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303B1 - 수목 보호용 밴드 - Google Patents

수목 보호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303B1
KR102233303B1 KR1020200097407A KR20200097407A KR102233303B1 KR 102233303 B1 KR102233303 B1 KR 102233303B1 KR 1020200097407 A KR1020200097407 A KR 1020200097407A KR 20200097407 A KR20200097407 A KR 20200097407A KR 102233303 B1 KR102233303 B1 KR 10223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tree
needle
band
b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이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희 filed Critical 이용희
Priority to KR102020009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8Adhesive bands or coatings f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밴드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피에 밴드를 고정하고 밴드의 외측면에 해충 기피물질이 코팅되어 해충의 접근을 막고, 밴드의 내측면에 수목에 필요한 영양성분, 살균성분, 살충성분 등의 약물이 저장되어, 상기 약물을 지속적으로 수피내로 방출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을 도우며 기생 및 잠복하는 해충을 퇴치하고, 약물이 수목의 형성층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니들을 이용해 수피내로 공급하며, 지지목에 의한 수피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목 보호용 밴드{Tree protection band}
본 발명은 수목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밴드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피에 밴드를 고정하고 밴드의 외측면에 해충 기피물질이 코팅되어 해충의 접근을 막고, 밴드의 내측면에 수목에 필요한 영양성분, 살균성분, 살충성분 등의 약물이 저장되어, 상기 약물을 지속적으로 수피내로 방출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을 도우며 기생 및 잠복하는 해충을 퇴치하고, 약물이 수목의 형성층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니들을 이용해 수피내로 공급하며, 지지목에 의한 수피를 보호할 수 있는 수목 보호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과수, 가로수, 조경수 등의 수목들은 이식하게 되면 땅밑에서 발달했던 뿌리가 잘려나갔기 때문에, 새로운 뿌리가 뻗어 나와 다시 자리를 잡기까지 보조해 주는 수단으로 지주목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지주목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나무로 만든 지주목을 이각, 삼각, 삼발이, 사발이 형태로 세워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지주목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목과 수목을 결박하는 부위에 수목의 수피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수간에 완충재를 대어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완충재가 수목 병해충의 잠복 및 번식을 도와 수목 병해충의 온상이 되어 수목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나 2년여의 뿌리 활착기간 동안 철거하지 못하고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목들은 이식, 수세 쇠약 등으로 인하여 병해충의 피해를 입어 고사되는 경우가 많다. 수목의 수세가 쇠약하면 천공성 해충이 침투하여 수목 전체를 고사시키거나, 또는 일부 가지가 고사하여 수형이 파괴되어 수목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병해충의 방제 목적으로 대부분 분무식 살포법으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할 수 있다. 수목에 농약을 살포해 농약이 줄기에 닿아도 농약이 머물러 있는 시간이 짧아서 약효가 오래 가지 못한다. 때문에 병해충으로부터 수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농약을 주기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환경 오염과 유해성 농약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토양에 축적되고 있다. 또한 농약은 살포과정에서 인체에 악영향을 주므로 최대한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 친화적인 재배를 권장하고 있으나, 각종 병해충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나무에 보호대를 피복한 후, 보호대에 약제를 뿌려 해충 방제작업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제는 녹화마대로 이루어진 보호대를 나무줄기에 피복 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며 보호대에 뿌린 약제는 쉽게 흘러내리고 증발하며, 빗물이 수목에 접하는 내층에 스며들면 내층에 첨가된 살충제가 빗물에 씻겨 내려가므로 살충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고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0650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목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밴드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피에 밴드를 고정하고 밴드의 외측면에 해충 기피물질이 코팅되어 해충의 접근을 막고, 밴드의 내측면에 수목에 필요한 영양성분, 살균성분, 살충성분 등의 약물이 저장되어, 상기 약물을 지속적으로 수피내로 방출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을 도우며 기생 및 잠복하는 해충을 퇴치하고, 약물이 수목의 형성층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니들을 이용해 수피내로 공급하며, 지지목에 의한 수피를 보호할 수 있는 수목 보호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피에 부착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에 있어서, 수피를 감싸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밴드바디와, 상기 밴드바디의 수목과 접하는 내측면인 제1 면에 형성되어 수목에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부와, 상기 밴드바디의 외측면인 제2 면에 형성되며 방충 물질이 함유된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해충기피부와, 상기 밴드바디의 양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바디가 수목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공급부는,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이 구비되고, 상기 약물은, 수목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약물, 수목에 해가 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제2 약물 또는 수목에 해가 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3 약물이며, 수목에 상기 니들을 이용해 약물을 전달하는 수목 보호용 밴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제1 면에 적층되는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 상에 적층되고, 상기 약물을 수용하는 흡수성 패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약물, 상기 제2 약물 또는 상기 제3 약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물이 수용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밴드바디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약물수용부를 관통하는 니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부는, 금속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면에 부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첨단이 상기 약물수용부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바디는,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Diol/Diacid계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포스페이트 에스터, 폴리포스파젠(PNF),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하이드롤리부티레이트(PHB),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탄력성을 