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069B1 - harrow device for highbed system - Google Patents
harrow device for highbed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9069B1 KR101759069B1 KR1020150129826A KR20150129826A KR101759069B1 KR 101759069 B1 KR101759069 B1 KR 101759069B1 KR 1020150129826 A KR1020150129826 A KR 1020150129826A KR 20150129826 A KR20150129826 A KR 20150129826A KR 101759069 B1 KR101759069 B1 KR 101759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in body
- crushing
- bed
- dr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1000220223 Frag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53567 Coagulopath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2 clot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6 roo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7/00—Plough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e.g. means for putting manure under the soil, clod-crushers ; Means for breaking the subsoil
- A01B17/004—Clod-crushers
- A01B17/006—Clod-crushers with driven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된 본체(100)와; 본체(100) 상부에 설치하는 엔진부(200)와; 엔진부(200)의 동력에 의해 고설재배용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쇄토부(300)와; 클러치수단(402)을 통해 엔진부(200)에서 쇄토부(300)로의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구동부(400)와; 본체(100) 양측에 설치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베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구동되는 레일바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쇄토작업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낮은 노동 강도를 가짐으로써 여성이나 고령의 작업자도 쇄토작업을 쉽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om for cultivating a high yielding material, comprising: a main body 100 having front and rear openings; An engine unit 200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100; A crushing unit 300 for crushing the soil inside the bed for cultivation by the power of the engine unit 200; A driving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engine unit 200 to the loam unit 300 through the clutch unit 402; And a rail wheel unit 5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driven by the driving unit 400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frame of the b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rushing operation, Women and older workers also have the effect of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ing the crushing work.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설재배용 베드의 흙을 쇄토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 내부의 흙을 엔진 동력을 이용해 쇄토함으로써 쇄토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y loom for cultivating a soil of a high-yielding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ay loom for clay loom for a high-yielding clay loom,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crushing work by crushing soil inside the bed with engine power ≪ / RTI >
일반적으로 딸기, 잎채소, 화훼, 뿌리 채소류 등은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된 밭이랑을 따라 모종을 심어 생육시키는 토경 재배를 통해서 작물을 성장시키고 수확하게 된다.In general, strawberries, leafy vegetables, flowers, and root vegetables grow and harvest their crops through soil cultivation, which grows seedlings along the furrow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ntation grounds.
그런데 딸기, 잎채소, 화훼, 뿌리 채소류 등은 키가 작은 작물이기 때문에 토경 재배를 통해서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육묘에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작업자가 엉거주춤하거나 웅크린 자세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because strawberries, leafy vegetables, flowers, and root vegetables are small crops, when a crop is cultivated through soil cultivation, a series of operations from nursery to harvest is carried out by the worker in a tangled or crooked posture, The physical burden had considerable problems.
특히 딸기와 같은 작물의 경우에는 파종, 잎 따기, 열매 정리 등의 재배관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확작업을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불편한 자세로 반복적인 수확 작업과 선별, 포장 등을 병행해야 함으로써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딸기 생산량 증가에 큰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rops such as strawberries, cultivation management such as sowing, leaf picking, and fruit arrangement is required, and the harvesting operation must be repeatedly carried out for a certain period. In such an uncomfortable posture, And so on, it requires a considerable labor force, which is a great obstacle to the increase of strawberry produ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바로 고설재배법이다.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the highland cultivation method.
고설재배법이란 농지에 성인의 허리 높이로 재배시설물(이하, '베드'라고 함)을 설치한 후, 상기 베드에 재배용 흙이나,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을 채워 작물을 재배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베드에 흙을 채워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고설재배'라 하고, 베드에 배양액을 채워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고설수경재배'라 한다. The method of high-yield cultivation is to cultivate crops by placing cultivation facil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ds") at the waist height of an adult on agricultural land and then filling the beds with culture soil, water and a nutrient solution made of water-soluble nutrients, It is said that the cultivation of the soil by filling the soil with the bed is called "high cultivation" and the cultivation of the crop by filling the culture with the bed is called "high cultivation".
