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531B1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가독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가독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531B1
KR101759531B1 KR1020157016360A KR20157016360A KR101759531B1 KR 101759531 B1 KR101759531 B1 KR 101759531B1 KR 1020157016360 A KR1020157016360 A KR 1020157016360A KR 20157016360 A KR20157016360 A KR 20157016360A KR 101759531 B1 KR101759531 B1 KR 10175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tation
radio station
scel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099A (ko
Inventor
히사시 후타키
히로아키 아미나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7Reselecting an access point between radio unit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76/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plit of the control plane or us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04W36/0235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by transmitting sequence numbers, e.g. SN status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은, 무선 단말(4)이 제1 무선국(1)에 의해 운용되는 제1 셀(10)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2)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20)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할 경우에,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세컨더리 셀을 제2 셀(20)로부터 제3 셀(30)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단말이 세컨더리 셀을 하나의 무선국의 셀로부터 다른 무선국의 셀로 변경할 경우에,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의 통신 서비스를 세컨더리 셀 변경 후에도 계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가독 매체{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STATION,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무선국과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을 이용해서 서로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급격한 증대에 대처하기 위해 통신 품질의 개선, 및 가일층의 고속 통신의 실현을 위해,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무선 기지국(eNode B : eNB)과 무선 단말(User Equipment : UE)이 복수의 셀을 사용해서 서로 통신을 행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 CA) 기능의 표준화가 논의되어 왔다. 또, UE가 CA에서 사용 가능한 셀은 하나의 eNB의 셀(즉, 하나의 eNB가 운용하는 셀)로 한정된다.
UE가 사용하는 셀은 CA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서빙 셀로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과,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사용하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 분류된다. PCell에서는, 무선 접속의 (재)확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Re-establishment) 시에, NAS 모빌리티 정보(Non-Access Stratum mobility information) 및 보안 정보(security input) 등이 송수신된다(비특허문헌 1 참조). PCell에 대응하는 DL Carrier가 DL PCC(Primary Component Carrier)이고 그 대응 UL Carrier가 UL PCC이다. 마찬가지로, SCell에 대응하는 DL Carrier가 DL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이고 그 대응 UL Carrier가 UL SCC이다.
CA에 있어서 UE가 SCell을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하여 eNB는, SCell의 후보로 되는 셀(들)의 설정 정보(SCell configuration)를 UE에 통지하고, UE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는 셀을 유효화(activation)한다. SCell의 추가(addition), 삭제(release), 및 유효화(activation), 무효화(deactivation)의 절차에 대하여 도 1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스텝S1에서는, UE는 NB의 Cell1에서 RRC 접속 확립을 실행한다(RRC connection establishment). Cell1은 PCell이다. 스텝S2에서는, eNB는 SCell로서 추가할 셀(여기에서는 Cell2 및 Cell3)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UE에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including SCell addition list). 스텝S3에서는, UE는 Cell2 및 Cell3을 SCell로서 추가한다(SCell=Cell2, 3 addition). 이 시점에서는 UE는 Cell2 및 Cell3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없다. 스텝S4에서는, eNB는 Cell2를 SCell로서 유효화하는 지시를 송신한다(SCell=Cell2 Activation Control). 스텝S5에서는, UE는 Cell2를 유효화한다(SCell=Cell2 activation). 이에 따라, 스텝S6에서는, UE 및 eNB는 Cell1 및 Cell2를 사용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Carrier Aggregation on Cell1 and CELL2).
특정 시점에서(스텝S7), eNB는, Cell2 대신에 Cell3을 SCell로서 사용할 것을 결정하고, Cell2를 무효화하는 지시와 Cell3을 유효화하는 지시를 UE에 송신한다(SCell=Cell2 Deactivation Control and SCell=Cell3 Activation Control). 스텝S8 및 S9에서는, UE는 Cell2를 무효화하고(SCell=Cell2 deactivation), Cell3을 유효화한다(SCell=Cell3 activation). 이에 따라, 스텝S10에서는, UE 및 eNB는 Cell1 및 Cell3을 사용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Carrier Aggregation on Cell1 and Cell3).
특정 시점에서(스텝S11), eNB는 Carrier Aggregation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SCell을 삭제하는 지시를 UE에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including SCell release list). 스텝S12에서는, UE는 Cell2 및 Cell3을 SCell로부터 삭제한다(SCell=Cell2, 3 release).
또한, 서로 다른 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통합하는 Inter-eNB CA의 켄셉트가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3). 예를 들면, Inter-eNB CA에서는, 매크로 기지국(Macro eNB : MeNB)에 의해 운용되는 매크로 셀(Macro cell)과 피코 기지국(Pico eNB : P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피코 셀(Pico cel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을 UE의 이동 관리 등의 제어 평면의 신호의 송수신에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통신 품질이 양호한 피코 셀을 유저 데이터 등의 데이터 평면의 신호의 송수신에 이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4). 이 방법은 C/U Split라고 한다.
3GPP TS 36.300 V11.3.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Section 7.5, September 2012 3GPP TS 36.331 V11.1.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 Section 5.3.5.4, September 2012 3GPP RWS-120046, Samsung Electronics, "Technologies for Rel-12 and Onwards",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3GPP RWS-120010, NTT DOCOMO, "Requirements, Candidate Solutions & Technology Roadmap for LTE Rel-12 Onward",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Inter-eNB CA에서는, 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Macro eNB : MeNB)의 셀을 PCell, 저전력 기지국(Low Power Node : LPN)의 셀을 SCell로서 동시에 사용된다. 이 경우, PCell 및 SCell의 각각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베어러가 설정된다. UE는 PCell의 베어러를 통하여 MeNB와 통신하고, SCell의 베어러를 통하여 LPN과 통신한다.