갖는 수지, 직물 또는 부직포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는, 수목과 지주목 사이에 부착되어 수피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은, 생분해성 금속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바늘형, 원추형, 각추형 또는 삼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기피부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 기준으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23~27 중량부, 폴리락트산 10~15 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PCL) 15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10 중량부, 제올라이트 2~7 중량부, 녹정유 1 중량부, 직경이 10~15㎛인 방충 미세캡슐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격자형 공기층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90 중량%와, 인계 방염제, 할로겐계 방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7.5~60 중량%, 은-제올라이트 1.5~5 중량%, 직경이 1-5㎛인 방충 미세캡슐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통기성 코팅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약물수용부, 상기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약물수용부 또는 상기 제3 약물을 수용하는 제3 약물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제1 면에 적층되는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 상에 적층되고, 상기 약물을 수용하는 흡수성 패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약물, 상기 제2 약물 또는 상기 제3 약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물이 수용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제2 면에 상기 약물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니들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구조체는, 내부공간이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제2 면에 부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인 지지면에 니들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지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가압면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압면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이 압착되면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지지면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을 상기 하우징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은, 상기 지지면과 상기 가압면간 직선 거리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이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밴드바디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약물수용부를 관통한 후, 수피를 관통하여 수피내에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이 상기 하우징의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가압면과 함께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구조체는, 상기 관통홀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면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니들이 주름관 내에서 이동하여 첨단이 수피에 침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구조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면과 가압면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 또는 선형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피에 밴드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정하고 밴드의 내측면에 수목에 필요한 영양성분, 살균성분, 살충성분 등의 약물이 저장되어, 상기 약물을 지속적으로 수피내로 방출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을 도우며 기생 및 잠복하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지주목에 의한 수피에 상처가 나는 것을 예방하고 수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방제약액이 수목의 수피내로 주입되므로 약제를 주입하는 즉시 나무 내부에 퍼져 약제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또한, 수목에 최소한의 크기와 깊이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수목에 상처를 주지 않아 수목의 2차적인 부패를 방지한다.
또한, 수목의 굵기에 따라 밴드의 크기와 니들의 크기를 달리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기피제가 발산되어 수목에 기생하는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공급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구조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의 수목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및 예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1)는, 수피에 부착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로서, 수피에 밴드를 고정하고 밴드의 외측면에 해충 기피물질이 코팅되어 해충의 접근을 막고, 밴드의 내측면에 수목에 영양성분, 살균성분, 살충성분 등의 약물이 저장되어, 상기 약물을 수피내로 공급하여 수목의 성장을 도우며 기생 및 잠복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수목 보호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목 보호용 밴드(1)는 크게 밴드바디(10), 약물공급부(20), 해충기피부(30) 및 체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밴드바디(10)는 판형상으로 수목의 수간이나 가지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간의 굴곡면을 따라 수피에 밀착되고 수목의 성장에 장애가 없도록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수지, 부직포 또는 직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피에 밀착되어 수피를 압박하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밴드바디(10)는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두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부직포와 직물을 결합하여 인장강도 및 파열강도의 범위가 넓고, 신축력을 갖도록 직조되어 수목의 외피를 압박하면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Diol/Diacid계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포스페이트 에스터, 폴리포스파젠(PNF),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하이드롤리부티레이트(PHB),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수지 섬유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생분해가 가능하여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항균력을 가질뿐만 아니라 수분흡수 및 유지 능력이 우수하여 친환경적인 폴리락틱산(PLA)수지를 부직포 형태로 가공한 부직포 시트가 바람직하다. 폴리락틱산은 옥수수 당분의 발효에 의해 만들어지는 락틱산이 중합된 생분해 특성을 가진 열가소성 물질이기 때문에 완전 생분해가 가능하여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생분해되면 식물의 영양공급원으로 사용될 수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의 폴리락트산(PLA)수지 이외에 상기 밴드바디(10)를 구성하는 소재섬유는, 비분해성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스판덱스(spandex), 나일론(nylon)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어스루법,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으로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수 있다.
