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380B1 -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380B1
KR101757380B1 KR1020150158758A KR20150158758A KR101757380B1 KR 101757380 B1 KR101757380 B1 KR 101757380B1 KR 1020150158758 A KR1020150158758 A KR 1020150158758A KR 20150158758 A KR20150158758 A KR 20150158758A KR 101757380 B1 KR101757380 B1 KR 10175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gear
force
bicycl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699A (ko
Inventor
오민경
Original Assignee
오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경 filed Critical 오민경
Priority to KR102015015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3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the chain, belt, or the like being laterally shiftable, e.g. using a rear derailleur
    • B62J2099/002
    • B62J2099/0026
    • B62J2300/002
    • B62J2300/0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운전자에 의해 페달에 가해지는 힘과 속도를 고려하여 운전자의 주행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어변속을 유도하기 위한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자전거 페달에 내장되어 운전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페달의 페달축에 대한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힘에 의해 페달의 변형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힘센서와; 상기 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힘을 계산하고, 계산된 힘에 대응하는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산출하기 위한 기어변속비 산출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Guidance system for optimum gear shift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운전자에 의해 페달에 가해지는 힘과 속도를 고려하여 운전자의 주행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어변속을 유도하기 위한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기어는 앞쪽의 체인링과 뒤쪽의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어변속은 프론트 드레일러(derailleur)와 리어 드레일러(derailleur)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앞쪽 기어인 체인링과 뒤쪽기어인 스프라켓의 톱니 수에 의해 정해지는 기어 비는 동일 페달링 조건에서는 자전거의 주행속도의 차이로 나타난다.
그러나 기어 변속을 할 경우 체인링의 기어 단과 스프라켓의 기어 단에 따라 동일한 기어 비율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이런 상황에서는 체인과 톱니가 맞닿는 부분이 넓은 경우 체인에 더 작은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 힘을 체인텐션이라 하고 체인텐션이 클수록 같은 기어비율 상황 하에서 더 적은 힘으로 같은 주행속도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자전거는 사용자가 자전거의 기어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운전자에 맞는 최적의 기어비율을 찾아 변속하며 자전거를 타는 것이 쉽지 않다.
대부분의 기어 변속 자전거는 주행 시 변속의 시기와 정도를 인위적으로 결정하게 되는데, 특히 기어 변속기에 익숙하지 아니한 초보자나 어린이, 노인의 경우에는 기어를 고단으로 올려야할지 또는 저단으로 내려야할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페달과 결합되어 페달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지름이 각각 다른 복수의 체인링이 조합된 체인링체와; 뒷바퀴에 장착되며 지름이 각각 다른 복수의 스프로킷이 조합된 스프로킷체와; 상기 체인링체의 어느 한 체인링과 상기 스프로킷체의 어느 한 스프로킷에 양 단이 각각 감아 걸리는 체인과; 자전거의 앞바퀴 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을 체인링체의 어느 한 체인링으로 이동시키는 프론트 드레일러와; 자전거의 뒷바퀴 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을 스프로킷체의 어느 한 스프로킷에 감기도록 이동시키는 리어 드레일러와; 상기 체인에 걸쳐져 상기 체인의 장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메인 작동기기와; 상기 메인 작동기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프론트 드레일러를 작동시키는 제 1 변속기기와; 상기 메인 작동기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리어 드레일러를 작동시키는 제 2 변속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작동기기는 피스톤 로드가 체인에 걸쳐져 체인의 장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제 1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속기기는 상기 제 1 유압실린더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 2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변속기기는 상기 제 1 유압실린더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 3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 3 유압실린더는 피스톤로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게 상기 제 1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자동 변속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체인의 장력의 변위에 의한 자전거의 자동 변속 장치는 체인 장력이 일정하게 구동되기 어렵고 부품의 내구성도 신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 및 호스 등의 부품이 노출되어 있어 외관이 복잡해보이고 안전사고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의 신체여건에 따라 기어변속을 조절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3627호(2009.10.1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 운전자에 의해 페달에 가해지는 힘과 속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기어변속 단계를 판단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해주어 운전자에 맞는 최적의 기어변속을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편의를 도모하고 잘못된 기어변속으로 인한 변속 라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자전거 페달에 내장되어 운전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페달의 페달축에 대한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힘에 의해 페달의 변형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힘센서와; 상기 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힘을 계산하고, 계산된 힘에 대응하는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산출하기 위한 기어변속비 산출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자전거 