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30B1 -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30B1
KR101758030B1 KR1020167007432A KR20167007432A KR101758030B1 KR 101758030 B1 KR101758030 B1 KR 101758030B1 KR 1020167007432 A KR1020167007432 A KR 1020167007432A KR 20167007432 A KR20167007432 A KR 20167007432A KR 101758030 B1 KR101758030 B1 KR 10175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퀴안 왕
인 주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94Address books, i.e. directories containing contact information about correspond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기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AN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510862737.9이며, 출원일이 2015년 12월 1일인 중국 특허출원에 기반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출원의 내용 전부를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단말기 기술의 발전에 수반하여, 유저는 단말기에 인스톨된 여러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쇼트 메시지 발송, 계산, 비용 납부, 계좌 이체 등 여러가지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유저의 생활에 큰 편리를 가져오게 되었다. 현재,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연관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유저는 상이한 기능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하여야 하고 복수개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며, 그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술방안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기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방법은,
메시지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호출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통신정보가 저장된 주소록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를 표기하고 표기된 후의 상기 통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통신정보(예를 들면 사람 이름)일 경우, 단말기의 자체 전화부 또는 단말기에 인스톨된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할 수 있고,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람 이름에 대응하는 연락방법(예를 들면 전화, 주소, 메일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계정 등)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통신정보를 구비하는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표식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클릭하여 열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문자 발송 또는 조회 조작을 구현할 수 있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찾아서 열 필요가 없게 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사람 이름을 표기하여, 유저에게 상기 사람 이름이 유저의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친구 중에 존재함을 알린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상기 계산식의 뒤에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 정보 옵션 항목에 상기 식별자 또는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계산식일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계산기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상기 계산식을 산정할 수 있고, 계산결과를 리턴하여 하나의 후보 단어로 하여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결과를 조회하거나 또는 선택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유저에게 상기 숫자와 관련된 이체 조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한 개의 숫자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에 인스톨된 페이앱을 호출하여 당해 페이앱이 상기 숫자에 대해 예를 들어 비용차감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유저에게 해당 금액의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함으로써, 유저가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하나의 후보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 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표시된 페이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 시스템을 호출하고 상기 단어를 상기 단말기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시스템으로 상기 단어에 기초하여 자체에 인스톨된 응용 프로그램을 조회하여 상기 단어가 매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단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되어 상기 단어와 연관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의 시스템을 호출하여 당해 단말기에 명칭이 상기 단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및 인스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매칭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후보 단어의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하나의 완전한 문장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문장을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문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문장에 대한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문장(예를 들면 "나 지금 ××광장의 분수 옆에 있어")을 입력하였을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맵)을 호출할 수 있고, 당해 맵에서 "××광장의 분수"를 검색하여 검색된 주소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리턴함으로써 유저가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가 상기 정보를 편집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2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인식 모듈;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앱 호출 모듈;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수신 모듈;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 모듈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기술방안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기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장치는 메시지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호출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통신정보가 저장된 주소록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를 표기하고 표기된 후의 상기 통신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3 표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통신정보(예를 들면 사람 이름)일 경우, 단말기의 자체 전화부 또는 단말기에 인스톨된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할 수 있고,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람 이름에 대응하는 연락방법(예를 들면 전화, 주소, 메일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계정 등)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통신정보를 구비하는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표식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클릭하여 열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문자 발송 또는 조회 조작을 구현할 수 있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찾아서 열 필요가 없게 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사람 이름을 표기하여, 유저에게 상기 사람 이름이 유저의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친구 중에 존재함을 알린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상기 계산식의 뒤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4 표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 정보 옵션 항목에 상기 식별자 또는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5 표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계산식일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계산기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상기 계산식을 산정할 수 있고, 계산결과를 리턴하여 하나의 후보 단어로 하여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결과를 조회하거나 또는 선택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유저에게 상기 숫자와 관련된 이체 조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한 개의 숫자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에 인스톨된 페이앱을 호출하여 당해 페이앱이 상기 숫자에 대해 예를 들어 비용차감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유저에게 해당 금액의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함으로써, 유저가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하나의 후보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 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표시된 페이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 시스템을 호출하고 상기 단어를 상기 단말기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시스템으로 상기 단어에 기초하여 자체에 인스톨된 응용 프로그램을 조회하여 상기 단어가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단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되어 상기 단어와 연관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의 시스템을 호출하여 당해 단말기에 명칭이 상기 단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및 인스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매칭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후보 단어의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하나의 완전한 문장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문장을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문장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문장에 대한 처리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문장(예를 들면 "나 지금 ××광장의 분수 옆에 있어")을 입력하였을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맵)을 호출할 수 있고, 당해 맵에서 "××광장의 분수"를 검색하여 검색된 주소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리턴함으로써 유저가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가 상기 정보를 편집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3 양태에 따르면,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인스트랙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는,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 4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 1 양태에 따르는 상기 정보처리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 5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4 양태에 따르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방안은,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기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세부적인 설명은 예시적 및 해석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여기에 도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상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보여 주고 있지만, 이하에서는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면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그 어떤 방법을 통해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특정된 실시예에 대한 참조를 통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그 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 있어, 별도의 설명이 없는 이상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복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든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 따르는 장치 및 방법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당해 정보처리 방법이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 등 단말기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정보처리 방법은 아래와 같은 여러 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한다.