고설재배법은 베드의 높이를 사람의 가슴 높이 정도인 80~100cm로 높여서 작물 재배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작업자가 서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드를 2~3단의 다층 구조로 형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도 있으며, 재배 과정에서 작물의 뿌리의 상태와 성장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채소나 작물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섭취하는 딸기, 잎채소, 뿌리 채소류의 재배에 매우 유용하다.Since the height of the bed is raised to 80 ~ 100cm, which is the height of the person's chest, the worker can stand up all the work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crop. Therefore, the physical burden of the worker can be greatly reduced, Layered structur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pac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directly observe the condition and growth state of the roots of the crop during the cultiv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duce uncontaminated clean vegetables and crops, It is very useful for the cultivation of leafy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특히,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서 최근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딸기의 경우에는 가장 심각한 토양전염성 병해인 위황병의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배양액의 순환을 통해서 비료주기와 물주기를 자동화할 수 있어서 일손을 덜 수 있기 때문에 재배면적의 확대를 통한 대규모 상업 재배가 가능케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rawberries, which have recently increased in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damage of the most serious soil infectious disease can be reduced and the fertilizer cycle and the water cycle can be automat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culture liquid, It is possible to grow large commercial crops by expanding the cultivation area.
그러나 고설수경재배의 경우에, 경량성과 단열성 및 시공성을 모두 겸비한 스티로폼 플레이트나 플라스틱 컨테이너 등을 이용해 베드를 구성해야 하고, 주로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재배가 이루어지는 특성상, 난방시설뿐만 아니라, 배양액의 생산, 공급, 순환을 위한 시설 등도 구비해야 함으로써 초기 시설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영세 농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활용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high hydroponic cultiv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bed using a styrofoam plate or a plastic container having both light weight, heat insulation and workability, and mainly grow in a vinyl house. Therefore, , And facilities for circulation. Therefore, it is not easy to utilize it in Korea where the initial facility cost is high and the ratio of small farm households is high.
따라서 딸기나 잎채소, 뿌리 채소류 등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금속 파이프를 이용해 기본틀을 제작한 후, 방수성이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E타포린을 베드의 재료로 사용하고, 내부에는 배수성이 양호한 사질토를 채워 고설재배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farmers who grow strawberries, leafy vegetables, root vegetables, etc., use PE pipe tarpaulin, which is waterproof, durable, low price and easily available in the market, as a material for the bed , And the inside is filled with sandy soil with good drainage capacity, so that they are cultivating high quality.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설재배용 베드 내부에 토양을 채워 작물을 재배하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토양이 단단해지면서 통기성과 배수성이 저하되어, 작물의 뿌리 성장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배수성 저하에 따른 침수현상으로 인해 뿌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oil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bed for cultivating high-quality rice as described above, the soil becomes harder as time passes, and the air permeability and drainage are lowered, thereby hindering the root growth of the crop.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ts are damaged due to the development.
따라서 작물의 수확 후, 파종 또는 재식전, 작물의 재배기간 중에서 필요한 경우에 베드 내부의 흙을 쇄토하여 흙을 부드럽게 만들어줄 필요가 있는데, 프레임에 베드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흙을 채워 작물을 재배하는 고설재배의 특성상 농가에서 사용하는 경운기나 쇄토기와 같이 큰 중량을 가진 장비 등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주로 작업자가 호미나 갈퀴, 모종삽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베드 내부의 흙을 쇄토함으로써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often the soil by crushing the soil inside the bed when the crop is to be harvested, sown or before the planting, or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of the crop. The bed is installed in the frame, It is impossible to use equipment such as tillage machines or crushing machines that are used in farmhouses. Therefore, in the past, a worker has to manually hand soil the inside of the bed using tools such as hommina, rake, So that a considerable labor force is requir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설재배시 베드 내부의 흙을 수작업으로 쇄토하는데 따른 과중한 노동력 투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는데,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re has been developed a technology related to a high-yield cultivator for solving the problem of heavy labor input due to the manual shaking of the soil inside the bed during the high-cultivation, Respectively.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1553호에는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배베드에 충진된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예초기의 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류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가 게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01553 discloses a plant having a body having a conveying wheel for traveling along a cultivation bed for cultivating a high quality as shown in FIGS. 6 to 7; And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drive unit of the lawn mower to drive the screw unit to drive the screw unit to drive the screw unit, And a screw unit for feeding the cultivated land to the cropping unit.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는 본체와 동력부를 별도 구성하고, 동력부로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본체의 구조가 간소하여 경량화된 구조를 통해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흙을 경운하는 스크류유닛을 구비한 본체 상부에 스크류유닛 구동부와 연결되는 축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축연결부에 예초기의 구동기를 연결하여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해 본체의 스크류유닛을 구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예초기를 어깨에 멘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예초기의 구동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베드 상부에 안착된 본체를 밀면서 경운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경운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무거운 예초기를 메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여성이나, 고령의 작업자가 경운 작업을 수행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illage apparatus for cultivating high-grade fruits and vegetables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in body and the power unit are separately constructed and the power of the lawn mower is used as the power unit,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is simple, A shaf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a screw unit driv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main body having a screw unit for tilling soil and a driving unit of a lawn mower is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to drive a screw unit of the main body using the power of lawn mower The operator must perform the tilling operation by holding the driver of the lawn mowing machine with one hand while pushing the drive machine of the lawn mowing machine with the other hand while pushing the main body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d with the lawn mowing machine on the shoulder state, Women or older workers should do tillage because they have to There is a lot of trouble will follow.
