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217B1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217B1
KR101757217B1 KR1020110072043A KR20110072043A KR101757217B1 KR 101757217 B1 KR101757217 B1 KR 101757217B1 KR 1020110072043 A KR1020110072043 A KR 1020110072043A KR 20110072043 A KR20110072043 A KR 20110072043A KR 101757217 B1 KR101757217 B1 KR 10175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aiting time
image forming
unit
pri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120A (ko
Inventor
박수희
김진실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217B1/ko
Priority to US13/353,723 priority patent/US8699071B2/en
Publication of KR2013001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36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4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with asynchronous operation of the image input and output devices connected to the memory
    • H04N1/32454Controlling data flow to or from the memory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data, e.g. file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3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reproduction, e.g. network printing or remote imag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04N1/0023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using an image reproducing device as a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87Storage of at least one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기설정된 대기시간을 가지며,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이미지 처리부에서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대기시간 변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쇄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가 준비되면, 내부의 화상형성 엔진을 구동시켜 종이를 픽업시키고 LSU, 정착기, 현상기 등을 제어하여 실제 출력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복잡한 다수의 페이지를 연속으로 인쇄하는 경우, 각 인쇄 페이지에 대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의 변환 시간이 화상 형성부의 정상 출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내부의 현상기 롤러나 LSU 폴리곤 모터의 수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구성들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일단 화상형성 엔진이 정지했다가 다시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아무리 빨라도 모터와 롤러 회전속도의 가·감속 제어에 의한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화상형성 엔진이 정지하면 인쇄 작업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ready FPOT(First Page Out Time)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대기시간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복잡한 다수의 페이지를 연속으로 인쇄하는 경우, 매 페이지마다 화상형성 엔진의 구동을 정지 및 재구동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인쇄 처리 속도가 느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기설정된 대기시간을 가지며,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대기시간 변경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화상 형성부 내의 모터의 기동을 유지하면서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소 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상기 변환시간보다 긴 기설정된 최대 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는, 스케일링(scaling) 가속기, 하프토닝(halftoning) 가속기 색상변환(color conversion) 가속기, 그래픽 처리 가속기, 및, 이미지 회전 처리 가속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형성방법은,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화상 형성부 내의 모터의 기동을 유지하면서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최소 대기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소 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상기 변환시간보다 긴 기설정된 최대 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는,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2의 이미지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서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이미지 처리부(140), 화상 형성부(150), 대기시간 변경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유선 방식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으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 접속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생성된 PCL(Printer Command Language), PS(PostScript) 언어로 작성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 GDI(Graphic Device Interface) 데이터, XPS 파일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형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파일 자체가 직접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는 다이렉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후술할 이미지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저장부(130)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저장부(13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명령어 처리를 위한 구분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5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처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140-1, 140-2, 140-3)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비된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 가속기는 특정 이미지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DSP와 같은 처리장치로, 스케일링(scaling) 가속기, 하프토닝(halftoning) 가속기, 색상변환(color conversion) 가속기, 그래픽 처리 가속기, 및, 이미지 회전 처리 가속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하드웨어 가속기 대신에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이미지 처리부(140)에 3개의 하드웨어 가속기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4개 이상의 하드웨어 가속기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하드웨어 가속기가 구비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화상 형성부(150)는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150)는 이미지 처리부(140)에서 제공되는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부(150, 또는 엔진부)는 기설정된 대기시간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150)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내부의 현상기 롤러나 LSU 폴리곤 모터의 수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의 구성들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부(150)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지나기 전에 다음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음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인쇄 용지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시간은 화상 형성부(150) 내의 모터의 기동을 유지하면서 변환된 인쇄 데이터(또는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이다.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에서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150)의 대기시간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시간 변경은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예를 들어, 3페이지)마다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화상 형성부(150)가 정상 출력 속도로 동작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30ppm의 인쇄를 지원하는 경우, 2초당 하나의 페이지를 인쇄해야 하는바, 다른 변환 작업 등을 고려하여 기준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시간은 제조사가 실험에 의하여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시간은 대기시간의 변경 폭으로, 예를 들어 0.5초일 수 있다.