단계 102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한다.
단계 103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한다.
단계 10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본 기술방안은,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당해 정보처리 방법이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 등 단말기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정보처리 방법은 아래와 같은 여러 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에 있어서, 예비 처리 조작을 진행함으로써 메시지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호출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저장한다.
메시지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호출 대응관계는, 통신정보와 주소록 앱의 대응관계, 계산식과 계산기 앱의 대응관계, 숫자와 페이앱의 대응관계, 단어와 단말기 시스템의 대응관계, 문장과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맵, 이미지 라이브러리 등)의 대응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여기서 일컫는 문장은 적어도 술어와 목적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장을 가리키며, 여기서 일컫는 단어는 형태소로 구성된 것으로 독립적 운용이 가능한 가장 작은 언어이다.
단계 202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한다.
여기서,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의 유형을 인식하는 바, 예를 들어 앱에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사람 이름, 닉네임 등을 포함)인지, 숫자인지, 계산공식인지, 한마디 말 또는 한 개의 단어인지를 인식한다.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당해 입력된 메시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내용에 따라 상이한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처리하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해당 처리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당해 처리결과에 따라 후속되는 조작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203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한다.
여기서,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아래와 같은 몇가지 처리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형태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한다.
두 번째 형태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 번째 형태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네 번째 형태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 시스템을 호출하고 상기 단어를 상기 단말기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시스템으로 상기 단어에 기초하여 자체에 인스톨된 응용 프로그램을 조회하여 상기 단어가 매칭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섯 번째 형태에 있어서,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하나의 완전한 문장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문장을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문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4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한다.
단계 205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203의 다섯 가지 형태에 각각 대응하여 단계 205도 아래와 같은 다섯 가지의 처리 형태를 구비한다.
첫 번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통신정보가 저장된 주소록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를 표기하고 표기된 후의 상기 통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형태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통신정보(예를 들면 사람 이름)일 경우, 단말기의 자체 전화부 또는 단말기에 인스톨된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할 수 있고,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람 이름에 대응하는 연락방법(예를 들면 전화, 주소, 메일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계정 등)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통신정보를 구비하는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표식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클릭하여 열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문자 발송 또는 조회 조작을 구현할 수 있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찾아서 열 필요가 없게 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사람 이름을 표기하여, 유저에게 상기 사람 이름이 유저의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친구 중에 존재함을 알린다.
두 번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상기 계산식의 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 정보 옵션 항목에 상기 식별자 또는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형태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계산식일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계산기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상기 계산식을 산정할 수 있고, 계산결과를 리턴하여 하나의 후보 단어로 하여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결과를 조회하거나 또는 선택 사용하도록 할수 있다.
세 번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유저에게 상기 숫자와 관련된 이체 조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 번째 형태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한 개의 숫자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에 인스톨된 페이앱을 호출하여 당해 페이앱이 상기 숫자에 대해 예를 들어 비용차감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유저에게 해당 금액의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함으로써, 유저가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하나의 후보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 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표시된 페이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네 번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단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되어 상기 단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 번째 형태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의 시스템을 호출하여 당해 단말기에 명칭이 상기 단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및 인스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매칭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후보 단어의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 번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하나의 완전한 문장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문장에 대한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섯 번째 형태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문장(예를 들면 "나 지금 ××광장의 분수 옆에 있어")을 입력하였을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맵)을 호출할 수 있고, 당해 맵에서 "××광장의 분수"를 검색하여 검색된 주소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리턴함으로써 유저가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가 상기 정보를 편집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한다.
요컨대, 본 기술방안은,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또한 해당 처리결과를 표시할 수 있음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 가능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실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에 나타내지 않은 자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3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30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해 단말기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300)는,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인식 모듈(301);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앱 호출 모듈(302);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수신 모듈(303);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 모듈(304)를 포함할 수 있다.