또한, 본체 일측에 형성된 축연결부와 예초기의 구동기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축연결부와 구동기의 연결 구조가 견고하지 않기 때문에 경운 과정에서 예초기의 구동기가 축연결부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경운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운 작업 중에는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베드 내부의 흙을 경운하는 도중에서 흙에 제거해야 할 이물질 등이 있는 경우에는 경운 작업을 멈춘 후 이물질을 제거해야 함으로써 작업 능률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haft connecting part and the driving machine is not robus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shaft connect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driving machine of the lawn mowing machine and transmitting the power, the driving machine of the lawn mowing machine is often separated from the shaft connecting part during the tilling process. In addition to not being stable, it is difficult to use the hands freely during the tillage operation. Therefore, if there is foreign matter to be removed from the soil during the tillage of the soil inside the bed, stop the tillage operation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lowered.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결점인 쇄토작업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낮은 노동 강도를 가짐으로써 여성이나 고령의 작업자도 쇄토작업을 쉽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high-performance cultivator for improv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crushing work, which is a drawback of the prior art,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low labor intensity so that women and aged workers can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 crushing work .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전후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설치하는 엔진부(200)와; 상기 엔진부(200)의 동력에 의해 고설재배용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쇄토부(300)와; 클러치수단(402)을 통해 상기 엔진부(200)에서 쇄토부(300)로의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구동부(400)와; 상기 본체(100)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해 베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구동되는 레일바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쇄토부(300)에 의해 파쇄되어 비산된 흙을 한꺼번에 모아주면서 본체(100)의 진행에 따라서 두둑 형태로 성형할 수 있도록 아치형의 단면을 가지는 두둑성형판(101)을 탈부착 가능케 구비하되,
상기 두둑성형판(101)은 작업자의 힘만으로 곡률의 R값을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와 강성을 가지는 금속제로 된 고정판(101a) 하단부에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성형판(101b)을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레일바퀴부(500)의 전륜(501)에 구동축(503)을 구비하되, 구동축(503)의 가운데에는 구동축(503)의 길이 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한 파쇄날을 다수 구비하여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보조쇄토날(5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안내관(102)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관(102)에 핸들(103)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102) 상부에는 상기 핸들(10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나사(10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쇄토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양 측벽 간에 회전축(301)을 설치하여,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01)의 가운데 부분에 방사형으로 날개편(302a)을 형성한 주쇄토날(302)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엔진부(200)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201)와, 상기 쇄토부(300)의 회전축(301)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풀리(303) 간에 구동벨트(401)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본체(100)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벨트(401)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풀리(201)에서 종동풀리(303)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수단(4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바퀴부(50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전륜(501)과, 본체(100)의 양측 후방에 설치되는 후륜(502)으로 구성하고, 본체(10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전륜(501)의 구동축(503)을 하나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축(503)의 일단부와 상기 구동부(400)에는 각각 체인스프로킷(504)을 설치하고, 각 체인스프로킷(504)을 롤러체인(505)으로 연결하여 전륜(501)이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축(503)의 가운데에는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보조쇄토날(5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쇄토작업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낮은 노동 강도를 가짐으로써 여성이나 고령의 작업자도 쇄토작업을 쉽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om for cultivating a high yielding loom, comprising: a
The
The stepped
A
The
The crushing
The
The rail wheel unit 500 includes a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bj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rushing work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crushing work by lowering the labor intensity of the crushing work so that women and aged workers can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 crushing work. can do.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는 고설재배용 베드의 프레임을 타고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베드 내부의 흙을 자동으로 쇄토함으로써 쇄토작업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작업자는 본체가 베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잡은 상태에서 본체의 이동 속도만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매우 낮아 여성이나 고령의 작업자도 베드의 쇄토작업을 쉽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0030] The above-described floatation apparatus for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oves on the frame of the high-cultivation bed and automatically shakes the soil inside the b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rushing operation. The labor intensity is very low because only the moving speed of the main body can be adjusted in a state of being caught so that a female or an aged worker can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 the work of crushing the bed.