본 건 발명자들은, Inter-eNB CA를 실행하고 있는 무선 단말(UE)이 셀간을 이동할 때의 통신 서비스의 계속성에 대하여 다양한 검토를 행하여 몇 가지 과제를 발견했다. 예를 들면, MeNB의 셀을 PCell로 하며 또한 제1 LPN의 셀을 SCell로 해서 inter-eNB CA를 실행하고 있는 UE가, 다른 제2 LPN의 셀로 SCell을 변경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SCell의 변경에 통상의 CA(즉, Intra-eNB CA)에 있어서의 SCell 변경 절차(도 17)를 적용하면, UE는 제1 LPN의 셀의 정보를 모두 해방(release)하고, 제2 LPN의 셀의 정보를 새로이 설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제1 LPN의 셀에 있어서 통신하고 있던 서비스가 SCell 변경 후에 제2 LPN의 셀에 있어서 계속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건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단말이 세컨더리 셀을 하나의 무선국의 셀에서 다른 무선국의 셀로 변경할 경우에,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의 통신 서비스를 세컨더리 셀 변경 후에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태양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제3 무선국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제3 무선국은, 제1∼제3 셀을 각각 운용한다. 상기 무선 단말은, 하나의 무선국의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무선국의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및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셀을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상기 제2 셀을 상기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세컨더리 셀을 상기 제2 셀로부터 상기 제3 셀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태양에서는, 제1 무선국은, 제1 셀을 운용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셀을 제3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3 셀로 변경할 경우에, (a)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의 중지의 요구의 송신과; (b)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태양에서는, 제2 무선국은, 제2 셀을 운용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무선 단말이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상기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셀을 제3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3 셀로 변경할 경우에, (a)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의 중지의 요구와; (b)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의 송신의 요구; 중 적어도 한쪽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의 중지와 상기 통신 상황 정보의 송신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태양에서는, 제3 무선국은, 제3 셀을 운용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무선 단말이 제1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셀을 상기 제3 셀로 변경할 경우에,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 또는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 태양에서는, 무선 단말은, 제1∼제3 무선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 및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국의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고 상기 제2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을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상기 제2 셀을 상기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세컨더리 셀을 상기 제2 셀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3 셀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 태양에서는,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셀을 제3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3 셀로 변경할 경우에, (a)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의 중지의 요구의 송신과; (b)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7 태양에서는,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무선 단말이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상기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셀을 제3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3 셀로 변경할 경우에, (a)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의 중지의 요구와; (b)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의 송신의 요구; 중 적어도 한쪽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의 중지와 상기 통신 상황 정보의 송신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8 태양에서는, 제3 셀을 운용하는 제3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무선 단말이 제1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셀을 상기 제3 셀로 변경할 때에,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 또는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9 태양에서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a) 제1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1 셀을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제2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2 셀을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하는 것, 및
(b) 상기 제1 셀을 상기 프라이머리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상기 제2 셀을 상기 세컨더리 셀로서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세컨더리 셀을 상기 제2 셀로부터 제3 무선국에 의해 운용되는 제3 셀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0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6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제11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7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제12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8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제13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9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태양에 따르면,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단말이 세컨더리 셀을 다른 무선국의 셀로 변경할 경우에, 변경 전의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의 통신 서비스를 세컨더리 셀 변경 후에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3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절차예 1).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절차예 1).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1).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절차예 2).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무선국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절차예 2).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무선국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절차예 2).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3 무선국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절차예 2).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2).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3).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4).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5).
도 17은 LTE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도(배경기술).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6)는 제1 무선국(1), 제2 무선국(2), 제3 무선국(3), 및 무선국(1∼3)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5)를 포함한다. 무선국(1, 2, 및 3)은, 제1 셀(10), 제2 셀(20), 및 제3 셀(30)을 각각 운용한다. 무선국(1∼3)은,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국이다. 무선 단말(4)은, 하나의 무선국의 셀을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무선국의 셀을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환언하면, 무선 단말(4)은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프라이머리 셀(PCell)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무선 단말(4)의 서빙 셀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셀이다. 세컨더리 셀(SCell)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위하여 무선 단말(4)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셀이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4)은, 제1 셀(10)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접속을 유지한 채로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고, 제1 셀(10)을 프라이머리 셀(PCell)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셀(20)을 세컨더리 셀(SCell)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4)은 신호(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의 위하여 복수의 셀(예를 들면,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셀을 동시에 사용한다는 표현은, 실제로 복수의 셀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표현은, 복수의 셀의 모두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어느 하나의 셀에서만 또는 복수의 셀에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이 표현은, 각각의 셀에서 종류가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또는, 이 표현은, 복수의 셀 각각을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는 관점에서,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기능은,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셀의 동시 사용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기능은, 듀얼 접속(Dual Connection),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 멀티 접속(Multi-Connection), 멀티 접속성(Multi-Connectivity) 등으로 부를 수도 있다.
무선 단말(4)은, 무선국에 대해서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지원됨을 나타내는 단말 능력 보고를 행해도 되고, 무선 단말(4)의 카테고리 또는 장치 릴리스 번호 등에 의해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지원됨을 암시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능력은 듀얼 접속의 능력, 또는 멀티 접속의 능력이라 부를 수도 있다.
도 1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 HetNet) 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에 도시된 제1 셀(10)은 제2 셀(20) 및 제3 셀(30)에 비해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또한, 도 1은 제1 셀(10) 내에 제2 셀(20) 및 제3 셀(30)이 배치된 계층화 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셀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셀(10, 20, 및 30)은 같은 정도의 커버리지를 가져도 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Homogeneous Network) 환경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단말(4)이 셀(10 및 20)의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실행 중에 SCell이 셀(20)에서 셀(30)로 변경될 경우에도, SCell(즉, 셀(20))에 있어서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데이터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또는 단순히 서비스라고도 부를 수 있음)의 지속을 SCell 변경 후에도 계속 가능케 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무선 단말(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무선 단말(4)이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를 유지하면서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하는 변경 절차를 실행한다. 무선 단말(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SCell 변경 절차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셀(20)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해방하지 않고 유지해 두면 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통신의 지속이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지속이어도 되고, 당해 데이터 통신에 의해 실현하고 있던 서비스의 계속을 의미해도 된다. 또한, 임의의 패킷이 셀(20)에서 송신에 실패해 있었을 경우, 데이터 통신의 지속은 당해 패킷을 셀(20 또는 30)에서 재송신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무선 단말(4)은, 셀(10)을 PCell로 하고 셀(20)을 SCell로 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셀(20)(즉, SCell)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은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한다. 또한, 무선 단말(4)은 SCell을 제3 셀(30)로 변경한 후에 유지하고 있는 통신 상황 정보를 기초로 통신을 재개한다. 즉, 무선 단말(4)은, SCell로서의 제2 셀(20)에서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데이터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또는 단순히 서비스라고도 부를 수 있음)의 지속을 제3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무선 네트워크(6)는, 셀(10)을 PCell로 하고 셀(20)을 SCell로 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무선 단말(4)과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6)는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3 셀(30)로 변경한 후에 유지하고 있는 통신 상황 정보를 기초로 통신을 재개한다. 즉, 무선 네트워크(6)는, SCell로서의 제2 셀(20)에서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데이터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또는 단순히 서비스라고도 부를 수 있음)의 지속을 제3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단말(4)이 무선국(1 및 2)의 셀(10 및 20)을 PCell 및 SCell로서 각각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데이터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또는 단순히 서비스라고도 부를 수 있음)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SCell을 무선국(3)의 셀(30)로 변경할 경우에도, 셀(10 및 20)에서 행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의 지속을 계속할 수 있다.
이상에 기술한 설명에 있어서, 무선 단말(4)의 SCell 변경 절차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PCell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데이터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또는 단순히 서비스라고도 부를 수 있음)을 계속해도 되고 중단해도 된다.
이상에 기술한 설명에 있어서, 제3 무선국(3)은 제1 무선국(1)과 같아도 된다. 환언하면, 제1 셀(10) 및 제3 셀(30)은 하나의 무선국(1)에 의해 제공되는 서로 다른 셀 또는 섹터여도 된다.
