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132B1 -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132B1
KR101761132B1 KR1020160177614A KR20160177614A KR101761132B1 KR 101761132 B1 KR101761132 B1 KR 101761132B1 KR 1020160177614 A KR1020160177614 A KR 1020160177614A KR 20160177614 A KR20160177614 A KR 20160177614A KR 101761132 B1 KR101761132 B1 KR 10176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illumination lamp
turned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퓨쳐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쳐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쳐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사람과 같은 사물의 종류와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사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있는 조명등이 켜지도록 하면서 지나간 곳의 조명등을 꺼지도록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을 켜야 하는 위치에 적절한 밝기와 넓이로 조명을 할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최대의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LIGHT CONTROL SYSTEM BASED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본 발명은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사람과 같은 사물의 종류와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사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있는 조명등이 켜지도록 하면서 지나간 곳의 조명등을 꺼지도록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이나 실내등과 같은 조명등은 거리나 방, 사무실, 공장 등의 내부를 밝게 비추는 역할을 한다.
사람이 상주하고 있거나 늘 밝은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공간에서는 항상 조명등이 켜져있어야 하지만, 인적이 드문 거리나 공원, 창고 등은 사람이나 자동차가 있는 동안에만 조명등이 켜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사람이나 자동차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가 물체를 감지할 때에만 조명등이 켜져서 일정 시간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단순히 사물의 존재 여부뿐만 아니라 사물의 이동방향을 파악해서 조명등이 켜지는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술도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능형 엘이디 센서 등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종래기술의 엘이디 센서 등(10)은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11), 증폭부(12), 노이즈 필터부(13), 제어부(14), 및 엘이디 램프(15)로 구성되고, 조명 감지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상에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모션 센서(11)는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일례로 10.5GHz 대역 X-band의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이동물체를 향해 송신하고, 이동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변질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는 움직이는 물체와 충돌하면 신호의 특성이 변하는데, 이동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변질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신호의 송수신은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방위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송신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와 수신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이동물체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물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하여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다. 도플러 효과는 전송된 신호가 이동하는 물체와 충돌하면 신호가 변질되는 효과로서, 이동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물체의 정보를 감지하는 원리를 의미한다. 도플러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동물체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물체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명을 켜거나 끌 위치를 결정해서 엘이디 센서 등을 제어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이동물체가 사람인지 자동차인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사람과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며, 이에 따라 조명등을 켜거나 끌 범위가 달라지는데, 단순히 이동방향만 감지해서는 효과적인 조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KR 10-2014-0107794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하는 사물에 전자파를 송신하고, 사물에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I신호와 Q신호로 분리하고, 두 개의 신호의 위상차이를 확인해서 사물이 가까워지고 있는지 멀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적절한 위치의 조명등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감지대상이 된 사물의 종류에 따라 조명등이 켜지거나 꺼지는 범위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조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사물의 종류와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사물의 이동에 따라 조명등(1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사물에 부딪혀서 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센서(102)와; 상기 반사신호에서 I신호(In-phase signal)와 Q신호(Quadrature signal)를 샘플링하는 혼합기(106)와; 상기 I신호와 상기 Q신호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는 위상측정부(110)와; 상기 위상측정부(110)가 계산한 위상 차이에 대한 정보에서 상기 사물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방향판단부(112)와; 상기 방향판단부(112)가 생성한 이동방향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조명등(1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센서(102)에 연결된 상기 조명등(118)의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판단부(112)는 상기 I신호의 위상이 상기 Q신호의 위상 보다 앞선 경우에는 상기 사물이 상기 센서(102)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I신호의 위상이 상기 Q신호의 위상 보다 지연된 경우에는 상기 사물이 상기 센서(102)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14)는 특정 센서(102)에 상기 사물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특정 센서(102)에 연결된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특정 센서(102)로부터 상기 사물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특정 센서(102)에 연결된 조명등(118)이 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14)는 특정 구간의 양쪽 끝에 설치된 제1센서(102a)와 제2센서(102b)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사물이 상기 제1센서(102a)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2센서(102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센서(102a)와 상기 제2센서(102b)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조명등(118a), 제2조명등(118b), 제3조명등(118c), 제4조명등(118d)을 순차적으로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을 켜야 하는 위치에 적절한 밝기와 넓이로 조명을 할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최대의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능형 엘이디 센서 등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가까워지는 사물을 감지한 반사신호의 I신호와 Q신호의 위상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멀어지는 사물을 감지한 반사신호의 I신호와 Q신호의 위상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5와 6은 사물의 이동방향과 위치에 따라 단일 조명등을 켜거나 끄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과 8은 사물의 이동방향과 위치에 따라 다중 조명등을 켜거나 끄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이하, '제어시스템'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100)은 거리나 건물, 주차장, 공원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사물의 움직임과 방향, 속도, 크기 등을 감지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물의 감지를 위해 레이더 장치 등에 사용되는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신호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어시스템(100)에는 센서(102)가 설치되며, 별도로 구성된 안테나(도면 미도시)가 송신한 전자파가 사물에 부딪혀서 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센서(102)가 수신한 아날로그 형식의 반사신호는 컨버터(104)를 거치면서 디지털 형식의 신호로 변환되어 혼합기(106)에 입력된다.