운전자에 의해 페달에 가해지는 힘과 속도를 고려하여 운전자에 맞는 최적의 기어변속을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편의를 도모하고 잘못된 기어변속으로 인한 변속 라인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초급자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중급자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고급자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자전거 페달에 내장되어 운전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페달의 페달축에 대한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힘에 의해 페달의 변형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힘센서와; 상기 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힘을 계산하고, 계산된 힘에 대응하는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산출하기 위한 기어변속비 산출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를 단계별로 설정하며, 페달에 가하는 힘이 커지면 기어단계는 낮은 단계로 설정되고, 페달에 가하는 힘이 작아지면 기어단계는 높은 단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초급자 모드, 중급자 모드, 고급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모드와 연관된 앞기어와 뒷기어의 기어변속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초급자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중급자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고급자 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각도센서(10), 힘센서(20), 제어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센서(10)는 자전거 페달에 내장되어 운전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페달의 페달축에 대한 각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각도센서(10)는 자전거 페달의 페달축에 대한 조작 각도를 감지하고, 이런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3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센서(10)에 의해 감지된 자전거 페달의 회전운동 상태를 제어부(30)에 의해 데이터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힘센서(20)는 상기 각도센서(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힘에 의해 페달의 변형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힘센서(20)는 상기 각도센서(10)가 작동하면 그 지점에 들어가는 힘을 계산하도록 제어부(30)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힘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S10)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힘을 계산하고(S20), 계산된 힘에 대응하는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산출(S30)하기 위한 기어변속비 산출프로그램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를 단계별로 설정하며, 페달에 가하는 힘이 커지면 기어단계는 낮은 단계로 설정되고, 페달에 가하는 힘이 작아지면 기어단계는 높은 단계로 설정된다. 즉, 운전자에 의해 페달을 돌리는 빠르기가 빨라지고 페달에 가하는 힘이 커지면 기어단계는 낮아지고, 페달을 돌리는 빠르기가 느려지고 페달에 가하는 힘이 작아지면 기어단계는 높아진다.
속도와 기어단계는 비례관계이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지면 기어단계는 똑같은 비율로 늘어나고 속도가 느려지면 기어단계는 똑같은 비율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어부(30)의 산출프로그램에서는 입력되는 페달에 가하는 힘 데이터를 연산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면, 페달에 가하는 힘의 값을 1~100으로 하고, 1~20은 기어 1단, 20~40은 기어 2단, 40~60은 기어 3단, 60~80은 기어 4단, 80~100은 기어 5단으로 설정된다. 보통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자전거 기어단계는 앞기어(체인링) 3단계와 뒷기어(스프라켓) 9단계로 구성되어 경우의 수로 따지면 기어단계가 27단 정도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기어단계를 5단으로 구성되고,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초급자 모드(기어 1단, 기어 2단), 중급자 모드(기어 3단, 기어 4단), 고급자 모드(기어 5단)로 설정된다.
특히, 기어변속비를 설정하기에 앞서 초급자 모드에서는 운전 대상자인 어린이에 의해 페달에 가하는 최소의 힘과 최대의 힘을 조사하고, 중급자 모드에서는 중,고등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소의 힘과 최대의 힘을 조사하며, 고급자 모드에서는 선수를 대상으로 최소의 힘과 최대의 힘을 조사하여 각 모드별로 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어변속비 설정 시 이를 반영한다.
즉, 초급자 모드는 대상이 어린이기 때문에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가 비교적 작으므로 기어 1단과 기어 2단의 비율이 높도록 설정하고, 중급자 모드는 대상이 중,고등학생 및 일반인이기 때문에 기어 3단과 기어 4단의 비율이 높도록 설정하며, 고급자 모드는 대상이 선수이기 때문에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가 비교적 크므로 기어 5단의 비율이 높도록 설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급자 모드, 중급자 모드, 고급자 모드의 설정으로는 운전자가 앞기어와 뒷기어의 최적 기어변속비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 모드별로 앞기어와 뒷기어의 기어변속비를 미리 설정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초급자 모드인 기어 1단과 기어 2단은 힘이 적게 들어가는 기어비율로서 앞기어(체인링)와 뒷기어(스프라켓)의 곱한 값이 저단(예 : 앞 1단×뒤 1단=1단, 앞 1단×뒤 2단=2단, 앞 1단×뒤 3단=3단 등)으로 이루어지고, 고급자 모드인 기어 5단은 힘이 많이 들어가는 기어비율로서 앞기어(체인링)와 뒷기어(스프라켓)의 곱한 값이 고단(예 : 앞 3단×뒤 5단=15단, 앞 3단×뒤 6단=18단, 앞 3단×뒤 7단=21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중급자 모드인 기어 3단과 기어 4단은 상기 기어 1단 및 2단과 기어 5단의 중간 정도의 힘(예 : 앞 2단×뒤 3단=6단, 앞 2단×뒤 4단=8단, 앞 2단×뒤 5단=10단 등)이 들어가는 기어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기어(체인링)와 뒷기어(스프라켓)의 곱한 값이 5단 미만이면 초보자 모드(기어 1단, 기어 2단)로 설정되고, 앞기어(체인링)와 뒷기어(스프라켓)의 곱한 값이 5~10이면 중급자 모드(기어 3단, 기어 4단)로 설정되며, 앞기어(체인링)와 뒷기어(스프라켓)의 곱한 값이 15단 이상이면 고급자 모드(기어 5단)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드별 기어변속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일예로서 기어 변속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내지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산출된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준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초급자 모드, 중급자 모드, 고급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모드와 연관된 앞기어와 뒷기어의 