또한,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는 쇄토작업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쇄토 과정에서 베드 내부의 흙이 베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쇄토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am soil for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speed of crushing, the working time is greatly shortened, and the soil inside the be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ed during crushing proces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부분 파절 사용상태 사시도.
도 6, 도 7은 종래 기술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를 나타낸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looper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false-weaning looper apparatus. Fig.
3 is a side view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lo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lay loom for high-growin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fracture us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prior art clearing apparatus for cultivation.
이하,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는 전후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설치하는 엔진부(200)와, 상기 엔진부(200)의 동력에 의해 고설재배용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쇄토부(300)와, 클러치수단(402)을 통해 상기 엔진부(200)에서 쇄토부(300)로의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구동부(400)와, 상기 본체(100)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의해 베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구동되는 레일바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mpact sewing machine for cultivating a bean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본체(100)는 상판 좌우에 양 측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전후방과 하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에 상기 쇄토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또한, 본체(10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쇄토부(300)에 의해 파쇄되어 비산된 흙을 한꺼번에 모아주면서 본체(100)의 진행에 따라서 두둑 형태로 성형할 수 있도록 아치형의 단면을 가지는 두둑성형판(101)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한다.In the rear end of the
상기 두둑성형판(101)은 작업자의 힘 만으로 곡률의 R값을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와 강성을 가지는 금속제로 된 고정판(101a) 하단부에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성형판(101b)을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베드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두둑성형판(101)의 단면 곡률을 조절하여 두둑의 성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tepped
또한, 상기 쇄토부(300)에 의해 흙이 파쇄되면서 후방으로 비산되는 과정에서 두둑성형판(101)과의 충돌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성형판에 의해 두둑의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비산되는 흙과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In addition, when the soil is crushed and scattered rearward by the crushed
상기 본체(100) 상부에는 전후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내관(102)을 설치하여, 평면상 사각틀 형상으로 된 핸들(103)의 전후부를 상기 안내관(102)에 삽입 설치하여 안내관(102)을 따라서 좌우로 위치 조절이 가능케 하고, 상기 안내관(102) 상부에는 안내관(102)에 삽입 설치된 핸들(103)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04)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00)의 좌우 양측 중 작업자가 원하는 일측 방향으로 핸들(103)을 길게 인출시킨 후 고정나사(104)로 고정함으로써 핸들(103)을 이용한 본체(100)의 이동이나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A
상기 엔진부(200)는 본체(100) 상부에 설치할 때, 엔진 하부의 고정부와 본체(100)의 상면 간에는 방진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엔진부(20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본체(10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When the
상기 엔진부(200)는 중량이 가볍고 연로 소모량이 적은 소형 엔진을 사용하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용되는 소형 엔진은 출력이 5 내지 10마력 내외인 2 내지 4행정의 엔진을 말하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복 재충전이 가능한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조합하여 구성한 전기엔진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small engin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mall engine having a small weight and a low consumption of electricity. The small engin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2 to 4 stroke engine having an output of about 5 to 10 horsepow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 electric engine constructed by combining an electric motor and an electric motor capable of repeatedly recharging can also be used.
