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684B1 -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684B1
KR101760684B1 KR1020170012954A KR20170012954A KR101760684B1 KR 101760684 B1 KR101760684 B1 KR 101760684B1 KR 1020170012954 A KR1020170012954 A KR 1020170012954A KR 20170012954 A KR20170012954 A KR 20170012954A KR 101760684 B1 KR101760684 B1 KR 10176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ater
polishing
drainage
grooves
drainag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영
이환길
강지호
최낙정
김현진
김찬미
Original Assignee
(주)아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트스톤 filed Critical (주)아트스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natural stones, e.g. sett s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6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roducing matt surfaces, e.g. on plastic materials, on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이 형성되어 보행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가공된 보행로 바닥재용 판석으로서, 판석의 상부에 복수 개의 배수홈(110)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판석 상부에 축적되는 강우를 배수하는 동시에 미끄럼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되,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 전부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가 판석(100)을 이루는 테두리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판석(100)의 테두리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홈(110)의 깊이를 형성하는 배수홈(110)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일수직선상에 있지 않고 수직선을 벗어나 비스듬한 사선(L)을 그리며 형성됨으로써, 자연석의 질감이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효과도 향상되며 모래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배수홈(110)이 막히지 않으며, 상기 배수홈(110)은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가 연마수분사노즐(10)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은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이면서 연마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연마사가 혼합되어 있는 연마수가 판석의 상부 표면에 넓게 분사되어 판석의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칠게 되도록 가공된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FLAGSTONE WITH PATTERNS FOR SPEEDY DRAINING AND ANTI-SLIP FEATURES}
본 발명은 도로의 인도 포장에 사용되거나 조경용 등으로 사용되는 판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극대화되도록 패턴이 형성된 판석에 관한 것이다.
석재는 설치 후 수명이 길고, 고급스러운 미감을 주기 때문에 건축물은 물론 도로의 도로경계석과 같은 토목재, 조경재, 바닥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전에는 석재를 대리석과 같이 매끄럽게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자연석 질감이 있는 패선 석재 특히, 판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연석 질감의 석재는 인공적으로 가공된 느낌의 석재와 달리 볼수록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줄 뿐만 아니라 표면이 미끄럽지 않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닥에 설치되는 판석의 경우 자연석 질감을 갖는 것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표면이 자연석과 같은 질감을 갖는 석재를 대량으로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석재의 표면을 자연석과 같은 질감으로 가공하는 기술이 안출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104306호 등에는 석재를 향해 쇼트볼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석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쇼트볼 사용 가공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646754호 등에는 석재에 고온의 열을 가하거나, 고온의 열을 가한 후 물을 분사하여 석재의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가공하는 가스 버너 가공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석재 표면처리 가공법을 '버너구이'라고 종종 지칭하며, 버너구이 가공된 석재를 버너 석재라고 지칭한다.
또 다른 자연석 질감 가공방법으로, 작은 망치로 판석에 충격을 가하여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가공하는 잔다듬 가공법도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판석 표면가공법은 석재의 강도저하와 물리적 특성변화 및 휨 현상을 발생시키고, 배수능력이 미약하여 장마철이나 기타 우천시에 판석 표면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눈이 녹을 때에도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눈 녹은 물이 신속하게 판석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다가 결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겨울철 주간에 햇빛에 의해 녹아내린 눈이 완전히 배수되지 못한 채 정체되어 있다가 야간에 결빙되어 미끄럼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연석은 열전달이 비교적 우수한 물질로 겨울철 결빙율이 높기 때문에 적절한 배수가 반드시 수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더욱이, 종래의 판석 표면가공방법으로는 자연석 질감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스버너를 사용해서 열을 가하는 방식은 물리적 특성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색상이 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쇼트볼 사용 가공법은 쇼트볼로 인해 부풀어 올라 깨짐과 안전사고와 미세먼지 발생 및 기기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잔다듬 가공법은 생산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7-0104306호 (2007.10.25.) 등록특허 제10-0646754호 (2006.11.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이 녹거나 우천시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끄럼 방지성능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석 질감이 표현되면서도 강도저하와 물리적 특성변화 및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패턴 형성 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조로운 질감에서 벗어나 시각적 효과를 얻고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은, 보행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가공된 보행로 바닥재용 판석으로서, 판석의 상부에 복수 개의 배수홈(110)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판석 상부에 축적되는 강우를 배수하는 동시에 미끄럼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되,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 전부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가 판석(100)을 이루는 테두리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판석(100)의 테두리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홈(110)의 깊이를 형성하는 배수홈(110)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일수직선상에 있지 않고 수직선을 벗어나 비스듬한 사선(L)을 그리며 형성됨으로써, 자연석의 질감이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효과도 향상되며 모래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배수홈(110)이 막히지 않으며, 상기 배수홈(110)은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가 연마수분사노즐(10)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은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이면서 연마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연마사가 혼합되어 있는 연마수가 판석의 상부 표면에 넓게 분사되어 판석의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칠게 되도록 가공된다.
