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279A -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279A
KR20140030279A KR1020137035128A KR20137035128A KR20140030279A KR 20140030279 A KR20140030279 A KR 20140030279A KR 1020137035128 A KR1020137035128 A KR 1020137035128A KR 20137035128 A KR20137035128 A KR 20137035128A KR 20140030279 A KR20140030279 A KR 20140030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ontact
command
operation interfa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펭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operation interface invoking instruction)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function item startup instruction)을 수신하고,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하기만 하면,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가 생성될 수 있고, 그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어, 목표 기능 항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연락처와의 통신이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을 통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고;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연락처 다이얼 및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배경화면 공간을 절약한다.

Description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OPERATION INTERFACE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스크린의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더 광범위해지고 있다. 통상, 터치 스크린 전화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때,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의 스크린 위에 디지털 다이얼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디지털 다이얼 상의 번호를 터치하여 연락처(contact)의 전화 번호에 전화를 건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이동 전화의 기능은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다. 동시에, 사람들의 생활 요구의 다양성 및 사교 범위(social circle)의 확장과 더불어, 이동 전화의 애플리케이션 및 주소록 내의 연락처는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연락처를 신속하게 찾는 방법은 이동 전화의 성능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고, 사용자 경험의 핵심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기존 스마트폰에서, 연락처의 아이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이동 전화의 배경화면(desktop)에 놓여 있고, 사용자는 연락처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클릭하여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연락처에 전화를 건다. 그러나,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결국 제한이 있기 때문에, 연락처의 아이콘 및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모두 이동 전화의 배경화면에 두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설령 연락처의 아이콘 및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모두 이동 전화의 배경화면에 두었다고 해도, 배경화면 공간이 사용될 뿐 아니라, 사용자는 룩업(lookup)과 같은 다수의 검색 방법을 통해서만 필요한 연락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이동 전화의 경우, 또한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한 연락처를 신속하게 찾는 것도 불편하고, 배경화면 공간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신속하게 연락처를 찾아 전화를 거는 것이 불편하고, 사용자가 신속하게 애플리케이션 발견하여 그것을 실행하는 것도 불편하며, 배경화면 공간의 사용되는, 기존의 이동 전화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operation interface invoking instruction)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function item startup instruction)을 수신하고,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이얼 생성 유닛(dial generating unit);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도록 구성된 기능 항목 시동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하기만 하면,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목표(target) 기능 항목을 신속,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연락처와의 통신이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contact dial)을 통해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고;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도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따라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연락처 다이얼 및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는 방식에서는 배경화면 공간을 절약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연락처 다이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다이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 첨부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알아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한정하기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수신되고, 그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가 생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한 후에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한다. 따라서,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을 통해 대응하는 연락처를 직접 호출(call)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따라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제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0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연락처 인터페이스(contact operation interface) 호출 명령,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application interface) 호출 명령, 및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digital dialing interface) 호출 명령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 인터페이스는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를 호출(invoke)하도록 구성되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구성되고;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연락처 다이얼을 생성하고, 연락처 다이얼에 연락처의 명칭 및/또는 사진을 표시하여,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연락처 다이얼은 상용(frequent) 연락처 다이얼일 수 있고,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된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취득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연락처 다이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지만, 상용 연락처 다이얼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에 의해,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된 연락처를 미리 구성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락처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연락처 설정 명령에 의해 특정된 하나 이상의 연락처를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 설정 명령을 통해 특정된 연락처가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표 연락처를 출력된 연락처에서 선택하는 데 편리하다.
