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83B1 -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283B1
KR101758283B1 KR1020150126340A KR20150126340A KR101758283B1 KR 101758283 B1 KR101758283 B1 KR 101758283B1 KR 1020150126340 A KR1020150126340 A KR 1020150126340A KR 20150126340 A KR20150126340 A KR 20150126340A KR 101758283 B1 KR101758283 B1 KR 101758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temperature
wat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249A (ko
Inventor
정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2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음용수를 토출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온수탱크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구동되기 전에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제1온도 및 상기 가열부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제2온도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압축기 및 온수를 만들기 위한 히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로 형성되거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는 상온의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수 공급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음용수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필요에 따라 냉수나 온수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음용수는 지하수 또는 수도전(급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일 수 있고, 원수를 필터와 같은 여과수단으로 필터링한 정수일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원수 또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수한 후에 사용자의 토출명령에 따라 상기 저수조 내에 저수된 음용수를 토출하는 저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와,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토출명령에 따라 음용수를 직접 공급하는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경우,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음용수의 수압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음용수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특성상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는 음용수의 유입구 및 토출구를 제외한 부분이 밀폐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는 증발기 내로 유동하는 냉매와 냉수탱크 내의 음용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음용수를 냉각하도록 형성되고, 온수탱크는 내부에 설치된 가열부(예를 들어, 히터)의 구동을 통해 음용수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탱크 내에 음용수(즉, 물)이 없는 상태에서 냉매를 유동시킬 경우, 상기 냉매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어 펌프가 손상되거나 펌프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 내에 음용수가 없는 상태에서 냉매를 유동시킬 경우, 상기 가열부가 과열되어 온수탱크를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부에 안전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가열부가 과열되면 제품 전체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열부 및 냉각부를 구동시키기 전에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 내에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 내에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초기 설치시 또는 이동 설치에 따른 전원 재인가 시에 필요한 경우가 많다.
종래의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경우,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 내에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판단하였다.
그러나, 수위센서의 경우, 물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의 센서로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수위센서가 설치되면, 수위센서가 설치된 부분이 완전밀폐되지 않아서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수용된 음용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 내에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구비되는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탱크에 구비되는 가열부의 과열을 방지함에 따라서, 온수탱크의 손상을 방지하고, 원치않게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음용수를 토출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온수탱크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구동되기 전에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제1온도 및 상기 가열부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제2온도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온도는 상기 가열부가 제1시간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기설정된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탱크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의 토출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온수탱크를 향하는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된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수신이 종료될 때, 상기 가열부를 다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차이 값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 의한 상기 차이 값의 판단 및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대한 판단은, 상기 차이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구비하는 냉수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수 탱크의 내부 체적은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 체적보다 크며,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는 냉수 토출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는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고, 정상작동 시에 상기 공급밸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는 만수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OFF된 후에 다시 ON될 때, 상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물과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비접촉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정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음용수 공급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 온수탱크 내의 제1온도가 감지되는 제1온도측정단계; 온수탱크에 구비된 가열부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구동 후에, 온수탱크 내의 제2온도가 감지되는 제2온도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되는 제2온도는 상기 가열부가 제1시간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한 후의 온도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차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되고, 기설정된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 내의 가열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차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온수탱크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상기 온수탱크 내의 가열부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 후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 및 상기 제1판단단계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 상기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2판단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 및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제1온도 및 상기 제2온도는 상기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물과 비접촉방식으로 상기 온수탱크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 내에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탱크에 구비되는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탱크에 구비되는 가열부의 과열을 방지함에 따라서, 온수탱크의 손상을 방지하고, 원치않게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조 및 배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음용수 공급장치 내에 구비되는 냉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음용수 공급장치 내에 구비되는 온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용어를 정의함에 있어서, 필터부를 통과하기 전의 물을 원수라고 하고,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원수를 정수라고 하며, 냉수탱크에서 냉각된 물을 냉수라고 하고, 온수탱크에서 가열된 물을 온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원수, 상기 정수,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는 모두 음용수 또는 물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전단과 후단은 유체의 순방향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순방향 유동 방향이라 함은, 음용수가 음용수 공급장치 밖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 내에서 유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용수 공급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디스펜서(3)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3)는 사용자가 응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3)는 일반적으로 캐비닛(2)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3)에는 음용수가 토출되는 코크(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3)에는 음용수의 배출을 조작하기 위한 실시간 제어 입력부(4) 및 정량 제어 입력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는 사용자에 의해 밀거나 당겨서 조작되는 레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정량 제어 입력부(5)는 사용자에 의해 누르거나 터치하여 조작되는 버튼부 또는 터치 입력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정량 제어 입력부(5)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여 음용수 공급장치(1)가 정량 제어모드로 구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정량 제어모드에서 음용수 공급장치(1)는 기 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상기 코크(7)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상기 정량 제어 입력부(5)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지 않
고,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에 해당하는 레버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예를 들
어, 사용자는 컵(C)을 상기 코크(7) 하부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레버를 밀거나 당
겨서 상기 코크(7)로부터 토출되는 음용수를 상기 컵(C) 내에 담을 수 있다.
