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221B1 -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221B1
KR101759221B1 KR1020160024498A KR20160024498A KR101759221B1 KR 101759221 B1 KR101759221 B1 KR 101759221B1 KR 1020160024498 A KR1020160024498 A KR 1020160024498A KR 20160024498 A KR20160024498 A KR 20160024498A KR 101759221 B1 KR101759221 B1 KR 10175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ery
fiber
molding
cotton
fa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배
이부덕
이지현
Original Assignee
(학)광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광동학원 filed Critical (학)광동학원
Priority to KR102016002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5Paper for surface-protection and decorative purposes, e.g. pressure lami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섬유를 물에 투입하여 현탁시킨 다음 건져낸 후 소정두께의 닥죽시트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감싸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닥죽시트를 성형틀에 감싸 고정한 다음 면사를 감으며 압형하여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분리한 다음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Thread molding method of mulberry fibers Jewelry}
본 발명은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닥섬유를 물에 투입하여 현탁시킨 다음 건져낸 후 소정두께의 닥죽시트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감싸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닥죽시트를 성형틀에 감싸 고정한 다음 면사를 감으며 압형하여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분리한 다음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주얼리 산업의 큰 틀에서 패션주얼리(fashion jewerly)와 파인주얼리(fine jewelry) 두 부류로 나눠 볼 때 패션주얼리가 파인주얼리보다 산업기반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지속적 성장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4조원이 넘는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패션주얼리 산업이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의 흐름에 맞춰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하며 트렌드 컬러와 소재의 재질감이 뒷받침 되어야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고 새로운 소재를 발굴하는데 있어 닥섬유는 소재 자체가 지니는 특성을 살려 세계시장에서도 제품의 고유성을 확보하고 브랜드의 경쟁력을 상승시켜 국내외 상품 판매 확대에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닥섬유 패션주얼리에 관련된 발명은 상징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한편, 한지의 원료는 닥나무의 인피섬유를 사용함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부드러우며, 독특한 심미성의 한국 전통의 소재로 다른 경쟁국가와 차별화되는 소재가 될 수 있다. 현대 패션소품산업은 일반적인 소재에서 벗어난 새로운 재료에 의한 개성 있는 재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소재 자체가 지니는 아름다움이 디자인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며, 환경 문제로 웰빙을 테마로 한 천연소재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어 환경 친화적인 소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글로벌 추세에 따라 디자인이 세련되지 않으면 명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우므로 그에 따라서 자국의 문화 정체성을 문화적으로 잘 표현한 제품을 필요로 하며 패션주얼리 시장은 가볍고 독특한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고 한국적 정서를 함유한 새로운 소재의 접목과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주얼리 소비자의 특성은 나를 위한 소비로 가격대가 저렴하면서도 가치 있는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으며, 기존에 인식되었던 주얼리의 가치를 소장의 개념에서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패션주얼리 시장으로 옮겨져 그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의 영향으로 저가의 다양한 재료를 조합하여 감성적 디자인을 요구하는 경향이며 고가의 보석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의 감각적인 조합으로 고부가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패션주얼리는 패션의상에 연출할 수 있는 주얼리디자인의 부피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다양한 재료들을 매칭 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소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2329호 (한지공예품의 성형방법)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600호 (한지보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의 인피섬유를 사용함으로 전통소재를 활용한 세계시장에서 제품 차별화를 갖게 되며, 면사의 두께와 감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압흔을 남겨 주얼리 성형물의 표면에 여러 질감 효과를 표현할 수 있으며, 독특한 재질감을 나타내 그로 인한 심미감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성형틀을 제거한 주얼리 형상물 내부는 여백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재료와 조합이 가능하여 2차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아져 패션 주얼리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룰 수 있으며, 닥섬유를 이용한 주얼리로 인하여 전통산업과 섬유패션산업의 융합을 도모하여 시장확대 및 매출 증대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닥섬유를 물에 투입하여 현탁시킨 다음 건져낸 후 소정두께의 