더욱이, 상기 배수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형성된 사선(L)의 방향이 또 다른 배수홈(110)의 사선(L)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은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연마수분사노즐(1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연마수의 공급 압력은 100bar 이상이고, 상기 연마사에는 모래, 금강사, 광택제 분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배수홈(110)이 형성하는 패턴은 판석의 면적 대비 상기 배수홈(110)의 총 면적이 배수홈(110)의 상단부 기준으로 2.3%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배수홈(110)의 수직 깊이가 1.2㎜ 이상이며, 배수홈(110)의 폭이 배수홈(110)의 상단부 기준으로 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수홈(110)이 형성하는 패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판석이 보행로 바닥재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때에 인접한 판석의 패턴과 연결되어 판석들 사이에 연속된 배수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연마수를 분사하는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은, 연마수가 유입되는 연마수유입홀(11); 상기 연마수유입홀(11)로 유입된 연마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된 연마수분사구(14); 상기 연마수유입홀(11)로 유입된 연마수가 연마수분사구(14)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되 단면의 넓이가 연마수유입홀(11)의 단면보다 넓은 형태를 가지는 연마수확산홀(12); 및 상기 연마수확산홀(12)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되 연마수확산홀(12)을 유동하는 연마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공기유입구(13);를 포함하여, 연마수에 혼입된 공기에 의해 연마수가 불규칙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불규칙하게 분사된 연마수에 의해 판석의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칠게 가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판석에 의하면, 상부에 소정 기준에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수홈이 형성됨으로써 판석에 쌓인 눈이 녹을 때나 강우중일 때 수분이 판석의 상면에 머무르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 기준에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배수홈에 의해 판석의 미끄럼방지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은 기능적 관점뿐 아니라 디자인적 관점을 고려하여 설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판석이 설치되는 인도 등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수홈은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형성된 것이거나 고압으로 분사된 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충격 분산 효과가 있으므로, 판석의 강도저하와 물리적 특성변화 및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연마사가 혼합되어 있는 연마수가 판석의 상부 표면에 넓게 분사되어 판석의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칠게 가공됨으로써 미끄럼 방지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도 이점이다.