이때, 음용수 공급장치(1)는 실시간 제어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간 제어모드에서 음용수 공급장치(1)는 사용자가 상기 레버를 밀거나 당기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코크(7)를 통해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정량 제어 입력부(5)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지 않은 상태
로 상기 레버를 조작하면,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는 실시간 제어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는 디스플레이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냉수 온도 및 온수 온도를 포함하는 음용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터치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의 터치를 통하여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적어도 하나의 음용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냉수와 정수의 토출을 위한 하나의 코크 및 온수의 토출을 위한 다른 하나의 코크를 포함하는 두 개의 코크(7)가 도시되어 있으나, 정수, 온수 및 냉수 각각의 토출을 위한 3개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냉수, 정수 및 온수 모두를 위한 단 하나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성 및 배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조 및 배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음용수 공급장치 내에 구비되는 냉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음용수 공급장치 내에 구비되는 온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급수원(10)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기초하여 음용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은 상기 급수원(10)에서 나오는 물의 수압 자체 또는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어 감압밸브(20)를 통과하여 감압된 물의 수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61)를 구비하는 온수탱크(60) 및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71)를 구비하는 냉수탱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공급유로(50)를 통해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0)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로(50)에는 상기 필터(30)의 하류측(즉, 후단)에 공급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밸브(40)는 사용자의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0)는 상기 공급밸브(40)의 후단에서 제1유로(51) 및 제2유로(52)로 분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51)는 상기 온수탱크(60)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52)는 상기 냉수탱크(7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유로(50)에서 분지된 제1유로(51)를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상기 온수탱크(60)의 제1유입부(62)를 통해 온수탱크(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입부(62)는 상기 제1유로(51)에 연통된 제1유입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52)는 냉수탱크(70)를 향하는 제3유로(53) 및 전술한 코크(7)를 향하는 제4유로(54)로 분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52)에서 분지된 제3유로(53)를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상기 냉수탱크(70)의 제2유입부(72)를 통해 냉수탱크(7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입부(72)는 제2유입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52)에서 분지된 제4유로(54)를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사용자의 정수 토출신호에 따라서 상온의 정수 상태로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60)는 제1유입부(62) 및 제1토출부(63)를 구비하고, 상기 제1유입부(62)를 통해 음용수(즉, 상온수)가 유입되면 상기 제1토출부(63)를 통해 음용수(즉, 온수)가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토출부(63)는 제1토출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입부(62)를 통한 음용수의 유입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1토출부(63)를 통해 음용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온수탱크(60)는 상기 제1유입부(62) 및 상기 제1토출부(63)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입부(62)는 상기 온수탱크(6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토출부(63)는 상기 온수탱크(6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온수의 상승하려는 성질을 고려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온수 토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상부에 위치되는 음용수를 토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온수탱크(60) 내의 음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61)는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가열코일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히터로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61)는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음용수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70)는 제2유입부(72) 및 제2토출부(73)를 구비하고, 상기 제2유입부(72)를 통해 음용수(즉, 상온수)가 유입되면 상기 제2토출부(73)를 통해 음용수(즉, 냉수)가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유입부(72)를 통한 음용수의 유입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2토출부(73)를 통해 음용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냉수탱크(70)는 상기 제2유입부(72) 및 상기 제2토출부(73)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입부(72) 및 제2토출부(73)는 모두 상기 냉수탱크(7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토출부(73)는 상기 냉수탱크(70)의 하면에 근접하도록 연장된 토출관(7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온수의 상승하려는 성질 및 냉수의 하강하려는 성질을 고려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냉수 토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하부에 위치되는 음용수를 토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토출관(73')은 후술할 제5유로(55)를 통해 코크(7)에 연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토출부(73)가 상기 냉수탱크(7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토출관(73')은 불필요할 것이다.
