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594B1 -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594B1
KR101761594B1 KR1020170024969A KR20170024969A KR101761594B1 KR 101761594 B1 KR101761594 B1 KR 101761594B1 KR 1020170024969 A KR1020170024969 A KR 1020170024969A KR 20170024969 A KR20170024969 A KR 20170024969A KR 101761594 B1 KR101761594 B1 KR 10176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door
smart phone
side body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진
Original Assignee
(주)브로드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로드웨이브 filed Critical (주)브로드웨이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594B1/ko
Priority to PCT/KR2017/0093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475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1Retrofittable electric locks, e.g. an electric modu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manual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도어락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도어 개폐 제어는 물론,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Smart Phone Mounting Type Digital Door Lock Apparatus}
본 실시예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잠금 장치의 일종인 도어락(Door Lock)은 일반주택, 아파트, 기업체, 연구소 등 각종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 제한 및 허용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락은 통상 수동식의 키 삽입 및 회전을 통해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계적 방식, 그리고 도어락 내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이 전기적인 구동을 하면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전자적 방식(디지털 도어락)으로 크게 구분된다.
전자적 방식의 도어락(이하 "디지털 도어락"이라 함)은 전자카드, 지문인식, 비밀번호 입력 등을 통해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기계적 방식의 도어락에서 발생되는 만능키나 복제열쇠에 의한 도어 개방과 그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계적 방식의 도어락에 비해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단순히 시건장치의 역할만을 할 뿐이어서 외부 침입자 등을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CCTV 등의 보안시스템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운용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한 개별제어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도어락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도어 개폐 제어는 물론,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에 설치되는 실외측 몸체 및 실내측 몸체; 실외측 몸체와 상기 실내측 몸체 사이의 도어 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구동부; 실외측 몸체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스마트폰 거치부; 잠금구동부의 동작 및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하드웨어 자원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거치된 스마트폰과 제어부를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락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도어 개폐 제어는 물론, 보안 기능을 포함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게이트웨이로 활용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어락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거치된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CCTV 기능 및 외시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실외측 몸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실외측 몸체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실내측 몸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도어락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도어 개폐 제어는 물론,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측 몸체(110), 실내측 몸체(120) 및 잠금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도 1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외측 몸체(110) 및 실내측 몸체(120)는 도어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형태로 도어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실외측 몸체(110)는 도어의 실외측 외부면에 부착되고, 실내측 몸체(120)는 도어의 실내측 외부면에 부착된다.
잠금부(130)는 실외측 몸체(110)와 실내측 몸체(120) 사이, 도어 내에 설치된다. 잠금부(130)는 문틀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어레버(미도시)의 작동 시 함께 연동되어 전후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잠금부(130)의 전후 직선방향 이동으로 도어는 잠금상태/잠금해제상태가 된다.
이하, 실외측 몸체(110)와 실내측 몸체(12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순차로 설명한다. 먼저, 실외측 몸체(11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외측 몸체(110)는 스마트폰 거치부(112), 연결 인터페이스(114) 및 모션센서(116)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거치부(112)는 실외측 몸체(110)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한다. 스마트폰 거치부(112)는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이와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및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opening)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거치부(112)의 덮개부를 열고 수용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거치된 스마트폰의 도난 등 무단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부는 외부에서 개방될 수 없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을 거치하거나 다른 스마트폰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덮개부의 개방이 필요할 때, 실내측 몸체(120)에 설치된 덮개부 개폐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는 외부 개방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덮개부 개폐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결 인터페이스(114)는 스마트폰 거치부(112)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제어부(124)를 연결하여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24)는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 및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연결 인터페이스(114)는 스마트폰 거치부(112)의 수용부와 결합되어, 거치된 스마트폰과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모션센서(116)는 실외측 몸체(110)에 설치되어 도어 전방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센서(116)는 도어 전방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4)로 전송한다. 모션센서(116)는 제어부(124)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실내측 몸체(12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측 몸체(120)는 잠금구동부(122) 및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실내측 몸체(120)는 전원공급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구동부(122)는 실외측 몸체(110)와 실내측 몸체(120) 사이의 도어 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잠금구동부(122)는 제어부(124)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130)가 전후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킨다.