따라서, 디폴트 대기시간이 2초이고, 단위시간이 0.5초이고,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3초인 경우,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대기시간을 2초에서 2.5초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3초인 경우,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대기시간을 2.5초에서 3초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화상 형성부(150)의 대기시간을 점차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변경될 수 있는 대기시간에 대한 한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시간이 점차 증가하여도 10초 이상 또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대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대기시간은 이미지 처리부(140)의 최대 변환시간으로, 예를 들어, 6초일 수 있다. 이러한 최대 대기시간은 제조사가 실험에 의하여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폴트 대기시간이 2초이고, 기준시간은 1초이고,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3초인 경우,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대기시간을 2초에서 6초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키거나, 기설정된 최소 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대기시간은 디폴트 대기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하드웨어 가속기마다 다른 기준시간을 설정하고, 각 하드웨어 가속기에서의 처리 속도가 해당 하드웨어의 가속기의 기준시간보다 길면, 해당 하드웨어의 가속기에 대응되는 단위시간만큼 대기시간을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대기시간이 2초이고, 제1 하드웨어 가속기(140-1)의 기준시간이 0.5초이고, 제1 하드웨어 가속기(140-1)의 단위시간이 0.3초이고, 제1 하드웨어 가속기(140-1)의 변환시간이 1초이며, 제2 하드웨어 가속기(140-2)의 기준시간이 0.5초이고, 제2 하드웨어 가속기(140-2)의 단위시간이 0.3초이고, 제2 하드웨어 가속기(140-2)의 변환시간이 0.6초인 경우,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대기시간을 2초에서 2.6초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하나의 인쇄 잡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대기시간을 디폴트 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과 기설정된 대기시간을 비교하여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화상 형성부(15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되도록 이미지 처리부(140)를 제어하고, 변환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 되도록 화상 형성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150)의 대기시간이 변경될 수 있도록 대기시간 변경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이미지 처리 시간이 긴 경우, 화상 형성부(150)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부(150)의 대기시간이 2초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의 각 페이지를 변환하는데 4초가 필요하면, 첫 페이지 인쇄 과정에서는 FPOT 시간(예를 들어, 10초)이 필요하고, 두 번째 페이지서부터 열 페이지까지 엔진 대기시간 초과로 인한 엔진 정지 및 재가동 시간(예를 들어, 10초)이 소요되어, 10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총 100초가 걸리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서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10페이지의 인쇄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쇄된다. 이때,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페이지를 변환하는데 4초가 필요하면,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첫 페이지의 이미지 데이터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2초에서 3초로 변경하고, 두 번째 페이지의 이미지 데이터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3초에서 4초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세 번째 페이지에서부터는 대기시간 초과 없이(즉, 엔진 대기시간 초과로 인한 엔진 정지 및 재가동 수행 없이)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10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총 52초가 걸리게 된다. 도 3과 도 4의 동작을 비교하면, 대기시간의 변경만으로 인쇄 속도를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대기시간이 4초로 변경된 이후에 증가하지 않는 실시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대기시간이 4초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각 페이지의 변환시간이 일정하기 않은 경우의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10페이지의 인쇄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쇄된다. 각 페이지를 변환하는데 필요한 변환시간이 각각 1초, 2초, 3초, 4초, 5초, 6초, 5초, 4초, 3초, 2초로 다른 경우,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첫 페이지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2초에서 2.5초로 변경하고, 순차적으로 3초, 3. 5초, 4초, 5초, 5.5초, 6초, 6.5초, 7초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10페이지를 인쇄하는데 59초가 걸리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대기시간을 하나의 인자를 통하여 변경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대기시간은 복수의 인자를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10페이지의 인쇄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쇄된다. 이때,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한다. 이미지 처리부(140)가 세 개의 하드웨어 가속기(140-1, 140-2, 140-3)를 가지며, 각각 기준시간이 0.5초, 1초, 0.5초이고, 각각 단위시간이 0.2초, 0.4초, 0.2초이고, 각각 변환시간이 1초, 2초, 0.4초이면,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첫 페이지의 이미지 데이터의 변환 이후에 제1 하드웨어 가속기(140-1)의 단위시간 및 제2 하드웨어 가속기(140-2)의 단위시간을 더하여 대기시간을 2초에서 2.6초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40)는 두 번째 페이지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2.6초에서 3.2초로 변경하고, 세 번째 페이지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3.2초에서 3.8초로 변환하고, 네 번째 페이지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3.8초에서 4.4초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다섯 번째 페이지에서부터는 대기시간 초과 없이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10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총 76초가 걸리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대기시간을 점차 증가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바로 대기시간을 최대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대기시간 변경부(160)가 대기시간을 증가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증가한 대기시간을 줄이는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대해서는 도 7을 참고하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10페이지의 인쇄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인쇄된다. 이때,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대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이미지 처리부(140)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소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6페이지를 각각 변환하는데 4초가 필요하고, 7~10페이지를 각각 변환하는데 1초가 필요하면,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첫 페이지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2초에서 5초로 변경할 수 있다. 대기시간이 바로 5초로 증가함에 따라서, 두 번째 페이지에서부터는 대기시간 초과 없이(즉, 엔진 대기시간 초과로 인한 엔진 정지 및 재가동 수행 없이)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시간 변경부(160)는 일곱 번째 페이지의 변환 이후에 대기시간을 5초에서 2초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10페이지를 인쇄하는데 총 38초가 걸리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30 ppm 출력속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동작 예만을 설명하였으나, 30 ppm 출력 속도 보다 빠른 출력 속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가능하며, 30 ppm 출력 속도 보다 느린 출력 속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S 810),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다(S 820). 구체적으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S 830).