혼합기(106)는 수신된 디지털 형식의 반사신호에서 I신호(In-phase signal)와 Q신호(Quadrature signal)를 샘플링하여 저장한 후 필터(108)에 전달한다.
필터(108)는 I신호와 Q신호에서 DC(직류)성분을 제거한 후 위상측정부(110)에 전달한다.
위상측정부(110)는 입력된 I신호와 Q신호의 위상 차이를 계산한다.
레이더 장치의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전자파는 이동하는 사물에 반사될 때 도플러 효과에 의해 I신호와 Q신호의 위상에 차이가 발생한다.
도 3은 가까워지는 사물을 감지한 반사신호의 I신호와 Q신호의 위상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멀어지는 사물을 감지한 반사신호의 I신호와 Q신호의 위상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102)가 일반적인 레이더 장치의 안테나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데, 센서(102)에 접근하는 사물에 반사된 신호에 포함된 I신호(①)는 Q신호(②)에 비해 90°(π/2)만큼 위상이 앞선 상태로 출력된다. 반대로 센서(102)로부터 이격되는 사물에 반사된 신호에서는 I신호가 Q신호에 비해서 90°만큼 위상이 지연된 상태로 출력된다.
위상측정부(110)는 두 개의 신호의 위상 변화의 특성을 회전하는 페이저(phaser)를 해석하는 수학적 방식으로 I신호와 Q신호의 위상을 구하고, 위상의 변화각을 구함으로써 위상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I신호와 Q신호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면 사물이 센서(102)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 가까워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상측정부(110)가 계산한 I신호와 Q신호의 위상 차이값은 방향판단부(112)에 전달된다. 방향판단부(112)는 두 개의 신호의 위상 차이값이 양인지 음인지를 확인하여 센서(102)를 중심으로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4)에 전달한다.
제어부(114)는 방향판단부(112)가 전달한 이동방향 정보를 확인하고, 사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설치된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조명등(118)의 제어신호는 통신부(116)를 통해 각각의 조명등(118)에 전달된다.
제어부(114)가 생성하여 전달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118)이 켜지거나 꺼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밝기가 변화되기도 한다.
도 5와 6은 사물의 이동방향과 위치에 따라 단일 조명등을 켜거나 끄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과 8은 사물의 이동방향과 위치에 따라 다중 조명등을 켜거나 끄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도 5와 6에는 특정한 영역에 진입하는 사물의 상태에 따라 조명등(118)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단일 조명등이라는 것은 하나의 센서(102)에 하나의 조명등(118)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자신과 연결된 하나의 센서(102)의 감지 내용에 따라 하나의 조명등(118)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한다.
도로나 건물의 내부에 시공된 전신주(200)에 조명등(118)과 센서(102)가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센서(102)가 감지하는 영역과 조명등(118)이 빛을 비추는 영역이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신주(200)를 여러 개 설치함으로써 조명등(118)이 빛을 비추는 독립된 영역을 여러 개 형성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람이나 자동차가 특정 전신주(200)에 접근하면, 그 전신주(200)에 설치된 센서(102)가 사물의 접근을 인식하게 된다. 센서(102)는 이동하는 사물에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고, 제어시스템(100)은 반사신호의 I신호와 Q신호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여 이동방향을 파악한다. 만약 해당 사물이 센서(102)에 가까워지고 있는 상태라면 I신호의 위상이 앞서게 되고, 멀어지고 있는 상태라면 Q신호의 위상이 앞서게 된다.
제어부(114)는 도 5와 같이, 방향판단부(112)의 판단에 따라 사물이 접근하고 있는 영역의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사물이 특정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해당 영역을 담당하는 센서(102)가 수신하는 반사신호의 Q신호의 위상이 앞서게 된다. 제어부(114)는 해당 영역을 담당하는 조명등(118)이 꺼지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사물이 이동하는 영역에 설치된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한다.