또한, 연마수분사노즐의 형태에 의해 연마수가 불규칙적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판석의 상부 표면이 거칠어지도록 가공된 경우 자연석과 같은 질감이 더욱 강조되어 우수한 미관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석재에 고온의 열을 가하는 종래기술에 의해 가공된 판석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의 제1 실시예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복수 개의 배수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수홈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형성된 사선의 방향이 또 다른 배수홈의 사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A) : 상부 가장자리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연마수가 상부 표면에 넓게 분사되어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친 느낌을 갖는 판석의 평면도
(B) : 상기 (A)의 판석의 정면도
(C) : 상부 가장자리에서 높이가 낮아져 형성된 단이 있는 판석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단일 블럭을, (B)는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단일 블럭을, (B)는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단일 블럭을, (B)는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단일 블럭을, (B)는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단일 블럭을, (B)는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석을 자연석 느낌이 표현되도록 가공하기 위한 연마사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흔들림몸체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석을 자연석 느낌이 표현되도록 가공하기 위한 연마사 분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흔들림몸체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상기 연마사 분사장치의 구성요소인 연마수분사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나 눈이 녹아서 발생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강도저하와 물리적 특성변화 및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미끄럼이 방지되는 자연석 질감의 판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특히 보행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가공된 보행로 바닥재용 판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판석에는 비나 눈이 녹아서 발생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판석(100)의 상부에 복수 개의 배수홈(110)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배수홈(110) 내의 물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수홈 내에 고여 있게 되면 판석 표면이 오히려 더 미끄러워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 배수홈과 그 주변에 고여있는 물이 얼어서 판석으로 이루어진 보도를 빙판길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판석에서는 배수홈(110)의 적어도 일단이 판석(100)을 이루는 테두리 일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배수홈(110)의 일단만이 판석(100)의 테두리 일면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배수홈(11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판석(100) 테두리의 일면 및 다른 일면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다만, 판석(100) 전체적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판석(100)에서 테두리의 일면과 다른 일면을 연결하는 배수홈(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한편, 배수홈(110)의 깊이를 형성하는 배수홈(110)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일수직선상에 형성된 형태는 미끄럼 방지효과가 적을 뿐 아니라 모래 등에 의해서 배수홈(110)이 쉽게 막혀서 배수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판석에서는 배수홈(110)의 깊이를 형성하는 배수홈(110)의 하단부와 배수홈(110)의 상단부가 일수직선상에 있지 않고 수직선에서 벗어나 비스듬한 사선(L)을 그리며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는 배수홈(110)이 형성되면서도 자연적인 질감을 줄 수 있고, 미끄럼 방지효과도 우수할 뿐 아니라, 모래 등에 의해서 배수홈(110)이 막히는 현상도 적은 특징이 있다. 특히, 모래와 흙먼지 등이 섞여서 배수홈(110)에 채워지고 보행자 등이 밟아서 다져짐으로써 배수홈(110)이 막혀 배수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선으로 형성된 배수홈(110)은, 수직선상으로 형성된 배수홈(110)과 비교할 때, 배수홈(110)에 모래와 흙먼지 등이 채워지고 다져지더라도 하단부 부근에 모래와 흙먼지가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배수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형성된 사선(L)의 방향이 또 다른 배수홈(110)의 사선(L)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홈(110)의 깊이방향을 따라 선을 그리면 사선(L)이 형성되는데 하나의 판석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사선(L)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배수 및 미끄럼 방지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판석(100)의 가장자리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1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경사면(120) 대신에 높이가 낮아져 형성된 단(130)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경사면(120)이나 높이가 낮아져 형성된 단(130)에 물이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이 모인 물은 상기 경사면(120) 또는 단(130)에 의해 판석(100)들 사이에 형성된 배수로나, 판석(100) 테두리와 연결된 판석(100) 상면의 배수홈(110)을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가 더욱 원활하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는 어느 하나의 배수홈(110)이 막혀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배수홈(110)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배수성능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판석의 미끄럼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다각도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판석의 미끄럼방지효과가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즉, 판석(100)의 면적 대비 상기 배수홈(110)의 총 면적이 배수홈(11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2.3% 이상이고, 배수홈(110)의 수직 깊이가 1.2㎜ 이상이며, 배수홈(110)의 폭이 배수홈(110)의 상단부 기준으로 2㎜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된 미끄럼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상적으로 보행로용 블럭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가로세로 크기가 각각 300㎜인 판석을 기준으로 보면, 하나의 판석 상면에 형성된, 상단부 폭이 2㎜ 이상이고 수직 깊이가 1.2㎜ 이상인 배수홈(110)의 총 길이가 대략 1,000㎜ 이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미끄럼방지효과는 미끄럼저항성, 즉 BPN(British Pendulum Number)에 의해 수치화될 수 있는데, 국토교통부의 "보도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르면, 보도가 설치된 경우 보도 포장의 미끄럼 저항은 40 BPN 이상이어야 한다. KS F 2375 (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 방법) 규정에 따르더라도, 블록포장 자재는 미끄럼 저항 값이 40 BPN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특별시의 관련 규정에 따르면, 보도의 미끄럼저항성은 각각 평지에서는 40 BPN 이상, 완경사 지역에서는 45 BPN 이상, 그리고 급경사 지역에서는 50 BPN 이상을 충족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다.