무선 단말(4) 및 무선 네트워크(6)에 있어서 유지되는 SCell(셀(20))의 통신 상황 정보는, 변경 전의 SCell(셀(20))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던 데이터 통신(데이터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또는 단순히 서비스라고도 부를 수 있음)을 변경 후의 SCell(즉, 셀(30))에 있어서 재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 하면 된다. 따라서, SCell의 통신 상황 정보는, 예를 들면 통상의 핸드오버 시에 소스 셀의 무선국에서 타깃 셀의 무선국으로 보내지는 소스 셀의 통신 상황 정보와 유사한 내용을 갖고 있으면 된다. SCell의 통신 상황 정보는, SCell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의 상황, 또는 서비스의 상황(service status)을 나타내는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SCell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는 서비스마다의 통신 상황이어도 되고 복수의 서비스의 통신 상황이어도 된다. 통신 상황 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하는 정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 유저 데이터(User Plane : U-plane)의 송신 상황 또는 수신 상황
- 서비스 정보
- 베어러 정보
-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
여기에서, 베어러는, 예를 들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 SRB),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 DRB), 또는 네트워크 베어러(S1 bearer, E-RAB, 또는 EPS bearer)이다.
무선 단말(4)은 이하와 같이 해서 SCell 변경 시에 SCell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무선 단말(4)은, 무선 단말(4)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제2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를 해방하고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또는, 무선 단말(4)은, 제2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를 해방하지만, 제2 셀에서의 베어러의 설정 정보와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SCell 베어러를 해방할 경우, 무선 단말(4)은 SCell 베어러에 관한 정보를 흡사 무선 단말(4)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제1 셀(10)의 베어러(PCell 베어러)로서 취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4)은 무선 베어러의 설정을 제외한 베어러 설정 정보를 PCell 베어러와 마찬가지로 취급해도 된다. 즉, SCell 베어러 설정 정보의 유지, 갱신, 리셋, 재설정, 또는 재구성 등의 처리는 Pcell 베어러 설정 정보와 마찬가지로 실행되어도 된다. PCell 베어러(또는 SCell 베어러)는, 예를 들면 PCell(또는 SCell)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 베어러 또는 네트워크 베어러를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네트워크(6)도 무선 단말(4)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SCell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즉, 무선 네트워크(6)는 무선 단말(4)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제2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를 해방하고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또는, 무선 네트워크(6)는, 제2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를 해방하지만, 제2 셀에서의 베어러의 설정 정보와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SCell 베어러를 해방할 경우, 무선 네트워크(6)는, 해방된 SCell 베어러를 제1 셀(10)의 베어러(PCell 베어러)로서 재설정하고, 이에 따라 해방된 SCell 베어러를 PCell 베어러로서 취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6)는, SCell 베어러의 패스(경로)를 PCell로 전환함으로써 SCell 베어러를 PCell 베어러로 변경하고, 당해 SCel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PCell 베어러에 인계해도 된다. 즉, SCell 베어러에 관한 베어러 설정 정보는 PCell 베어러에 인계된다. 이때, 무선 베어러 설정을 인계되는 정보로부터 제외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전술한 데이터 통신을 넓은 의미의 서비스로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서비스란, 무선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보면, 다운링크의 데이터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의 송신, 업링크의 데이터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의 수신,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음성호(音聲呼, voice call)의 송신 및 수신을 포함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서비스는, 무선 단말의 관점에서의 다운링크의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수신, 업링크의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송신,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음성호의 수신 및 송신을 포함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기본적으로 다운링크의 서비스를 예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업링크의 서비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1∼3), 및 무선 단말(4)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무선국(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11)는 무선 단말(4)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복원한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5)의 데이터 전달 장치 혹은 모빌리티 관리 장치), 또는 다른 무선국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4)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유저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5)의 데이터 전달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무선 단말(4)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 중 비액세스층(Non-Access Stratum(NAS))의 제어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5)의 모빌리티 관리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무선국(2 또는 3)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이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무선국(2 또는 3)에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무선 단말(4)에 보낼 유저 데이터를 통신부(14)로부터 취득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 레이트 매칭, 인터리빙 등의 처리를 행해서 트랜스포트 채널을 생성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데이터 계열에 제어 정보를 부가해서 송신 심볼렬을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11)는, 송신 심볼렬에 의거한 반송파 변조, 주파수 변환, 신호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해서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단말(4)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무선 단말(4)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를 경유해서 무선 단말(4)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15)는,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에 있어서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15)는 SCell의 변경 절차를 무선국(2), 무선국(3), 및 무선 단말(4)과 연휴(連携; cooperation)해서 행한다.
일례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제2 무선국(2)으로부터 수신하고, 이 통신 상황 정보를 제3 무선국(3)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통신 제어부(15)는, 코어 네트워크(5) 또는 제2 무선국(2)에 대해서,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를 셀(10)의 베어러(PCell 베어러)로 전환하도록 요구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15)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및 시그널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제2 무선국(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통신부(21), 송신 데이터 처리부(22), 수신 데이터 처리부(23), 및 통신부(2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무선국(1)의 대응하는 요소, 즉 무선 통신부(11),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수신 데이터 처리부(13), 및 통신부(14)와 마찬가지이다.
무선국(2)의 통신 제어부(25)는,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에 있어서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25)는 SCell의 변경 절차를 무선국(1), 무선국(3), 및 무선 단말(4)과 연휴해서 행한다.
일례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제1 무선국(1), 제3 무선국(3), 또는 코어 네트워크(5)에 송신하도록 동작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2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함과 함께, 서비스 중지 후에도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해방(삭제)하지 않고 유지해 두고, SCell이 제3 셀(30)로 변경된 후에 당해 통신 상황 정보를 제1 무선국(1), 제3 무선국(3), 또는 코어 네트워크(5)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통신 제어부(25)는, 코어 네트워크(5) 또는 제1 무선국(1)에 대해서,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 또는 세컨더리 베어러라 부름)를 셀(10)의 베어러(PCell 베어러, 또는 프라이머리 베어러라 부름)로 전환하도록 요구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25)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및 시그널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제3 무선국(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무선 통신부(31), 송신 데이터 처리부(32), 수신 데이터 처리부(33), 및 통신부(3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무선국(1)의 대응하는 요소, 즉 무선 통신부(11),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수신 데이터 처리부(13), 및 통신부(14)와 마찬가지이다.
무선국(3)의 통신 제어부(3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에 있어서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35)는 SCell의 변경 절차를 무선국(1), 무선국(2), 및 무선 단말(4)과 연휴해서 행한다.
일례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3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제1 무선국(1), 제2 무선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5)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35)는, SCell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변경 전의 SCell(즉, 제2 셀(20))에서 제공되고 있던 서비스를 변경 후의 SCell(즉, 제3 셀(30))에 있어서 제공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35)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및 시그널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무선 단말(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41)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고, 유저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의 위하여 복수의 셀(예를 들면,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41)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국(1), 무선국(2), 또는 무선국(3)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42)는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복원해서 데이터 제어부(43)에 보낸다. 데이터 제어부(43)는 수신 데이터를 그 목적에 따라서 이용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44) 및 무선 통신부(41)는, 데이터 제어부(43)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이용해서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고, 업링크 신호를 무선국(1), 무선국(2), 또는 무선국(3)을 향해서 송신한다.
무선 단말(4)의 통신 제어부(45)는,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4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에 있어서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45)는 SCell의 변경 절차를 무선국(1), 무선국(2), 및 무선국(3)과 연휴해서 행한다.
