(350)도 복수의 단위 지지부(351)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지지부(351)은 구획부(352)에 의하여 상호 분리되게 구획된다.
여기서 단위 지지부(351)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대표적이나, 홈이외에 단위 지지 다리(151)와 결합되거나 단위 지지 다리(15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형상(예, 돌기부, 요철부 등)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 다리(150)에 속하는 단위 지지 다리(151)의 수량과, 하나의 지지 다리 받침대(350)에 속하는 단위 지지부(351)의 수량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획부(352)는 십자(+) 형태로 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7은 도16보다 자세한 분해 사시도이다.
커버 몸체부(310)는 다수의 적층된 합판, 목재판이나 플라스틱 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통판으로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팔레트 처럼 하니컴 부재 및 그 위아래를 덮든 상하면 패널로도 구성가능하다.
다만, 도17에서는 다수의 판이 적층되는 형태로 개시하였다.
그리고, 그 상면에 설치부(311)을 형성하였으며, 예를 들어 설치부(311)은 정중앙에 1개, 코너 부분에 4개, 테두리변 중앙부 근처에 4개를 설치하였다.
이는 조립 박스 조립체 크기 및 커버 부재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부(311)의 테두리 부분에는 삽입공(312)이 형성되는데, 이는 지지 다리 받침대(3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도16참고, 173)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1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커버 몸체부(310)의 외곽 테두리변에는 테두리 프레임(321)이 배치되고, 테두리 프레임(321)과 테두리 프레임(321) 사이의 코너 공간에는 코너 연결부(322)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에 설치되는 테두리 프레임(321)의 구조는 팔레트의 테두리 프레임(121)과 유사하고, 커버 부재에 설치되는 코너 연결부(322)는 팔레트의 코너 연결부(122)의 구조와 유사하다.
즉, 테두리 프레임(321)은 외벽부(3211)와, 내벽부(3212), 외벽부(3211)와 내벽부 (3212)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3213), 상부 안착홈(3213) 위에 있는 상부벽(3214)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벽부(3212)의 상면과 하면에서 안쪽(커버 몸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 연장부(3215a)와, 하면 연장부(3215b)를 포함하고, 상면 연장부(3215a)와 하면 연장부(3215b) 사이에는 커버 몸체부(31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215)이 마련된다.
그리고, 테두리 프레임(321)의 양끝단부에는 경사진(테이퍼진) 형태의 제1경계 영역(321a)과, 제1경계 영역(321a)과 이어져서 수평 방향(테두리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경계 영역(321b)이 마련된다.
팔레트(100)의 테두리 프레임(121)들의 연결구조 처럼 상호 인접한 커버부 재(300)의 테두리 프레임(321)의 제1경계 영역(321a)들은 상호 맞닿게 된다.
한편, 커버부재(300)에서 테두리 프레임(321)의 외측벽(3211)과, 내측벽(3212)에도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벽(3212)의 공간부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형성되며, 제1,2공간부는 구획 리브에 의하여 구획된다.
그리고 구획 리브에는 코너 연결부(322)와 테두리 프레임(321)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18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고정부도 팔레트(100) 외곽 프레임(121)의 고정부(1212d) 처럼 'C'자 형태로 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커버 부재(300)의 코너 연결부(322)도 외측벽(3221)과, 내측벽(3222), 외측벽(3221)과 내측벽(3222) 사이의 하부 설치부(3223), 설치부(3223) 위의 상부벽(3224), 내측벽(3222)의 측면에 형성되어 테두리 프레임(321)의 측면과 결합하는 돌출부(32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측벽(3221)에는 외측 삽입공, 내측벽(3222)에는 내측 삽입공이 형성되어 이 부분으로 체결부재(183)가 삽입되고, 종국적으로 코너 연결부(322)와 테두리 프레임(321)을 연결시킨다.
코너 연결부(322)의 상부 안착홈(3223)과, 테두리 프레임(321)의 상부 안착홈(3213)이 아래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상세 구성 및 결합관계는 도10 내지 도13에서 나타난 팔레트(100)의 코너 연결부(122) 및 팔레트(100)의 테두리 프레임(121)의 상세 구성 및 결합 관계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구체적인 서술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18(a)는 커버 몸체부(310)에 지지 다리 받침대(350)가 설치 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측면도이고, 도18(b)는 커버 몸체부(310)에 지지 다리 받침대(350)가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측면도이다.