요컨대, 본 기술방안은,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에 따라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또한 해당 처리결과를 표시할 수 있음으로써, 한 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4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40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해 단말기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400)는,
메시지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호출 대응관계를 확정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저장 모듈(401);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인식 모듈(402);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앱 호출 모듈(403);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수신 모듈(404);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 모듈(405)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앱 호출 모듈(403)은,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도록,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정보 표시 모듈(405)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서브 모듈(4051);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통신정보가 저장된 주소록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서브 모듈(4052);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한 결과 상기 통신정보가 상기 주소록에 존재함을 확인했을 경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를 표기하고 표기된 후의 상기 통신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3 표시 서브 모듈(405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통신정보(예를 들면 사람 이름)일 경우, 단말기의 자체 전화부 또는 단말기에 인스톨된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할 수 있고,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람 이름에 대응하는 연락방법(예를 들면 전화, 주소, 메일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계정 등)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통신정보를 구비하는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표식을 후보 단어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클릭하여 열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어 문자 발송 또는 조회 조작을 구현할 수 있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를 찾아서 열 필요가 없게 된다. 또는, 상기 통신정보가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주소록에 존재할 경우, 상기 사람 이름을 표기하여, 유저에게 상기 사람 이름이 유저의 전화부 또는 IM 소프트웨어의 친구 중에 존재함을 알린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앱 호출 모듈(403)은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정보 표시 모듈(405)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상기 계산식의 뒤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4 표시 서브 모듈(4054);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 정보 옵션 항목에 상기 식별자 또는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5 표시 서브 모듈(405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이 한 개의 계산식일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계산기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상기 계산식을 산정할 수 있고, 계산결과를 리턴하여 하나의 후보 단어로 하여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결과를 조회하거나 또는 선택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앱 호출 모듈(403)은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정보 표시 모듈(405)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유저에게 상기 숫자와 관련된 이체 조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한 개의 숫자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에 인스톨된 페이앱을 호출하여 당해 페이앱이 상기 숫자에 대해 예를 들어 비용차감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유저에게 해당 금액의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함으로써, 유저가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비용을 상대방 연락인에게 송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하나의 후보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 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표시된 페이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데스크톱에 돌아가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앱 호출 모듈(403)은 상기 단말기 시스템을 호출하고 상기 단어를 상기 단말기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시스템으로 상기 단어에 기초하여 자체에 인스톨된 응용 프로그램을 조회하여 상기 단어가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정보 표시 모듈(405)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단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되어 상기 단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통신정보, 계산식 또는 숫자 이외의 단어를 입력하였을 경우, 당해 단말기의 시스템을 호출하여 당해 단말기에 명칭이 상기 단어와 연관된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및 인스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매칭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후보 단어의 선택 사항으로 하여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후보 단어 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하나의 완전한 문장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앱 호출 모듈(403)은 상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문장을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문장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하나의 완전한 문장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정보 표시 모듈(405)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문장에 대한 처리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방안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문장(예를 들면 "나 지금 ××광장의 분수 옆에 있어")을 입력하였을 경우, 단말기에 인스톨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맵)을 호출할 수 있고, 당해 맵에서 "××광장의 분수"를 검색하여 검색된 주소를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리턴함으로써 유저가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가 상기 정보를 편집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관하여, 그 중 각 모듈이 조작을 수행함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전술된 방법 관련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하였기에 여기서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500)에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5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 등 단말 기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500)는, 처리 어셈블리(502), 메모리(504), 전원 어셈블리(5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 오디오 어셈블리(5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512), 센서 어셈블리(514) 및 통신 어셈블리(516)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502)는 일반적으로 장치(500)의 전반적인 조작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5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20)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502)는, 다른 어셈블리와의 인터랙션의 편의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어셈블리(5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와의 인터랙션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장치(500)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500)에 있어서 작동하는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에 관한 인스트럭션,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ROM(Read Only Member), 자기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506)는 장치(5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500)를 위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에 관련되는 다른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는 장치(500)와 유저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은,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유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형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나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나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 