닥죽시트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감싸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닥죽시트를 성형틀에 감싸 고정한 다음 면사를 감으며 압형하여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분리한 다음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성형틀은 봉 또는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성형틀이 구인 경우,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사를 방사상 방향으로 감아서 압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얼리 성형물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반지, 머리핀, 버클 또는 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닥섬유를 일반목재펄프와 비교하였을 때, 유연성이 좋으며 강도가 높고 더욱 우수하기 때문에 팔찌 또는 귀걸이 등의 패션 주얼리 가공 측면에 있어 매우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으며, 금속 등과 같은 주얼리 소재와 견주었을 때 비용 측면에서 합리적이며, 비용 대비 가공 및 생산이 원활하여 활용성이 높아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닥섬유 주얼리 실매기 기법은 표면에는 질감을 형성하여 아름다운 문양을 만들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조형성을 부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기존의 금형을 이용한 압형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비용의 절감으로 인한 다품종 소량 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매기 기법은 면사의 두께와 감는 방법에 따라 질감과 표면 굴곡 효과 등을 제한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성형틀의 크기나 모양에 따른 입체적인 표현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형틀과 주얼리 성형물을 분리한 다음 건조하여 완성한 주얼리 형상물에 대하여 새로운 재료와의 배열이나 조립 등의 2차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주얼리 형상물에 다양한 채색이 가능하게 되므로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갖추어 패션 주얼리로서 활용도가 높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과 패션을 따라서 주얼리 형상물에 즉각적인 반영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제품의 차별화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을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를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봉 실매기를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를 촬영한 사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에 따른 구 실매기를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닥섬유의 외관.
도 6은 닥섬유 일광견뢰도의 시험결과.
도 7은 닥섬유 마찰견뢰도의 시험결과.
본 발명은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닥죽시트 제조단계와 수분 제거단계,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하는 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현대 주얼리시장의 경향은 전통적인 보석시장에 비교하여 패션주얼리로 대변하는 비보석 분야의 수요가 빠르게 창출되고 있다. 특히 보석 자체보다는 다양한 재료의 감각적 조합에서 나오는 부가가치 창출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새로운 소재의 활용은 제품 차별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요즘 한류의 열풍 속에 전통문화의 중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특히 한지는 서화용뿐만 아니라 장판, 창호지, 벽지 등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지를 만드는 닥나무의 인피섬유인 닥섬유는 펄프에 비하여 장섬유로 조형성이 좋고 가볍고 견고하며, 채색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물성은 패스트 패션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패션의 트랜드에 적합한 패션주얼리의 개발에 접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닥섬유를 패션주얼리의 소재로 적용하고자 조형물의 구조적 특성과 표면효과를 높이기 위한 성형방법을 발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닥죽시트 제조단계
수조에 물을 준비한 후, 닥섬유를 투입하고 잘 저어가며 고루 풀어주면서 현탁시킨 다음 뜰채로 닥섬유만을 건져냄으로써 소정두께의 닥죽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닥섬유는 닥나무로부터 얻은 소재로서, 더욱 자세하게 닥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의 낙엽활엽 관목으로서 주로 한국, 일본, 동남아 등지에 분포하며 딱나무, 꾸지닥나무, 저목 등으로 불린다. 한약명으로는 구피마(構皮麻)로 불리며, 사포닌(saponin), 유지방(fatty oil), 세로틴 등이 들어 있어 어린 가지와 잎이 타박상에 효과가 있으며, 자양강장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닥나무는 야생종인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인 꾸지닥나무이나, 일반적으로 닥나무라고 한다.
닥나무는 주로 그 수피(나무 껍질)를 사용하여 삼국시대부터 한지, 지폐, 합죽선, 한지장판, 문풍지 등에 사용되었으며, 목질부는 파쇄 후, 퇴비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닥나무에서 채취된 섬유질은 동종계통의 인피섬유 중에서도 섬유질이 비교적 약하고 섬유장이 짧다는 이유 등으로 섬유제품용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았으며, 종이류의 제조에 국한되어, 전통적으로 주로 한지 제조에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닥섬유는 그 재질이 가볍고 부드러우며, 자체적으로 온도와 습도 조절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유연성이 좋으며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며,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의 인피섬유를 사용하여 주얼리를 제조하게 되면 전통소재를 활용한 세계시장에서 제품 차별화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패션 주얼리 아이템(목걸이와 귀걸이, 팔찌, 반지, 머리핀, 버클 또는 단추 등)은 견고성은 물론 가벼운 중량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닥섬유는 가공 측면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금속 주얼리와 비교하였을 때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가공 생산이 훨씬 원활하여 활용성이 높아 경제성 측면에서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2. 수분 제거단계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감싸주며 4~5초간 흐르는 물기를 없애고,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3.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닥죽시트를 성형틀의 둘레에 잘 감싸고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시킨 후, 면사를 감으며 압형하여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한 다음 수분 제거를 위하여 면포를 이용하여 2~3회 굴려주면서 수분을 제거한다.