상기 쇄토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양 측벽 간에 회전축(301)을 설치하여,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01)의 가운데 부분에 방사형으로 날개편(302a)을 형성한 주쇄토날(302)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함으로써 주쇄토날(302)의 날개편(302a)이 개방된 본체(100)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주쇄토날(302)이 회전할 때, 베드 내부의 흙과 재배 완료 후 남은 작물의 뿌리 등 각종 잔여물을 파쇄한다. The crushing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엔진부(200)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201)와, 상기 주쇄토날(302) 회전축(301)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풀리(303) 간에 구동벨트(401)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본체(100)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벨트(401)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풀리(201)에서 종동풀리(303)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수단(402)을 구비한다.The
상기 클러치수단(402)은 상기 구동벨트(401)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와, 상기 텐션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레버와, 상기 텐션롤러와 위치조절레버 간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위치조절레버를 본체(100)의 후방으로 당기면, 텐션롤러가 구동풀리(201)와 종동풀리(303) 간에 연결된 구동벨트(401)의 장력을 증가시켜 구동풀리(201)에서 종동풀리(303)로 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위치조절레버를 본체(100)의 전방으로 밀면, 텐션롤러가 이동하여 구동풀리(201)와 종동풀리(303) 간에 연결된 구동벨트(401)의 장력이 감소하여 구동풀리(201)에서 종동풀리(303)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형태로 동력 전달이 제어된다. The clutch means 402 includes a tension rolle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driving
상기 구동부(400)의 외측면에는 구동풀리(201)와 종동풀리(303) 및 구동벨트(401)와 텐션롤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종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보호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레일바퀴부(50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륜(501)과, 본체(100)의 양측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륜(502)으로 구성함으로써 베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서 지지프레임을 따라서 구동된다. The rail wheel unit 500 includes a pair of
상기 레일바퀴부(500)는 지지프레임을 따라서 구동되는 과정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륜(501)과 후륜(502)은 내측면과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플랜지부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상기 전륜(501) 간의 폭과, 후륜(502) 간의 폭은 레일바퀴부(500)가 구동되는 지지프레임 간의 간격에 따라서 조절 가능함은 당연하다. The width of the
상기 전륜(501)의 구동축(503)은 하나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축(503)의 일단부와 상기 구동부(400)에는 각각 체인스프로킷(504)을 설치하고, 각 체인스프로킷(504)을 롤러체인(505)으로 연결함으로써 전륜(501)이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된다.A
또한, 상기 구동축(503)의 가운데 부분에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면서, 본체(100)가 베드를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방된 본체(100)의 전망을 통해서 유입되는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보조쇄토날(506)을 구비함으로써 본체(100)가 베드의 지지프레임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조쇄토날(506)이 먼저 베드의 흙을 1차 파쇄하고, 이어서 쇄토부(300)의 주쇄토날(302)이 베드의 흙을 다시 2차 파쇄함으로써 파쇄작업의 효율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The inner portion of the
상기 보조쇄토날(506)은 상기 쇄토부(300)의 주쇄토날(302)과 같이 방사형으로 날개편(302a)을 구비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주쇄토날(302)에 형성된 날개편(302a)의 회전 반경에 따른 주쇄토날(302)과의 회전 간섭을 고려할 때, 보조쇄토날(506)은 베드 내부의 흙 표면을 고르게 긁어 올려서 파쇄할 수 있도록 구동축(503)의 길이 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한 파쇄날을 다수 구비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설재배용 쇄토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수확이 완료된 고설재배용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일바퀴부(500)가 베드의 지지프레임 상부에 밀착되도록 본체(100)를 지지프레임 상부에 안착시킨다.In order to crush the soil inside the bed for harvesting the crop, the
그리하여 지지프레임 상부에 본체(100)의 안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엔진부(200)를 구동시킨 후, 작업자는 지지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핸들(103)을 잡고, 구동부(400)의 클러치수단(402)을 제어하여 엔진부(200)의 동력이 쇄토부(300)와 레일바퀴부(500)로 전달되게 한다.The operator grips the
따라서 엔진부(200)의 동력을 전달받은 쇄토부(300)의 주파쇄날이 회전함과 동시에 레일바퀴부(500)의 전륜(501)이 회전하면서 전륜(501)의 구동축(503)에 설치된 보조파쇄날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전륜(501)이 구동함으로써 본 발명의 고설재배용 쇄토장치는 베드의 지지프레임을 따라서 전진함과 동시에 엔진부(2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파쇄날과 보조파쇄날이 베드 내부의 흙을 부드럽게 파쇄함과 동시에 본체(100) 후방으로 비산시키고, 그 비산된 흙은 본체(100) 후방에 설치된 두둑성형판(101)에 의해 두둑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작물 재배 후 단단하게 굳어지고, 작물의 잔뿌리 등 각종 잔여물 등으로 인해 배수성과 통기성이 현저히 저하된 베드 내부의 흙을 파종이나 재식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는 쇄토작업을 손쉽게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driving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파쇄장치 100: 본체