종래의 보차도용 판석이나 블록 자재는 대체로 국토교통부와 KS규격에서 규정한 미끄럼저항성 기준값인 40 BPN을 다소 상회하는 수준인 50 BPN 전후의 저항성 값을 나타내고 있고, 저항성 최대값이 60 BPN에 미치지 못함을 아래 표 1에서 알 수 있다. 아래 표 1의 미끄럼 저항성 수치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시험을 의뢰한 결과이다. 이러한 종래의 판석이나 블록 자재 중 일부는 서울특별시 규정에 따른 급경사 지역 미끄럼저항성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해당 지역에서 보차도 시공에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안전율을 감안하면 완경사 지역에서 시공도 미끄럼 저항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석재 시료 중에 '버너'가 기재된 것은 버너구이, 즉 배경기술 항목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의 열을 가하여 표면처리를 시행한 석재를 지칭한다.
성적서번호 시료명 시험방법 미끄럼 저항성
(BPN)
1 CT15-063552 점토바닥벽돌 KS F 2375 : 2001 51

2

CT15-035916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유니블록웨이브 200x200x160㎜)
KS F 2375 : 2001
49
49
50
3 CT15-075077 자연석판석 버너 고흥석 KS F 2375 : 2001 57
4 CT16-115372 버너 익산석 KS F 2375 : 2001 58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용 판석은 아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 70 BPN을 상회하는 높은 미끄럼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어 미끄럼저항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국토교통부 규정과 KS규격 뿐 아니라 서울특별시 규정 또한 모두 충족시키는 우수한 제품임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2의 미끄럼 저항성 수치 역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한 시험결과에 따른 것이다.
성적서번호 시료명 시험방법 미끄럼 저항성
(BPN)
1 CT16-115367_M2 미끄럼방지용 패턴을 갖는 자연석 바닥재(익산석) KS F 2375 : 2001 외 75
73(동결융해 후)
2 CT16-115368_M2 미끄럼방지용 패턴을 갖는 자연석 바닥재(포천석) KS F 2375 : 2001
3 CT16-115370_M2 미끄럼방지용 패턴을 갖는 자연석 바닥재(장흥석) KS F 2375 : 2001 75
4 CT16-115369_M2 미끄럼방지용 패턴을 갖는 자연석 바닥재(고흥석) KS F 2375 : 2001 외 76
72(동결융해 후)
5 CT15-063555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자연석 판석 바닥재(고흥석) KS F 2375 : 2001 외 70
68(동결융해 후)
6 CT15-063550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자연석 판석 바닥재(거창석) KS F 2375 : 2001 74
7 CT15-063554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자연석 판석 바닥재(황등석) KS F 2375 : 2001 외 75
73(동결융해 후)
8 CT16-115371_M2 미끄럼방지용 패턴을 갖는 자연석 바닥재(마천석) KS F 2375 : 2001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판석의 미끄럼저항성은 종래에 자연석 질감 확보 및 미끄럼저항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던 버너 석재나 점토 벽돌에 비해 대략 30% 이상 향상된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므로, 안전한 보행로를 시공하기 위한 바닥재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판석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연석 질감의 패턴 외에도 여러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패턴에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도시 미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에는 이러한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판석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건축, 의상 등 전통문화에서 소재를 발굴하여 이를 패턴화한 것으로서, 도 5는 경복궁 자경전 꽃담의 무늬 중 일부를 모티브로 하여 궁궐의 웅장함과 기품있는 모습을 아름답고도 간결한 형태로 표현한 궁무늬 또는 왕(王)무늬 패턴이 형성된 판석을 단일 블럭과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다수의 블럭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조합된 경우에는 단일 블럭의 경우와는 다소 상이한 미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때에는 블럭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홈(110)이 전체 블럭에 걸쳐서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패턴은 옷고름 무늬로서, 한복의 단아하면서도 기품있는 옷고름을 모티브로 하여 단순함과 직선의 절묘한 조합이 현대적인 패턴으로 형상화된 것이 특징이다. 도 7은 나비노리개무늬를 패턴화한 것으로, 전통 복식에서 기본적으로 선이 굵은 여성 한복의 아름다움을 보완하는 디테일의 표현인 노리개를 모티브로 하여 형성된 것이다.