제어부(124)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 및 스마트폰 거치부(112)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4)는 잠금구동부(122)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는 거치된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하드웨어 자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하드웨어 자원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모듈, 센서모듈, 사용자 입력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인터페이스, 오디오 코덱,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 무선통신모듈 및 유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은 예를 들어, 모션센서, 자이로센서, 기압센서, 마그네틱센서, 가속도센서, 그립센서, 근접센서, RGB 센서, 생체센서,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지문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장치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모듈은 터치패널(Touch Panel) 또는 키(Ke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모듈의 터치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스피커, 리시버,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환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 LED(Flash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 외 별도의 구성을 부가하지 않더라도 CCTV와 같은 보안기능 및 도어락의 원격제어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원공급부(126)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 및 거치된 스마트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126)는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거나, 외부 전원소스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실외측 몸체(110)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실외측 몸체(110)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실내측 몸체(120)의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스마트폰(200)이 거치된 상태의 실외측 몸체(110)를 나타낸다. 스마트폰(200)은 스마트폰 거치부(112)의 수용부(112a)에 거치되고, 덮개부(112b)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다. 덮개부(112b)는 여닫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거치된 스마트폰(200)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측 몸체(120)에 구비된 덮개부 개폐 버튼이 눌린 상태를 제외하고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덮개부(112b)에 포함된 개구부에 의해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20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도어락 전방이 촬영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마트폰(200)의 전면이 덮개부(112b)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면 카메라 모듈이 노출되도록 후면이 덮개부(112b)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200)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도어의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패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실외측 몸체(110)에 설치된 비밀번호 입력부(118)와 별도로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키 패드를 통해서도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200)은 키 패드로부터 획득한 입력신호를 연결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제어부(124)로 전송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실외측 몸체(110)는 모션센서(116)를 포함하여 도어 전방의 움직이는 대상물을 감지한다. 이는 방문자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도 2의 실외측 몸체(110)에서 덮개부(112b)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덮개부(112b)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용부(112a)에 거치된 스마트폰(200)을 교체할 수 있다.
연결 인터페이스(114)는 스마트폰 거치부(112)의 수용부(112a)와 결합되어 거치된 스마트폰(200)을 실외측 몸체(110)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거치된 스마트폰(200)을 지지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측 몸체(120)의 예시로서 잠금부(130)가 전진하여 도어를 잠그는 상태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고, 잠금부(130)가 후진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상태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잠금구동부(122)는 제어부(1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부(130)를 구동시켜 전후진 이동을 시킬 수도 있으나, 실내측 몸체(120)에 별도로 구비된 수동 개폐부(122a)의 조작에 의해 잠금부(13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실내측 몸체(120)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 및 거치된 스마트폰(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6)가 포함될 수 있다. 실내측 몸체(120)는 전원제어부(128)를 더 포함하여 전원제어부(128)를 조작함으로써, 거치된 스마트폰(200)에 대한 전원공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제어부(128)가 스위치로 구현된 경우,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실내측 몸체(120)에는 덮개부 개폐 버튼(12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 개폐 버튼(127)이 눌린 상태에서는 실외측 몸체(110)의 덮개부(122b)를 개방할 수 있고, 반대로 덮개부 개폐 버튼(127)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덮개부(122b)를 개방할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별도 구성요소의 부가 없이 CCTV와 같은 보안기능 및 도어락의 원격제어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외측 몸체(110)에 설치된 모션센서(116)가 도어 전방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한다(S510). 모션센서(116)는 생성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24)로 전송한다(S520).
제어부(124)는 모션센서(116)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에 따라, 거치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도어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거치 스마트폰에 내장된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530). 제어부(124)는 거치된 스마트폰으로 단계 S530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540).
