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897B1 -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897B1
KR101758897B1 KR1020160020889A KR20160020889A KR101758897B1 KR 101758897 B1 KR101758897 B1 KR 101758897B1 KR 1020160020889 A KR1020160020889 A KR 1020160020889A KR 20160020889 A KR20160020889 A KR 20160020889A KR 101758897 B1 KR101758897 B1 KR 10175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roove
fixing bracket
finishing material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홍
Original Assignee
태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체(300)에 일정간격 마다 설치홈(31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고정브래킷(100)의 일부를 삽입하는 2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삽입된 후, 벽체(300)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브래킷(100)의 상, 하면에 외부마감재(200)를 결합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돌출된 몸체(110)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40)으로 연결봉(15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봉(150)의 양단이 외부마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벽체(300)에 외부마감재(200)가 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벽체의 외면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조립식으로 외부마감재를 설치하여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finishing outer wall}
본 발명은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외면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외부마감재를 시공하는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50463호의 건축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마감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 벽체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의 시공 이후, 폐인트 또는 목재 등과 같은 마감재를 후시공하거나, 스티로폼 또는 시트와 같은 단열성을 갖는 기능성 부재를 콘트리트 벽체에 시공한 후, 폐인트 또는 목재 등과 같은 마감재를 후시공하여, 벽체에 기능성을 부여하였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50463호의 건축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마감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의 외부표면에 단열성 및 방수성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건축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마감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체의 표면을 세척하고 바탕조정하여 시공을 준비하는 전처리단계와; 전처리단계 처리한 벽체의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 수지 혼합물로 이루어진 도포제를 30~100㎛로 도포하는 하도단계(S200)와; 상기 하도단계 처리된 벽체의 표면에 실리카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단열 도료를 0.5~5mm로 도포하는 중도단계와; 상기 단열 도료의 상면에 불소수지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세라믹 코팅 도료를 150~300㎛로 도포하는 상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마감 시공방법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91505호의 건물벽체 마감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건물벽체에 한쪽 단부가 밀착되어 고정수단을 매개로 수직하게 고정되는 높이조절축부재를 이용하여 건물벽체와 일정한 유격을 두고 설치되는 건물벽체의 마감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축부재의 외주면에 다른쪽 단부로 부터 한쪽 단부로 일정길이 형성된 숫나사부에 직접 체결되어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체결부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높이조절축부재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끼워지도록 축부재끼움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높이조절축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끼움구멍과 높이조절축부재의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발생되는 한편, 상기 높이조절체결부재에 의해 건물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안착되는 배수판부재와, 상기 높이조절축부재의 다른쪽 단부로 부터 직접 끼워져 높이조절체결부재에 의해 안착된 상태로 상기 높이조절축부재의 축방향으로 상기 배수판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하는 상태로 체결된 고정부재와, 상기 배수판부재의 소정 위치에 상기 높이조절축부재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가압되어 후크돌기가 끼워지면서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배수판덮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의 마감구조물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외부마감재 시공방법은 시공방법이 복잡하고, 외부마감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으며 설치에 따른 제조비용과 시공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벽체의 외면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조립식으로 외부마감재를 설치하여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벽체의 외부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체(300)에 일정간격 마다 설치홈(31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고정브래킷(100)의 일부를 삽입하는 2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삽입된 후, 벽체(300)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브래킷(100)의 상, 하면에 외부마감재(200)를 결합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돌출된 몸체(110)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40)으로 연결봉(15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봉(150)의 양단이 외부마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벽체(300)에 외부마감재(200)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체의 외면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조립식으로 외부마감재를 설치하여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외부마감재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 벽체의 외면에 설치된 외부마감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벽체의 외면에 설치된 외부마감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정브래킷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봉의 실시 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봉의 다른 실시 예 사시도.
본 발명은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체(300)에 일정간격 마다 설치홈(31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고정브래킷(100)의 일부를 삽입하는 2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삽입된 후, 벽체(300)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브래킷(100)의 상, 하면에 외부마감재(200)를 결합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돌출된 몸체(110)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40)으로 연결봉(15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봉(150)의 양단이 외부마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벽체(300)에 외부마감재(200)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100)은 육면체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봉(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10)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 하면에는 요철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외부마감재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 벽체의 외면에 설치된 외부마감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벽체의 외면에 설치된 외부마감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정브래킷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봉의 실시 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봉의 다른 실시 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체(300)에 일정간격 마다 설치홈(31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고정브래킷(100)의 일부를 삽입하는 2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삽입된 후, 벽체(300)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브래킷(100)의 상, 하면에 외부마감재(200)를 결합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돌출된 몸체(110)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40)으로 연결봉(15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봉(150)의 양단이 외부마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벽체(300)에 외부마감재(200)가 시공되는 것이다.
상기 벽체(300)의 외면에는 고정브래킷(1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300)의 설치홈(310)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00)은 육면체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봉(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10)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지지봉(120)은 벽체의 설치홈에 삽입되며, 지지봉을 제외한 몸체 부분은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몸체의 상, 하면은 지면과 나란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상, 하면에는 각각 외부마감재(200)가 설치되며, 상기 외부마감재(200)는 석재, 알루미늄 판넬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외무마감재(200)는 고정브래킷(100)의 몸체와 접촉하는 면에 체결홈(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마감재(200)에 형성된 체결홈(210)의 중심축과 몸체에 형성된 통공(14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통공(140)에는 연결봉(15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150)은 외부마감재(200)의 체결홈(210)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110)의 상, 하면에는 외부마감재(200)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 하면은 지면과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외부마감재의 측면에서도 연결봉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 하면에는 요철부(13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요철부(130)는 몸체의 상, 하면에 접촉하여 몸체에 설치되는 외부마감재(2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봉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지지봉의 끝단부에는 내부로 중공홈(12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끝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122)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공홈(121)으로는 쇄기형상의 확장부재(16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부재(160)가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재의 지지봉 측을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하여 고정부재의 몸체를 타격하면, 쇄기형상의 확장부재(160)가 중공홈(12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지지봉의 끝단부는 절개홈(122)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지지봉이 설치홈에 억지끼움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확장부재는 원통형상인 몸체의 직경이 점차로 커지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끝단부 외주연에는 요철부(130)가 형성되어 설치홈에 억지끼움된 지지봉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지지봉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재에는 지지봉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확장부재는 확장부재의 돌기가 지지봉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삽입된다. 그러므로 지지봉의 끝단부는 절개홈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일정하게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봉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지지봉의 끝단부 측에는 외주연에 나사산(12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나사산에는 삽입봉(170)이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봉(170)의 끝단부에는 내부로 관통된 중공홀(17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끝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122)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공홀(171)로는 쇄기형상의 확장부재(16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끝단부 외주연에는 요철부(13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인 1, 2, 3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벽체(300)에 외부마감재(200)가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먹줄선을 표시한다.
상기 먹줄선 표시 후 표시된 먹줄선의 교차점에 설치홈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홈에는 고정브래킷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지지봉 부분은 벽체의 설치홈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몸체 부분은 하면이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통공에 연결봉을 삽입한다.
상기 몸체의 상, 하면에는 외부마감재가 접촉하여 설치되되, 상기 몸체에 삽입된 연결봉이 각각의 외부마감재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에는 외부마감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상, 하면에 설치된 외부마감재는 에폭시 수지인 접착제(J)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몸체의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된 외부마감재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상기 외부마감제는 몸체의 상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와, 몸체의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된 외부마감재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실리콘을 충진한다.
이에, 외부마감재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을 통하여 벽체의 외면에는 외부마감재가 간편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체의 외면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조립식으로 외부마감재를 설치하여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고정브래킷
110. 몸체 120. 지지봉
121. 중공홈 122. 절개홈
123. 나사산
130. 요철부 140. 통공
150. 연결봉
160. 확장부재
170. 삽입봉 171. 중공홀
200. 외부마감재 210. 체결홈
300. 벽체 310. 설치홈
S. 실리콘 J. 접착제