지지 다리 받침대(350)의 하부 영역에는 체결부재(173)의 몸체부(173b)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스부(353)가 형성되고, 보스부(353) 내부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홀(354)이 형성된다.
보스부(353)는 단위 지지부(351) 주변에 배열되며, 하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설치부(311)에 형성되는 삽입공(312) 위에 배치된다.
삽입공(312)은 커버 몸체부(310)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삽입공(312)은 2단 구조로 형성된다.
삽입공(312)은 소경부(312b)와 대경부(312a)로 구성되며, 대경부(312a)는 커버 몸체부(3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소경부(312b)는 대경부(312a) 위에 마련되며 설치부(351)까지 연장된다.
설치부(311)에 지지 다리 받침대(350)를 놓은 상태에서, 커버 몸체부(310)의 하면에서 체결부재(173)를 삽입하면, 체결부재(173)의 몸체부(173b)는 삽입공(312)의 대경부(312a)와 소경부(312b)를 지나서, 보스부(353)에 마련된 체결홀(35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73)의 헤드부(173a)는 소경부(312b)의 입구 테두리에 걸려서 더 이상 진입이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지지 다리 받침대(350)와 커버 몸체부(310)가 결합됨으로써, 지지 다리 받침대(35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73)는 커버 부재(300) 상면에서는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커버 부재(300) 하면보다 체결 부재(173) 헤드부(173a)가 안쪽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외부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박스 내부의 수화물과 간섭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
한편, 도1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321)의 삽입공간(3215)에 커버 몸체부(31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면 연장부(3215a)는 커버 몸체부(310)의 상면보다 위에 얹혀져 있고, 하면 연장부(3215b)는 커버 몸체부(310)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단차 구조를 이룬다.
도19는 복수의 팔레트(100)가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거 것이다.
도19(a)는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19(b)는 적층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200), 커버 부재(300)와 함께 조립식 박스 조립체(1)의 일 구성요소로서 패키지의 부분품이 될 수 있지만, 하나의 독립적인 상거래 아이템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100)만으로 독립적으로 판매하고, 팔레트(100) 위에 수화물을 적재하고 이를 지게차 포크로 들어서 이동하거나, 수화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독립적인 팔레트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팔레트를 평소에 보관할때에는 보관 공간을 얼마나 소비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100)의 경우, 적층하면, 상층의 팔레트(100U)의 지지 다리(150) 외면이, 하층 팔레트(100L)의 지지 다리(150) 내부의 캐비티(1511)에 각각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된 높이만큼 보관 높이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식 팔레트(nestable pallet)가 아닌 경우에는 2층의 적층높이는 쌓인 팔레트들의 전체 높이가 될 것이나, 적층식 팔레트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의 팔레트(100U)의 지지 다리(150)와 하층의 팔레트(100L)의 지지 다리(150)가 삽입되어 겹쳐지는 만큼 높이가 낮아진다.
특히 팔레트가 수백개, 수천개 필요한 상업, 산업 영역에서는 이와 같은 보관 높이의 축소는 보관 창고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도1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을 하기 위해서 하층에 있는 팔레트(100L)의 지지 다리(150) 캐비티(1511) 위치에, 상층에 배치되어야 할 팔레트(100U)의 지지 다리(150)를 위치시킨 후, 삽입하면, 도19(b)와 같이 팔레트(100)가 적층된다.
도20(a)는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20(b)는 적층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팔레트(100U/100M/100L)를 적층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의 팔레트(100U/100M)의 지지 다리(150) 외면이 하층의 팔레트(100M/100L)의 지지 다리(150) 내부의 캐비티(15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층의 팔레트(100U/100M)의 지지 다리(150) 바닥면 외면은 하층의 팔레트(100M/100L)의 지지 다리 내부의 캐비티(1511)에 있는 리브(1512)의 상단부에 닿아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층의 팔레트(100U/100M) 지지 다리(150)의 플랜지부(152)의 하단 부분은, 하층의 팔레트(100M/100L)의 상면에 닿아 지지된다.
