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677B1 -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677B1
KR101761677B1 KR1020160182131A KR20160182131A KR101761677B1 KR 101761677 B1 KR101761677 B1 KR 101761677B1 KR 1020160182131 A KR1020160182131 A KR 1020160182131A KR 20160182131 A KR20160182131 A KR 20160182131A KR 101761677 B1 KR101761677 B1 KR 10176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oling pipe
cooling
spiral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wherein gaseous cooling medium circulates between the machine casing and a surrounding mantle
    • H02K9/1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wherein gaseous cooling medium circulates between the machine casing and a surrounding mantle wherein the cooling medium circulates through ducts or tubes within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몸체와, 하우징몸체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 및 하우징몸체의 외주 측면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배관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냉매의 누수가 없고(Leak free), 써멀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냉각성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다이캐스팅 후 별도 후가공 및 실링에 관련된 부품을 포함하고 실링을 위한 작업 등으로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았던 종래와는 달리 압출파이프를 가공 후 모터하우징 금형에 인서트(Insert) 사출하기 때문에 생산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Cooling apparatus for motor housing}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차에 적용되는 모터에 적용되어 모터의 냉각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조가 용이한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차 또는 전기차의 주요 부품인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의 내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자(rotor)를 포함한다.
한편, 모터는 작동과정에서 회전자 및 고정자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모터 안의 코일 온도가 높아지면 모터의 구동과 발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모터의 구동과 발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됨에 따른 동력 손실이 발생되어 관련 응용 동력계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를 냉각시켜 모터의 높은 구동 토크와 발전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각각 별도로 주물 제작하고,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 사이에 냉각채널이 형성되도록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을 압입 및 실링(sealing)하거나, 용접하는 기술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모터의 냉각기술은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 간의 형합 갭(gap)이 발생하면서 냉각수가 누출(leak)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유로의 설계 자유도가 작음에 따라 입력단과 출력단의 유로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서 써멀 크로스-토크(Thermal cross-talk)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314호
본 발명은,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로의 완전밀폐를 구현하고, 써멀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로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배관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냉매의 누수가 없고(Leak free), 유로의 완전 밀폐를 구현할 수 있으며, 써멀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냉각성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에는 다이캐스팅 후 별도 후 가공 및 실링에 관련된 부품을 포함하고 실링을 위한 작업 등으로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았던 종래와는 달리 압출파이프를 가공 후 모터하우징 금형에 인서트(Insert) 사출하기 때문에 생산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생산적이다.
셋째, 냉각수 영역이 좁고 냉각수의 입구와 출구가 동일선상에 있어 냉각효과가 저하되는 종래와는 달리 냉각수 입구와 출구를 분리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에서 냉각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냉각배관과 진동흡수관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에서 냉각배관과 진동흡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3의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에서 냉각배관과 진동흡수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에서 냉각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냉각배관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냉각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냉각배관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냉각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냉각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과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냉각배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냉각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냉각배관에서 진동흡수관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냉각배관과 진동흡수관의 평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냉각배관과 결합부재를 통하여 결합된 진동흡수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진동흡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냉각배관과 진동흡수관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601)는 모터하우징(100)과, 냉각배관(20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하우징(100)은, 하우징몸체(110)와, 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0)는 내부에 모터(미도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0)를 패쇄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110)와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모터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의 하우징몸체(110)를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구조와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냉각배관(20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 내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로는 냉각유체가 유동하도록 되어 있어, 수용공간(101) 내부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배관(200)은 모터의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외주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배관(200)은, 상기 모터하우징(100)의 제조금형에 인서트(insert)사출되어 매립 설치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601)는 상기 냉각배관(200)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유체를 강제 유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제어부를 통하여 펌프를 작동제어하고 이를 통해 상기 냉각유체의 유체특성 및 냉각성능을 고려하여 냉각유체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세팅된 설정값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거나, 냉각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통하여 냉각유체의 온도 등을 통하여 상기 펌프를 제어하여 냉각유체의 유량 및 유속 등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배관(200)에 대하여 먼저, 나선타입(Helix type)의 냉각배관(2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냉각배관(20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외주측면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매립 설치되는 나선냉각배관(300)을 포함한다.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외주측면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감겨져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적층된다.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은 도면에서 상부의 단부로 냉각유체가 유입되고, 하부의 단부로 냉각유체가 유출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유체는 공지의 냉각수, 냉매, 공기 등 상기한 냉각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유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취급이 용이하고 냉각효율 및 유동성을 고려하여 냉각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은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하는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602)는 상기 하우징몸체(110) 내에 매립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관(500a)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흡수관(500a)은 관형상의 몸체(520)와, 상기 몸체(520)의 내부에 충진되는 진동흡음재(53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흡음재(530a)는 공지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흡음제는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의 측면에 결합하며, 결합부재(510a)를 통하여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으로부터 이격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510a)는 일단부는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의 측면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흡수관(500a)이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의 측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진동흡수관(500a)의 측면을 따라 결합한다.