시간이나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는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5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나 동영상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 및 리어 카메라는 각각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고, 가변 초첨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5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5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5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504)에 기억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5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어셈블리(5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인터페이스(512)는 처리 어셈블리(5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시작 버튼, 잠금 버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장치(500)를 위하여 각 방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514)는 장치(500)의 온/오프 상태나 또는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장치(5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인 경우, 센서 어셈블리(514)는 장치(500) 또는 장치(5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유저와 장치(500) 사이의 접촉의 유무, 장치(5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또는 장치(5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아무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부근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화상 표시 기술 분야에 이용되는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센서 어셈블리(5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516)는 장치(500)와 기타 다른 설비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500)는 통신 표준에 기반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5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5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은,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기술, UWB(Ultra Wide Band) 기술, BT(Bluetooth) 기술 및 기타 다른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500)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500)의 프로세서(520)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통하여 상술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이 기억되고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 예를 들어 인스트럭션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5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저장매체의 인스트럭션이 장치(5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장치(500)는 전술된 정보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구현되는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보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7)

  1.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시지 내용과 응용 프로그램간의 호출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 삭제
  4. 삭제
  5.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상기 계산식의 뒤에 표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 정보 옵션 항목에 식별자 또는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7.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유저에게 상기 숫자와 관련된 이체 조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인식 모듈;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앱 호출 모듈;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수신 모듈;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인식 모듈;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앱 호출 모듈;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수신 모듈;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상기 계산식의 뒤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4 표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계산식을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 정보 옵션 항목에 식별자 또는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한 계산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5 표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9.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인식 모듈;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앱 호출 모듈;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수신 모듈;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표시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앱 호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앱의 식별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유저에게 상기 숫자와 관련된 이체 조작을 진행할지 여부를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유저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인식하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여 얻은 처리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통신정보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주소록을 호출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상기 주소록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에 대해 매칭 조회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주소록은 자체 전화부 또는 IM 앱의 주소록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결과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유저가 입력한 통신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주소록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정보를 매칭 조회하여 얻은, 상기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기타 통신정보를 순서에 따라 표시하거나,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계산식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계산기를 호출하고 상기 계산식을 상기 계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산기로 상기 계산식을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인식된 메시지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처리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입력한 메시지가 숫자임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앱을 호출하고 상기 숫자를 상기 페이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페이앱을 통하여 상기 숫자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6.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27. 청구항 26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7007432A 2015-12-01 2015-12-29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58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62737.9A CN105376412A (zh) 2015-12-01 2015-12-01 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CN201510862737.9 2015-12-01
PCT/CN2015/099389 WO2017092121A1 (zh) 2015-12-01 2015-12-29 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030B1 true KR101758030B1 (ko) 2017-07-14

Family

ID=5537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432A KR101758030B1 (ko) 2015-12-01 2015-12-29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155604A1 (ko)
EP (1) EP3176999B1 (ko)
JP (1) JP2018504865A (ko)
KR (1) KR101758030B1 (ko)
CN (1) CN105376412A (ko)
MX (1) MX363112B (ko)
RU (1) RU2639685C2 (ko)
WO (1) WO20170921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256A (ko) * 2018-04-03 2019-11-06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송금 기능이 탑재된 메신저에서 메시지 내용을 인식하여 송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514413B2 (en) 2018-04-03 2022-11-29 Line Pa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ittance function by recognizing content of a message in a messenger application with remittance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5134A1 (en) * 2017-06-26 2020-05-06 Nautilus, Inc. Storable exercise bench
CN107329844A (zh) * 2017-06-30 2017-11-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