도 8은 여성의 댕기머리 패턴 또는 단청무늬 패턴으로서, 여성의 곱게 땋은 단아한 댕기머리를 모티브로 하며, 다수의 블럭을 조합할 때 한장한장 펼칠수록 댕기머리가 묶여지는 것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는 색다른 특징이 있는 패턴이다. 도 9는 창살무늬 패턴으로서, 전통기와집에서 볼 수 있는 창문의 창살을 모티브로 하여 단순한 형태의 직선의 조합으로 구성한 것이며, 다수의 블럭을 조합하면 태극을 연상케 하는 무늬가 형성됨으로써 색다른 미감을 자아내는 동시에 배수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판석을 이용한 보도용 블럭에 전통문양을 도입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블럭들을 조합할 경우에는 개별 블럭일 때와는 또다른 문양이 형성됨으로써 색다른 미감을 가져오게 되는 효과가 있고, 전통문양에 기반을 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문화 상품으로서의 가치도 지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판석에 상기 실시예들과 같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배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우천시의 미끄럼저항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결빙을 최소화하여 겨울철 미끄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패턴이 형성된 판석의 경우, 보행자가 보행 중 넘어져서 손, 팔꿈치, 무릎 등의 신체 부위가 판석에 닿아 마찰되는 때에도, 패턴이 존재함으로써 마찰 길이가 감소되는 한편 패턴의 선의 모서리가 부드러워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패턴이 형성된 판석들도 전술한 바 있는 미끄럼방지효과 향상의 조건, 즉, 가로세로 크기가 각각 300㎜인 판석을 기준으로, 하나의 판석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배수홈(110)의 총 길이가 1,000㎜ 이상이고, 배수홈(110)의 깊이가 1.2㎜ 이상이며, 배수홈(110)의 폭이 2㎜ 이상인 경우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된 미끄럼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9에 도시된 창살무늬 패턴은 다른 실시예의 패턴에 비해 배수홈(110)의 총 길이가 다소 짧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블럭이 조합된 때에는 그 패턴이 태극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배수홈(110)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가 되므로, 다른 실시예의 패턴에 못지않은 배수성능과 미끄럼방지성능을 발휘한다.
도 9의 창살무늬 패턴이 형성된 판석과 버너 석재, 버너 석재의 배면, 그리고 빙판 등 4종의 노면에 대하여 노면별 마찰계수 시험을 실시한 결과가 아래 표 3에 나와 있다. 마찰계수 시험에서 미끄럼 시편은 고무 조성물 1종(타이어)을 사용하였으며, 시험 수직 하중은 265N이되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3㎏f/㎠가 되도록 미끄럼 시편의 크기 등을 설정하였다. 시험당시 실내온도는 -15℃이고, 미끄럼 초기 속도는 0.6 m/sec 로 하였다.