본 발명의 밴드바디(10)는 통상 폭이 5~50cm, 길이 5cm~200cm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제조되며, 수목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약물공급부(20)는, 흡수성 패드로 형성되어 약물을 흡수하여 저장하여 약물을 머금고 있다가 방출하는 고흡수성의 약물수용부(23)와 방수통기성시트(21)와 니들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약물은, 수목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약물, 수목에 해가 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제2 약물 또는 수목에 해가 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3 약물로 상기 약물수용부(23)에 저장된다.
상기 약물을 수용하는 약물수용부(23)는 고흡수성 패드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 약물, 상기 제2 약물 또는 상기 제3 약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물이 수용될 수 있다. 흡수성 패드는 평판형의 고흡수성을 갖는 다공성의 부직포로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액체 또는 반고체 상태의 약물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약물은 수세 회복용 영양제, 생장 촉진제, 면역 증강제 등의 수목의 생리 활동 및 생장을 보조할 수 있는 약물로써 수목의 생리 활동 및 동화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뿌리 기능이 저하되어 수목이 정상적인 생리 활동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양분의 흡수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필수 원소 및 생장 조절물질 등의 부족한 양분을 외부에서 적절하게 공급해 줄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수목의 생장 및 발육을 보조하기 위한 제1 약물이 약물수용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약물은 수목의 생육 상태, 수종, 외부 환경조건 등에 따라 그 사용량과 사용시기가 결정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수목의 흉고 직경, 엽량의 다소, 수목의 피해 상태, 수령에 따라 그 사용량을 결정하며, 수액의 이동 시기와 수목의 생리기능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약물은 수목에 해가 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약물로서,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거나 유발되는 질병에 대하여 식물을 치료 또는 보호하기 위한 약물이다. 또한, 병원균은 균류, 박테리아,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 스피로플라즈마(spiroplasm) 또는 바이로이드(viroid)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약물로 바람직하게는 살균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는 예를 들어, 황 또는 구리계 유기 농약 살균제 또는 무기 미네랄 살균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현재 이용가능한 유기 농약 살균제의 예는 보다 상세하게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을 포함하는 클로로니트릴(chloronitriles), 만코제브(mancozeb)와 같은 디티오카바메이트(carbamates)를 포함하는 카바메이트(carbamates), 캡탄(captan), 설폰아미드(sulphonamides), 구아니딘(guanidines), 퀴논(quinones), 퀴놀린(quinolines), 티아디아진(thiadiazines), 아닐리드(anilides), 히드록시아닐리드(hydroxyanilides) 및 페닐아미드(phenylamides)를 포함하는 프탈이미드(phtalimides), 이미다졸리논(imidazolinones), 옥사졸리딘디온(oxazolidinediones), 스트로비루린(strobilurines), 시아노이미다졸(cyanoimidazoles), 플루아지남(fluazinam), 디노캅(dinocap), 실티오팜(silthiofam), 디카르복시미드(dicarboximides),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오가노포스포러스(organophosphorus), 프로파모카브 HCl(propamocarb HCl),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피리딜아민(pyridylamines), 이미다졸(imidazoles), 피리미딘(pyrimidines), 히드록시피리미딘(hydroxypyrimidines), 아닐리노피리미딘(anilinopyrimidines), 트리아졸(triazoles), 스피록사민(spiroxamine), 모르폴린(morpholines) 및 피페리딘(piperidines)을 포함하는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sterolbiosynthesis inhibitors; SBI), 펜헥사미드(fenhexamid), 히멕사졸(hymexazol), 족사미드(zoxamide), 디에토펜카브(diethofencarb), 벤지미다졸(benzimidazoles), 펜시쿠론(pencycuron), 퀸옥시펜(quinoxyfen),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시목사닐(cymoxanil),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s), 트리아진(triazines) 등이다.