그리고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한다(S 840). 구체적으로, 변환 과정에서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키거나,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대대기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시간 변경은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예를 들어, 3페이지)마다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대기시간 변경은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페이지가 인쇄되었는지 판단한다(S 850). 판단결과 모든 페이지가 인쇄된 경우(S 850-Y), 인쇄 작업을 완료한다. 그리고 판단결과 인쇄할 페이지가 남아 있는 경우, 상술한 데이터 변환단계, 화상 형성 단곈, 대기시간 변경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인쇄 데이터의 이미지 처리 시간이 긴 경우에도,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바, 인쇄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은 화상형성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이미지 처리부 150: 화상 형성부
160: 대기시간 변경부 170: 제어부

Claims (19)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기설정된 대기시간을 가지며,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대기시간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화상 형성부 내의 모터의 기동을 유지하면서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인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소 대기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상기 변환시간보다 긴 기설정된 최대 대기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는,
    스케일링(scaling) 가속기, 하프토닝(halftoning) 가속기, 색상변환(color conversion) 가속기, 그래픽 처리 가속기, 및, 이미지 회전 처리 가속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 변경부는,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한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화상 형성부 내의 모터의 기동을 유지하면서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인 화상형성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단위시간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대기시간을 기설정된 최소 대기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데이터의 변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시간을 상기 변환시간보다 긴 기설정된 최대 대기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는,
    복수의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처리 가능한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 각각의 변환시간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마다, 상기 화상 형성부의 대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20110072043A 2011-07-20 2011-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175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43A KR101757217B1 (ko) 2011-07-20 2011-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13/353,723 US8699071B2 (en) 2011-07-20 2012-01-1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n ima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43A KR101757217B1 (ko) 2011-07-20 2011-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120A KR20130011120A (ko) 2013-01-30
KR101757217B1 true KR101757217B1 (ko) 2017-07-12

Family

ID=4755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043A KR101757217B1 (ko) 2011-07-20 2011-07-20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99071B2 (ko)
KR (1) KR101757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35A (ko) * 2016-11-30 2018-06-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조기 웜업으로 인한 공회전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3725A1 (en) * 2006-01-17 2010-03-25 Lifen Tian Optimized Printing Of Electronic Documents
JP2010198443A (ja) * 2009-02-26 2010-09-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5459B2 (ja) 2005-09-02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と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5609195B2 (ja) * 2010-03-23 2014-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3725A1 (en) * 2006-01-17 2010-03-25 Lifen Tian Optimized Printing Of Electronic Documents
JP2010198443A (ja) * 2009-02-26 2010-09-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99071B2 (en) 2014-04-15
US20130021644A1 (en) 2013-01-24
KR20130011120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3259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9107332A (ja) 印刷の計数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7812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method for performing specific process o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 program to be executed by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20243022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control apparatus
US86597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option controller for printing
US94114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854652B2 (en) Host device and print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5721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538037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省電力印刷方法
JP2014115774A (ja)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108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drawing processing method, softwar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917411B2 (en) Computer connectable with a printer,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inting method with data generation time reduction capability
US10382637B2 (en) Print controller,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03002B2 (en) Print control device, print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ing program
JP2010188598A (ja) 印刷装置、ドライバー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
JP2010218325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13125455A (ja) 画像形成装置
JP6063857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577767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省電力印刷方法
JP200122898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印刷データ受信方法
JP58252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0357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16021154A (ja) 印字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省電力モード制御手段及び制御方法
JP2015005040A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521031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