이동 단말기 내의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를 취득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 내의 연락처의 통화 빈도(calling freqency), 메시지 전송 빈도, 및 이메일 사용 빈도 중 하나에 대한 통계를 내어, 빈도가 최고인 상위 N개(N은 1 이상)의 연락처를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로서 설정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의 연락처의 통화 빈도, 메시지 전송 빈도, 및 이메일 사용 빈도 중 적어도 두 개의 벡터 합(vector sum)에 대한 통계를 내어, 벡터 합이 최고인 N개의 연락처를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로 설정하며, 여기서 N은 1 이상이다. 벡터 합은, 통계상 각각의 항목에 대해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한 비율이 설정되고, 그 비율의 합이 100%인 것을 가리키며;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해 통계를 내는 것이 연락처의 통화 빈도, 메시지 전송 빈도, 및 이메일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는 것이고, 연락처의 통화 빈도의 비율은 60%이고, 메시지 전송 빈도의 비율은 20%이고, 이메일 사용 빈도의 비율의 20%이며, 그 통계를 내어 취득된 실제 통화 빈도가 x이고, 실제 메시지 전송 빈도가 y이고, 실제 이메일 사용 빈도가 z이면, 벡터 합 H는 H=x*60%+y*20%+z*20%이다.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낼 때, 이동 단말기에서의 일정 기간 내의 연락처의 사용 횟수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 빈도는 일 주일 동안에 사용 횟수이거나 한 달 동안에 사용 횟수일 수 있다.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이 생성되고, 그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여,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은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일 수 있다.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대해 통계를 내어 취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지만, 사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은 이 예의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에 의해,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구성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설정 명령에 의해 특정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설정 명령을 통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통해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출력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선택하는 데 편리하다.
이동 단말기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usage freqency)에 대한 통계를 내어, 사용 빈도가 최고인 상위 M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설정하며, 여기서 M은 1 이상이다.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디지털 다이얼을 생성하여,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생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다이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S102: 사용자에 의해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하고,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능 항목 기동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터치하여 입력하거나 키(key)를 클릭하여 입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은 통신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을 포함한다. 통신 명령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전송 명령, 통화(call) 명령, 및 이메일 전송 명령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 또는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디지털 다이얼에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전송하면, 그것은 통신 명령이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전송하면, 그것은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이다.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통화 명령이 수신된 때, 그 통화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의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화가 개시되거나 그 통화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화가 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이 수신된 때, 그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시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하기만 하면,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가 생성될 수 있고,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목표 기능 항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시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주 연락하는 연락처를 연락처 리스트 내의 연락처로 설정할 수 있다. 연락처 다이얼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연락처 리스트는 연락처 다이얼 내에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통신(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전송, 통화 등)해야 하는 연락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자주 시동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다이얼 내에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시동되어야 할 애플리케이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연락처 다이얼 및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배경화면 공간이 절약된다.
우선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는, 스위칭되어야 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의해 특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 호출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다른 유형의 기능을 호출하여야 하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다이얼링 기능을 호출하기 위해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디지털 다이얼을 사용하여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공되는 일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시동해야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의해 특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자는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시동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전송하는 것; 또는 사용자가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의 다이얼을 슬라이딩하여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전송하는 것; 또는 사용자가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우 키(예를 들면, 좌우 화살표 키 등)를 통해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위칭은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조작 인터페이스 중에서 무작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다이얼을 구비한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연락처 다이얼을 구비한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이한 다이얼을 구비한 복수의 조작 인터페이스 중에서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상이한 유형의 기능을 호출하는 데 편의를 제공하고, 다른 조작 인터페이스로 진입하기 전에 하나의 조작 인터페이스로부터 나가는 복잡함을 회피한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본 장치는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단말기 내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유닛, 하드웨어 유닛,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합된 유닛일 수 있거나, 독립적인 위젯(widget)으로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조작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 및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 인터페이스는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구성되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구성되고;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작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은 연락처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1),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2), 및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3)을 포함한다.
연락처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1)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연락처 다이얼을 생성하고, 연락처 다이얼에 연락처의 명칭 및/또는 사진을 표시하여,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연락처 다이얼은 상용 연락처 다이얼일 수 있고,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취득된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2)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여,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은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일 수 있다. 상용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취득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13)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디지털 다이얼을 생성하고, 디지털 다이얼에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표시하여,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기능 항목 시동 유닛(22)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하고, 그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 또는 키를 클릭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은 통신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을 포함한다. 통신 명령은 단문 메시지/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명령, 통화 명령, 이메일 전송 명령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 또는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디지털 다이얼에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전송하면, 그것은 통신 명령이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전송하면, 그것은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능 항목 시동 유닛(22)은 통신 유닛(221)과 애플리케이션 시동 유닛(222)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통신 명령을 수신한 때, 통신 유닛(221)은 통신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의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신 연결을 개시하거나, 통신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신 연결을 개시한다. 통신 연결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특정된 연락처에 전송하는 것, 특정된 연락처에 통화하는 것, 또는 이메일을 특정된 연락처에 전송하는 것 등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을 수신한 때, 애플리케이션 시동 유닛(222)은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시동한다.
