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781B1 -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 Google Patents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781B1
KR101757781B1 KR1020150054328A KR20150054328A KR101757781B1 KR 101757781 B1 KR101757781 B1 KR 101757781B1 KR 1020150054328 A KR1020150054328 A KR 1020150054328A KR 20150054328 A KR20150054328 A KR 20150054328A KR 101757781 B1 KR101757781 B1 KR 10175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sheet
drug
disinfection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758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5005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7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이 번거롭고 주기적으로 살포하여야 하므로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약액 소모량이 많던 종래 기술의 약제 살포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하여, 외부로 접촉되는 일측에 기체 투과성이 있는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된 표피 타측에 방수 피막 코팅층이 형성된 내피로 구성되는 부직포 시트 사이로 살균제 등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된 약제 피복층이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이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상하 수용성 점착제층으로 점착된 층상 구조로서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된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로서, 격자형 부착 구조의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을 이용하여 간편 용이하게 축사 등에 장착할 수 있어 별다른 소독장치 없이도 소나 돼지등을 키우는 축사나 비닐 하우스 등의 외부를 덮고 살균 소독하여 바이러스 등 세균이 외부로 부터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역용 커버 시트나 축사 등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 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농장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소독하기 위한 소독 매트,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수간 보호대 등 광범위하게 사용할 때 약제를 직접 살포하지 않더라도 밀폐된 공간 또는 개방된 공간에서의 간접살포로도 효과적인 방역 및 방제가 가능한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A antifungal non-woven fabric sheet for blocking harmful bacterium}
본 발명은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바이러스(virus)나 병원성 세균, 진균 박테리아 등에 대한 직접적 방제 및 살균을 위한 휘발성의 살균제나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용 살충제, 방충제 및 해충 기피제 등 다양한 용도 기능의 약제를 수작업에 의한 분무 또는 동력분무 등의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도포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지속시간이 짧아 주기적으로 살포하여야 하므로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약액 소모량이 많던 종래 기술의 약제 살포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하여,
외부로 접촉되는 일측에 기체 투과성이 있는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된 표피 타측에 방수 피막 코팅층이 형성된 내피로 구성되는 부직포 시트 사이로 살균제 등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된 약제 피복층이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이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상하 수용성 점착제층으로 점착된 층상 구조로서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된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로서,
격자형 부착 구조의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을 이용하여 간편 용이하게 축사 등에 장착할 수 있어 별다른 소독장치 없이도 소나 돼지 등을 키우는 축사나 비닐 하우스 등의 외부를 덮고 살균 소독하여 바이러스 등 세균이 외부로 부터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역용 커버 시트나 축사 등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 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농장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소독하기 위한 소독 매트,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수간 보호대 등 광범위하게 사용할 때 약제를 직접 살포하지 않더라도 밀폐된 공간에서의 간접살포로도 방역 및 방제가 되므로 구제역, 조류독감, 인플루엔자(influenza), 돼지 인플루엔자, 광우병, 신종 플루 등의 바이러스 등 병원성 유해세균이나 박테리아, 해충 등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축사 등에 수용된 가축이나 이를 부착한 수목 등에 위생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방역은 전염병의 유행을 방지하고 예상되는 전염병의 침입, 유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감염원, 감염경로, 개체의 감수성에 대하여 실시하는 갖가지 처치행위로서,
질병을 퇴치하고자 하는 오랜 인류의 노력은 현대과학의 발달과 함께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어 왔으나 현대문명이 발달한 오늘에 있어서도 우리 인류는 질병의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계속 방역사업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소, 돼지, 닭 등과 같은 가축을 사육하는 경우 계절 및 환경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질병에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데 대표적 질병으로는 바이러스에 의한 구제역, 광우병, 돼지 콜레라, 조류독감 등이 있다.