101: 두둑성형판 102: 안내관
103: 핸들 104: 고정나사
200: 엔진부 201: 구동풀리
300: 쇄토부 301: 회전축
302: 주쇄토날 302a: 날개편
303: 종동풀리 400: 구동부
401: 구동벨트 402: 클러치수단
500: 레일바퀴부 501: 전륜
502: 후륜 503: 구동축
504: 체인스프로킷 505: 롤러체인
506: 보조쇄토날10: shredding apparatus 100:
101: billet plate 102: guide tube
103: handle 104: setscrew
200: engine unit 201: drive pulley
300: crushed portion 301:
302:
303: driven pulley 400:
401: drive belt 402: clutch means
500: rail wheel part 501: front wheel
502: rear wheel 503: drive shaft
504: chain sprocket 505: roller chain
506:
Claims (5)
상기 본체(10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쇄토부(300)에 의해 파쇄되어 비산된 흙을 한꺼번에 모아주면서 본체(100)의 진행에 따라서 두둑 형태로 성형할 수 있도록 아치형의 단면을 가지는 두둑성형판(101)을 탈부착 가능케 구비하되,
상기 두둑성형판(101)은 작업자의 힘만으로 곡률의 R값을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와 강성을 가지는 금속제로 된 고정판(101a) 하단부에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성형판(101b)을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레일바퀴부(500)의 전륜(501)에 구동축(503)을 구비하되, 구동축(503)의 가운데에는 구동축(503)의 길이 방향으로 톱니를 형성한 파쇄날을 다수 구비하여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보조쇄토날(5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A main body 100 having front and rear openings; An engine unit 200 installed above the main body 100; A crushing unit 300 for crushing the soil inside the bed for cultivation by the power of the engine unit 200; A driving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engine unit 200 to the loam unit 300 through the clutch unit 402; And a rail wheel unit 5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driven by the driving unit 400 above the support frame of the be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arcuate cross-section having an arcuate cross-section so as to be formed into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main body 100 while collecting the scattered soil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0, 101) is detachably attached,
The stepped molding plate 101 is formed by combining a molding plate 101b made of a transparent soft synthetic resin at a lower end portion of a fixing plate 101a made of metal having a thickness and rigidity enough to adjust the R value of the curvature only by the force of an operator Respectively,
A driving shaft 503 is provided on a front wheel 501 of the rail wheel portion 500.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iving shaft 503 to form tee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503, And an auxiliary clay blade (506) for crushing the clay (506).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안내관(102)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관(102)에 핸들(103)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102) 상부에는 상기 핸들(10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나사(10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guide pipe 102 in the upper direction and a handle 103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102. The handle 103 is installed on the guide pipe 102, And a fixing screw (104)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screw (104).
상기 쇄토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양 측벽 간에 회전축(301)을 설치하여,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301)의 가운데 부분에 방사형으로 날개편(302a)을 형성한 주쇄토날(302)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rushing unit 30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301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100 and forms a blade 302a radially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301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a plurality of the main composting blades (30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엔진부(200)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201)와, 상기 쇄토부(300)의 회전축(301)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풀리(303) 간에 구동벨트(401)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본체(100)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벨트(401)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풀리(201)에서 종동풀리(303)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수단(4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drive unit 400 includes a drive pulley 201 installed at the output shaft of the engine unit 200 and a driven pulley 303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ry shaft 301 of the sawtooth unit 300, ),
And a clutch means (402) for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e pulley (201) to the driven pulley (303)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drive belt (401) Highlander harvesters for cultivation.