기어변속비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앞기어와 뒷기어의 기어변속비 표시는 각각 숫자(예 : 앞 1단, 뒤 2단)로 표시되거나 또는 앞기어 형상의 3단 도형과 뒷기어 형상의 9단 도형이 표시되고 해당 기어에 불이 들어오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운전자는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변속레버(쉬프터)를 조작하여 기어를 변속함으로써 편안한 주행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배터리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부(50)는 상기 제어부(30), 디스플레이부(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은, 자전거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조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제어부(30), 디스플레이부(40) 및 배터리부(50) 등이 포함된 단말기 형태로 구성되어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가 페달을 통해 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고 이를 통해 수동으로 기어를 변속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편의를 도모하고 잘못된 기어변속으로 인한 변속 라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각도센서
20 : 힘센서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배터리부

Claims (4)

  1. 자전거 페달에 내장되어 운전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페달의 페달축에 대한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힘에 의해 페달의 변형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힘센서와;
    상기 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힘을 계산하고, 계산된 힘에 대응하는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산출하기 위한 기어변속비 산출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최적의 기어변속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초급자 모드, 중급자 모드, 고급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모드와 연관된 앞기어와 뒷기어의 기어변속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에 가하는 힘의 세기를 단계별로 설정하며, 페달에 가하는 힘이 커지면 기어단계는 낮은 단계로 설정되고, 페달에 가하는 힘이 작아지면 기어단계는 높은 단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KR1020150158758A 2015-11-12 2015-11-12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KR10175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758A KR101757380B1 (ko) 2015-11-12 2015-11-12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758A KR101757380B1 (ko) 2015-11-12 2015-11-12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699A KR20170055699A (ko) 2017-05-22
KR101757380B1 true KR101757380B1 (ko) 2017-07-12

Family

ID=5904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758A KR101757380B1 (ko) 2015-11-12 2015-11-12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27A (ko) * 2018-11-01 2020-05-11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원터치 전자식 변속 레버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593B2 (ja) * 1997-01-31 2001-02-26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表示装置
JP3832688B2 (ja) * 1997-11-14 2006-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補助自転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593B2 (ja) * 1997-01-31 2001-02-26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表示装置
JP3832688B2 (ja) * 1997-11-14 2006-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補助自転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27A (ko) * 2018-11-01 2020-05-11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원터치 전자식 변속 레버 및 그 동작방법
KR102538865B1 (ko) 2018-11-01 2023-06-01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원터치 전자식 변속 레버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699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0945B2 (en) Gear changing control apparatus
JP5276735B1 (ja) 自転車用制御装置
US7614971B2 (en) Apparatus for fine tuning a bicycle derailleur position
US67747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bicycle rider of an upcoming shifting operation
US60151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a bicycle transmission
US8886426B2 (en) Power-assisted bicycle with a gear shift smoothening function
US20140290412A1 (en) Bicycle gear changing apparatus
US20130054068A1 (en) Bicycle drive apparatus
EP133850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icycle transmission
EP1238903A2 (en)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JP4272217B2 (ja) 自転車用変速支援装置
JP3199830U (ja) 自転車の変速制御システム
US6877755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 bicycle transmission that operates when signals are detected
CN113665726B (zh) 用于人动力交通工具的换挡系统
KR101757380B1 (ko) 자전거의 최적 기어변속 유도시스템
JP3566682B2 (ja) 自転車用変速制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手動変速制御装置
JP2003130197A (ja) 自転車用変速制御装置及び自転車用変速制御方法
JP2000095174A (ja) 自転車用前部変速機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699811B1 (ko) 전자 프로세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전동 변속기
CN204750469U (zh) 一种山地自行车自动变速装置
US11685470B2 (en) Bicycle component controller, bicycle component control system and bicycle component control method
JP2021107227A (ja) 自転車用制御装置
US20150285376A1 (en) Bicycle gear shift indicator and display
US20140196560A1 (e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for bicycle
JP7319034B2 (ja) 制御装置および変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