즉 가축이나 가금에 대한 강한 유행성을 나타내는 바이러스성 질병은 구제역, 조류독감, 인플루엔자(influenza), 돼지 인플루엔자, 광우병, 신종 플루, 돈수포병,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돈콜레라 등이 있으며, 가축에 대한 세균성 질병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탄저병, 브루셀라병, 결핵, 소 렙토스피라병, 유행열, 우역, 이바라기병, 살모넬라균증, 파스투렐라병, 수종병, 톡소플라즈마병, 마이코플라즈마성 폐염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질병의 유행 전파 경로는 사람 및 가축의 이동, 차량이나 농기계 등의 이동, 농축수산물의 유통 등 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전염될 수 있는데 특히 소나 돼지 등 가축의 사육이 대규모화되고 기업화됨으로써 같은 건축물의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개체가 수용되는 구조적 특성상 가축이나 조류 등 전염병의 예방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삭제
즉 축사 및 양계장, 농장 등과 같이 세균이 오염되거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야하는 작업장이나 공공장소에서는 출입자가 출입하는 과정 중에 세균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이 유입되면 구제역, 조류독감, 인플루엔자(influenza), 광우병, 신종 플루 등의 유행성이 강한 전염병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게된다.
종래 유행성이 강한 가축 전염병 등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역조치의 일환으로 사람이나 차량 등의 이동을 통제하거나 축사 지붕부터 바닥까지 소독약을 살포하는 방법으로 축사나 출입자 등에 대한 살균 방역소독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예방 및 방지차원이라기 보다는 발병 후의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지 감염된 지역을 소독하는데 불과하고 수작업에 의한 분무 또는 동력분무 등의 방법으로 산포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중독위험이 높으며 사람과 가축 등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휘발성이 강하여 소독약 살포 순간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지속시간이 짧아 주기적으로 살포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 소요와 약액 소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나무의 수간에 서식하는 병해충을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수목의 병해충 예방용 살충제, 방충제 및 해충 기피제 등 다양한 용도 기능의 방제용 약제를 수간에 살포하는 방법도 지속 효과가 짧아 반복적으로 자주 살포하여야 하고, 약제 살포 과정에서 작업자의 농약 중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양계장 등은 대기는 물론 철새 등의 배설물에 의하여 전파가 되는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덮개 커버 용도 등의 방역포가 구비되지 아니하여 철새에 의하여 전염되는 질병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가축이나 조류, 수목 등의 방역 및 방제 작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되어 방역용 커버 시트나 축사 등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 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농장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소독하기 위한 소독 매트,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수간 보호대 등 광범위하게 사용할 때 약제를 직접 살포하지 않더라도 밀폐된 공간에서의 간접살포로도 방역 및 방제효과가 우수하여 계절 및 환경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질병에 대처할 수 있는 축종별 연중 방역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본 발명의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를 창안하게 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가축이나 조류, 수목의 방역 및 방제 작업은 제반 문제점이 있는바,
축종 등에 관계 없이 살균소독 등의 차단 방역 용도의 소독포나 병해충 예방을 위한 항균시트나 해충 퇴치, 항균, 유해물질 차단 등 살균이나 소독 등 위생 처리가 요구되는 가축이나 조류 등의 모든 방역 및 방제 작업에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바이러스류 및 병원성 유해세균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지속적인 방역 및 방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약제를 직접 살포하지 않더라도 축사 등 밀폐된 공간을 덮거나 출입구 등 개방된 지역에서의 도포만으로도 소독약 등 약제의 발병원 간접살포에 따른 방역 및 방제효과로 축종별 연중 방역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여 유행성 전염병의 확산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를 개발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본 발명에서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이 번거롭고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약액 소모량이 많던 종래 방역 및 방제용 약제 살포 작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하여,
외부로 접촉되는 일측에 기체 투과성이 있는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된 표피 타측에 방수 피막 코팅층이 형성된 내피로 구성되는 부직포 시트 사이로 살균제 등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된 약제 피복층이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이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상하 수용성 점착제층으로 점착된 층상 구조로서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로서,