Claims (3)

  1. 벽체(300)에 일정간격 마다 설치홈(310)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고정브래킷(100)의 일부를 삽입하는 2단계;
    상기 설치홈(310)에 삽입된 후, 벽체(300)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브래킷(100)의 상, 하면에 외부마감재(200)를 결합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돌출된 몸체(110)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40)으로 연결봉(15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봉(150)의 양단이 외부마감재(2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됨으로써 벽체(300)에 외부마감재(200)가 시공되는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100)은 육면체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봉(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10)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4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상, 하면에는 요철부(13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지지봉(120)의 끝단부에는 내부로 중공홈(12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끝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122)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공홈(121)으로는 쇄기형상의 확장부재(160)가 삽입되며,
    상기 확장부재(160)가 삽입되어 있는 지지봉(120) 측을 벽체(300)에 형성된 설치홈(310)에 삽입하여 몸체(110)를 타격하면, 쇄기형상의 확장부재(160)가 중공홈(12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지지봉(120)의 끝단부는 절개홈(122)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지지봉(120)이 설치홈(310)에 억지끼움이 되고,
    상기 지지봉(120)의 끝단부 외주연에는 요철부(130)가 형성되어 설치홈(310)에 억지끼움된 지지봉(120)을 움직이지 않게 하며,
    상기 지지봉(120)의 내주연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지지봉(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160)에는 지지봉(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확장부재(160)는 확장부재(160)의 돌기가 지지봉(120)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봉(120)의 끝단부는 절개홈(122)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일정하게 벌어지게 되는 것이 특징인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20889A 2016-02-22 2016-02-22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KR101758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89A KR101758897B1 (ko) 2016-02-22 2016-02-22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89A KR101758897B1 (ko) 2016-02-22 2016-02-22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897B1 true KR101758897B1 (ko) 2017-07-17

Family

ID=5944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889A KR101758897B1 (ko) 2016-02-22 2016-02-22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2043A (zh) * 2020-09-30 2021-01-29 上海盘沪实业有限公司 地下室防潮防结露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03B1 (ko) * 2015-03-12 2015-07-01 유성용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KR101579254B1 (ko) * 2015-04-29 2015-12-21 김희수 금속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03B1 (ko) * 2015-03-12 2015-07-01 유성용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KR101579254B1 (ko) * 2015-04-29 2015-12-21 김희수 금속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2043A (zh) * 2020-09-30 2021-01-29 上海盘沪实业有限公司 地下室防潮防结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42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RU2230235C2 (ru) 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стене, имеющей слой изоляции
US9702154B2 (en) Structural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curing scaffolding to a building wall
KR20190000830U (ko)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KR101501810B1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101735044B1 (ko)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1758897B1 (ko)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KR100708252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483632B1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101962314B1 (ko) 단열재용 체결구
KR101929513B1 (ko)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20200033599A (ko) 단열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단열시스템
KR20070064065A (ko) 건축물의 층간 방음구조체를 이용한 난방용 배관 설치구조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2255364B1 (ko) 건축 내장재 설치용 앵커 조립체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KR20140051530A (ko)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KR102124412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0193233Y1 (ko) 단열재 고정구
EP3088623A1 (en) Fixing system of lightweight loads on insulating coatings of external walls in buildings
KR200186292Y1 (ko) 단열 내벽체용 고정구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