이때, 성형틀에 고정하여 감았던 면사는 닥죽시트와 함께 굳어버리지 않도록 수분을 제거한 후 바로 풀어준다.
감았던 면사를 바로 풀어주어도 닥죽시트에 압형한 입체감과 형태가 뚜렷하게 보존되기 충분하고, 바로 풀지 않을 경우 면사가 닥죽시트와 함께 굳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흐른 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면사를 바로 풀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틀은 봉 또는 구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구인 경우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사를 방사상 방향으로 감아서 압형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면사를 이용하여 압형하는 단계에서는 표면에 질감을 형성하고 독특한 문양을 만들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조형성을 부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기존의 금형을 이용한 압형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금형을 제조하는 것에 별도의 비용 투자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비용의 절감으로 인한 다품종 소량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매기 방법은 면사의 두께와 감는 방법에 따라 질감과 표면 굴곡 효과 등의 압흔을 더욱 자유롭게 표현해낼 수 있으며, 성형틀의 크기나 모양에 따른 다양한 입체적 표현을 나타내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건조단계
상기 압형하여 성형이 완료된 주얼리 성형물과 성형틀을 분리한 다음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70℃에서 120분~150분간 온풍으로 건조시켜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을 제거한 주얼리 형상물 내부는 여백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재료와 새롭게 조합이 가능하여 2차 가공이 용이하여 활용도가 매우 높아진다.
또한, 닥섬유로 제조된 주얼리 형상물에 다양한 채색이 가능하여 패션 주얼리로 적합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과 패션을 따라서 주얼리 형상물에 즉각적인 반영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제품의 차별화를 추구하여 시장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봉 또는 구를 이용한 성형틀에 따른 실시예를 기술하며, 더욱 상세하게 그 실시예로는 아래와 같다.
<봉을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실시예>
수조에 물 1ℓ를 준비하고 25g의 닥섬유를 투입하여 고루 풀고 잘 저어 현탁시킨 다음 뜰채로 닥섬유를 걸러내 2mm의 시트로 된 닥죽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5초간 감싸 흘러내리는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닥죽시트를 대나무 봉 성형틀 둘레에 감싸 고정시킨 다음 두께 3mm의 면사를 감아주면서 압형하고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한 후, 면포를 2회 말아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압형하고 수분이 제거된 주얼리 성형물에 감아져 있는 면사를 바로 풀어 제거한다.
상기 주얼리 성형물과 대나무 봉 성형틀을 서로 분리한 다음 상기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70℃로 120분간 온풍 건조시킴으로써 봉을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을 완성하였다.
<구를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실시예>
수조에 물 1ℓ를 준비하고 25g의 닥섬유를 투입하여 고루 풀고 잘 저어 현탁시킨 다음 뜰채로 닥섬유를 걸러내 2mm의 시트로 된 닥죽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5초간 감싸 흘러내리는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닥죽시트를 스티로폼 구의 성형틀 둘레에 말아 고정시킨 다음 두께 2mm의 면사를 방사상 방향으로 감아주면서 압형하고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한 후, 면포를 3회 말아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압형하고 수분이 제거된 주얼리 성형물에 감아져 있는 면사를 바로 풀어 제거한다.
상기 주얼리 성형물과 스티로품 구 성형틀을 서로 분리한 다음 상기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70℃로 130분간 온풍 건조시킴으로써 구를 이용한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닥섬유를 패션주얼리의 소재로 적용하고자 닥섬유와 펄프의 함량과 해리정도에 따른 조형성에 관한 소재 개발에 관하여 발명하였으며, 닥섬유 소재 시험분석에 관한 내용을 상술한다.
1) 목적
닥섬유 소재를 패션 주얼리 소재로서 기능성, 내구성 및 디자인을 극대화하고자 그 특성을 시험분석하여 봄으로써, 패션 주얼리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 수 있도록 섬유장, 섬유폭, 리그닌함량, 일광견뢰도, 마찰견뢰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2) 방법
① 닥섬유 섬유장 및 섬유폭 측정
닥섬유를 장섬유용 칼비터로 해리한 다음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e), 실체현미경 및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 섬유장 및 섬유폭을 측정하였다.
② 리그닌 함량 측정
닥섬유의 리그닌 함량은 Tappi Standard T 236 os-76 방법으로 Kappa No. 값을 측정하였다.
③ 일광견뢰도 측정
일광견뢰도는 KS K ISO 105-B02:2010 Xenon arc(수냉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④ 마찰견뢰도 측정
마찰견뢰도는 KS K 0650:2011 크로크미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① 닥섬유 섬유장과 섬유폭 측정
표 1은 닥섬유 섬유장과 섬유폭 측정 결과.
섬유명 섬유장(mm) 섬유폭(μm)