격자형 부착 구조의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을 이용하여 간편 용이하게 축사 등에 장착할 수 있어 별다른 소독장치 없이도 소나 돼지등을 키우는 축사나 비닐 하우스 등의 외부를 덮고 살균 소독하여 바이러스 등 세균이 외부로 부터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역용 커버 시트나 축사 등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 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농장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소독하기 위한 소독 매트,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수간 보호대 등 광범위하게 사용할 때 약제를 직접 살포하지 않더라도 밀폐된 공간 또는 개방된 공간에서의 도포에 따른 간접살포로도 효과적인 방역 및 방제가 가능한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는 유해균 차단기능을 가지는 항균 부직포 시트로서 ,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로서 병원성 세균이나 진균에 대한 직접적인 방제 살균 효과 및 항균 효과, 해충 퇴치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약제 분무 장치 등 별다른 소독장치 없이도 소나 돼지 등을 키우는 축사나 비닐 하우스 등의 외부를 덮고 살균 소독하여 바이러스 등 세균이 외부로 부터 침투하지 못하도록 질병 발생원으로서 축사 등 밀폐된 공간 또는 축사 입구 등 개방된 공간에서 도포 등의 약제 간접살포에 따른 방역 및 방제효과가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바이러스류 및 병원성 유해세균에 매우 취약한 방역형 축사나 방역형 하우스 등의 방역용 소독포를 구현할 수 있어 축종이나 조류, 수목별 연중 방역시스템 구축으로 가축이나 조류 등의 유행성 전염병의 확산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해균 차단, 살균 및 항균기능을 갖는 항균 부직포 시트로서 살균 소독 또는 살충 등과 같은 방역이나 유해생물 방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하여 약제의 방제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살균 소독 또는 살충 등의 방역 및 방제 유효 기간 및 효능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약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로 부터 바이러스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붕 등의 비 가림이나 바람막이 용도의 방역용 커버 시트로 사용하게 되면 철새의 접근을 방지하고 아울러 분변 낙하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통제함으로써 대기를 통하여 감염되는 가축의 전염병을 차단할 수 있어 공기감염을 줄여주는 방역형 축사나 비닐하우스, 축사 등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 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농장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소독하기 위한 소독 매트,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수간 보호대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때 병원성 세균 등과 같은 유해한 물질들이 축사 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가축 등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는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하여 부직포 시트에 함침된 약제 조성물의 활성 성분이 충분한 양의 지속적으로 방출됨으로써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고 흡수성으로 오랜 시간 경과하여 약제 잔존율이 낮아지면 감소된 양의 소독액 등을 분무기등을 이용하여 살포하고 약제를 보충하는 방법으로 반복적인 약제처리가 가능하여 부직포 시트의 살균력 저하 및 수지 물리적 특성이 열화(劣化)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주 갈아주지 않아도 약제의 살균 방역 소독 및 방제 작용이 지속적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의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의 적층 상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의 전개 상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결속 밴드형 수간 보호대로 사용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방역 축사용 방역포로 사용하는 예시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병원성 세균이나 해충에 대한 직접적인 방제 살균 소독이나 살충 및 해충 기피 등의 약제가 함침되어 약제를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세균이나 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두루마리식의 시트 형상으로 축사나 비닐 하우스 등의 포장 덮개, 소독 매트, 수간 보호띠 등의 용도로 도포 장착되어 방어능력을 촉진시키는 약제 간접살포로 동식물의 방역 및 방제기능을 수행하게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에 있어서,
일측에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차단하는 외부 접촉 약제 보호층으로서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기체 투과성이 있고 기공 막힘 현상 없이 약제를 방출하면서도 햇빛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햇빛에 의한 급속한 증발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약제의 급격한 방출을 억제하는 통기성 부직포 시트로서 일측에 표피(10a)와 타측에 액상의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코팅 피막층(50)이 구비된 내피(10b)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하 부직포 시트(10) 사이로,
동식물의 살균 소독, 살충, 해충기피 용도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약제 원액을 흡착시키는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되어 약제를 흡수하여 저장하여 약제를 머금고 있다가 방출하는 고흡수성의 약제 피복층(30)이 길이 방향 결속끈(40a)과 폭 방향 결속끈(40b)이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상하 보습제 겸용의 상하 수용성 점착제층(20)으로 점착된 층상의 선택적 약제 투과 구조로서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되어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게끔 구성되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는 고흡수성 약제 피복층의 흡수성 수지가 약제를 머금고 있어 평소에는 약제를 방출하게 되며 약제가 소모됨에 따라 살균작용에 필요한 약제 농도에 비하여 약제 농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방역 및 방제효과가 크게 감소하게 되면 수작업 또는 분사노즐을 이용한 동력 분무 방법으로 약제를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 표피에 분사하여 보습 겸용 수용성 접착제층을 경유하여 약제 피복층의 흡수성 수지가 다시 흡착하는 방법으로 약제를 반복적으로 보충(refill)할 수 있게 되어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약제 용출을 제어하면서도 약제를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층의 적층 시트 형상으로 외측으로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된 표피(10a)와 이에 대칭되는 타측에 액상의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코팅 피막층(50)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내피(10b)로 구성되는 부직포 시트(10)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상하 부직포(10) 시트 사이로는 액상의 약제를 흡착하는 복수 개의 수용성 점착제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으로는 약제를 흡수 