또한, 냉수탱크(70) 내의 음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냉각부(71)는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음용수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된 증발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음용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음용수 공급장치(1)는 압축기(74), 응축기(75) 및 팽창밸브(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74)의 구동을 통해, 압축기(74), 응축기(75), 팽창밸브(76) 및 냉각부(71)를 통해 냉매가 순환되고, 상기 냉각부(71)와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음용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수탱크(70) 내의 음용수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71)는 상기 냉수탱크(7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물(음용수)과 상기 냉각부(71) 내의 냉매가 열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부(71)는 상기 냉수탱크(70) 내에 배치되는 냉매관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부(71)는 상기 냉수탱크(70) 내에서 코일 형태로 복수회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부(71)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상기 냉매와 냉수탱크(70) 내의 음용수가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정수 토출신호가 입력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공급유로(50), 제2유로(52) 및 제4유로(5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냉수 토출신호가 입력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공급유로(50), 제2유로(52) 및 제3유로(5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냉수탱크(70) 내로 공급된다. 이때, 냉수탱크(70) 내의 물(즉, 냉수)는 제2토출부(73) 및 상기 제2토출부(73)에 연결된 제5유로(55)를 경유하여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온수 토출신호가 입력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공급유로(50) 및 제1유로(5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온수탱크(60) 내로 공급된다. 이때, 온수탱크(70) 내의 물(즉, 온수)는 제1토출부(63) 및 상기 제1토출부(63)에 연결된 제6유로(56)를 경유하여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유로(54), 상기 제5유로(55) 및 상기 제6유로(56)에는 각각 토출밸브(91, 92, 9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밸브(91, 92, 93)는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91, 92, 93)는 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코크(7)는 3개의 코크가 상기 제4유로(54), 상기 제5유로(55) 및 상기 제6유로(56)의 토출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4유로(54), 상기 제5유로(55) 및 상기 제6유로(56)의 토출단부가 하나로 병합되어 1개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냉수 및 정수의 토출을 위한 제4유로(54)와 제5유로(55)의 토출단부에 하나의 코크가 구비되고, 온수의 토출을 위한 토출단부에 다른 하나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각각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기유로(81, 82)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유로(81, 82)는 상기 온수탱크(60)에 연결된 제1통기유로(81) 및 냉수탱크(70)에 연결된 제2통기유로(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통기유로(81)에는 제1통기밸브(83)가 구비되고, 상기 제2통기유로(82)에는 제2통기밸브(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기밸브(83) 및 상기 제2통기밸브(84)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에 물을 채울 때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즉, 음용수 공급장치(1)의 초기 설치 시에, 통기유로(81, 82)를 통해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로 물의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상기 제1통기유로(81) 및 상기 제2통기유로(82)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서 상기 제1통기유로(81) 및 상기 제2통기유로(82)가 연결된 부분은 밀폐구조에서 제외될 수 있다.
즉, 상기 온수탱크(60)는 상기 제1유입부(62), 상기 제1토출부(63) 및 상기 제1통기유로(81)의 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70)는 상기 제2유입부(72), 상기 제2토출부(73) 및 상기 제2통기유로(82)의 연결부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로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65, 7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65, 75)는 상기 온수탱크(60)에 설치되는 제1온도감지센서(65)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설치되는 제2온도감지센서(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65, 75)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64, 7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64, 74)는 상기 온수탱크(60)에 구비되는 제1설치부(64)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구비되는 제2설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부(64, 74)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의 외측에서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설치부(64, 74)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의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설치부(64)는 상기 온수탱크(60)의 상면의 일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온도감지센서(65)는 상기 제1설치부(6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는 온수탱크(60) 내의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온수탱크(60)에는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설치부(64)가 구비되고, 상기 제1설치부(64)는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설치부(74)는 상기 냉수탱크(70)의 상면의 일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온도감지센서(75)느 상기 제2설치부(7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온도감지센서(75) 역시 냉수탱크(70) 내의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탱크(70)에는 상기 제2온도감지센서(75)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설치부(7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설치부(74)는 상기 제2온도감지센서(7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과 직접 접촉해야 하는 수위감지센서와 달리,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수용된 물과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는 비접촉하며, 상기 냉수탱크(70) 내에 수용된 물과 상기 제2온도감지센서(75)는 비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에 물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의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누수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주요 구성들 및 제어부에 의한 상기 주요 구성들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전술한 공급밸브(40), 토출밸브(91, 92, 93), 가열부(61) 및 냉각부(71)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공급밸브(40), 토출밸브(91, 92, 93), 가열부(61) 및 냉각부(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실시간 제어 입력부(4), 정량 제어 입력부(5), 디스플레이부(6), 제1온도감지센서(65) 및 제2온도감지센서(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 정량 제어 입력부(5) 및 디스플레이부(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공급밸브(40) 및 