노면 종류 빙판 버너 석재 창살무늬 패턴 석재 버너 석재 배면
마찰계수 0.30 0.38 0.41 0.35
상대 비율(%) 100 125 135 117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살무늬 패턴 석재는 마찰계수 0.41로 빙판 대비 35%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었으며, 버너 석재와 비교하더라도 대략 8%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들의 패턴 형성 판석은 배수홈(110)이 형성하는 패턴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판석의 패턴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패턴 형성 판석을 보행로에 바닥재로 시공할 때에 동일한 패턴이 형성된 다수의 판석을 연속적으로 배열하게 되는데, 이때 배수홈(110)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인접한 판석의 패턴과 연결되도록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홈(11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로는 하나의 판석 블럭 내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판석 블럭에까지 연장되게 되며, 이는 보행로의 미관향상과 더불어 미끄럼방지효과와 배수성능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특히,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패턴 형성 판석은 배수홈(11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로가 인접한 판석을 넘어 다수의 연속된 판석 블럭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이러한 연장된 배수로가 보행로의 구배 방향과 일치하도록 판석 블럭을 시공할 경우 배수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도 9 참조) 상기와 같은 연장된 배수로가 도면상에서 가로방향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도 형성되므로, 판석 블럭을 어느 방향으로 시공하더라도 대략 구배 방향에 일치하도록 형성된 상기와 같은 연장된 배수로가 구비될 수 있어, 시공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미끄럼이 방지되고 자연석 질감이 나도록 가공되면서도 강도저하와 물리적 특성변화 및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판석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판석(100)에 배수홈(110)을 형성함에 있어,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를 고압으로 판석에 분사하여 배수홈(110)을 형성한다. 또한, 연마사가 혼합되지 않은 물을 판석에 고압으로 분사하여 배수홈(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강도저하와 물리적 특성변화 및 휨 현상의 방지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를 사용하면 버너구이 가공이나 잔다듬 가공 등의 종래 가공방법에 비해 석재 표면 가공과정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및 미세먼지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연마사가 혼합되어 있는 연마수를 판석의 상부 표면에 넓게 분사함으로써 판석의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칠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가공할 경우 판석의 자연석 느낌이 더욱 강할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효과 또한 더욱 우수하다.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석재의 물리적 특성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 자연석 질감의 표면을 갖는 판석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인데, 판석의 표면이 자연석에 가까운 질감을 가지려면 판석의 표면 중에서 특정 지점만이 가공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이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가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특정 패턴을 갖는 가공형태는 인위적인 느낌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 형태가 불규칙하게 보이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마수분사장치의 연마수분사노즐(10)을 통해 연마수가 분사되기 전 연마수가 연마수확산홀(12)에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수가 넓게 확산되어 분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사되기 직전에 공기유입구(13)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연마수에 공기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수분사구(14)를 통해 분사되는 연마수가 불규칙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마수분사노즐(10)은 고압의 세척수와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가 유입되는 연마수유입홀(11)을 갖는다. 또한, 연마수유입홀(11)로 유입된 연마수가 판석을 향해 분사되도록 형성된 연마수분사구(14)를 갖는다.
더욱이, 연마수유입홀(11)로 유입된 연마수가 연마수분사구(14)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되 단면(유량과 관련된 단면, 도 10 같은 구조에서는 횡단면)의 넓이가 연마수유입홀(11)의 단면보다 넓은 형태를 가지는 연마수확산홀(12)을 갖는다.
또한, 연마수확산홀(12)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되 연마수확산홀(12)을 유동하는 연마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공기유입구(13)를 갖는다.(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공기유입구(13)로 연마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형태는 체크밸브 등을 설치하는 구조도 있지만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연마수유입홀(11) 방향에서 시작하여 연마수확산홀(12)로 진행되어 있되 경사를 형성하면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공기유입구(13)는 연마수분사구(14)에서 10㎜~30㎜ 떨어져 있는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연마수의 분산 효과가 우수하다. 연마수의 공급 압력은 100bar 이상 되어야 연마 효율이 우수하며, 연마사로는 모래, 금강사, 광택제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판석을 형성하기 위한 연마수 분사장치의 구조는 연마수가 불규칙한 형태로 넓게 확산되어 분사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구조에서 연마수분사노즐(1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각각의 연마수분사노즐(10)은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연마수분사노즐(10)이 전, 후, 좌, 우의 4방향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이면서 연마수를 분사하도록 연마수분사노즐(10)을 움직여주는 노즐움직임수단(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마수분사노즐(10)이 전, 후, 좌, 우의 4방향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이면서 연마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석재의 넓은 면적에 연마수를 빠르게 분사하면서도 비교적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적이 넓은 판석(1)을 자연석 느낌이 나도록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고른 작업이 이루어져 자연석 느낌을 더욱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연마수분사노즐(10)이 움직이는 구조에서 판석(100)도 좌, 우, 전, 후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효과는 더욱 증가한다. 다만, 연마수분사노즐(10)과 판석(100)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좋다.