저장하여 약제를 머금고 있다가 방출하는 고흡수성의 약제 피복층(30)이 형성된 층상 구조의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수용성 점착제층(20)에는 부직포 시트(10)를 고정하여 비바람 등에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고정줄로서 길이 방향 결속끈(40a)과 폭 방향 결속끈(40b)이 종횡 일정 간격의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되어 점착테이프처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본 발명의 부직포 시트(10)를 축사(300)나 하우스 등에 도포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고 길이 방향 결속끈(40a)과 폭 방향 결속끈(40b)을 이용하여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결속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방역이나 소독 대상물에 밀착하게 되면 신축성 있는 부직포 시트(10)에 부족한 점착력이 보완되어 우수한 부착 유지력을 구현할 수 있는데 부직포 시트(10)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절취선(미도시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는 롤(ROLL) 형태로 말아 형성됨으로써 설비비 및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종래의 방역 또는 방제시트에 비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상기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는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 해충 등을 차단하는 외부 접촉 약제 보호층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본 발명의 부직포 시트(10)는 약제 방출을 조절하는 커버층으로 두 분류로 나누어 외부로 직접 노출되며 액체 투과성 통기성 부직포로서 표피(10a)는 비바람을 막아주면서도 햇빛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하여 햇빛에 의한 급속한 증발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내부에 함침된 약제를 서서히 기화 방출할 수 있게끔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형성된 내피(10b)는 액상의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체 불투과성의 방수 코팅 피막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를 구성하는 섬유 소재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생분해가 가능하여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항균력을 가질뿐만 아니라 수분흡수 및 유지 능력이 우수하여 친환경적인 PLA(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 PLA)수지를 부직포 형태로 가공한 부직포 시트가 바람직하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폴리락틱산은 옥수수 당분의 발효에 의해 만들어지는 락틱산이 중합된 생분해 특성을 가진 열가소성 물질이기 때문에 완전 생분해가 가능하여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생분해되면 식물의 영양공급원으로 사용될 수있다.
또한 상기한 생분해성의 PLA(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 PLA)수지 이외에 부직포 시트(10)을 구성하는 소재섬유는, 비분해성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어스루법,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으로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부직포 시트(10)는 미세 기공의 다공질부(多孔質)부가 형성된 미소 다공성 구조로서 매우 촘촘하고 조밀한 기공을 형성하고 미세 나노 사이즈의 거품구조로 인해 약제의 급격한 증발을 억제하면서도 기공이 막힘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부직포 시트(10) 사이 내측 양면에 구비되는 수용성 점착제층(20)은 점착제 겸 휘발성의 약제 성분이 최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부직포 시트 표면이 마르지 않고 촉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습윤인자를 보유하여 습기를 최소로 유지시키는 보습제 기능과 수분증발에 따른 수분을 1차적으로 보충 저장하고 수용성 점착제층(20) 전체에 약제 피복층(30)에 저장된 약제가 신속하고 고르게 확산시키는 수분 지지체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형태적으로 안정된 반 고형 상태로 형성되어 물이나 약제 등의 수분에 접촉되어도 즉시 용해됨이 없이 초기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성 점착제층(20)은 액상의 약제 등에 수분 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겔 제형의 천연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천연접착제는 물에 녹아서 점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의 검(gum)류나 한천, 잔탄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고분자 증점제 기능의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접착제 겸 휘발성 물질 증발억제제로 작용하여 점착성과 흡수성이 좋으며 적절히 팽윤되고 형태적으로 안정된 반 고형 상태로 형성되어 약제 활성 성분을 서서히 일정하게 뿜어주는 함습 상태의 고 점도 겔을 형성하게 되어 여러 가지 제형의 약제에 본래 내재되어 있는 방충효과, 살균 및 항균작용 등 유효활성성분 효과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균일하게 약제를 용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의 약제 피복층(30)은 약제를 흡수하여 저장하여 약제를 머금고 있다가 방출하는 코아층으로서 살균제 등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되어 형성되는데 약물 담체로서 상기 흡수성 수지는 물과 수분을 흡수하고 고체 상태의 덩어리를 형성하는 고분자 흡수체(폴리머, polymer)로서 장기간 약효가 지속될 수 있게끔 수분 흡수량이나 수분 흡수속도가 우수한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계의 것이 적합하며,
상기 약제는 방출 대상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바이러스(virus)나 병원성 세균, 진균 박테리아 등에 대한 직접적 방제 및 살균을 위한 휘발성의 살균제나 수목(壽木)의 병해충 예방용 살충제, 방충제 및 해충 기피제 등 다양한 용도 기능의 약제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흡수성 수지의 혼합 비율은 원하는 효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8:2의 비율(중량비)이 적합한데 이는 흡수성 수지의 비율이 20%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흡수능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가 살균력 저하 및 물리적 특성의 열화(劣化) 없이 효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약제는 독성 및 민감성 문제가 해소될 정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정하다.