일례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45)는,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45)는, SCell의 변경 절차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해방하지 않고 유지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45)는 변경 전의 SCell(즉, 제2 셀(20))에서 제공되고 있던 서비스를 변경 후의 SCell(즉, 제3 셀(30))에 있어서 재개해도 된다. 통신 제어부(45)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및 시그널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절차예 1 및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차예 1)
절차예 1에서는, 무선 단말(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변경하는 동안, 변경 전의 SCell(즉,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해둠으로써, 변경 전의 SCell(즉, 제2 셀(20))에서 제공되고 있던 통신(서비스)을 변경 후의 SCell(제3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도 6은 절차예 1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101에서는,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의 지시를 무선 네트워크(6)로부터 수신한다. 스텝S102에서는,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셀(20)에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SCell을 셀(30)로 변경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SCell 변경이 완료되었을 경우(스텝S103에서 YES),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유지해 둔 셀(20)에서의 통신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SCell의 통신을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재개되는 통신은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서 행해지고 있던 통신을 포함한다.
도 7은 절차예 1에 있어서의 무선 네트워크(6)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201에서는, 무선 네트워크(6)(예를 들면, 무선국(1)의 통신 제어부(15))는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의 지시를 무선 단말(4)에 송신한다. 스텝S202에서는, 무선 네트워크(6)(예를 들면, 무선국(1)의 통신 제어부(15), 무선국(2)의 통신 제어부(25), 및 무선국(3)의 통신 제어부(35))는 셀(20)에서의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제어 정보를 유지하면서 무선 단말(4)의 SCell을 셀(30)로 변경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SCell 변경이 완료되었을 경우(스텝S203에서 YES), 무선 네트워크(6)(통신 제어부(35))는 유지되고 있던 셀(20)에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무선 단말(4)의 통신을 변경 후의 Sell(즉,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재개되는 통신은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서 행해지고 있던 통신을 포함한다.
도 8은 절차예 1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S301 및 S302에서는,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은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여 통신(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고 있다. 스텝S303에서는, 무선 네트워크(6)는 셀(10)에서 셀(30)로의 SCell 변경의 지시를 무선 단말(4)에 송신한다. 스텝S304에서는, 무선 단말(4)은 셀(20)에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셀(30)로의 SCell 변경을 개시한다. 무선 네트워크(6)도 무선 단말(4)의 SCell 변경의 동안 셀(20)에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한다(스텝S305). 스텝S306에서는,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은 셀(20)에서 셀(30)로의 무선 단말(4)의 SCell 변경을 완료한다. 스텝S307에서는, 무선 네트워크(6) 및 무선 단말(4)은 유지해 둔 셀(20)에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무선 단말(4)의 통신을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재개되는 통신은 변경 전의 SCell(셀(20))에서 행해지고 있던 통신을 포함한다.
전술한 절차예 1에 있어서, 제1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제2 셀(20)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는 것(또는,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SCell 변경을 실행하는 것)을 무선 단말(4)에 명시적으로 통지해도 된다. 이 통지는,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의 PCell 변경의 지시 메시지와 함께 송신되어도 되고, PCell 변경의 지시와는 다른 메시지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셀(20)의 베어러(SCell 베어러)를 해방하는 것, 또는 SCell 베어러를 해방하지만 그 베어러 설정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무선 단말(4)에 통지해도 된다.
(절차예 2)
절차예 2는 전술한 절차예 1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 상당한다. 도 9는 절차예 2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401에서는,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의 지시를 제1 무선국(1)으로부터 제1 셀(10)에 있어서 수신한다. 스텝S402에서는,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SCell(제2 셀(20))에서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서비스B)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한다. 스텝S403에서는,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을 개시한다. SCell 변경이 완료되었을 경우(스텝S404에서 YES),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유지해 둔 셀(20)에서의 통신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변경 전의 SCell에서 행하고 있던 데이터 통신(서비스B)의 지속을 셀(30)에 있어서 행한다. 즉,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은 서비스B를 재개한다.
도 10은 절차예 2에 있어서의 제1 무선국(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501에서는,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무선 단말(4)에 대한 서비스B의 중지의 지시와,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의 지시를 무선국(2)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당해 서비스 중지의 지시와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의 지시는 같은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되고 별개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스텝S502에서는,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를 무선국(2)으로부터 수신한다. 스텝S503에서는,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 지시를 무선 단말(4)에 송신한다. 스텝S504에서는,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SCell 변경 및 제3 셀의 사용 준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SCell 변경 및 제3 셀의 사용 준비가 완료되었을 경우(스텝S504에서 YES), 무선국(1)(통신 제어부(15))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제3 무선국(3)에 송신한다(스텝S505).
도 10의 스텝501에 있어서, 제2 무선국에의 서비스B의 중지의 지시는 제2 셀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 지시와 같은 메시지 또는 다른 메시지를 이용해도 된다.
도 10의 스텝S503에 있어서, 제3 무선국(3)에의 SCell 변경의 지시는 제3 셀(30)의 설정 정보(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제3 셀(30)의 설정 정보는 SCell로서의 제2 셀의 설정 정보와 동일 내용이어도 된다. 제3 셀(30)의 설정 정보는 제1 무선국(1)에 있어서 미리 제3 무선국(3)으로부터 취득되어도 된다.
도 10의 스텝S504에 있어서, SCell의 변경 완료는 SCell 변경의 지시에 대한 긍정 응답(ACK)을 제1 무선국(1)에 있어서 무선 단말(4)로부터 수신한 것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 또는, SCell의 변경 완료는 SCell 변경의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무선국(1)에 있어서 무선 단말(4)로부터 수신한 것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
도 10의 스텝S505에 도시된 제2 셀(20)의 통신 상황 정보의 제3 무선국(3)에의 송신은 SCell 변경의 완료 전(즉, 도 10의 스텝S504 이전)에 행해져도 된다.
제2 셀(20)의 통신 상황 정보의 제3 무선국(3)에의 송신(스텝S505)은 제3 셀(30)을 무선 단말(4)의 SCell로서 사용하는 것의 지시(또는 요구)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그러나, 또는, 제3 셀(30)을 무선 단말(4)의 SCell로서 사용하는 것의 지시는 별개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도 11은 절차예 2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601에서는, 무선국(2)(통신 제어부(25))은 대상 무선 단말(즉, 무선 단말(4))에 대한 서비스 중지의 지시와, 무선 단말(4)에 관한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의 지시를 무선국(1)으로부터 수신한다. 스텝S602에서는, 무선국(2)(통신 제어부(25))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한다. 스텝S603에서는, 무선국(2)(통신 제어부(25))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국(1)에 송신한다.
도 12는 절차예 2에 있어서의 제3 무선국(3)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S701에서는, 무선국(3)(통신 제어부(35))은 대상 무선 단말(즉, 무선 단말(4))을 위하여 제3 셀(30)을 SCell로서 사용할 준비를 제1 무선국(1)과 연휴하여 완료한다. 스텝S702에서는, 무선국(3)(통신 제어부(35))은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국(1)으로부터 수신한다. 스텝S703에서는, 무선국(3)(통신 제어부(35))은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서 무선 단말(4)을 위하여 행해지고 있던 서비스B를 제3 셀(30)에 있어서 재개한다.