이와 같이 리브(1512) 및 플랜지부(152)의 구성에 의하여 상층의 팔레트(100U/100M)의 팔레트 몸체부(110) 하면과, 하층의 팔레트(100M/100L)의 팔레트 몸체부(100)의 상면은 이격되어 공간(S)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이격공간(S)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용이하게 진입하거나,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서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팔레트(100)의 다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그 이격공간으로 지게차 포크를 삽입하든지, 아니면 손을 넣어서 필요한 만큼의 팔레트를 들어서 반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운반용 박스 조립체(1)를 분해하여 보관하거나, 패키징 하는 경우, 도21과 같이, 박스와, 커버 부재와, 팔레트를 분해한다. 그리고 박스를 접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200)에는 힌지 구조가 마련되는 접철 프레임(230)이 마련되어, 박스를 접는 경우, 접철 프레임(230)이 접히면서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즉, 3차원 구조에서 2차원 구조로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운반용 박스 조립체(1)를 포장하는 경우, 도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팔레트(100)를 도19 및 도20의 방식으로 적층하고, 그 위에 박스(200)를 도21의 방식으로 접어서 적층한다.
그리고, 박스(200) 위에 여러 개의 커버 부재(300)를 적층한 다음에 이들을 끈이나 밴드로 묶어서 포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용 조립 박스 조립체(1)를 이용하여 수화물을 이동시킨 후, 빈 운반용 조립 박스 조립체를 도21 방식으로 분해하고, 도22 방식으로 패키징 하여 다시 회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1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팔레트 110: 팔레트 몸체부
111: 허니컴 부재 111a: 제1관통공
120: 외곽 프레임 121: 테두리 프레임
122: 코너 연결부 150: 지지 다리
151: 단위 지지 다리 152: 플랜지부
200: 박스 240: 접철 프레임
300: 커버 부재 310: 커버 몸체부
320: 외곽 프레임 321: 테두리 프레임
322: 코너 연결부 350: 지지다리 받침대
111: 허니컴 부재 111a: 제1관통공
120: 외곽 프레임 121: 테두리 프레임
122: 코너 연결부 150: 지지 다리
151: 단위 지지 다리 152: 플랜지부
200: 박스 240: 접철 프레임
300: 커버 부재 310: 커버 몸체부
320: 외곽 프레임 321: 테두리 프레임
322: 코너 연결부 350: 지지다리 받침대
Claims (12)
- 하니컴 부재와; 상기 하니컴 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포함하는 팔레트 몸체부와;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 몸체부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테두리 프레임과, 테두리 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테두리 프레임을 연결하며, 팔레트 몸체부의 코너 부분에 배치되는 코너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 프레임과 코너 연결부는 면대면으로 상호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가 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은 외측벽과, 외측벽 보다 안쪽에 마련되어 박스와 안착관계를 가질 수 있는 하부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부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외측벽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코너 연결부의 외측벽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하부 안착홈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코너 연결부의 하부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는,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되 분할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그 내부에 캐비티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지지 다리와;
그 테두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면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팔레트 몸체부에 지지 다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하니컴 부재의 관통공 주변에 배치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가 하니컴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 패널과 하면패널이 상기 고정부재 및 하니컴 부재를 커버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하면 패널 및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팔레트 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지지 다리에 마련된 캐비티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다리의 상부는 플랜지부보다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지 다리 내부에는 바닥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5항에 있어서,
리브는 단위 지지 다리 내부의 캐비티에 교차되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들이 적재되는 경우, 팔레트 몸체부 간에 상하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하니컴 부재를 구성하는 구획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블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하니컴 부재의 관통공 내부 테두리를 따라 연속체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배치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 중 일부 지지 다리는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제11항에 있어서,