우선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유닛(23)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고 스위칭되어야 할 조작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수신한 때, 인터페이스 스위칭 유닛(23)은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의해 특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능 다이얼 스위칭 명령은, 사용자가 아이콘을 터치하여 전송하는 다이얼 스위칭 명령; 사용자가 디이얼을 슬라이딩하여 전송하는 다이얼 스위칭 명령; 또는 사용자가 좌우 키(예를 들면, 좌우 화살표 키)를 눌러서 전송하는 다이얼 스위칭 명령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입력하기만 하면,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가 생성될 수 있고, 그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어, 목표 기능 항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연락처와의 통신이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을 통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고;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도 또한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연락처 다이얼 및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는 방식에서는 배경화면의 공간을 절약한다.
전술한 장치 실시예에 포함된 유닛들은 단지 기능 로직(function logic)에 따라 분할될 뿐이지만,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기만 하면 전술한 분할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기능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은 단지 유닛들을 서로 구별하는 편의를 위해 부여된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기능 항목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완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단계들은 컴퓨터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완성될 수 있다. 그 프로그램은 임의 접근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와 같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Claims (16)

  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operation interface invoking instruction)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function item startup instruction)을 수신하고,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연락처 인터페이스(contact interface) 호출 명령,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application interface) 호출 명령, 및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digital dialing interface) 호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는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상기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연락처 다이얼을 생성하고, 상기 연락처 다이얼에 연락처의 명칭 및/또는 사진을 표시하여, 상기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상기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디지털 다이얼을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다이얼에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표시하여, 상기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다이얼은 상용(frequent) 연락처 다이얼이고; 상용 연락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취득되는 연락처인,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를, 이동 단말기 내의 연락처의 사용 빈도에 대한 통계를 내어 취득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연락처의 통화 빈도(calling freqency), 메시지 전송 빈도, 및 이메일 사용 빈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통계를 내고, 빈도가 최고인 상위 N개(N은 1 이상)의 연락처를 상기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로서 설정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연락처의 통화 빈도, 메시지 전송 빈도, 및 이메일 사용 빈도 중 적어도 두 개의 벡터 합(vector sum)에 대한 통계를 내고, 벡터 합이 최고인 N개(N은 1 이상)의 연락처를 상기 상용 연락처 다이얼에 표시되는 연락처로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은 통신 명령 및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명령은 단문 메시지/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명령, 통화 명령, 및 이메일 전송 명령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은,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터치하거나 키를 클릭하여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키를 클릭하여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 또는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디지털 다이얼에 따라 전송되는, 통신 명령인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의 연락처 번호(contact number)에 따라 통신 연결을 개시하거나, 상기 통신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신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따라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인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는, 스위칭되어야 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의해 특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전송하는 것;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의 다이얼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전송하는 것;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의 좌우 화살표 키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1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조작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기능 항목을 시동하도록 구성된 기능 항목 시동 유닛
    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은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 및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는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은,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연락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연락처 다이얼을 생성하고, 상기 연락처 다이얼에 연락처의 명칭 및/또는 사진을 표시하여,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연락처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을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여,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 및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이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호출 명령일 때, 디지털 다이얼을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다이얼에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표시하여,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다이얼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항목 시동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연락처 다이얼 또는 디지털 다이얼링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디지털 다이얼에 따라 전송되는, 통신 명령인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의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신 연결을 개시하거나, 상기 통신 명령에 의해 특정된 연락처 번호에 따라 통신 연결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다이얼에 따라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인 상기 기능 항목 시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동 명령에 의해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시동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개시 유닛을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는, 스위칭되어야 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수신하고, 현재 조작 인터페이스를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의해 특정된 조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다이얼 스위칭 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7035128A 2011-11-16 2011-11-16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40030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82262 WO2012097636A2 (zh) 2011-11-16 2011-11-16 一种操作界面管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279A true KR20140030279A (ko) 2014-03-11