토출밸브(91, 92, 93)를 제어하여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코크(7)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음용수 공급장치(1)의 정상작동 시에,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온수탱크(60) 내의 물과 냉수탱크(70) 내의 물이 기 설정된 온도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 및 상기 제2온도감지센서(75)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상작동은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물이 만충된 상태에서의 음용수 공급장치(1)의 작동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61)의 구동은 상기 가열부(61)를 구성하는 가열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의미하고,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은 상기 냉각부(71)에 냉매를 유동시키기 위한 전술한 압축기(74)의 구동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냉매를 유동시킬 경우, 상기 가열부(61)가 과열되어 온수탱크(60)를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부(61)에 안전장치(미도시)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가열부(61)가 과열되면 제품전체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70) 내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냉각부(71)로 냉매를 유동시킬 경우, 상기 냉매를 유동시키기 위한 압축기(74)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기(74)가 손상되거나 압축기(74)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열부(61) 및 냉각부(71)를 구동시키기 전에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에 물(즉,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감지센서 없이도, 전술한 온도감지센서(65, 75)를 이용하여,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가열부(61)가 구동되기 전에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에서 감지된 제1온도(T1) 및 상기 가열부(61)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에서 감지된 제2온도(T2)의 차이 값(T2-T1)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차이 값(T2-T1)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있는 경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상기 차이 값(T2-T1)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에 별도로 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통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센서의 가격이 수위감지센서보다 저렴하므로, 수위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온도감지센서를 사용할 경우, 제품 전체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온도(T2)는 상기 가열부(61)가 제1시간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온도감지센서(65)를 통해 감지된 온도값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시간은 온수탱크(60)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열평형을 이룰 수 있기에 충분한 시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온도센서(65)를 통해 감지된 제2온도(T2)는 온수탱크(60) 내의 물이 열평형을 이룬 상태의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시간은 15초 내지 25초이고, 상기 제2시간은 1분 내지 3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값은 2 내지 4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간은 20초이고, 상기 제2시간은 2분이며, 상기 기준값은 3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이값(T2-T1)과 기설정된 기준값(Ts)을 비교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이값(T2-T1)이 상기 기준값(Ts)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기설정된 냉수온도 및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71)의 제어는 상기 냉각부(71)를 향해 냉매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압축기(74)의 제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물이 수용(또는 만충)되어 있는 정상상태의 경우,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를 구동하더라도 온수탱크(60) 및 압축기(74)가 손상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C)는 기설정된 냉수온도 및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차이값(T2-T1)이 상기 기준값(Ts)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의 토출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71)의 구동은 상기 냉각부(71)를 향해 냉매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압축기(74)의 구동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물이 수용(또는 만충)되어 있지 않은 비정상상태의 경우,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에 다라서 온수탱크(60) 및 압축기(74)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는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을 일단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따라서 공급밸브(40)가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밸브(40)의 개방에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되면, 토출신호가 지속되는 시간동안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수신이 종료될 때, 상기 가열부(61)를 다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차이 값(T2-T1)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차이값(T2-T1)이 상기 기준값(Ts)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에 의한 상기 차이 값(T2-T1)의 판단 및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대한 판단은 상기 차이 값(T2-T1)이 상기 기준값(Ts)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차이 값(T2-T1)이 상기 기준값(Ts) 미만이 될 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탱크(70)의 내부 체적은 상기 온수탱크(60)의 내부 체적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공급유로(50)는 상기 냉수탱크(70)와 상기 온수탱크(60)로 분지되기 때문에, 냉수탱크(70)의 내부가 물로 만충되면 상기 온수탱크(60)의 내부 역시 물로 만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는 온수 토출신호 또는 냉수 토출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는 온수 토출신호가 될 수 있다. 이는, 냉수 토출신호에 따라서 코크(7)를 통해 냉수가 토출되면 냉수탱크(70) 및 온수탱크(60)가 모두 물로 만충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음용수 공급장치(1)의 초기 설치 시 또는 음용수 공급장치(1)의 이동 설치 등으로 인해 전원이 OFF된 후에 다시 ON될 때,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부(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P) 역시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원 공급부(P)가 OFF된 후에 다시 ON될 때, 상기 차이 값(T2-T1)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 값(T2-T1)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장치(1)에 따르면,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에 음용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는 온수탱크(60)에 설치된 제1온도감지센서(65)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의 수위감지센서가 없더라도, 물과 비접촉 방식의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의 물의 수용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수위감지센서의 설치에 따른 누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음용수 공급장치(1)의 구성이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정수, 