도 13은 절차예 2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S801에서는, 무선국(1) 및 무선 단말(4)은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여 통신(서비스A)을 행하고 있다. 스텝S802에서는, 무선국(2) 및 무선 단말(4)은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여 통신(서비스B)을 행하고 있다. 스텝S803에서는, 무선국(1)은 서비스B의 중지 지시 및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 지시를 무선국(2)에 송신한다. 스텝S804에서는, 무선국(2)은 서비스 중지 지시에 응답하여 SCell(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에의 서비스B를 중지한다. 스텝S805에서는, 무선국(2)은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 지시에 응답하여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국(1)에 보고한다.
스텝S806에서는, 무선국(1)은 SCell 변경의 지시를 무선 단말(4)에 송신한다. 스텝S807에서는, 무선 단말(4)은 제2 셀(20)에서의 서비스B를 중지하고, 제2 셀(20)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며,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 절차를 개시한다. 스텝S808에서는, 무선국(1) 및 무선국(3)은 제3 셀(30)을 사용할 준비를 완료한다. 스텝S809에서는, 무선국(1) 및 무선 단말(4)은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의 SCell 변경을 완료한다. 스텝S810에서는,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무선국(3)에 송신한다. 스텝S811에서는, 무선국(3) 및 무선 단말(4)은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서 행하고 있던 통신(서비스B)을 셀(30)에 있어서 행한다.
(절차예 2의 변형)
전술한 절차예 2에서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제2 무선국(2)에서 제3 무선국(3)으로 제1 무선국(1)을 경유해서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또는, 제2 무선국(2)은 제1 무선국(1)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 상황 정보를 제3 무선국(3)에 송신해도 된다. 일례로는,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를 제3 무선국(3)에 송신하도록 제2 무선국(2)에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무선국(2)은 제1 무선국(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당해 통신 상황 정보를 제3 무선국(3)에 송신하면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제3 무선국(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4)의 통신 상황 정보의 송신을 제2 무선국(2)에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무선국(2)은 제3 무선국(3)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당해 통신 상황 정보를 제3 무선국(3)에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절차예 1 및 절차예 2에 있어서, 무선 단말(4)이 행하는 통신(서비스)은 데이터 통신(User plane : U-plane)이어도 되고, 또는 제어 평면 시그널링(Control plane : C-plane)이어도 된다.
전술한 절차예 1 및 절차예 2에 있어서, 무선국간에서의 메시지 또는 정보의 주고받기는 코어 네트워크(5) 경유로 행해져도 된다.
전술한 절차예 1 및 절차예 2에 있어서, SCell 변경 절차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PCell에 있어서의 통신(서비스A)을 계속해도 되고 중단해도 된다.
전술한 절차예 1 및 절차예 2에 있어서, 제3 셀로의 SCell의 변경의 지시는 제2 셀(20)에서 제3 셀(30)로 SCell을 변경하는 지시여도 되고, 이 대신에 제2 셀(20)의 삭제(또는 해방)와 제3 셀(30)의 추가(또는 설정)의 지시여도 된다.
전술한 절차예 2에 있어서, 서비스A와 서비스B는 같은 서비스여도 된다.
전술한 절차예 2에 있어서, PCell(셀(10))에 있어서 무선 단말(4)이 실행하는 서비스는 복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 있어서 무선 단말(4)이 실행하는 서비스는 복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4)은 서비스B 및 C를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 있어서 실행해도 된다. 무선 단말(4)은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 있어서 실행하고 있는 서비스 모두(예를 들면, 서비스B 및 C의 양쪽)를 변경 후의 SCell(즉, 셀(30))에 있어서 실행해도 된다. 혹은, 무선 단말(4)은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 있어서 실행하고 있는 서비스의 일부만(예를 들면, 서비스B만)을 변경 후의 SCell(즉, 셀(30))에 있어서 실행해도 된다.
전술한 절차예 1 및 절차예 2의 적용처로서는, 제1 무선국(1)이 비교적 커버리지가 큰 셀을 운용(관리)하는 무선국이고, 제2 무선국(2) 및 제3 무선국(3)이 커버리지가 작은 셀을 운용(관리)하는 저전력 무선국(Low Power Node : LPN)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PN은, 예를 들면 무선국(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지닌 무선국이나, 무선국(1)에 비해 기능이 적은 새로운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New Node)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셀(20) 및 제3 셀(30)은 종래 셀과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셀(New Cell Type)일 수 있고 종래 캐리어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캐리어(New Carrier Type)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를 3GPP LTE 시스템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단, 무선국(1∼3)은 eNB에 상당하고, 무선 단말(4)은 UE에 상당하고, 코어 네트워크(5)는 EPC(Evolved Packet Core)에 상당한다. 또한, eNB1∼eNB3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 RAN)에 상당한다. 무선국간(즉, eNB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직접 인터페이스인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해도 되고,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인터페이스인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해도 되고, 혹은 새로이 규정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X3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무선 단말(UE)(4)은 서로 다른 무선국(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을 서포트한다. 또, 여기에서의 Inter-eNB CA란 표현은, 실제로 서로 다른 eNB의 셀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표현은, 서로 다른 eNB의 셀의 모두에 있어서 신호(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eNB의 셀에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이 표현은, 서로 다른 eNB의 셀 각각에서 종류가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혹은, 이 표현은, 서로 다른 eNB의 셀 각각을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국(1∼3)을 eNB1∼3, 무선 단말(4)을 UE(4)로 하고, 코어 네트워크(5)를 EPC(5)로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통신 상황 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하는 정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 유저 데이터(User Plane : U-plane)의 송신 상황 또는 수신 상황
- 서비스 정보
- 베어러 정보, 및
-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
유저 데이터의 송신 상황 또는 수신 상황은, 예를 들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SN(Sequence Number)이나 HFN(Hyper Frame Number)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의 내용이어도 된다.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E-RAB ID, Receive Status Of UL PDCP SDUs, UL COUNT Value(PDCP SN + HFN), 및 DL COUNT Value(PDCP SN + HFN)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저 데이터의 송신 상황 또는 수신 상황은 RLC status(예를 들면, RLC STATUS PDU)여도 된다.
서비스 정보는, QoS의 정보 또는 QCI(QoS Class Indicator)의 값을 포함해도 된다.
베어러 정보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 SRB),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 DRB), 또는 네트워크 베어러(S1 bearer, E-RAB, 또는 EPS bearer)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베어러 정보는, 베어러의 ID(예를 들면, drb-Identity, eps-Bearer Identity, E-RAB ID), 단말 식별 정보(예를 들면, eNB UE S1AP ID, MME UE S1AP ID, 또는 TMSI), 또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예를 들면, GUMMEI, UL GTP Tunnel Endpoint, 또는 DL GTP Tunnel Endpoint)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공통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Radio Resource Config Common), 또는 전용 무선 리소스 설정 정보(Radio Resource Config Dedicated)를 포함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절차예 3∼5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차예 3)
절차예 3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2에 대응한다. 즉, UE(4)가 eNB1의 셀(10)(PCell)에서 서비스A를 받고 있으며 또한 eNB2의 셀(20)(SCell)에서 서비스B를 받고 있는 동안에 SCell을 eNB3의 셀(30)로 변경할 때에, UE(4) 및 무선 네트워크(6)(즉, RAN 및 EPC)는 셀(20)에 있어서의 UE(4)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SCell 변경을 실행한다. 또한, UE(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변경 후의 SCell(셀(30))에 있어서 서비스B를 행한다. 즉, UE(4) 및 무선 네트워크(6)는 서비스B를 재개한다.