상기 진동흡수관(500a)은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의 외주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대응되도록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서, 상기 진동흡수관(500a)은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의 외주측면에 결합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나선냉각배관(300)이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주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진동흡수관(500a)은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6은 내측(도면에서 우측)의 나선냉각배관(300)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이고, 외측(도면에서 좌측)의 진동흡수관(500a)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내측의 나선냉각배관(300)은 단면형상이 원형이고, 외측의 진동흡수관(500b)은 단면형상이 사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경우에는 내측의 나선냉각배관(300)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이고, 외측의 진동흡수관(500a)은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10b,520b,530b는 각각 결합부재, 몸체, 진동흡음재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상기 진동흡수관(500b)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얼라인(align)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상기 진동흡수관(500b)이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상기 진동흡수관(500b)은 상기 결합부재(510b) 없이 서로 접촉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상기 진동흡수관(500b)은 각각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면끼리 서로 접촉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상기 진동흡수관(500b)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서로 얼라인되게 결합되어 있다. 또는 상기 나선냉각배관(300)과 상기 진동흡수관(500b)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서로 높이차를 두고 엇갈리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은 냉각유체의 입구와 출구를 분리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흡수관(500a,500b)을 통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선냉각배관(300)은 압출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가공한 후 하우징몸체(110) 가공 금형에 인서트 사출하기 때문에 생산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배관(200)에 대하여, 절곡형(U-shape type)의 냉각배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604)에서 상기 냉각배관(20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외주측면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매립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냉각배관(400)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은, 직선배관(410)과, 상기 직선배관(410)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곡선배관(420)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배관(410)은 복수개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모터하우징(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상기 곡선배관(420)은 U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직선배관(410)들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은 상기 직선배관(410)과 상기 곡선배관(4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성 및 생산성을 고려하여 상기 직선배관(410)과 상기 곡선배관(420)을 각각 분리하여 별도로 제조하고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배관(410)과 상기 곡선배관(420)의 결합은 제조 및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직선배관(410)의 단부에 삽입부(411)를 형성하여 곡선배관(420)의 내부로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삽입부(411)는 직선배관(4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곡선배관(420) 또는 직선배관(410) 및 곡선배관(420) 모두에 형성될 수 있는 등 조립 결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은, 평면 방향에 대하여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평면 방향에 대하여 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절곡냉각배관(430)과 제2절곡냉각배관(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냉각배관(430)과 상기 제2절곡냉각배관(440)은 전술한 일체형으로 절곡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곡부와 직선부를 각각 분리 제조한 후 조립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일체형 및 분리형에 의한 상기 제1절곡냉각배관(430)과 상기 제2절곡냉각배관(44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절곡냉각배관(4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절곡냉각배관(430)은, 전방 일측으로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후방 타측으로 유입된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게 하고, 상기 제2절곡냉각배관(440)은, 후방 타측으로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전방 일측으로 유입된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게 하여, 상기 제1절곡냉각배관(430)과 상기 제2절곡냉각배관(440)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유체흐름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607)는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의 측면에 결합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관(500a)을 포함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흡수관(500c)은 결합부재(510c)를 통하여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의 측면에 이격되게 결합하는 관형상의 몸체(520)와, 상기 몸체(520)의 내부에 충진되는 진동흡음재(53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흡수관(500c)의 몸체(520)와 진동흡음재(530c)는 전술한 나선냉각배관(3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별되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관(500c)은 결합부재(510c)를 통하여 상기 직선배관(410)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도 21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직선배관(410)과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위치하고 있다.