삭제
결국 본 발명은 동식물의 살균 소독, 살충, 해충기피 용도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약제 원액을 흡착시키는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되어 약제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고흡수성의 약제 피복층이 약제를 머금고 있다가 습윤 산태가 유지되는 수용성 점착제층과 부직포 시트의 내피에서 약제를 자동적으로 용해 확산시켜 지속적으로 장기간 방출시킴으로써 방역 소독과 방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하여 약제 잔존율이 낮아지면 감소된 양의 소독액 등을 분무기등을 이용하여 부직포 시트 살포하게 되면 수분흡수력이 좋은 외피와 수용성 점착제층 및 약제 흡수층에서 약제를 흡수하여 담지하는 방법으로 약제를 보충할 수 있으며 약제의 보충은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부직포 시트의 살균력 저하 및 방역 및 방제 용도로서 항균 부직포 시트의 물리적 특성이 열화(劣化)되는 것이 방지되어 자주 갈아주지 않아도 약효 감소 없이 약제의 살균 방역 소독 및 방제 작용이 지속적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는 원료조성과 기능 구조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복합적으로 상승작용하여 장기간 약효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방역 및 소독 시트 구성으로서,
약제 등의 수분과 접촉되어 활성화되는 습윤 활성화 방식과 약제 농도가 저하되면 약제를 보충시켜 살균작용에 필요한 약제를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농도 구배 활성화 방식이 복합된 약제 방출 기능을 상호 보완적으로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약제의 방출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어 약제 증발에 따른 약효 감소 없이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어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되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부직포 시트로서의 기능을 시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살균 소독처리가 요구되는 모든 종류의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나 돼지 등의 축사(300)나 비닐 하우스 등에 방역 축사용 방역포로 사용하게 되면 축사나 하우스 등의 지붕은 물론 전체 측면을 틈새 없이 효과적으로 밀봉 커버할 수 있어 외부로 부터 바이러스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붕 등의 비 가림이나 바람막이 용도의 방역용 커버 시트로서 철새의 접근을 방지하고 아울러 분변 낙하도 방지하여 유해한 물질들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통제함으로써 대기를 통하여 감염되는 가축의 전염병을 차단할 수 있어 공기감염을 줄여주게 됨으로써 밀폐된 공간으로 축사나 하우스 등에서 커버 도포 등의 간접살포방식으로 방역 빛 방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횡 일정 간격의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고정줄로서 길이 방향 결속끈(40a)과 폭 방향 결속끈(40b)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나 돼지 등의 축사(300) 등에 방역 축사용 방역포로 사용함에 있어서 일정 기간 경과 후 사용 약제가 부족하게 되면 약제 공급관(60)으로 공급되는 약제를 약제 분사 노즐(61)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에 살포 보충하는 방법으로 약제를 반복적으로 보충할 수 있어 약효 감소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바이러스류 및 병원성 유해세균에 매우 취약한 축사(300) 등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신발 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축사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소독하기 위한 소독 매트로서 사용하게 되면 표면이 마르지 않고 촉촉하게 유지되어 강력한 살균 소독기능을 완벽히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피복층(30)에 동식물 또는 바이러스의 방제에 사용되는 살균제, 살충제, 해충 기피제를 하나 이상 포함한 부직포 시트를 나무(200)에 결착하는 결속 밴드형 수간 보호대로 사용하게 되면 별다른 소독장치 없이도 불규칙한 나무 수피 표면에 틈새없이 고정줄로서 길이 방향 결속끈(40a)과 폭 방향 결속끈(40b)을 이용 감싸 고정하여 효과적으로 밀봉하는 방법으로 필요할 때에 언제든지 바로 현장에서 간편하게 장착 사용할 수 있어 나무의 수간에 가해지는 병충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나무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습윤 활성화 방식과 약제 농도가 저하되면 약제를 보충시켜 살균작용에 필요한 약제를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농도 구배 활성화 방식이 복합된 상호 보완적인 약제 방출 기능 실현으로 보다 지속적인 약효 발현이 가능함으로써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약제 유효 방제기간 및 효능이 최대화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로서 병원성 세균이나 진균에 대한 간접적인 방제 살균 효과 및 항균 효과, 해충 퇴치효과를 구현하게 되는데,