도 14는 절차예 3의 전체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4에 있어서, 제1 셀(10)은 CELL1로 표시되고, 제2 셀(20)은 CELL2로 표시되고, 제3 셀(30)은 CELL3으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S901에서는, eNB1 및 UE(4)는 제1 셀(10)을 PCell로서 사용하여 통신(서비스A)을 행하고 있다. 스텝S902에서는, eNB2 및 UE(4)는 제2 셀(20)을 SCell로서 사용하여 통신(서비스B)을 행하고 있다. 스텝S903에서는, eNB1은, 무선 단말(4)의 SCell을 제3 셀(30)로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고, 제2 셀(20)에 있어서의 서비스B의 중지 지시 및 통신 상황 정보의 보고 지시를 eNB2에 송신한다(Service Abort Request and Communication Status Request). 스텝S904에서는, eNB2는, 셀(20)에서의 서비스B를 중지하고, 셀(20)에 있어서의 UE(4)의 통신 상황 정보(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를 eNB1에 송신한다. 스텝S905에서는, eNB1은 SCell 변경의 지시(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UE(4)에 송신한다. SCell 변경의 지시(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는, 예를 들면 셀(20)의 설정 해제(de-configuration) 및 셀(30)의 설정(configuration)을 포함한다.
스텝S905∼S908에서는, UE(4)는, 셀(20)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셀(20)의 베어러를 해방하고(Release Bearer in Cell2), 셀(30)에 있어서 베어러를 재설정한다(Re-establish bearer in Cell3). 스텝S909에서는, eNB1은 SCell 준비의 요구(SCell preparation request)를 eNB3에 송신한다. 스텝S910에서는, eNB3은, 무선 단말(4)에 SCell을 제공하기 위하여 셀(30)을 준비하고, SCell 준비의 요구에 대한 응답(SCell preparation request ACK)을 eNB1에 송신한다. 스텝S911에서는, eNB1은 셀(20)에 있어서의 UE(4)의 통신 상황 정보를 eNB3에 송신한다.
스텝S912에서는, eNB1 및 UE(4)는 SCell 변경을 완료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스텝S913에서는, eNB1은 제3 셀(30)을 SCell로서 활성화하도록 UE(4)에 지시한다(Cell3 activation). 스텝S914에서는, eNB3 및 UE(4)는 변경 후의 SCell(즉, 셀(30))에 있어서 서비스B를 재개한다.
도 14의 스텝S905에서는, eNB1에서 UE(4)로의 SCell 변경 지시의 송신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해서, 셀(20)의 설정 해제(de-configuration) 및 셀(30)의 설정(configuration)을 지시를 송신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또는, UE(4)로의 SCell 변경 지시의 송신은 다른 방법으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eNB1은 셀(20)의 삭제(delete)와 셀(30)의 추가(add)의 지시를 UE(4)에 송신해도 된다.
도 14의 스텝S905에 있어서, eNB1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와 함께, 또는 다른 메시지를 이용해서, 셀(20)에 있어서의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는 것(또는, 통신 상황 정보를 유지하면서 SCell을 변경하는 것)을 UE(4)에 명시적으로 통지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eNB1은 셀(30)의 베어러를 해방하는 것을 UE(4)에 통지해도 된다.
도 14의 스텝S907에 있어서의 UE(4)에 의한 SCell Bearer의 해방(Release)은,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 설정(예를 들면, Radio Resource Config Common, Radio Resource Config Dedicated)을 해방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또한, SCell Bearer의 해방(Release)은 셀(20)에 있어서 확립되어 있는 Data Radio Bearer(DRB) 혹은 Signaling Radio Bearer(SRB) 또는 이들 양쪽을 해방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도 14의 스텝S908 및 S914에 있어서의 서비스B의 재개(계속)는, 셀(20)에 확립되어 있던 베어러(예를 들면, radio Bearer)에 대응하는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layer 및 Radio Link Control(RLC) layer를 재확립(re-establishment)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따라서, 스텝S908 및 S914에 있어서의 서비스B의 재개는 베어러 재확립(bearer re-establishment), 또는 베어러 재설정(bearer re-configuration)이라 부를 수도 있다.
eNB1과 eNB2(예를 들면, LPN)의 접속, 또는 eNB1과 eNB3(예를 들면, LPN)의 접속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eNB간의 X2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eNB와 LPN간의 신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X3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이 대신에, eNB1과 eNB2의 메시지의 주고받기, 또는 eNB1과 eNB3의 메시지의 주고받기는 EPC를 통한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행해져도 된다.
(절차예 3의 변형)
전술한 절차예 3에서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UE(4)의 통신 상황 정보를 eNB2에서 eNB3으로 eNB1을 경유해서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또는, eNB2는 eNB1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 상황 정보를 eNB3에 송신해도 된다. 일례로는, eNB1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UE(4)의 통신 상황 정보를 eNB3에 송신하도록 eNB2에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eNB2는 eNB1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당해 통신 상황 정보를 eNB3에 송신하면 된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eNB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UE(4)의 통신 상황 정보의 송신을 eNB2에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eNB2는 eNB3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당해 통신 상황 정보를 eNB3에 송신하면 된다.
(절차예 4)
절차예 4는 절차예 3에 EPC(5)의 처리를 추가한 것이다. 도 15는 절차예 4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5에 있어서, 셀(10, 20, 30)은 CELL1, CELL2, CELL3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15의 스텝S1001∼S1004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S901∼S90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도 15의 스텝S1005에서는, eNB1은 eNB2의 셀(20)을 경유하는 무선 단말(4)의 서비스B의 베어러를 eNB1의 셀(10)을 경유하는 베어러로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전환 요구를 EPC(5)(예를 들면, Mobility Management Entity(MME))에 송신한다(Path switch of bearer(for service B) at eNB2/Cell2 to eNB1/Cell1). 또는, 이 베어러 전환 요구는 eNB2에 의하여 EPC(5)에 대해서 행해져도 된다.
도 15의 스텝S1006∼S1010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S905∼S910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도 15의 스텝S1011에서는, eNB1은 eNB1의 셀(10)을 경유하는 무선 단말(4)의 서비스B의 베어러를 eNB3의 셀(30)을 경유하는 베어러로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전환 요구를 EPC(5)(예를 들면, MME)에 송신한다(Path switch of bearer(for service B) at eNB1/Cell1 to eNB3/Cell3). 도 15의 스텝S1012∼S1015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S911∼S91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절차예 5)
절차예 5도 절차예 3에 EPC(5)의 처리를 추가한 것이다. 다만, 절차예 5는절차예 4와는 다른 동작을 나타낸다. 즉, 절차예 5에서는, 변경 전의 SCell(즉, 셀(20))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 단말(4)의 베어러를 PCell 베어러로 변경하지 않고, 변경 후의 SCell(즉, 셀(30))로 직접적으로 변경한다.