상기 제3 약물은 수목에 해가 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3 약물로서, 여러 해충 등에 대해 살충 효과를 갖는 유기, 무기, 친환경 방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해충에 대한 살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각 종류의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가 우수한 각 종류의 방제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방제제의 예로서는 파라치온, 씨디알, 메프치온, 칼립스, 파프, 스미치온, 파마치온, 회오리, 파라치온, 트레본, 더스반, 영일엠비, 명궁, 지오릭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약물수용부(23)에는 수목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약물, 수목에 해가 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제2 약물 또는 수목에 해가 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3 약물로서 영양제, 생장 촉진제, 면역 증강제, 살균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살충제 등의 약물을 혼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약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방제 효과가 우수한 각 종류의 약물을 혼합하여 약물수용부(2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밴드바디(10)와 상기 약물수용부(23) 사이에는 방수통기성시트(21)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통기성시트(21)는 상기 약물수용부(23)의 약물이 밴드(1)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눈이나 비로부터 약물이 씻겨내려가지 않도록 하면서, 수피의 호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과 통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방수통기성시트(21)는 상기 밴드바디(10)가 수목과 접하는 면인 제1 면에 적층되고, 상기 약물수용부(23)는 상기 방수통기성시트(21) 상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약물수용부(23)는 밴드바디(10)에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고정 결합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약물수용부(23)를 방수통기성시트(21)와 함께 밴드바디(10) 상에서 니들 펀칭기의 상하로 작동되는 바늘판을 통과시켜 기계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약물공급부(20)는 약물수용부(23)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252)이 구비되는 니들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부(25)는 금속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니들(252)이 외력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형 또는 판형상의 지지체(251)와 상기 지지체(251)상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252)이 포함된다.
상기 니들부(25)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밴드바디(10)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21)와 상기 약물수용부(23)를 관통하여, 니들(252) 첨단이 상기 약물수용부(23)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해충기피부(30)는 밴드바디(10)의 수목과 접하는 반대쪽 면인 제2 면에 형성되며, 해충기피 물질이 함유된 미세캡슐을 포함하여 2중구조의 코팅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미세캡슐은 심물질로 피톤치드오일, 시트로넬라, 제충국오일, 녹정유, 유칼립투스오일, 패츌리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심물질의 종류를 달리하여 각각의 심물질이 함유된 미세캡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캡슐의 직경이 1~5㎛와 직경이 10-15㎛로 각 층별로 다른 크기의 미세캡슐이 포함되는 2중구조의 코팅층으로 해충기피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2중구조의 코팅층은 제2 면에 적층되는 격자형 공기층(31)과 상기 격자형 공기층(31)상에 적층되는 통기성 코팅층(33)으로 형성된다.