약제 분무 장치 등 별다른 소독장치 없이도 소나 돼지 등을 키우는 축사나 비닐 하우스 등의 외부를 덮고 살균 소독하여 바이러스 등 세균이 외부로부터 침투하지 못하도록 축사 등 밀폐된 공간 또는 축사 입구 등을 밀폐 커버할 수 있어 살균제, 살충제, 해충기피제 등 약제 간접살포에 따른 방역 및 방제효과가 우수하여 방역형 축사나 방역형 하우스, 방역용 소독포, 수목의 병해충 예방을 위한 수간 보호대 등 광범위하게 적용된 방역 소독 및 방제 시트의 구현으로 축종이나 조류, 수목별에 관계 없이 다양한 경로의 전염에 대비하는 연중 방역시스템 구축으로 가축이나 조류 등의 유행성 전염병의 확산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PLA(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 PLA)수지를 부직포 형태로 가공한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된 표피 타측에 방수 피막 코팅층이 형성된 내피로 구성되는 부직포 시트 사이로 살균제 등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된 약제 피복층이 길이 방향 결속끈과 폭 방향 결속끈이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상하 수용성 점착제층으로 점착된 다층 적층 구조로서 선택된 약제를 1차적 단기적으로 저장하는 수용성 점착제층과 2차적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약제 피복층이 중첩된 선택적 방출구조로 약제를 장시간 균일하게 발산함과 동시에 약제 반복 보충이 가능한 제형의 약제 방출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약제 피복층과 수용성 점착제층이 유기적 일체적으로 결합된 보습 복합체로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설치 구조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치 조건에 맞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의 동일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결국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10:부직포 시트
10a:표피 10b:내피
20:수용성 점착제층
30:약제 피복층
40:결속끈
40a:길이 방향 결속끈 40b:폭 방향 결속끈
50:방수 코팅 피막층
60:약제 공급관 61:약제 분사 노즐
200:나무
300:축사

Claims (3)

  1. 병원성 세균이나 해충에 대한 방제 살균 소독이나 살충 및 해충 기피 용도의 약제가 함침되어 약제를 지속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세균이나 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두루마리식의 시트 형상으로 축사나 비닐 하우스의 포장 덮개, 소독 매트, 수간 보호띠의 용도로 도포 장착되어 방어능력을 촉진시키는 약제 간접살포로 동식물의 방역 및 방제기능을 수행하게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에 있어서,
    일측에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외부 접촉 약제 보호층으로서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기체 투과성이 있고 기공 막힘 현상 없이 약제를 방출하면서도 햇빛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햇빛에 의한 급속한 증발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약제의 급격한 방출을 억제하는 통기성 부직포 시트로서 표피(10a)와 타측에 액상의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코팅 피막층(50)이 구비된 내피(10b)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하 부직포 시트(10) 사이로,
    동식물의 살균 소독, 살충, 해충기피 용도의 방역 및 방제용 약제와 약제 원액을 흡착시키는 흡수성 수지가 혼합 함침되어 약제를 흡수하여 저장하여 약제를 머금고 있다가 방출하는 고흡수성의 약제 피복층(30)이 길이 방향 결속끈(40a)과 폭 방향 결속끈(40b)이 격자 구조로 각각 점착 구비된 상하 보습제 겸용의 상하 수용성 점착제층(20)으로 점착된 층상의 선택적 약제 투과 구조로서 약제를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균일하게 발산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생분해가 가능하여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항균력을 가질뿐만 아니라 수분흡수 및 유지 능력이 우수하여 친환경적인 PLA(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 PLA)수지를 부직포 형태로 가공한 부직포 시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100)는 선택된 약제를 1차적 단기적으로 저장하는 수용성 점착제층(20)과 2차적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약제 피복층(30)이 중첩된 선택적 방출구조로 약제를 장시간 균일하게 발산함과 동시에 약제 반복 보충이 가능한 제형의 약제 방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KR1020150054328A 2015-04-17 2015-04-17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KR10175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28A KR101757781B1 (ko) 2015-04-17 2015-04-17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28A KR101757781B1 (ko) 2015-04-17 2015-04-17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58A KR20160123758A (ko) 2016-10-26