인피섬유
닥나무 0.9 - 23.8(7.4) 14 - 42(23.6)
삼지닥나무 1.2 - 5.1 10 - 20
산닥나무 2.4 - 3.8 10 - 20
침엽수 섬유 1.5 - 6.7(3.5) 20 - 60(33)
활엽수 섬유 0.5 - 2.2(1.5) 10 - 30
② 닥섬유 외관
닥섬유의 외관은 도 5에 나타내었다.
③ 리그닌 함량 측정
표 2는 리그닌 함량 측정 결과.
시험항목 시료번호 단위 시험결과 시험방법


Kappa No.

1

-

검출한계 이하
Tappi Standard T 236 os-76

2 검출한계 이하
3 검출한계 이하
4 검출한계 이하
5 검출한계 이하
④ 일광견뢰도
일광견뢰도 시험결과는 도 6과 같았다.
⑤ 마찰견뢰도
마찰견뢰도 시험결과는 도 7과 같았다.
4) 분석
① 닥나무는 같은 인피섬유 삼지닥나무, 산닥나무보다 섬유가 길고 폭이 좁다.
② 리그닌 함량에 따라 누렇게 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닥섬유에서는 5개의 시트에서 검출한계이하로 나타났다.
③ 5개의 시트를 일광견뢰도 시험결과 2급의 나타내었으며 마찰견뢰도는 4~5급으로 높은 수준으로 시험결과를 확인하였다.
5) 결론
닥섬유는 한지의 원료로서 인피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유가 가는 것은 끝부분이 뾰족하고 세포벽이 두껍고 넓은 것은 벽이 얇고 끝부분이 둥근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패션주얼리를 다양한 기법으로 성형을 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리그닌 함량이 검출한계이하로 나와서 건조 후 황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최저로 낮출 수 있으며 표백하지 않은 국산 닥섬유를 사용하여 일광견뢰도가 2급으로 낮은 급수로 나왔지만 마찰견뢰도가 4~5급으로 높은 수준으로 패션주얼리 소재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나타냈다.

Claims (4)

  1. 닥섬유를 물에 투입하여 현탁시킨 다음 건져낸 후 소정두께의 닥죽시트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닥죽시트를 면포로 감싸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닥죽시트를 성형틀에 감싸 고정한 다음 면사를 감으며 압형하여 소정형상의 주얼리 성형물로 형상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분리한 다음 주얼리 형상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봉 또는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이 구인 경우,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사를 방사상 방향으로 감아서 압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얼리 성형물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반지, 머리핀, 버클 또는 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KR1020160024498A 2016-02-29 2016-02-29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KR10175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98A KR101759221B1 (ko) 2016-02-29 2016-02-29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98A KR101759221B1 (ko) 2016-02-29 2016-02-29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221B1 true KR101759221B1 (ko) 2017-07-18

Family

ID=5943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98A KR101759221B1 (ko) 2016-02-29 2016-02-29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2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400A (ja) 2002-02-06 2003-08-19 Reina Onizuka 装飾要素、その製造方法、それを使用した物品及びキット
KR101082549B1 (ko) 2009-01-20 2011-11-10 유이화 한지 전등갓 제조방법
KR101347796B1 (ko) 2012-10-31 2014-01-07 (주)샤뽀 갓형 모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400A (ja) 2002-02-06 2003-08-19 Reina Onizuka 装飾要素、その製造方法、それを使用した物品及びキット
KR101082549B1 (ko) 2009-01-20 2011-11-10 유이화 한지 전등갓 제조방법
KR101347796B1 (ko) 2012-10-31 2014-01-07 (주)샤뽀 갓형 모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0900A (zh) 炒青类绿茶的精制加工工艺
CN106196890B (zh) 一种花瓣平面干燥保色方法
CN101357563B (zh) 一种利用麦秆制作立体工艺画的方法
Mocenco et al. Romanian folklore motifs in fashion design
KR101759221B1 (ko) 닥섬유 주얼리의 실매기 성형방법
CN101302721A (zh) 一种裘皮面料花色的加工方法
KR101822468B1 (ko) 닥섬유 주얼리의 싸감기 성형방법
KR101822467B1 (ko) 닥섬유 주얼리의 퀼링 성형방법
CN105648676A (zh) 一种湘南布贴绣的制作方法
KR101287316B1 (ko) 한지 공예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44468B2 (ja) 繭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繭加工品
CN211843906U (zh) 一种富贵灯笼式的贝壳马赛克网缝拼结构
Gümüşer Contemporary usage of Turkish traditional motifs in product designs
CN114875720A (zh) 一种烟草型内衬基纸及其制备方法、应用
CN111284259A (zh) 一种富贵灯笼式的贝壳马赛克网缝拼结构及其制作工艺
JP2020103749A (ja) 人造真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49676B1 (ko) 투톤 질감의 엠보싱을 갖는 소파용 가죽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소파용 가죽
Thu A Study of Traditional Russian Women’s Costumes
Lee et al. A Study of Wedding Dress Material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Focusing on Making Minimal Wedding Dresses
KR200287153Y1 (ko) 개량된 조화연등꽃잎
JP5654633B2 (ja) 装飾品、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用いる型紙
Yanshina et al. NEW SCIENTIFIC RESEARCH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ORENBURG DOWN-KNITTING PRODUCTSDESIGN
Xuan Embroidery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Fashion Design
CN107757222A (zh) 一种化妆工艺品盒镶嵌彩贝的制作方法
Green Gifts from the Dawn Land 19th Century Wabanaki souvenir bead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