외곽 프레임과 체결되는 지지 다리의 플랜지는 외곽 프레임의 내측벽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148A KR101761784B1 (ko) | 2016-11-18 | 2016-11-18 | 화물 운반용 팔레트 |
US15/811,676 US20180141705A1 (en) | 2016-11-18 | 2017-11-14 | Pallet for carrying goods |
EP17201770.9A EP3323749A1 (en) | 2016-11-18 | 2017-11-15 | A pallet for carrying goods |
JP2017221152A JP2018079986A (ja) | 2016-11-18 | 2017-11-16 | 貨物運搬用パレット |
CN201711155216.5A CN108069103A (zh) | 2016-11-18 | 2017-11-17 | 货物运输用托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148A KR101761784B1 (ko) | 2016-11-18 | 2016-11-18 | 화물 운반용 팔레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9306A Division KR101886148B1 (ko) | 2016-11-18 | 2017-04-17 | 코너 브라켓 및 코너 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그리고 코너브라켓을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1784B1 true KR101761784B1 (ko) | 2017-08-04 |
Family
ID=5965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148A KR101761784B1 (ko) | 2016-11-18 | 2016-11-18 | 화물 운반용 팔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178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5696A (ko) * | 2019-06-19 | 2020-12-30 | 두리포장산업(주)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KR20220115151A (ko) * | 2021-02-10 | 2022-08-17 | 고동균 | 물품이송박스용 파레트 |
KR102713941B1 (ko) | 2022-02-18 | 2024-10-11 | 한국파렛트풀(주) | 배터리캔 트레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2988B2 (ja) * | 1993-02-03 | 2003-03-04 | 協和電機化学株式会社 | 物品運搬用パレット |
US20130032507A1 (en) * | 2010-01-28 | 2013-02-07 | Du Toit Pieter W | Pallets for the handling of goods,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allets and methods of using pallets in the handling of goods |
CN103863654A (zh) * | 2014-03-18 | 2014-06-18 | 湖南华望科技有限公司 | 一种纸托盘及其制作方法 |
-
2016
- 2016-11-18 KR KR1020160154148A patent/KR1017617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2988B2 (ja) * | 1993-02-03 | 2003-03-04 | 協和電機化学株式会社 | 物品運搬用パレット |
US20130032507A1 (en) * | 2010-01-28 | 2013-02-07 | Du Toit Pieter W | Pallets for the handling of goods,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allets and methods of using pallets in the handling of goods |
CN103863654A (zh) * | 2014-03-18 | 2014-06-18 | 湖南华望科技有限公司 | 一种纸托盘及其制作方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5696A (ko) * | 2019-06-19 | 2020-12-30 | 두리포장산업(주)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KR102340948B1 (ko) * | 2019-06-19 | 2021-12-17 | 두리포장산업(주)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KR20220115151A (ko) * | 2021-02-10 | 2022-08-17 | 고동균 | 물품이송박스용 파레트 |
KR102498618B1 (ko) * | 2021-02-10 | 2023-02-09 | 고동균 | 물품이송박스용 파레트 |
KR102713941B1 (ko) | 2022-02-18 | 2024-10-11 | 한국파렛트풀(주) | 배터리캔 트레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28469C (en) | Nestable pallet | |
US7819068B2 (en) | Nestable pallet | |
US9272812B2 (en) | Octagonal container and pallet therefor | |
US20070056483A1 (en) | Pallet | |
KR101761784B1 (ko) | 화물 운반용 팔레트 | |
KR101886148B1 (ko) | 코너 브라켓 및 코너 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그리고 코너브라켓을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 |
JP2018079986A (ja) | 貨物運搬用パレット | |
KR101018337B1 (ko) | 팔레트 시스템 | |
EP1744966B1 (en) | Palette | |
KR101764799B1 (ko) | 팔레트를 구비하는 운반용 박스 조립체 | |
KR101771015B1 (ko) | 화물 운반용 팔레트 | |
KR20220085039A (ko) |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 |
JP3112499U (ja) | 組み立て式コンテナおよび組み立て式コンテナユニット | |
JP5721091B1 (ja) |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 |
RU108021U1 (ru) | Поддон | |
JP6007452B2 (ja) |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 |
KR102710610B1 (ko) | 다회용 포장박스 | |
KR101600399B1 (ko) | 팔레트 설치용 조립식 종이 포장 박스 | |
JP7423045B2 (ja) | パレット | |
KR102624414B1 (ko) | 지게차용 팔레트 | |
JP6938023B2 (ja) | 蓋付き容器、及び、運搬ユニット | |
JP2024147072A (ja) | 容器 | |
JP6431720B2 (ja) | パレット | |
JP2024147073A (ja) | 容器 | |
JP2863408B2 (ja) | 運送コンテ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