먼저, 격자형 공기층(31)은, 천연고무 100 중량부 기준으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23~27 중량부, 폴리락트산 10~15 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PCL) 15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10 중량부, 제올라이트 2~7 중량부, 녹정유 1 중량부, 직경이 10~15㎛인 방충 미세캡슐 5~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시트상으로 발포한 폼을 격자형으로 각각의 공기셀을 형성하여 공극이 생기도록 성형한다. 격자형의 공기셀은 공기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수목에 보온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격자형 공기층(31)은 두께가 0.1~1.5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코팅층(33)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90 중량%와, 인계 방염제, 할로겐계 방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7.5~60 중량%, 은-제올라이트 1.5~5 중량%, 직경이 1-5㎛인 방충 미세캡슐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를 필름으로 압출하여 상기 격자형 공기층상에 부착하여 통기성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코팅층은 미세 다공성 막으로 격자형 공기층과 결합하여 사용되는데, 라미네이트 방법으로 상기 밴드바디에 미세 다공질의 투습 방수 특성을 갖는 다공성 막을 접착하여 밴드바디(10)에 투습, 방수성, 보온성을 부과할 수 있다. 따라서 수피의 호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눈이나 비로 인해 약물이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겨울에는 보온의 시너지 효과가 있다. 상기 통기성 코팅층(33)의 두께는 5~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자형 공기층(31)과 상기 통기성 코팅층(33)의 미세캡슐의 직경을 달리하여 방충 물질의 기능성이 오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목 보호용 밴드(1)는 수목에 부착될 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40)를 포함한다. 이 체결부(40)는 수목에 부착했을때, 수목의 둘레를 감싸도록 피복·설치되어 수피로부터 밴드(1)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체결부(40)는, 상기 밴드바디(10)의 양끝단에 구비되며 일단에는 고정수단(41)과 타단에는 길이조절부(43)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수목 보호 밴드(1)가 수목에 설치되면 체결부(40)의 고정수단(41)과 길이조절부(43)를 서로 체결시켜 피복된 상태를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수피에 밀착되게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41)은 버클로 밴드(1)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고 그 끝부분은 수목의 둘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버클로 구성하는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크로로 구비되거나, 이외에도 케이블타이, 후크, 클램프, 단추, 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밴드(1)가 수목을 감싸며 고정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고정수단(41)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길이조절부(43)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목 보호용 밴드(1)가 피복되는 수목의 직경이 일률적이지 않으므로 길이조절부(43)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신축력을 갖는 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목 보호용 밴드(1)는 수간이나 가지 둘레를 감싸서 피복한후 체결부(40)를 결속시켜 수목에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이때, 약물공급부(20)내의 니들(252)이 수피에 삽입되면서 미세홀을 형성한다. 상기 미세홀을 형성시키기 위해 외력을 수피쪽으로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약물수용부(23)에 저장된 약물이 수피에 형성된 상기 미세홀로 이동하여 빠르게 수목 전체에 약물이 전달될 뿐만 아니라, 수목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해충기피부(30)의 방충 물질이 함유된 미세캡슐이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기생하거나 해를 가하는 각종 해충으로부터 수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약물공급부(20)에 저장된 약물은 용이하게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해충을 방제할 뿐만 아니라, 빗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으면서 습기는 배출하고 통기성과 내후성을 가지며 나무의 호흡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목 보호용 밴드(1)는 수목과 지주목 사이에 부착되어 수피를 보호할 수 있다. 수목들은 이식하게 되면 땅밑에서 발달했던 뿌리가 잘려나갔기 때문에, 새로운 뿌리가 뻗어 나와 다시 자리를 잡기까지 보조해 주는 수단으로 지주목을 사용해야 하며, 지주목을 세우지 않으면 바람이나 기타 물리적인 요인에 의하여 수목의 분이 흔들리게 되어 수목이 고사할 확률이 높다. 이에 따라 수목의 이식 후에는 지주목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식한 수목과 지주목 사이에 밴드(1)를 부착하여 지주목으로부터 수피가 벗겨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식목에 필요한 영양과 방제를 지속적으로 하면서 수목의 생리 활동 및 동화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섭생을 돕고, 겨울철에는 수목에 보온효과를 줄 수 있다.
