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847B1 -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847B1
KR101757847B1 KR1020150024008A KR20150024008A KR101757847B1 KR 101757847 B1 KR101757847 B1 KR 101757847B1 KR 1020150024008 A KR1020150024008 A KR 1020150024008A KR 20150024008 A KR20150024008 A KR 20150024008A KR 101757847 B1 KR101757847 B1 KR 10175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ist
spine
reinforcing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444A (ko
Inventor
서진원
Original Assignee
서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원 filed Critical 서진원
Priority to KR102015002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8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45Attachment of spring inlays to coverings; Use of stiffening sheets, lattices or grids in, on, or under spring inlays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부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허리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허리보강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척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척추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척추보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허리부분 뿐 아니라 척추부분을 추가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리스{Mattress}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편안한 수면과 휴식이 가능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누운 사용자를 지지하는 매트리스와 이러한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받침대와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침대의 구성 중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매트리스는, 그 내부에 다수의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전체적인 탄력을 제공한다. 코일스프링은 상호 독립적인 다수의 독립형 스프링이 될 수도 있고, 상호 연결된 스프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매트리스는 내부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이 전체면적에 걸쳐 동일하게 때문에, 전체 면적에 걸쳐 동일한 정도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하지만, 사용자에 매트리스에 누운 경우, 사용자에 의해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분포는, 전체적으로 균등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둔부를 포함한 허리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다른 부분에 비해 크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은 종래의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력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는 등 견고한 지지력을 느낄 수 없게 될 수 잇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일부 매트리스 중에는 허리부분의 지지력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매트리스는 허리부분 만에 대한 추가 지지력을 고려할 뿐 인체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
이로 인해,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는 느낌으로 편안하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
공개특허공보 10-2005-00316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부분에 대한 추가 지지력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척추에 대해서도 추가 지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몸 전체에 걸쳐 안정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부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허리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허리보강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척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척추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척추보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허리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 2개의 가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양 측면을 따라 바닥까지 연장형성된 높이지지부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가로지지부 및 높이지지부는 상호 연결된 금속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높이지지부는 연장형성되되, 외측을 향해 연장되다가 중간 부분에서 내측을 항해 꺾이고, 그 꺾이는 부분에는 원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며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척추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금속와이어부재가 지그재그로 구부러지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척추보강부는, 상기 몸체몸체면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상호이격된 2줄의 금속와이어부재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와이어부재는 지그재그로 구부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척추보강부의 폭은 2cm 이상 10cm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가 2인용 크기인 경우, 상기 척추보강부는 2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따른 매트리스에 의하면, 허리부분에 대한 추가 지지력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척추에 대해서도 추가 지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몸 전체에 걸쳐 안정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트리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허리보강부 만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척추보강부 만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1)는, 몸체(10), 허리보강부(20) 및 척추보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매트리스(1)는, 내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구조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이러한 몸체(10)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천소재 등의 덮개부재를 구비한다. 허리보강부(20) 및 척추보강부(30)도 몸체(10)에 추가로 구비되며, 덮개부재로 감싸져 외부로 보여지지는 않는다.
몸체(10)는 상부테두리(12)와 하부테두리(14)와, 그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스프링부재(16)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에는 천소재 등의 덮개부재가 구비된다. 한편, 도 2에 제시된 몸체(10)는 도 1의 몸체(10)에서 덮개부재를 생략한 도면이다.
스프링부재(16)는 상호 분리된 소위 독립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호 연결된 스프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재(16)의 분포 밀도나 구체적인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리보강부(20)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구비된다. 허리보강부(2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대략 몸체(10)의 세로방향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즉, 상하 세로방향의 폭이 좌우 가로방향의 길이 보다 작다.
본 실시예의 경우, 허리보강부(20)는, 가로지지부와 높이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지지부는, 몸체(10)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되, 2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지지부는 '21'과 '22'로 지시되는 부재이다. 한 쌍의 가로지지부(21, 22)는, 각각 몸체(10)를 구성하는 좌, 우의 상부테두리(12)를 상호 연결하는 형식으로 구비된다. 상호 이격된 폭은 사용자의 신체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정도로 정해진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가로지지부는 몸체의 하측면에도 같은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몸체의 위와 아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허리보강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지지부는, 가로지지부(21, 22)의 양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몸체의 양 측면을 따라 바닥까지 연장형성된다.
높이지지부는, 도 3을 참조하면, '23'. '24', '25', '26', '29'로 지시되어 있다. 즉, 허리보강부(2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높이지지부(23, 24, 25, 26, 29)는, 상부 부분(29로 지시된 것 중 상부)의 양단부로부터 바닥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다가(23, 24로 지시된 부분), 중간 부분에서 고리부(25, 26)를 형성하며 다시 내측을 항하도록 꺾여 연장된다.
허리보강부(20)의 높이지지부는, 하나의 강선을 가지고 구부려서, 바깥쪽으로 벌어진 육각형을 만들되, 중간부분에 고리부(25, 26)가 구비되도록 하여 만든다.