노즐움직임수단(20)은 캠을 사용한 방식, 링크를 사용한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 및 도 11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연마수의 원활한 공급과 장치의 고장발생률 등을 낮출 수 있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0에서 연마수분사노즐(10)이 설치되어 있는 흔들림몸체(30)는 상부가 회전볼연결장치(40)에 의해 회전되게 고정되어 하부가 추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노즐움직임수단(20)은 중공(21a)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체(21)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회전체(21)를 회전시켜 주는 모터(22)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회전체(21)의 한 지점과 흔들림몸체(30)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어 회전체(21)의 회전시 흔들림몸체(30)의 하부를 끌어당겨 움직이게 하는 연결체(24)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서는 기어(23)를 통해 모터(22)의 회전력을 회전체(21)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모터(22)의 회전력을 회전체(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는 공지의 다양한 동력전달방식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회전볼연결장치(40)는 끝부분이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가공된 축이 구형 또는 반구형의 홈에 들어가 회전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회전볼연결장치(40)는 이미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한다.
전술한 회전볼연결장치(40)는 흔들림몸체(30)의 전, 후, 좌, 우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흔들림몸체(30)가 좌, 우로만 움직이거나 전, 후로만 움직이는 경우 통상의 힌지를 사용한 방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5는 베어링이고, 31은 세척수공급라인이며, 32는 연마사공급라인이다.
10: 연마수분사노즐 11: 연마수유입홀
12: 연마수확산홀 13: 공기유입구
14: 연마수분사구 20: 노즐움직임수단
21: 회전체 21a: 중공
22: 모터 23: 기어
24: 연결체 25: 베어링
30: 흔들림몸체 31: 세척수공급라인
32: 연마사공급라인 40: 회전볼연결장치
100: 판석 110: 배수홈
120: 경사면 130: 단

Claims (6)

  1. 보행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가공된 보행로 바닥재용 판석에 있어서,
    판석의 상부에 복수 개의 배수홈(110)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판석 상부에 축적되는 강우를 배수하는 동시에 미끄럼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되,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은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 전부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가 판석(100)을 이루는 테두리의 일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배수홈(110)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판석(100)의 테두리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홈(110)의 깊이를 형성하는 배수홈(110)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일수직선상에 있지 않고 수직선을 벗어나 비스듬한 사선(L)을 그리며 형성됨으로써, 자연석의 질감이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효과도 향상되며 이물질에 의해 상기 배수홈(110)이 막히지 않으며,
    상기 배수홈(110)은 연마사가 혼합된 연마수가 연마수분사노즐(10)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이 전, 후, 좌, 우의 방향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움직이면서 연마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을 움직여주는 노즐움직임수단(20)을 더 구비하여, 연마사가 혼합되어 있는 연마수가 판석의 상부 표면에 넓게 분사되어 판석의 상부 표면이 거칠게 되도록 가공되며,
    상기 배수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형성된 사선(L)의 방향이 또 다른 배수홈(110)의 사선(L)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은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연마수분사노즐(1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연마수의 공급 압력은 100bar 이상이고, 상기 연마사에는 모래, 금강사, 광택제 분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상기 배수홈(110)이 형성하는 패턴은 판석의 면적 대비 상기 배수홈(110)의 총 면적이 배수홈(110)의 상단부 기준으로 2.3%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배수홈(110)의 수직 깊이가 1.2㎜ 이상이며, 배수홈(110)의 폭이 배수홈(110)의 상단부 기준으로 2㎜ 이상으로 형성되어 미끄럼방지효과가 향상되고,