약물공급부(20)는 약물수용부(23)의 약물을 빠르게 수목에 전달하기 위해서 니들(252)이 수피내로 삽입되어 미세홀을 형성하며, 상기 니들(252)은 수목의 종류와 크기 또는 수피의 두께에 따라 니들(252)의 강도와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니들(252)을 이용해 수피내에 미세홀을 형성할때, 상기 미세홀의 깊이는 수목의 종류와 수피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수피내의 형성층에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미세홀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나무의 지표면 부근에 있는 줄기에 해당하는 영역의 수피에서 상기 형성층에 이르는 깊이를 갖는 미세홀을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미세홀이 형성층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세홀이 변재의 도관과 간섭하지 않고, 이를 통해 미세홀에 약물이 전달되면 약물은 수목내에서 균일한 확산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일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252)은, 생분해성 금속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수목의 종류에 따라서 수피 두께가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수목이 작거나 수피가 얇은 나무일경우 비교적 강도가 약하고 크기가 작은 니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니들은 생분해성 금속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분해 되기 때문에 따로 제거하지 않아도 수목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니들(252)은 바늘형, 원추형, 각추형 또는 삼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물공급부(20)는, 상기 밴드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공급부(20)는, 상기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약물수용부(231), 상기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약물수용부(232) 또는 상기 제3 약물을 수용하는 제3 약물수용부(2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약물공급부(20-1)에는 제1 약물이 수용되는 제1 약물수용부(231)가 형성되고, 약물공급부(20-2)에는 제2 약물이 수용되는 제2 약물수용부(232)가 형성되고, 약물공급부(20-3)에는 제3 약물이 수용되는 제3 약물수용부(233)로 형성된다. 이처럼 약물공급부(20)별로 다른 약물을 수용할 수 있고, 모든 약물을 혼합한 후 약물공급부(20)마다 모두 같은 약물이 수용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공급부(20)의 약물수용부(23)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 다른 약물을 수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약물공급부(20)에 세개의 약물수용부(23)를 구비하여 각각의 약물수용부(23)에 각기 다른 약물을 수용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약물공급부(20)에는 하나의 약물수용부(23)를 가질 수 있고, 복수개의 약물수용부(2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약물수용부(23)에는 한종류의 약물이 수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약물이 혼합되어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약물수용부(23)의 크기에 따라 니들부(25)는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약물수용부(23)의 크기는 밴드바디(10)의 전면적에 적층될 수 있고, 일부분에만 적층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약물수용부(23)의 크기에 맞도록 니들부(25)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목의 수피 두께에 따라서 비교적 강도가 높은 니들(25)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굵기와 강도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수피의 두께에 따라 니들(252)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니들(252)은 소정의 강도를 갖추며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나무의 줄기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바늘형, 원추형, 각추형 또는 삼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공급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들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물공급부(20)는 상기 제2 면에 상기 약물수용부(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니들구조체(27)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구조체(27)는, 가압면(273)과 지지면(271)을 갖는 하우징(270)으로 하우징내 가압면(273)에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275)을 구비하는 지지체(274)가 부착된다.
즉, 상기 하우징(270)은 내부공간이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다. 상기 제2 면에 부착되는 상기 하우징(270)의 일면인 지지면(271)에 니들(275)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72)과, 상기 지지면(271)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270)의 가압면(273)에는 지지체(274)가 있고 지지체(274)상에 배열되는 니들(275)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27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면(273)으로부터 상기 관통홀(272)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275)이 형성된다. 이때 니들(275)은 수피를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70)은, 상기 가압면(273)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70)이 압착되면서 상기 가압면(273)이 상기 지지면(271)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니들(275)을 수피에 삽입하기 위해 수피쪽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밴드(1)는 하우징(270)이 외력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되거나 쓰러져서 니들(275)의 첨단이 밴드바디(10), 약물수용부(23) 및 수피를 뚫고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273)을 상기 하우징(270)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하우징(270)은 박스형상으로 니들의 배열을 보호하고 가압면(273)이 외력에 의해 가압될때, 압축되거나 쓰러지면서 그 높이가 낮아져서 수피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에 니들(275)이 수피내에 충분한 깊이의 삽입홀을 낼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70)은, 수지 또는 고무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도면의 단면구조는 사각형인 것으로 단순하게 도시되었으나, 원형 또는 허니콤 구조 등 그 형태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공급부(20)의 니들구조체(27)는, 니들(275)을 수피내에 홀을 형성시키기 위해 니들구조체(27)의 가압면(273)을 가압할 수 있다. 하우징(270)의 가압면(273)을 가압하면, 도 5의 (b)와 같이 하우징(270) 내에 구비된 지지체(274)와 니들(275)이 수피측으로 이동하고 니들(275)이 수피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니들(275)은 지지체(274) 상에 형성되어 지지체와 같이 이동되어 수피내의 형성층의 깊이로 홀을 형성 할 수 있다.