한편, 도 7과 8에는 다중 조명등의 제어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다중 조명등이란 하나의 센서(102)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여러 개의 조명등(118)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주차장이나 복도, 골목길 등에 여러 개의 조명등(118)을 설치하고, 여러 개의 조명등(118)에 연결되는 센서(102)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구간을 따라 여러 개의 조명등(118)을 설치하고, 해당 구간의 양쪽 끝에 두 개의 센서(102)를 설치한다. 편의상 본 출원에서는 특정 구간의 일단에 설치된 것을 제1센서(102a)라고 하고, 타단에 설치된 것을 제2센서(102b)라고 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1조명등(118a), 제2조명등(118b), 제3조명등(118c), 제4조명등(118d)이라고 한다.
제1센서(102a)와 제2센서(102b)는 특정 구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특정 구간에 사람이나 자동차가 있는지, 어느 방향으로 얼마의 속도로 움직이는지를 감지한다.
또한 제1센서(102a)와 제2센서(102b)가 감지한 사물의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14)는 어떤 조명의 상태를 조절한다.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사물이 제1센서(102a)와 제2센서(102b)가 설치된 구간으로 들어오면 가까운 곳의 센서가 이를 감지한다. 도 7에서는 제1센서(102a)가 있는 곳으로 사물이 들어와서 제2센서(102b)가 있는 곳으로 나가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제1센서(102a)와 제2센서(102b)는 사물의 위치와 이동방향, 속도를 감지한다. 이동방향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물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반사신호의 I신호와 Q신호의 위상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는 제1센서(102a)는 I신호의 위상이 앞선 것으로 감지할 것이며, 제2센서(102b)는 Q신호의 위상이 앞선 것으로 감지할 것이다. 방향판단부(112)는 이를 토대로 사물이 제1센서(102a)로부터 멀어져서 제2센서(102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제어부(114)는 사물이 이동하는 앞쪽을 비추기 위해 이 영역에 있는 조명등(118)을 켜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14)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조명등(118)의 수는 사물의 종류, 이동 속도, 구간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조명등(118)을 켜도록 하고, 느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조명등(118)을 켜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제1조명등(118a)과 제2조명등(118b)을 켜고, 제3조명등(118c)과 제4조명등(118d)은 꺼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사물이 계속 이동하면서 불이 켜져 있는 제1조명등(118a)과 제2조명등(118b)을 지나가면 제어부(114)는 그 다음 영역에 있는 제3조명등(118c)과 제4조명등(118d)이 켜지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1조명등(118a)과 제2조명등(118b)은 꺼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앞쪽에 있는 제1조명등(118a)이 먼저 꺼지고 사물이 좀 더 이동하면 제2조명등(118b)이 꺼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물이 더 진행하면 제3조명등(118c)을 끄고, 사물이 특정 구간을 완전히 벗어나면 제4조명등(118d)도 꺼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100)은 센서(102)의 감지영역에 들어온 사물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센서(102)는 사물에서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위상 차이에 따른 이동방향을 측정하는데, 의미없는 대상체(동물, 먼지, 낙엽 등)에서 반사되는 신호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반사신호의 LQI(Linked Quality Indicator)를 측정한다. LQI는 센서(102)에 입력되는 RF신호의 세기를 뜻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파형의 평균전압이나 평균전압의 유지 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LQI의 크기에 따라서 사람인지 자동차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센서(102)에 입력되는 신호의 LQI에 따라 켜지거나 꺼지는 조명등(118)의 범위를 결정한다. LQI는 센서(102)가 설치되는 장소의 구조나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적절한 기준을 정하면 비교적 부피가 작은 사람인지, 부피가 큰 자동차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02)에서 감지하는 신호의 LQI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차량으로 간주하여 조명등(118)이 켜지는 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설정한다. 그리고 반대로 LQI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사람으로 간주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을 비출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더 적은 수의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제어부(114)는 영역 내부로 들어오는 사물이 차량인지 사람인지를 결정한다. 이때 사물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센서(102)가 감지하는 신호의 LQI는 상대적으로 크고, 먼 곳에 위치한 센서(102)에서의 측정값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따라서 LQI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사물과 특정 센서(102) 사이의 거리를 유추할 수 있다.