상기 진동흡수관(500c)은 반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진동흡수관(500d)sms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은 냉각유체의 입구와 출구를 분리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동흡수관(500b,500c,500d)을 통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냉각배관(400)은 냉각유체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하여 모터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냉각수의 배출을 신속하게 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압출파이프를 모듈타입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인서트 사출 시 필요한 제품의 공차를 확보 가능하며 인서트 사출로 불량 감소로 인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터하우징 110... 하우징몸체
101... 수용공간 120... 커버
200... 냉각배관 300,310... 나선냉각배관
400... 절곡냉각배관 410... 직선배관
411... 삽입부 420... 곡선배관
430... 제1절곡냉각배관 440... 제2절곡냉각배관
500a,500b... 진동흡수관 510a,510b... 결합부재
520,520b... 몸체 530a,530b... 진동흡음재
601,602,603,604,605,606,607...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Claims (17)

  1.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하우징몸체 내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로 냉각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나선형상으로 매립 설치되는 나선냉각배관을 포함하는 냉각배관; 및
    상기 나선냉각배관의 측면에 결합하는 관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진동흡음재를 포함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관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냉각배관은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나선냉각배관의 측면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진동흡수관이 상기 나선냉각배관의 측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진동흡수관의 측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관은 상기 나선냉각배관의 내주측면 또는 외주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나선냉각배관과 대응되도록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관은 반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냉각배관과 상기 진동흡수관은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방향의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얼라인(align)되게 배치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냉각배관과 상기 진동흡수관은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방향의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0.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로 냉각유체가 유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냉각배관을 포함하는 냉각배관; 및
    상기 절곡냉각배관의 측면에 결합하는 관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진동흡음재를 포함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관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절곡냉각배관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직선배관들과,
    절곡되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직선배관들의 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곡선배관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상기 절곡냉각배관의 측면에 이격되게 결합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관은 상기 직선배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직선배관과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위치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관은 반경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절곡냉각배관은,
    평면 방향에 대하여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평면 방향에 대하여 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절곡냉각배관과 제2절곡냉각배관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냉각배관은, 전방 일측으로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후방 타측으로 유입된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고,
    상기 제2절곡냉각배관은, 후방 타측으로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전방 일측으로 유입된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배관은,
    상기 모터하우징의 제조금형에 인서트 사출되어 삽입 설치되는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KR1020160182131A 2016-12-29 2016-12-29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KR10176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131A KR101761677B1 (ko) 2016-12-29 2016-12-29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131A KR101761677B1 (ko) 2016-12-29 2016-12-29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677B1 true KR101761677B1 (ko) 2017-08-07

Family

ID=5965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131A KR101761677B1 (ko) 2016-12-29 2016-12-29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677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887B1 (ko) 2017-09-06 2018-02-05 이현환 냉매파이프가 매립되는 방열장치의 케이싱,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9045512A1 (ko) * 2017-09-04 2019-03-07 엠에이치기술개발주식회사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101961155B1 (ko) * 2017-10-17 2019-03-22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비누출 유체 채널이 매립된 모터 하우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32261A1 (ko) * 2017-12-27 2019-07-04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103606A (ko) 2018-02-28 2019-09-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20190103609A (ko) 2018-02-28 2019-09-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20190103607A (ko) 2018-02-28 2019-09-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102068655B1 (ko) 2018-10-05 2020-01-21 주식회사 엔엠씨 일체형 냉각 유로식 모터
CN110939514A (zh) * 2018-09-25 2020-03-31 通用电气航空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发电机的流体通道组件
KR20220004241A (ko)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삼기 모터 하우징