도 16은 절차예 5의 전체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6에 있어서도 셀(10, 20, 30)은 CELL1, CELL2, CELL3으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16의 스텝S1101∼S1104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S901∼S90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도 16의 스텝S1105는 도 14의 스텝S909 및 S910에 상당한다. 즉 스텝S1105에서는, eNB1 및 eNB3은 제3 셀(30)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행한다. 스텝S1106에서는, eNB1은 eNB2의 셀(20)을 경유하는 무선 단말(4)의 서비스B의 베어러를 eNB3의 셀(30)을 경유하는 베어러로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전환 요구를 EPC(5)(예를 들면, Mobility Management Entity(MME))에 송신한다(Path switch of bearer(for service B) at eNB2/Cell2 to eNB3/Cell3). 또는, 이 베어러 전환 요구는 eNB2에 의하여 EPC(5)에 보내져도 된다.
도 16의 스텝S1107∼S1109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S905∼S908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6의 스텝S1110∼S1113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S911∼S91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C/U Split 구성, 즉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을 UE의 이동 관리 등의 제어 평면의 신호(C-Plane 신호)의 송수신에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통신 품질이 양호한 피코 셀을 유저 데이터 등의 데이터 평면의 신호(U-Plane 신호)의 송수신에 이용하는 구성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eNB1의 셀(10)이 C-Plane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되고, eNB2 및 3의 셀(20 및 30)이 U-Plane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세컨더리 셀(SCell)을 무선국(eNB)(2)의 다른(예를 들면, 주파수가 서로 다른 또는 지리적 배치가 서로 다른) 셀로 변경할 때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변경 전 또는 변경 후의 SCell이 복수 존재하는 구성에 적용되어도 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PCell과 SCell이 서로 다른 duplex mode를 채용하는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Cell 및 SCell의 한쪽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채용하고, 다른 쪽이 TDD(Time Division Duplex)를 채용해도 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무선국(1)(통신 제어부(15)), 무선국(2)(통신 제어부(25)), 무선국(3)(통신 제어부(35)), 및 무선 단말(4)(통신 제어부(45))에 의한 통신 제어 방법은, 모두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을 포함하는 반도체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통신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 Processing Unit(MPU), Digital Signal Processor(DSP))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의하여 행해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차트 및 시퀀스도에 도시된 알고리즘을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1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임의의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이용해서 저장되어 컴퓨터에 공급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임의의 타입의 실체가 있는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 CD-R/W, 및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임의의 타입의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하여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유선 통신로(전선 및 광파이버 등),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LTE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들은, LTE 시스템 이외의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 CDMA2000 시스템(1xRTT, HRPD(High Rate Packet Dat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또는 WiMAX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건 발명자에 의해 얻어진 기술 사상의 적용에 관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즉, 당해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 출원은, 2012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12-288212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원용에 의해 여기에 도입한다.
1 : 제1 무선국 2 : 제2 무선국
3 : 제3 무선국 4 : 무선 단말
5 : 코어 네트워크 6 : 무선 네트워크
10 : 제1 셀 20 : 제2 셀
30 : 제3 셀 15 : 통신 제어부
25 : 통신 제어부 35 : 통신 제어부
45 : 통신 제어부

Claims (41)

  1. 제1 셀을 동작하는 제1 무선국,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 및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2 셀 또는 상기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의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상기 제3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이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된 후에,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무선 단말에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SCell을 변경하는 상기 절차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SCell의 변경 전에 상기 제2 셀에서 행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의 지속을 상기 SCell의 변경 후에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의 각각은, PDCP SN, E-RAB ID, Receive Status of UL PDCP SDUs, UL COUNT Value(PDCP SN + HFN), 및 DL COUNT Value(PDCP SN + HF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과의 통신의 중지의 요구를 상기 제2 무선국에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무선국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무선 단말과의 통신을 중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위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국 및 상기 제2 무선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무선국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베어러를 상기 제1 무선국으로 전환하는 요구를 상기 상위 네트워크 장치에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위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상기 베어러를 상기 제1 무선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위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국, 상기 제2 무선국 및 상기 제3 무선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무선국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베어러를 상기 제3 무선국으로 전환하는 요구를 상기 상위 네트워크 장치에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위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상기 베어러를 상기 제3 무선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세컨더리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세컨더리 베어러를 해방하고,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베어러를 재확립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베어러를 해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신규로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무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면서 상기 SCell을 변경하는 지시를 상기 무선 단말에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 셀을 동작하는 제1 무선국으로서,
    상기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셀 또는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상기 제3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제1 무선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기초하는 제1 무선국.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통신의 중지의 요구를 상기 제2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무선국.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면서 상기 SCell을 변경하는 요구를 상기 무선 단말에 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1 무선국.
  16.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2 셀이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제2 무선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상기 제3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해 사용되는 제2 무선국.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SCell로서의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무선 단말에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을,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이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된 후에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3 무선국에 의해 사용되는 제2 무선국.
  19.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3 셀이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2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제3 무선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상기 절차 내에서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국으로 송신되는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기초하는 제3 무선국.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이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된 후에, 상기 SCell로서의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무선 단말에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의 지속을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3 무선국.
  22. 무선 단말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셀 또는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동안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 및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상기 절차 내에서,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국으로, 그리고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각각 송신되는 무선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이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된 후에, 상기 SCell로서의 상기 제2 셀에서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의 지속을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재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세컨더리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세컨더리 베어러를 해방하고,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베어러를 재확립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베어러를 해방하고,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신규로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26.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와 같거나 또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기초하는 무선 단말.