    연마수를 분사하는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은,
    연마수가 유입되는 연마수유입홀(11);
    상기 연마수유입홀(11)로 유입된 연마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된 연마수분사구(14);
    상기 연마수유입홀(11)로 유입된 연마수가 연마수분사구(14)로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되 단면의 넓이가 연마수유입홀(11)의 단면보다 넓은 형태를 가지는 연마수확산홀(12); 및
    상기 연마수확산홀(12)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되 연마수확산홀(12)을 유동하는 연마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공기유입구(13);를 포함하여,
    연마수에 혼입된 공기에 의해 연마수가 불규칙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불규칙하게 분사된 연마수에 의해 판석의 상부 표면이 전체적으로 거칠게 가공되며,
    상기 연마수분사노즐(10)이 설치되는 흔들림몸체(30)는 상부가 회전볼연결장치(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노즐움직임수단(20)은 중공(21a)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전체(21)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21)의 한 지점과 흔들림몸체(30)의 하부를 연결함으로써 회전체(21)의 회전시 흔들림몸체(30)의 하부를 끌어당겨 움직이게 하는 연결체(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110)이 형성하는 패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판석이 보행로 바닥재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때에 인접한 판석의 패턴과 연결되어 연속된 배수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6. 삭제
KR1020170012954A 2016-04-11 2017-01-26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KR101760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06 2016-04-11
KR1020160044406 2016-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684B1 true KR101760684B1 (ko) 2017-07-25

Family

ID=5942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954A KR101760684B1 (ko) 2016-04-11 2017-01-26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307B1 (ko) * 2023-02-14 2024-01-11 주식회사 남부스톤 표면에 줄눈 무늬와 돌기가 형성된 석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2938A (ja) * 2007-10-25 2009-05-14 Sekisui Chem Co Ltd 保水性床材
KR101191768B1 (ko) * 2012-02-08 2012-10-16 (주)이로움 배수기능을 가지는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2938A (ja) * 2007-10-25 2009-05-14 Sekisui Chem Co Ltd 保水性床材
KR101191768B1 (ko) * 2012-02-08 2012-10-16 (주)이로움 배수기능을 가지는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307B1 (ko) * 2023-02-14 2024-01-11 주식회사 남부스톤 표면에 줄눈 무늬와 돌기가 형성된 석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122B1 (ko) 투수성 자전거 도로의 포장방법
CN106087633B (zh) 组合透水砖的制造方法
CN207749370U (zh) 一种新型的铁路基床表层结构
Autelitano et al. Criteria for the selection and design of joints for street pavements in natural stone
KR101760684B1 (ko) 미끄럼방지성능과 배수성이 우수한 패턴 형성 판석
KR101270157B1 (ko) 투보수홀 보도블록 제조 방법
KR100991594B1 (ko) 자전거 도로용 포장체의 시공방법
CN105401501A (zh) 一种露石水泥混凝土路面施工方法
KR101762751B1 (ko) 미끄럼방지와 배수성이 우수한 자연석 질감의 판석
KR100969164B1 (ko) 자전거 도로용 포장체
ES2297552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baldosa de piedra artificial permeable.
KR100592962B1 (ko) 투수성과 배수성을 갖는 아스팔트 포장재 제조 방법 및 그포장재
CN202208874U (zh) 防滑透水路垫
CN209114275U (zh) 一种耐磨的车库防滑坡道礓磋
KR100963298B1 (ko) 기능성 탄성 포장층 시공방법
CN201942976U (zh) 一种路面砖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CN100532721C (zh) 高性能透——排水混凝土铺装
CN1348033A (zh) 金刚砂彩色步道砖
JP2008196269A (ja) 舗装路の処理方法
JPH111903A (ja) 透水性弾性舗装材及び透水性弾性舗装方法
KR100995092B1 (ko) 생활폐기물 용융 슬래그를 이용한 투수 포장체 시공 방법
KR100612486B1 (ko) 폐골재에 폐타이어 고무분말을 이용한 표면처리 코팅방법 및 그 제품
DE4129214A1 (de) Pflasterkunststei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NL2027889B1 (en) Decorative concrete tile, decorative pav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