상기 레일바퀴부(50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전륜(501)과, 본체(100)의 양측 후방에 설치되는 후륜(502)으로 구성하고, 본체(10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전륜(501)의 구동축(503)을 하나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축(503)의 일단부와 상기 구동부(400)에는 각각 체인스프로킷(504)을 설치하고, 각 체인스프로킷(504)을 롤러체인(505)으로 연결하여 전륜(501)이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축(503)의 가운데에는 베드 내부의 흙을 파쇄하는 보조쇄토날(5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rail wheel unit 500 includes a front wheel 50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a rear wheel 50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 driving shaft 503 of the front wheel 501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is constituted by one,
A chain sprocket 504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drive shaft 503 and the drive unit 400 and each chain sprocket 504 is connected to a roller chain 505 so that the front wheel 501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400 Lt; / RTI >
And a subsidiary squeeze blade (506) for crushing the soil inside the be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riving shaft (503)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826A KR101759069B1 (en) | 2015-09-14 | 2015-09-14 | harrow device for highbed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826A KR101759069B1 (en) | 2015-09-14 | 2015-09-14 | harrow device for highbed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537A KR20170032537A (en) | 2017-03-23 |
KR101759069B1 true KR101759069B1 (en) | 2017-07-19 |
Family
ID=5849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826A Active KR101759069B1 (en) | 2015-09-14 | 2015-09-14 | harrow device for highbed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906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135B1 (en) | 2020-08-28 | 2021-02-25 | 박수용 | Clod Breaking Apparatus For High-Position Cultiv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8061B1 (en) | 2017-12-19 | 2018-10-16 | 강동훈 | Ridging and Crushing Apparatus for High-position Cultivating Bed of Strawberry |
KR102105671B1 (en) * | 2018-09-21 | 2020-04-28 |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 Complex rotary apparatus capable of digging field and cutting vine |
KR102484290B1 (en) * | 2020-11-20 | 2023-01-04 | 주식회사 동인 | High position cultivating electric control machine for strawberr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5601A (en) * | 2001-10-22 | 2003-05-07 | Bunmei Noki Kk | Portable small-sized till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333B1 (en) | 2010-01-26 | 2012-11-05 | 강진군 | Strawberry high-installed cultivation apparatus |
KR20130039842A (en) | 2011-10-13 | 2013-04-23 | 백대현 | Bed for high-position cultiv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rof |
KR20140001553A (en) | 2012-06-27 | 2014-01-07 | (주)에이원엔지니어링 | Portable tillage apparatus for plant growth of fruit vegetables |
-
2015
- 2015-09-14 KR KR1020150129826A patent/KR1017590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5601A (en) * | 2001-10-22 | 2003-05-07 | Bunmei Noki Kk | Portable small-sized till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135B1 (en) | 2020-08-28 | 2021-02-25 | 박수용 | Clod Breaking Apparatus For High-Position Cultiv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2537A (en) | 2017-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9069B1 (en) | harrow device for highbed system | |
CN111226579A (en) | Be used for agricultural soil to dig and high-efficient weeding robot | |
CN110291857A (en) | A paddy field intertillage weeder | |
CN107960194B (en) | Automatic obstacle-avoiding mower for orchard | |
CN104663043A (en) | Mechanical shovel | |
CN103749077A (en) | Power-driven self-propelled sickle alfalfa harvester | |
KR101330093B1 (en) | Spinach harvester | |
CN207269383U (en) | A kind of mulberry tree gathers in collection device | |
KR101234685B1 (en) | Apparatus for vine crushing of crops | |
KR200295452Y1 (en) | Plastic mulch wrapper | |
CN105191527A (en) | Double-roller spring-tooth type plastic film residue cleaning recycling machine | |
CN107771426A (en) | Weed and loose soil machine between big bean seedlings | |
KR101425908B1 (en) | Ridging and crushing apparatus of high-position cultivating device | |
KR101173005B1 (en) | cutting machine of farm produce stem and creeper | |
CN105706551A (en) | Multifunctional weeding machine | |
KR102327780B1 (en) | sweet potato planter with ridge forming device | |
CN219165143U (en) | External hanging type sweet potato vine breaking, digging and harvesting integrated machine | |
KR101693499B1 (en) | Plant roots crushing apparatus for high-position cultivation) | |
CN211152645U (en) | Soil loosening device for agricultural planting | |
CN203984921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weeder | |
CN203723055U (en) | Vine cutting device for ridge field multi-line operation | |
CN202931783U (en) | Potato combined harvester | |
CN215957970U (en) | Seedling field management weeding device | |
CN107771427A (en) | Weed with a hoe device between Horizontal disc seedling | |
CN107771499A (en) | Rotary mow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