온수 및 냉수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음용수 공급장치(1)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S10), 온수탱크(60) 내의 제1온도(T1)가 감지되는 제1온도측정단계(S20), 온수탱크(60)에 구비되는 가열부(61)를 제1시간동안 구동 후에, 온수탱크(60) 내의 제2온도(T2)가 감지되는 제2온도측정단계(S30), 및 상기 제1온도(T1)와 상기 제2온도(T2)의 차이 값(T2-T1)에 기초하여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인가단계(S10)에서, OFF 상태인 음용수 공급장치(1)가 ON 상태로 되도록 전원 공급부(P)를 통해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20)에서는 온수탱크(60) 내부의 제1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온도((1)는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물의 온도가 될 수 있고,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온수탱크(60) 내부 공기의 온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30)에서는 온수탱크(60)에 구비되는 가열부(61)를 제1시간동안 구동하여 온수탱크(60)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의 제2온도(T2)가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온도(T2)는 상기 제1온도(T1)보다 높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온도(T2) 역시,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물의 온도가 될 수 있고,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온수탱크(60) 내부 공기의 온도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되는 제2온도(T2)는 상기 가열부(61)가 제1시간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한 후의 온도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시간은 상기 가열부(61)의 제1시간동안 가열 후에 상기 온수탱크(60) 내부가 열평형을 이루기에 충분한 시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시간은 온수탱크(60) 내에서 가열부(6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과 상대적으로 먼 부분의 온도 평형을 위한 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1판단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온도(T1)와 상기 제2온도(T2)의 차이 값(T2-T1)에 기초하여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수탱크(60)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온수탱크(6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상기 차이 값(T2-T1)이 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파단단계(S40)에서, 상기 차이 값(T2-T1)이 기설정된 기준 값(Ts) 미만인 경우,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냉수온도 및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가열부(61)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냉각부(71)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S50).
이와 달리, 상기 제1판단단계(S40)에서, 상기 차이 값(T2-T1)이 기설정된 기준 값(Ts) 이상인 경우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수탱크(60)의 가열부(60) 및 상기 탱수탱크(70)의 냉각부(71)의 구동이 제어부(C)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S60).
이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가 구동되면, 온수탱크(60) 및 압축기(74)의 손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C)에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판단단계(S70)는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냉각부(7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60)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판단단계(S70)에서는,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토출신호의 수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제어부(C)에 수신되는 경우, 공급밸브(40)의 개방을 통하여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를 향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판단단계(S70)에서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 후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20),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30) 및 상기 제1판단단계(S40)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20),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30) 및 상기 제1판단단계(S40)가 다시 수행되면서, 온수탱크(60) 및 냉수탱크(7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이 값(T2-T1)이 상기 기준 값(Ts)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20),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30), 상기 제1판단단계(S40) 및 상기 제2판단단계(S70)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20),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30), 상기 제1판단단계(S40) 및 상기 제2판단단계(S70)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가열부(61) 및 냉각부(71)는 제어부(C)에 의해 구동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탱크(70)의 내부 체적은 상기 온수탱크(60)의 내부 체적보다 클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판단단계(S70)에서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는 냉수의 토출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냉수의 토출신호가 있을 때, 공급밸브(40)의 개방을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상기 냉수탱크(70) 및 상기 온수탱크(60) 중 적어도 하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냉수 토출신호에 따라서 코크(7)를 통해 냉수가 토출되면, 냉수탱크(70)에 물이 만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내부 체적이 상대적으로 큰 냉수탱크(70) 내에 물이 만충되어 있으면 상기 온수탱크(60)에도 물이 만충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급수원 20 감압밸브 30 필터
40 공급밸브 50 공급유로 60 온수탱크
61 가열부 65 제1온도감지센서 70 냉수탱크
71 냉각부 75 제2온도감지센서

Claims (18)

  1. 급수원(10)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음용수를 토출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61)를 구비하는 온수탱크(60);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온수탱크(60)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65); 및
    상기 가열부(61)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65)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가열부(61)가 구동되기 전에 상기 온도감지센서(65)에서 감지된 제1온도 및 상기 가열부(61)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온도감지센서(65)에서 감지된 제2온도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는 상기 가열부(61)가 제1시간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온도감지센서(65)를 통해 감지된 온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기설정된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61)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온수탱크(60)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가열부(61)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어부(C)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의 토출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61)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상기 온수탱크(60)를 향하는 공급유로(5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된 공급밸브(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수신이 종료될 때, 상기 가열부(61)를 다시 제1시간동안 구동시킨 후, 상기 차이 값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C)에 의한 상기 차이 값의 판단 및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대한 판단은, 상기 차이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71)를 구비하는 냉수탱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수탱크(70)의 내부 체적은 상기 온수탱크(60)의 내부 체적보다 크고,