상기 니들(275)은,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지지면(271)과 상기 가압면(273)간 직선 거리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273)이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272)을 관통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밴드바디(10)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21)와 상기 약물수용부(23)를 관통한 후, 수피를 관통하여 수피내에 미세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273)이 상기 하우징의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가압면(273)과 함께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에서 (b)로 되었다가 다시 (a)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체(274)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271)과 가압면(273) 사이에 탄성체와 주름관(276)을 더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는 스프링(278) 또는 탄성을 갖는 선형막대(279)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275)을 가압하기 위해 하우징(270)의 가압면(273)을 가압시키는 경우, 니들(275)은 지지면(271))의 관통홀(272)을 관통하여 밴드바디(10)와 방수통기성시트(21)와 약물수용부(23)를 관통하여 수피에 침투될 수 있다. 이후 하우징(270)의 가압을 중지시키면 탄성체에 의해 니들(275)이 원상복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구조체(27)는, 상기 관통홀(272)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면(273)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주름관(2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력에 의해 가압면(273)이 가압되면 상기 니들(275)이 주름관(276) 내에서 이동하여 첨단이 수피에 침투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위치로 복귀되도록 주름관(276)이 탄성작용을 한다. 도 6의 (a)는 주름관(276)이 구비된 니들구조체(27)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스프링(278)이 구비된 니들구조체(27)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c)는 스프링(278) 내에 선형막대(279)가 포함된 니들구조체(27)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주름관(276)과 스프링(278)과 선형막대(279)는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 가능하다.
도 6과 같이 구현된 실시예는 특히 니들(275)이 깊이 삽입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삽입될 깊이 또는 삽입되는 니들(275)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탄성체의 탄성계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목에 적합한 약물을 니들구조체(27)를 가압하여 필요한 깊이로 약물을 수피내로 주입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 보호용 밴드의 수목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및 예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 보호용 밴드(1)를 수간의 외주면에 설치하면, 외력에 의해 니들이 수피내에 삽입되어 니들에 의해 수피내에 미세홀이 생기고, 이를 통해 약물수용부에 저장된 약물이 상기 미세홀에 전달되며, 약물은 수목 전체로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당업계에서 평이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수목 보호용 밴드 10 : 밴드바디
20 : 약물공급부 21 : 방수통기성시트
23 : 약물수용부 23 : 스페이서
25 : 니들부 27 : 니들구조체
30 : 해충기피부 31 : 격자형 공기층
33 : 통기성 코팅층 40 : 체결부
41 : 고정수단 43 : 길이조절부
251 : 지지체 252 : 니들
270 : 하우징 271 : 지지면
272 : 관통홀 273 : 가압면
274 : 지지체 275 : 니들
278 : 스프링 279 : 선형막대
276 : 주름관

Claims (13)

  1. 수피에 부착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에 있어서,
    수피를 감싸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밴드바디와,
    상기 밴드바디의 수목과 접하는 내측면인 제1 면에 형성되어 수피에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부와,
    상기 밴드바디의 외측면인 제2 면에 형성되며 방충 물질이 함유된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해충기피부와,
    상기 밴드바디의 양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바디가 수목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제1 면에 적층되는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 상에 적층되고 흡수성 패드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약물이 수용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밴드바디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약물수용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면에 부착되는 지지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첨단이 상기 약물수용부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구비하는 니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은, 수목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약물, 수목에 해가 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제2 약물 또는 수목에 해가 되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3 약물을 포함하여 수목에 니들을 이용해 약물을 전달하는 수목 보호용 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바디는,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Diol/Diacid계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글리콜산(PGA), 폴리포스페이트 에스터, 폴리포스파젠(PNF),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하이드롤리부티레이트(PHB),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탄력성을 갖는 수지, 직물 또는 부직포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수목과 지주목 사이에 부착되어 수피를 보호하는 수목 보호용 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생분해성 금속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바늘형, 원추형, 각추형 또는 삼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기피부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 기준으로,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23~27 중량부, 폴리락트산 10~15 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PCL) 15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10 중량부, 제올라이트 2~7 중량부, 녹정유 1 중량부, 직경이 10~15㎛인 방충 미세캡슐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격자형 공기층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90 중량%와, 인계 방염제, 할로겐계 방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7.5~60 중량%, 은-제올라이트 1.5~5 중량%, 직경이 1~5㎛인 방충 미세캡슐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통기성 코팅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약물수용부, 상기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약물수용부 또는 상기 제3 약물을 수용하는 제3 약물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용 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밴드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공급부는,
    상기 제1 면에 적층되는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 상에 적층되고, 상기 약물을 수용하는 흡수성 패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약물, 상기 제2 약물 또는 상기 제3 약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물이 수용되는 약물수용부와,
    상기 제2 면에 상기 약물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니들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구조체는,
    내부공간이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제2 면에 부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인 지지면에 니들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지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가압면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압면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이 압착되면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지지면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을 상기 하우징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수목 보호용 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지지면과 상기 가압면간 직선 거리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면이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밴드바디와 상기 방수통기성시트와 상기 약물수용부를 관통한 후, 수피를 관통하여 수피내에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압면이 상기 하우징의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가압면과 함께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구조체는,
    상기 관통홀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면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니들이 주름관 내에서 이동하여 첨단이 수피에 침투되도록 하는 수목 보호용 밴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구조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면과 가압면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수목 보호용 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 또는 선형 막대로 형성되는 수목 보호용 밴드.