Family

ID=4651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5128A KR20140030279A (ko) 2011-11-16 2011-11-16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23073A1 (ko)
EP (1) EP2713252A4 (ko)
KR (1) KR20140030279A (ko)
CN (1) CN102713820A (ko)
WO (1) WO20120976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9544A (zh) * 2012-11-28 2013-04-03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创建用户界面对象和基于触摸显示屏的操作方法及装置
CN103034397B (zh) * 2012-11-29 2015-10-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最近任务的动态解锁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2999268B (zh) * 2012-11-29 2015-06-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应用使用次数的动态解锁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823672B2 (en) 2012-11-30 2017-1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HVAC system
CN103036772A (zh) * 2012-12-21 2013-04-10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消息发送方法及装置
CN103227846B (zh) * 2013-04-10 2015-07-08 华为终端有限公司 拨号方式确定方法及终端设备
CN103544020A (zh) * 2013-10-31 2014-01-2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显示应用软件图标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124321B1 (ko) * 2014-04-30 2020-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연락처와 통신하는 방법
CN104360792B (zh) * 2014-11-03 2017-10-17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操作联系人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618591B (zh) * 2015-01-27 2017-12-19 上海华豚科技有限公司 移动通讯设备联系人及应用程序的双主页显示方法及装置
CN104935712B (zh) * 2015-06-10 2018-06-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公共服务通讯的连接建立方法和装置
CN105376412A (zh) * 2015-12-01 2016-03-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US10151504B2 (en) 2016-04-28 2018-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bile device for building control with adaptive user interface
CN106790905A (zh) * 2016-12-22 2017-05-31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拨号方法及其终端
CN109032710B (zh) * 2017-06-09 2022-05-24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界面调整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7390928A (zh) * 2017-07-24 2017-11-24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触控显示屏的定位方法及移动终端
WO2019041138A1 (zh) * 2017-08-29 2019-03-07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应用快速启动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07908437A (zh) * 2017-10-30 2018-04-13 江西博瑞彤芸科技有限公司 用于终端的快捷功能实现方法
USD846596S1 (en) * 2018-02-05 2019-04-23 Lindsey A. Berry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 computer icon image
CN110879679B (zh) * 2019-11-12 2022-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40568A (zh) * 2020-01-08 2020-06-05 北京淳中科技股份有限公司 按钮功能复用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459370B (zh) * 2020-05-09 2021-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歌曲播放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00994B (zh) * 2020-05-14 2022-05-31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快捷操作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2523B2 (en) * 2007-01-07 2011-12-20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application switching
US8525802B2 (en) * 2008-03-31 2013-09-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N101365008A (zh) * 2008-09-12 2009-02-11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通讯录排序的方法和终端
KR2011000470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4040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CN101867646A (zh) * 2010-03-01 2010-10-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快速通讯的方法及移动终端
CN102033710B (zh) * 2010-04-07 2015-03-11 苹果公司 用于管理文件夹的方法和相关设备
CN101950235B (zh) * 2010-08-23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触摸屏界面滑动的方法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3820A (zh) 2012-10-03
EP2713252A4 (en) 2014-08-13
EP2713252A2 (en) 2014-04-02
WO2012097636A2 (zh) 2012-07-26
US20140123073A1 (en) 2014-05-01
WO2012097636A3 (zh)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279A (ko) 조작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기
CN114629865B (zh) 与动态扩展应用程序交互的即时消息系统
RU2673697C2 (ru) Плавные переходы вызовов
US20100105440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ome Screen
CA2731745A1 (en) Contact objects
JP2014216868A (ja) 通信端末、および情報送信方法
KR200901265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최근 통화 목록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02580A (ko) 이동 통신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3513861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WO2014117569A1 (en) Dialing method, dial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3176686A (zh) 移动终端和触摸屏解锁方法
US20100083150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 case based interface
CN106648746A (zh) 一种应用程序的执行方法和装置
CN105426192A (zh) 信息修改方法及终端
CN112087364A (zh) 会话列表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048757A (zh) 任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50234546A1 (en) Method for Quickly Displaying a Skype Contacts List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CN107535013B (zh) 一种业务处理方法及终端
CA276841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WO2016168215A1 (en) Managing the placement of an outgoing call
CN110865850A (zh) 一种双桌面终端的桌面配置方法及终端
CN104536653A (zh) 基于列表项的图像更新方法及系统
US20120214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CN111221512B (zh) 功能模块混用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10125419A1 (en) Notification hand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