CN107690017A (zh) * 2017-09-19 2018-02-13 北京安云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拨号盘中信息的加载方法和装置
CN110059304B (zh) * 2018-01-19 2024-05-2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10951773B2 (en) * 2019-03-05 2021-03-16 Textno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ggesting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7960B2 (ja) * 1994-09-1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212693A (ja) * 1998-01-20 1999-08-06 A Prime:Kk 手書きの文字・符号を識別して、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を実行する装置
JP2000122768A (ja) * 1998-10-14 2000-04-28 Microsoft Corp 文字入力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0207338A (ja) * 1999-01-20 2000-07-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7966373B1 (en) * 1999-02-02 2011-06-21 Dialogic Communications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messages and processing of message responses
JP2000222522A (ja) * 1999-02-04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識処理装置
JP2000278391A (ja) * 1999-03-26 2000-10-06 Nec Saitama Ltd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2003169374A (ja) * 2001-11-30 2003-06-13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とその制御モジュール及び計算制御プログラム
JP3990253B2 (ja) * 2002-10-17 2007-10-10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2005216102A (ja) * 2004-01-30 2005-08-11 Toshiba Solutions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による画像処理方法
JP5238249B2 (ja) * 2004-04-01 2013-07-17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ンダリングされた文書からのハンドヘルド装置を用いたデータ取得
US7580363B2 (en) * 2004-08-16 2009-08-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ntact selection in communication devices
JP2008522470A (ja) * 2004-11-25 2008-06-26 フランス テレコム 端末ユーザ識別情報モジュールを接続した通信端末を保護する方法
CA2615659A1 (en) * 2005-07-22 2007-05-10 Yogesh Chunilal Rathod Universal knowledge management and desktop search system
US7730081B2 (en) * 2005-10-18 2010-06-01 Microsoft Corporation Searching based on messages
WO2008147919A1 (en) * 2007-05-22 2008-12-04 Nuance Communications, Inc. Keyword-based services for mobile device messages
JP5184008B2 (ja) * 2007-09-03 2013-04-17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情報処理装置および携帯電話端末
US20100017741A1 (en) * 2008-07-16 2010-01-21 Nokia Corporation Start of an application from an idle state display mode of a mobile terminal
WO2010123426A1 (en) * 2009-04-24 2010-10-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voking local communication application services
US8213971B2 (en) * 2009-04-27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computer applications with SMS messaging
US20110087739A1 (en) * 2009-10-12 2011-04-14 Microsoft Corporation Routing User Data Entries to Applications
JP5473657B2 (ja) * 2010-02-12 2014-04-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8527530B2 (en) * 2010-03-22 2013-09-03 Sony Corporation Destination prediction using text analysis
CN101916196A (zh) * 2010-07-19 2010-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30279A (ko) * 2011-11-16 2014-03-11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9173074B2 (en) * 2012-05-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Personal hub presence and response
JP6134107B2 (ja) * 2012-08-28 2017-05-24 株式会社オービックビジネスコンサルタ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866785A (zh) * 2012-08-29 2013-01-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文字输入方法、系统以及装置
CN103049288A (zh) * 2012-12-10 2013-04-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启动Android设备的应用的方法、装置及设备
JP6205568B2 (ja) * 2013-01-16 2017-10-04 株式会社日本デジタル研究所 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243273A (zh) * 2013-06-09 2014-12-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即时通讯客户端显示信息的方法及设备和信息显示系统
CN104375845A (zh) * 2013-08-14 2015-0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启动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终端
JP6293890B2 (ja) * 2013-11-15 2018-03-14 クワーン チー インテリジェント フォトニック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コマンド情報の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60021039A1 (en) * 2014-07-21 2016-01-21 Alcatel-Lucent Usa Inc. Message control functions with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60021038A1 (en) * 2014-07-21 2016-01-21 Alcatel-Lucent Usa Inc. Chat-based support of communications and related functions
US10360287B2 (en) * 2015-05-22 2019-07-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fied messaging platform and interface for providing user callouts
US20160344677A1 (en) * 2015-05-22 2016-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fied messaging platform for providing interactive semantic objec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256A (ko) * 2018-04-03 2019-11-06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송금 기능이 탑재된 메신저에서 메시지 내용을 인식하여 송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52546B1 (ko) * 2018-04-03 2022-01-18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송금 기능이 탑재된 메신저에서 메시지 내용을 인식하여 송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514413B2 (en) 2018-04-03 2022-11-29 Line Pa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ittance function by recognizing content of a message in a messenger application with remittanc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6412A (zh) 2016-03-02
RU2016111369A (ru) 2017-10-04
RU2639685C2 (ru) 2017-12-21
WO2017092121A1 (zh) 2017-06-08
JP2018504865A (ja) 2018-02-15
MX363112B (es) 2019-03-08
US20170155604A1 (en) 2017-06-01
MX2016004298A (es) 2017-06-28
EP3176999A1 (en) 2017-06-07
EP3176999B1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030B1 (ko)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7114457A1 (zh) 即时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EP3041204B1 (en) Method for prompting calling request and device for the same
WO2016145861A1 (zh) 来电提醒方法和装置
EP31712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 processing
EP3147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2282544B1 (ko) 상품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4679599A (zh) 在应用程序间进行复制的方法和装置
CN106485660B (zh) 电子地图的缩放方法和装置
CN106354504B (zh) 消息显示方法及装置
CN106528273B (zh) 应用程序管理方法及装置
WO2018000710A1 (zh) WiFi信号图标的展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20160219424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ata
US201703160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resource
CN107463372B (zh) 一种数据驱动的页面更新方法和装置
KR101688176B1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16622B1 (ko)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70075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pplication and smart device using the same
CN106960026B (zh) 搜索方法、搜索引擎和电子设备
CN104572848A (zh) 基于浏览器的搜索方法及装置
CN107179837B (zh) 输入方法及装置
CN106506808B (zh) 对通讯消息提示的方法及装置
CN111031522A (zh) 设备绑定方法、设备绑定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533479A (ja) ファイル送信方法および装置
CN111667827B (zh) 应用程序的语音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