    상기 음용수의 토출신호는 냉수 토출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60)는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고, 정상작동 시에 상기 공급밸브(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60)는 만수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OFF된 후에 다시 ON될 때, 상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60)에는 상기 온도감지센서(65)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6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수용된 물과 상기 온도감지센서(65)는 비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1. 급수원(10)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정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음용수 공급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
    온수탱크(60) 내의 제1온도가 감지되는 제1온도측정단계;
    온수탱크(60)에 구비된 가열부(61)를 기설정된 제1시간동안 구동 후에, 온수탱크(60) 내의 제2온도가 감지되는 제2온도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와 상기 제2온도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되는 제2온도는 상기 가열부(61)가 제1시간동안 구동되고 기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한 후의 온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차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고 판단되고,
    기설정된 온수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가열부(61)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차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온수탱크(60) 내에 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상기 온수탱크(60) 내의 가열부(61)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어부(C)에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음용수의 토출신호가 수신 후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 및 상기 제1판단단계가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 상기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2판단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 및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에서, 상기 제1온도 및 상기 제2온도는 상기 온수탱크(60) 내에 수용된 물과 비접촉방식으로 상기 온수탱크(60)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65)를 통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26340A 2015-09-07 2015-09-07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5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40A KR101758283B1 (ko) 2015-09-07 2015-09-07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40A KR101758283B1 (ko) 2015-09-07 2015-09-07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49A KR20170029249A (ko) 2017-03-15
KR101758283B1 true KR101758283B1 (ko) 2017-07-14

Family

ID=5840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40A KR101758283B1 (ko) 2015-09-07 2015-09-07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46A (ko) * 2018-02-13 2019-08-21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온수 공급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271B1 (ko) * 2017-08-29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457782B1 (ko) * 2017-08-29 202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CN108850748A (zh) * 2018-08-15 2018-11-23 江苏普门电子有限公司 一种分体式多杯果茶机整机功能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697A (ja) 1999-11-05 2001-05-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炭酸水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6006104A (ja) 2004-06-22 2006-01-1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スープ類の供給装置
JP2006211944A (ja) 2005-02-03 2006-08-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スープ類の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697A (ja) 1999-11-05 2001-05-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炭酸水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6006104A (ja) 2004-06-22 2006-01-1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スープ類の供給装置
JP2006211944A (ja) 2005-02-03 2006-08-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スープ類の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46A (ko) * 2018-02-13 2019-08-21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온수 공급 제어 장치
KR102527692B1 (ko) * 2018-02-13 2023-05-02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온수 공급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49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83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3932913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EP3346216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507109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2018005228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6064115B2 (ja) 流量検出ユニットおよび給湯システム
US20150101670A1 (en)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052285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0848874A (zh) 一种空调冷媒泄漏的检测方法及装置
KR102080852B1 (ko) 공기 조화기,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37087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その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動作制御プログラム
US11453581B2 (en) Hot liquid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0363040Y1 (ko) 사출금형의 온도 조절장치
JP5821002B2 (ja) 給湯システム
JP3725693B2 (ja) 配管の漏水検査方法並びに給湯システム
KR102008937B1 (ko) 공기 조화기
JP5429017B2 (ja) 給湯装置
KR101343445B1 (ko) 하이브리드식 급탕 장치
JP2012002673A (ja) 環境試験装置
JP5385197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101313251B1 (ko) 냉각챔버의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방법
KR20200043681A (ko) 보일러 및 보일러의 물보충방법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US20210130151A1 (en) Hot-liquid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4194784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