KR101757781B1 true KR101757781B1 (ko) 2017-07-14

Family

ID=5725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28A KR101757781B1 (ko) 2015-04-17 2015-04-17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1790B (zh) * 2016-12-19 2019-09-24 磐安县嘉嘉宠物用品设计工作室 宠物狗行走辅助装置
PL70887Y1 (pl) * 2017-07-03 2019-07-31 Barnas Boguslaw Bxb Studio Arch Samoprzylepna mata do peelingu naskórka
CN107996235B (zh) * 2017-12-26 2023-11-03 河南省农业科学院烟草研究所 一种防治烟草黑胫病的药胶带及其使用方法
KR102324313B1 (ko) * 2020-01-15 2021-11-09 이충한 개미산을 이용한 일회용 꿀벌 해충 구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6420Y1 (ko) 2020-06-16 2023-01-27 주식회사 아기연구소 구급차량용 방역 랩핑 세트
KR102233303B1 (ko) * 2020-08-04 2021-03-29 이용희 수목 보호용 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765B2 (ja) 1997-08-29 2001-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285417A (ja) 2009-05-15 2010-12-24 Dainippon Jochugiku Co Ltd 害虫忌避積層シート状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765B2 (ja) 1997-08-29 2001-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285417A (ja) 2009-05-15 2010-12-24 Dainippon Jochugiku Co Ltd 害虫忌避積層シート状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58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781B1 (ko)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JP6663228B2 (ja) 揮発性閉鎖空間防害虫剤
JPS62500935A (ja) 長時間作用する除虫菊/ピレトロイドを基剤とするシリコ−ン安定剤を加えた殺虫剤
JP6576643B2 (ja) 揮発性閉鎖空間防害虫剤
CN102006772B (zh) 用于虫害防治的设备
Czarnobai De Jorge et al. Novel nanoscale pheromone dispenser for more accurate evaluation of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attract‐and‐kill strategies in the laboratory
US20140023690A1 (en) Polymer surfaces containing heat labile components adsorbed on polymeric carri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WO2014014489A1 (en) Polymers containing heat labile components adsorbed on polymeric carri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RU2384065C2 (ru) Инсектоакар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JP2012041326A (ja) 害虫防除材
JP7237535B2 (ja) ゴミ容器用飛翔害虫防除製品
JP5571974B2 (ja) 害獣用忌避剤、害獣用忌避タブレット及び害獣用忌避シート
TW201912028A (zh) 一種驅蟲母粒組成物及一種驅蟲母粒組成物之製造方法
JPH0436205A (ja) 衛生害虫の忌避方法
JP3907246B2 (ja) 防カビ・防虫剤及びこれらを用いた高湿下における防カビ・防虫方法
JP2013135693A (ja) クロルピクリン乳剤
JP2014001150A (ja) 害虫防除方法
JPH0848602A (ja) 制電性防虫シート
JP4297985B2 (ja) 土壌燻蒸方法
JP7119336B2 (ja) 害虫忌避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06993A (ko)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6362225B2 (ja) 害虫忌避剤
JPH08325108A (ja) 土壌燻蒸剤の燻蒸方法
Brokerhof et al. Buggy Biz
KR20240061178A (ko) 이산화염소수와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방역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역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