거치된 스마트폰은 제어부(12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내장된 카메라 모듈로 도어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영상을 외부 저장소에 저장한다(S550).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통해 외부 저장소에 접근하여 저장된 촬영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입자가 발생하였을 때 CCTV 영상과 같이 본 촬영영상을 활용하거나 원격으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문자메시지로 방문자를 인식하는 기능을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이 아닌,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이하, 모바일 단말기)로 방문자가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방문자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S610), 현재 모바일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S620).
판단결과, 모바일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622).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팝업창을 띄워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모바일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이면, 모바일 단말기는 수신한 방문자의 문자메시지 중 기 설정된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630). 기 설정된 문자열은 방문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문자열로, 사용자는 특정 문자열에 대응하는 특정 방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방문자의 메시지에 기 설정된 문자열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거치된 스마트폰은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도어 전방을 촬영하고, 내장된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촬영영상을 외부 저장소에 저장한다(S640).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촬영영상을 확인하여, 도어의 잠금/잠금해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는 잠금명령신호/잠금해제명령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거치된 스마트폰으로 송신할 수 있다.
거치된 스마트폰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잠금명령신호/잠금해제명령신호를 연결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제어부(124)로 전달한다(S660).
제어부(124)는 수신한 신호에 따라, 잠금구동부(122)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개방한다(S670).
도 5 및 도 6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 및 도 6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제어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고 전자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록되고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지털 도어락 장치 110: 실외측 몸체
120: 실내측 몸체 130: 잠금부
112: 스마트폰 거치부 114: 연결 인터페이스
116: 모션센서 122: 잠금구동부
124: 제어부 126: 전원공급부

Claims (11)

  1. 도어에 설치되는 실외측 몸체 및 실내측 몸체;
    상기 실외측 몸체와 상기 실내측 몸체 사이의 상기 도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구동부;
    상기 실외측 몸체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스마트폰 거치부;
    상기 잠금구동부의 동작 및 상기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하드웨어 자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수신된 방문자의 문자메시지 중 기 설정된 문자열이 포함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 전방을 촬영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전방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저장소에 저장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영상에 따른 상기 도어의 잠금명령 및 잠금해제명령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잠금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도어의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패드를 표시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는, 상기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실내측 몸체에 설치된 덮개부 개폐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덮개부 개폐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및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전원공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공급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20170024969A 2017-02-13 2017-02-24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76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362 WO2018147521A1 (ko) 2017-02-13 2017-08-28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54 2017-02-13
KR20170019554 2017-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594B1 true KR101761594B1 (ko) 2017-07-27

Family

ID=5942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969A KR101761594B1 (ko) 2017-02-13 2017-02-24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1594B1 (ko)
WO (1) WO20181475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015B1 (ko) 2021-09-29 2022-10-04 정재준 Cctv 보안기능을 갖는 유무선 도어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915B1 (ko) * 1999-12-14 2001-12-29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5031984A (ja) * 2003-07-14 2005-02-03 Ricoh Co Ltd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50047647A (ko) * 2003-11-18 2005-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연결장치
KR20100009883U (ko) * 2009-03-31 2010-10-08 차영문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015B1 (ko) 2021-09-29 2022-10-04 정재준 Cctv 보안기능을 갖는 유무선 도어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521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4056B (zh) 网络智能防盗门
KR101268432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US201900351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20110285501A1 (en) Electronic lock with screen
WO2018157112A1 (en)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WO2018106608A1 (en) Passing vehicle filter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761594B1 (ko) 스마트폰 거치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2009044524A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251931B1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EP36293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opening electronic door lock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EP3522123A1 (en) Room camera access control by keycard and tracking guest accessories
JP6960604B2 (ja) インターホン親機、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22412A1 (zh) 智能门锁、音频模块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90046031A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KR102183174B1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0318523Y1 (ko) 무선 화상 전송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도어록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JP2019108683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