KR20220022563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삼기 모터 하우징
KR20220094885A (ko) 2020-12-29 2022-07-06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EP4046727A1 (de) 2021-02-19 2022-08-24 ae group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ussteils und elektromotor
CN115046222A (zh) * 2022-05-26 2022-09-13 阿尔法(江苏)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粉系统中气体自动调节pid的炉腔
KR102481461B1 (ko) 2022-07-19 2022-12-28 (주)케이이엠 전기자동차용 모터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91B1 (ko) * 2010-06-04 2011-09-05 주식회사 메트로테크 전동기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91B1 (ko) * 2010-06-04 2011-09-05 주식회사 메트로테크 전동기 냉각장치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1021A4 (en) * 2017-09-04 2021-06-09 MH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LING DEVICE AND ENGINE HOUSING COOLING DEVICE USING IT
WO2019045512A1 (ko) * 2017-09-04 2019-03-07 엠에이치기술개발주식회사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US11670985B2 (en) 2017-09-04 2023-06-06 Mh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cooling device and motor housing cooling device using same
CN111066233B (zh) * 2017-09-04 2022-04-05 Mh技术开发有限公司 冷却装置制造方法及利用其的电机壳体冷却装置
JP7033809B2 (ja) 2017-09-04 2022-03-11 エムエイチ テクノロジ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冷却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ハウジング冷却装置
CN111066233A (zh) * 2017-09-04 2020-04-24 Mh技术开发有限公司 冷却装置制造方法及利用其的电机壳体冷却装置
JP2020532434A (ja) * 2017-09-04 2020-11-12 エムエイチ テクノロジ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h Technologies Inc. 冷却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ハウジング冷却装置
KR101825887B1 (ko) 2017-09-06 2018-02-05 이현환 냉매파이프가 매립되는 방열장치의 케이싱,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61155B1 (ko) * 2017-10-17 2019-03-22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비누출 유체 채널이 매립된 모터 하우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32261A1 (ko) * 2017-12-27 2019-07-04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078900A (ko) 2017-12-27 2019-07-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102575911B1 (ko) * 2017-12-27 2023-09-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90103609A (ko) 2018-02-28 2019-09-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20190103606A (ko) 2018-02-28 2019-09-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20190103607A (ko) 2018-02-28 2019-09-0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CN110939514A (zh) * 2018-09-25 2020-03-31 通用电气航空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发电机的流体通道组件
KR102068655B1 (ko) 2018-10-05 2020-01-21 주식회사 엔엠씨 일체형 냉각 유로식 모터
KR20220004241A (ko)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삼기 모터 하우징
KR20220022563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삼기 모터 하우징
KR102512983B1 (ko) * 2020-12-29 2023-03-23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WO2022145530A1 (ko) * 2020-12-29 2022-07-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KR20220094885A (ko) 2020-12-29 2022-07-06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EP4046727A1 (de) 2021-02-19 2022-08-24 ae group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ussteils und elektromotor
EP4046727B1 (de) * 2021-02-19 2024-01-10 ae group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ussteils und elektromotor
CN115046222A (zh) * 2022-05-26 2022-09-13 阿尔法(江苏)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粉系统中气体自动调节pid的炉腔
CN115046222B (zh) * 2022-05-26 2024-01-12 阿尔法(江苏)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粉系统中气体自动调节pid的炉腔
KR102481461B1 (ko) 2022-07-19 2022-12-28 (주)케이이엠 전기자동차용 모터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677B1 (ko) 모터하우징용 냉각장치
CN111066233B (zh) 冷却装置制造方法及利用其的电机壳体冷却装置
KR20190026160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및 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CN102055281B (zh) 用于电动机器结构的冷却装置
US7965002B2 (en) Helical conduit enabled for casting inside a housing
US11936280B2 (en) Liquid-cooled motor
CN102072164A (zh) 电动水泵
KR20190026174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CN110637193B (zh) 加热和净化流体的方法和装置
TW201725835A (zh) 具有冷卻的液壓靜力緊密總成
JP6452284B2 (ja) モーター
US11489409B2 (en) Motor housing assembly
KR20170073973A (ko) 냉각수 히터
CN112655140A (zh) 其中嵌入有无泄漏流体通道的马达壳体
KR20190026164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및 그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KR20190097672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의 냉각배관 및 이를 구비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US20230291269A1 (en) Electric drive unit and vehicle comprising a corresponding electric drive unit
KR20190026188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JP5587415B2 (ja) 冷凍圧縮機のガス排出管を断熱するのに適した断熱装置、およびガス排出管に断熱装置を組み付けるプロセス
KR20190026190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KR20190026178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KR20190026183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JP2010206928A (ja) リニアモータ、リニアモータの電機子、リニアモータの電機子の製造方法
JP6929008B2 (ja) 冷却液供給管
JP5652305B2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