허리보강부(20)의 가로지지부(21,22)와 높이지지부(23, 24, 25, 26, 29)는 상호 결합되어 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높이지지부(23, 24, 25, 26, 29), 가로지지부(21, 22)와 연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보다 탄탄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허리보강부(20), 특히 높이지지부로 인해, 사용자가 자주 걸터앉는 것으로 인해 꺼질 수 있는 매트리스 가장자리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척추보강부(30)는, 몸체(10)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척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척추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인간의 신체는 세로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도 하중도 다르기 때문에, 차별화된 지지력을 척추를 중심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종래 매트리스에서는 척추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척추보강부(30)를 구비하여, 척추에 대해 추가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인체의 다른 부분보다 척추가 위치한 부분을 보다 강한 지지력으로 받쳐주게 되면, 사용자는 보다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눕는 경우, 척추부분은 척추보강부(3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되, 그 척추의 양측으로는 다소 푹신한 느낌으로 지지되어, 사용자는 종래 매트리스에 비해 더욱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척추보강부(30)는, 몸체(10)의 상면에 세로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 척추보강부(3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부재가 지그재그로 구부러지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척추보강부(30)는, 상호 이격된 2줄의 금속와이어부재(32, 33)로 구비되어 있다. 각 금속와이어부재(32, 33)가, 지그재그로 구부러져 있게 되면, 보다 효과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척추보강부(30)의 폭(W)은, 사용자의 척부폭에 대응되는 값을 가지게 되는데, 2cm 이상 10cm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cm 보다 폭이 좁은 경우나, 10cm 보다 폭이 넓은 경우에는 척추지지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척추보강부(30)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 골격 부분만을 더 탄탄하게 받쳐주고 척추 양옆의 등 근육, 척추 주변 근육의 경우에는 추가 지지력 없이, 부드러운 느낌으로 받쳐주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인용 매트리스이므로, 양측에 하나씩 모두 2개의 척추보강부(30)가 구비되어 있다.
허리보강부(20) 및 척추보강부(30)는, 기제작된 몸체(10)에 철사, 노끈 등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용접 또는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추가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의 제작과 함께 허리보강부와 척추보강부가 동시에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트리스(1)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1)는 허리보강부(20)와 척추보강부(3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부분은 물론 척추부분을 보다 탄탄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견고하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허리보강부(20)가 상면 및 본체의 측면에 하단부까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부분을 추가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매트리스의 모서리 부분이 잦은 하중으로 인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리보강부(20)가 그 측면에 원 형상의 고리부(25, 26)를 구비한 형상이기 때문에, 추가 탄성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보다 부드러운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척추보강부(30)가 금속와이어가 지그재그로 구부러진 형상이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척추를 추가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척추보강부(30)가 상호이격된 2줄의 금속와이어부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는, 1인용 매트리스가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덮개 부재는 생략되고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매트리스(1a)는, 상부테두리(12a), 하부테두리(14a) 및 내부 스프링(16a)들을 구비한 몸체(10a)와, 그 몸체(10a)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허리보강부(20a)와 척추보강부(30a)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작용효과는 앞선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그대로 혹은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매트리스
10: 몸체 20: 허리보강부
30: 척추보강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부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허리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허리보강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누웠을 때 그 사용자의 척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척추부분을 추가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척추보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허리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 2개의 가로지지부와,
    상기 가로지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양 측면을 따라 바닥까지 연장형성된 높이지지부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가로지지부 및 높이지지부는 상호 연결된 금속와이어이고,
    상기 각 높이지지부는, 상기 가로지지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상부부분과, 이러한 상부부분과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기 몸체의 바닥부분에 위치한 하부부분과, 상기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의 양단부를 연결하되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연장되다가 중간위치에서 원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며 다시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연장 형성된 중간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높이지지부는, 육각형의 형상이고, 하나의 강선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강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금속와이어부재가 지그재그로 구부러지며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강부는, 상기 몸체면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되, 상호이격된 2줄의 금속와이어부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와이어부재는 지그재그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보강부의 폭은 2cm 이상 10cm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2인용 크기인 경우, 상기 척추보강부는 2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KR1020150024008A 2015-02-17 2015-02-17 매트리스 KR10175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08A KR101757847B1 (ko) 2015-02-17 2015-02-17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08A KR101757847B1 (ko) 2015-02-17 2015-02-17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44A KR20160101444A (ko) 2016-08-25
KR101757847B1 true KR101757847B1 (ko) 2017-07-14

Family

ID=5688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008A KR101757847B1 (ko) 2015-02-17 2015-02-17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8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621A (ko) 2003-09-30 2005-04-06 조귀태 허리부분 지지층이 보강된 침대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44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384B2 (ja) 介護・医療適性を向上させたマットレス
KR101381423B1 (ko) 기능성 베개
JP2020525257A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KR200469632Y1 (ko) 수면자세 교정용 베개
JP2006311893A (ja)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KR101931519B1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KR20160101646A (ko) 매트리스
JP3211873U (ja) クッション
KR101757847B1 (ko) 매트리스
KR200419580Y1 (ko) 의자용 좌판
US20130291312A1 (en) Foam mattress or cushion with supporting edges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200468081Y1 (ko) 신체 교정용 침대
JP2007000493A (ja) システム枕の高さ調整用シート
KR101734028B1 (ko) 매트리스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KR101488261B1 (ko)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JP3564598B2 (ja) マットレス
KR101400502B1 (ko) 매트리스
KR101381157B1 (ko) 중량을 받쳐주는 모듈이 구비된 매트리스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KR102597742B1 (ko) 베개
JPH01610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