크기가 큰 차량의 경우에는 더 넓은 면적에 조명을 비춰야 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곳, 즉 LQI가 낮은 곳에 위치한 조명등(118)도 켜지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사람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좁은 지역을 비추기 위해 LQI의 값이 큰 영역에 설치된 조명등(118)만 켜지도록 제어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어시스템 102 : 센서
104 : 컨버터 106 : 혼합기
108 : 필터 110 : 위상측정부
112 : 방향판단부 114 : 제어부
116 : 통신부 118 : 조명등
200 : 전신주

Claims (4)

  1. 사물의 종류와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사물의 이동에 따라 조명등(1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사물에 부딪혀서 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센서(102)와;
    상기 반사신호에서 I신호(In-phase signal)와 Q신호(Quadrature signal)를 샘플링하는 혼합기(106)와;
    상기 I신호와 상기 Q신호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는 위상측정부(110)와;
    상기 I신호의 위상이 상기 Q신호의 위상 보다 앞선 경우에는 상기 사물이 상기 센서(102)에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I신호의 위상이 상기 Q신호의 위상 보다 지연된 경우에는 상기 사물이 상기 센서(102)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상기 사물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방향판단부(112)와;
    상기 방향판단부(112)가 생성한 이동방향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센서(102)에 연결된 상기 조명등(118)을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4)는
    특정 센서(102)에 상기 사물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특정 센서(102)에 연결된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특정 센서(102)로부터 상기 사물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특정 센서(102)에 연결된 조명등(118)이 꺼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102)는 상기 반사신호의 세기를 뜻하는 LQI(Linked Quality Indicator)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사물이 차량일 때와 사람일 때를 구분하여 상기 조명등(118)이 켜지도록 하는 상기 LQI의 기준치를 다르게 설정하는데, 상기 사물이 차량일 때에는 사람일 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낮은 LQI가 감지되는 센서(102)에 연결된 조명등(118)도 켜지도록 하며, 상기 사물이 사람일 때에는 차량일 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LQI가 감지되는 센서(102)에 연결된 조명등(118)만 켜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물이 차량인 경우에 켜지는 조명등(118)의 수가 상기 사물이 사람인 경우에 켜지는 조명등(118)의 수보다 더 많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4)는 특정 구간의 양쪽 끝에 설치된 제1센서(102a)와 제2센서(102b)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사물이 상기 제1센서(102a)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2센서(102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센서(102a)와 상기 제2센서(102b)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조명등(118a), 제2조명등(118b), 제3조명등(118c), 제4조명등(118d)을 순차적으로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KR1020160177614A 2016-12-23 2016-12-23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KR10176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14A KR101761132B1 (ko) 2016-12-23 2016-12-23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14A KR101761132B1 (ko) 2016-12-23 2016-12-23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132B1 true KR101761132B1 (ko) 2017-07-25

Family

ID=5942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14A KR101761132B1 (ko) 2016-12-23 2016-12-23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0879A (zh) * 2018-06-08 2018-11-02 宁波亿鑫诚电器有限公司 调光大功率led太阳能路灯及调光使用方法
KR20200109497A (ko)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보안등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등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252A (ja) * 2012-05-01 2013-12-12 Kyoko Kanayama 照明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252A (ja) * 2012-05-01 2013-12-12 Kyoko Kanayama 照明制御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0879A (zh) * 2018-06-08 2018-11-02 宁波亿鑫诚电器有限公司 调光大功率led太阳能路灯及调光使用方法
KR20200109497A (ko)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사람과세상 보안등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등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419B1 (ko) 지능형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4224B1 (ko) 차량감응 하이브리드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7251125B (zh)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以及传感器设备
KR101761132B1 (ko) 사물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등 제어시스템
TW201236508A (en) Lighting system with radar detection
CA2548653A1 (en) Composite sensor for door and automatic door system
US10106075B2 (en) Vehicle hazard notification system
KR101911713B1 (ko) 전자파를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506507B1 (ko) Rf 인체감지 지능형 엘이디 센서 등
CN109887306A (zh) 基于rfid技术的交通路口控制预警系统及控制方法
KR20120126739A (ko) 레이더가 형성된 센서노드 및 센서노드를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US20240125891A1 (en)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integrated circuit, radio device and terminal
EP2784536B1 (en) Radar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363995B (zh) 一种车辆存在综合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US20200088368A1 (en) Motion Sensor Based Lighting Fixture Operation
KR102004351B1 (ko) 차량감응식 터널 조명 제어장치
KR20180121163A (ko) 가로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7154623A1 (ja) 検知装置
CN110703216B (zh) 一种雷达调整系统、调整方法及雷达装置
CN116981138A (zh) 车库照明系统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40722B1 (ko) 가로등의 제어방법
US20220154437A1 (en) Microwave inductio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water outlet device
Riid et al. An application of a low-cost microwave radar to traffic monitoring
JP201511514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90021906A (ko)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