  27.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면서 상기 SCell을 변경하는 지시를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28.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SCell을 변경하는 상기 절차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 및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셀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
  29. 제1 셀을 동작하는 제1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셀 또는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상기 제3 무선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0.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2 셀이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1.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3 셀이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2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이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된 후에, 상기 SCell로서의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무선 단말에 제공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의 지속을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3.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셀 또는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동안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 및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상기 절차 내에서,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국으로, 그리고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각각 송신되는 통신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이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된 후에, 상기 SCell로서의 상기 제2 셀에서 행하고 있던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3 셀에 있어서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5. 제1 셀을 동작하는 제1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로서,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셀 또는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상기 제3 무선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36.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로서,
    상기 제2 무선국은,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2 셀이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37. 제3 셀을 동작하는 제3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로서,
    상기 제3 무선국은,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상기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제3 셀이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제2 셀을 동작하는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내에서, 제2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를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38.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로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제1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셀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로서, 그리고 제2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2 셀 또는 제3 무선국에 의해 동작되는 제3 셀 중 어느 하나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서 설정되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절차 동안 제1 SN(Sequence Number) Status Transfer(상황 전송) 메시지 및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SCell을 동작하는 상기 무선국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변경하는 상기 절차 내에서, 상기 제1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국으로, 그리고 상기 제2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상기 제1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3 무선국으로 각각 송신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157016360A 2012-12-28 2013-12-02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가독 매체 KR101759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8212 2012-12-28
JPJP-P-2012-288212 2012-12-28
PCT/JP2013/007044 WO2014103176A1 (ja) 2012-12-28 2013-12-02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無線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410A Division KR101864189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099A KR20150091099A (ko) 2015-08-07
KR101759531B1 true KR101759531B1 (ko) 2017-07-19

Family

ID=5102030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360A KR101759531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77019410A KR101864189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및 그 방법
KR1020197003629A KR102056114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무선 단말, 무선국의 방법 및 무선 단말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
KR1020187015022A KR101947542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코어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410A KR101864189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및 그 방법
KR1020197003629A KR102056114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무선 단말, 무선국의 방법 및 무선 단말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
KR1020187015022A KR101947542B1 (ko) 2012-12-28 2013-12-02 무선국, 코어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548051B2 (ko)
EP (4) EP2941049B1 (ko)
JP (3) JPWO2014103176A1 (ko)
KR (4) KR101759531B1 (ko)
CN (4) CN104885516B (ko)
SG (3) SG10201701222QA (ko)
WO (1) WO2014103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715B2 (en) * 2013-03-13 2017-10-03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2959743B1 (en) 2013-10-28 2019-1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in heterogeneous network
JP6427935B2 (ja) * 2013-12-04 2018-11-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6366729B2 (ja) * 2014-03-06 2018-08-01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基地局、端末、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US10542452B2 (en) * 2014-06-10 2020-01-21 Apple Inc. Enhancing quality of service for high priority services
EP3018936B1 (en) * 2014-11-07 2018-05-30 Alcatel Lucent Secondary base station bearer change
CN106937355B (zh) * 2015-12-29 2020-01-17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通信控制方法及基站
CN106304358B (zh) * 2016-07-29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辅成员载波更换方法、装置、移动终端及介质
WO2018230027A1 (ja) 2017-06-15 2018-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無線端末並びにこれらの方法
JP2019121834A (ja) * 2017-12-28 201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873985B2 (en) * 2018-02-14 2020-12-22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dual connectivity with base stations
US10694377B2 (en) 2018-09-19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ecurity key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667192B1 (en) * 2018-11-12 2020-05-26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006342B2 (en) 2018-11-12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1866963B (zh) * 2019-04-28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通信系统
EP3998802B1 (en) * 2019-05-29 2024-01-10 Google LLC Sequence number transfer for radio bearers
US11540346B1 (en) * 2020-04-15 2022-12-27 Sprint Spectrum L.P. Use of threshold RAB-modification rate as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 connectivity
EP4298823A1 (en) * 2021-04-01 2024-01-03 Apple Inc. Configurations for layer 1 and layer 2-centric inter-cell mo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153A (ja) * 2011-04-28 2012-12-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523A (ja) * 2001-05-30 2002-12-06 Nec Commun Syst Ltd 移動体電話通信システム
GB0707181D0 (en) * 2007-04-13 2007-05-23 Nec Corp Location routing area update procedure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O2009018318A2 (en) 2007-08-02 2009-0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rocedures
JP4620093B2 (ja) 2007-08-16 2011-0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EP2196059B1 (en) 2007-10-03 2018-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control during relocation of a user equipment into a femto base station
CN101409920B (zh) * 2007-10-10 2012-01-1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更新邻区列表的方法、系统及相关设备
WO2009139679A1 (en) * 2008-05-15 2009-11-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ata forwarding during handover in a self-backhauled cell
CN102227930B (zh) 2008-11-28 2014-12-24 日本电气株式会社 基站装置、基站装置的控制方法和通信系统
CN101772108B (zh) * 2008-12-31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微微蜂窝通信系统越区切换的方法、系统及装置
CN101808373B (zh) * 2009-02-17 2013-01-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切换过程中支持多载波聚合的方法及装置
GB0907213D0 (en) 2009-04-27 2009-06-10 Sharp Kk Relay apparatus and method
CN101938794A (zh) * 2009-07-02 201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自回程传输的切换处理方法及装置
CN101938795A (zh) 2009-07-03 201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系统中的切换方法及系统
CN102083148B (zh) * 2009-11-27 2015-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微基站重配置方法及相应的微基站
JP5573846B2 (ja) * 2009-12-07 2014-08-2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実行方法
US8682320B2 (en) * 2009-12-16 2014-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handling a setup of an S1 application protocol signalling connection
US9326211B2 (en) 2010-06-10 2016-04-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configuration and handover procedures for fuzzy cells
CN102378287B (zh) * 2010-08-11 2014-12-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主小区更换的小区配置方法及装置
US9516507B2 (en) * 2010-08-12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enhancers for low power n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97170B1 (ko) * 2010-10-01 2017-11-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불연속 수신(drx)을 조정하는 방법
US9237489B2 (en) * 2010-11-02 2016-01-1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cell release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61770A2 (en) 2010-11-05 2012-05-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obility for multipoint operations
CN102469557B (zh) * 2010-11-15 2014-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基站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20120067937A (ko) 2010-12-16 2012-06-26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연결 재설정 수행장치 및 방법
CN106411491B (zh) * 2011-03-03 2019-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采用载波汇聚方式传输数据的方法、系统及装置
CN102802220B (zh) * 2011-05-25 2016-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和基站
CN108419273B (zh) * 2011-06-01 2021-06-08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中的增强的本地接入
WO2013009892A1 (en) * 2011-07-11 2013-01-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multiple cellular connections and/or interfaces
EP2795960B1 (en) * 2011-12-21 2020-02-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roviding mobility control for local area networks
CN102833802B (zh) * 2012-08-15 2015-09-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转发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9153A (ja) * 2011-04-28 2012-12-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114B1 (ko) 2019-12-16
US10548051B2 (en) 2020-01-28
SG10202010526YA (en) 2020-11-27
EP2941049A1 (en) 2015-11-04
EP2941049A4 (en) 2016-08-17
KR20150091099A (ko) 2015-08-07
US20150350962A1 (en) 2015-12-03
CN104885516A (zh) 2015-09-02
EP3487220A2 (en) 2019-05-22
SG11201505087SA (en) 2015-08-28
EP3487220A3 (en) 2019-08-07
WO2014103176A1 (ja) 2014-07-03
CN109587748A (zh) 2019-04-05
JP6750694B2 (ja) 2020-09-02
SG10201701222QA (en) 2017-04-27
KR101947542B1 (ko) 2019-02-13
CN109392052A (zh) 2019-02-26
US20220330101A1 (en) 2022-10-13
KR20180063902A (ko) 2018-06-12
KR20170085608A (ko) 2017-07-24
JPWO2014103176A1 (ja) 2017-01-12
JP7081627B2 (ja) 2022-06-07
CN109327246B (zh) 2022-02-08
EP3182758A1 (en) 2017-06-21
EP3487220B1 (en) 2022-08-24
EP2941049B1 (en) 2019-11-13
US20200137640A1 (en) 2020-04-30
KR101864189B1 (ko) 2018-06-04
CN104885516B (zh) 2018-12-07
CN109327246A (zh) 2019-02-12
US11382002B2 (en) 2022-07-05
JP2020178374A (ja) 2020-10-29
KR20190016140A (ko) 2019-02-15
JP2019097184A (ja) 2019-06-20
EP3627896A1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1627B2 (ja) 無線局及び制御方法
JP7243794B2 (ja) 無線端末、第1の無線局、及びこれらの方法、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US1200401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