KR1020200097407A 2020-08-04 2020-08-04 수목 보호용 밴드 KR10223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07A KR102233303B1 (ko) 2020-08-04 2020-08-04 수목 보호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07A KR102233303B1 (ko) 2020-08-04 2020-08-04 수목 보호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303B1 true KR102233303B1 (ko) 2021-03-29

Family

ID=7525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407A KR102233303B1 (ko) 2020-08-04 2020-08-04 수목 보호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3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50B1 (ko) 2010-02-09 2010-10-29 김복해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KR101187293B1 (ko) * 2012-06-12 2012-10-08 백광현 해충기피 및 살충 수목보호 테이프
KR20160000130U (ko) * 2014-07-03 2016-01-13 엠에프테크 주식회사 수목용 보온 덮개
KR20160123758A (ko) * 2015-04-17 2016-10-26 김진영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KR20190103903A (ko) * 2018-02-28 2019-09-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 분해용 미세바늘 패치
KR20190113143A (ko) * 2018-03-27 2019-10-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50B1 (ko) 2010-02-09 2010-10-29 김복해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KR101187293B1 (ko) * 2012-06-12 2012-10-08 백광현 해충기피 및 살충 수목보호 테이프
KR20160000130U (ko) * 2014-07-03 2016-01-13 엠에프테크 주식회사 수목용 보온 덮개
KR20160123758A (ko) * 2015-04-17 2016-10-26 김진영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KR20190103903A (ko) * 2018-02-28 2019-09-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 분해용 미세바늘 패치
KR20190113143A (ko) * 2018-03-27 2019-10-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1087T3 (es) Lamina para el control de plagas.
KR101472990B1 (ko)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JP6901098B2 (ja) 天敵昆虫の保護装置
US2446509A (en) Plant cover
US201901503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oil moisture stabilization and tree or plant protection
US5325627A (en) Weed control device for potted plants
KR101757781B1 (ko) 지속 방출형 약제가 함침된 방역 및 방제용 항균 부직포 시트
KR20140145156A (ko)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BR0005598A (pt) Aparelhos e métodos para o controle de insetosrastejantes para uso em edifìcios e na agricultura
KR100990650B1 (ko)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US3998006A (en) Multiple purpose agricultural weed suppressant and growth enhancement blanket
KR102233303B1 (ko) 수목 보호용 밴드
JP3149236U (ja) 樹木・植物保護シート
KR101925602B1 (ko) 수목의 천공성 해충방제 및 동해방지 보호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수목의 해충방제 및 동해방지 보호 방법
KR20110012374A (ko) 농업용 기능성 니들펀칭 부직포
KR101571130B1 (ko) 멀칭 매트
CN101951758B (zh) 一种能缓释出具有引诱作用的挥发性物质来控制昆虫的可生物降解的装置
JP2011173811A (ja) 害獣用忌避剤、害獣用忌避タブレット及び害獣用忌避シート
KR101187293B1 (ko) 해충기피 및 살충 수목보호 테이프
KR20090121116A (ko) 해충방제용 수목 보호대
JP3850222B2 (ja) 農作物の保護材
CN215912720U (zh) 一种防治褐梗天牛用复合杀虫装置
JP4540010B1 (ja) 株立ち植物用防虫ネット
KR200412726Y1 (ko) 식물 재배 부직포
JPH048235A (ja) 害虫防除機能を有する農園芸用不織布及びその育苗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