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773B1 -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 Google Patents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773B1
KR101756773B1 KR1020137005748A KR20137005748A KR101756773B1 KR 101756773 B1 KR101756773 B1 KR 101756773B1 KR 1020137005748 A KR1020137005748 A KR 1020137005748A KR 20137005748 A KR20137005748 A KR 20137005748A KR 101756773 B1 KR101756773 B1 KR 10175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cannula
guide
knif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031A (ko
Inventor
조세 디니스 카르모
Original Assignee
조세 디니스 카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 디니스 카르모 filed Critical 조세 디니스 카르모
Publication of KR2013009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3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adapted for use within the carpal tu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시술법 및 시술장치의 셋트가 특히 수근관 수술들을 위해 공개되되, 이것들은 직접 눈으로 보지 않아도 또는 인대를 노출 시킬 필요 없이도 그것(횡수근인대)의 최말단 가장자리를 제외하고도 안내에 따라 안전하게 횡수근인대(TCL) 상의 정교한 절단을 허용하며, 주변의 구성물들에 (시술에 따른) 부주위한 상해 발생을 억제하도록 절개 나이프가 잘못된 절단 경로로 이탈할 가능성을 없애 주거나 적어도 매우 감소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사항을 포함한다: 신규한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그것은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을 통해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니들은 신규한 모양의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를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하고, 상기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는 나이프의 블레이드부의 하부 끝단에 손가락 모양을 갖는 캐눌라삽입용 프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두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나이프의 블레이드부의 상측 끝단에는 손가락 모양을 갖는 뭉뚝한 프롱의 끝단에 구(32)가 결합되고, 두 번째 실시예에서 신규한 모양의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는 90°로 굽은 샤프트를 가지며, 손가락 모양을 갖는 두 개의 무딘 프롱들의 끝단에는 한 쌍의 구들이 결합되고, 신규한 모양으로서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캐눌라(40)는 그것의 끝단에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통과를 위한 천공을 가지며, 그리고,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또한, 그것(가이드캐눌라)의 원위 말단에서 방지용 금속재 아치 또는 아치형-브레이크(37)를 포함하고, 적절한 조작을 위해서 그것(가이드캐눌라)의 후방에서는 두 개의 이어들 또는 핸들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SURGICAL SET OF INSTRUMENTS FOR PRECISION CUTTING}
본 발명은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용 장비들의 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근관감압술치료법들(carpal tunnel release surgeries)에 적합한 외과용 장비들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감압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또한 공개된다.
특히, 수근관갑압술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지는 않는 상기의 개선된 외과용 장비들의 세트는,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cannulated guide rod), 절개(용)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fasciotome)나 절개기구, 90°로 절곡된 샤프트를 갖는 절개용 나이프 또는 절개기구, 및 일자형의 가이드캐눌라(guide cannul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감압술 또는 제거술 시에 완전하게 제어되며 정확한 절개를 제공하고, 잘못된 방향으로의 절개 및 (시술부위의) 주변 부분에서 부주의한(또는 치료로서 발생되는) 상처들이 발생될 가능성을 적어도 최소한 줄여 줄 수 있되, 절개 전에 인대(ligament) 전체가 노출되거나 보여질 필요없이도 수행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 횡수근관감압술(transverse carpal tunnel release)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수근관 내부 중앙신경(median nerve)의 눌림에 의해서 발생되는 증후군들이 복합된다. 수근관은 중앙신경 및 굴곡건들(flexor tendons)을 위한 골섬유 통로(osseo-fibrous passage)로서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 및 수근골(carpal bone)에 의해 형성된다. 수근골은 완골(carpus)의 뼈들이다. 완골 또는 손목은 팔뚝과 손 사이의 관절부위이고, 여덟 개의 뼈들로 구성된다. 굽힘근지지띠 또는 횡수근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는 전완근막(antebrachial fascia)의 말단으로 연속되는 굵은 섬유띠(heavy fibrous band)으로써, 수근관이 포함된다. 전완근막 또는 팔뚝의 심부 근막(deep fascia)은 팔뚝에 매몰된 근막이다. 근막은 피부 깊숙이 놓이는 섬유조직의 층(sheet) 또는 띠(band)를 형성하며 근육들의 (그리고 신체의 다양한 조직들의) 외층을 형성한다. 횡수근인대를 감압시키는 수근관증후군의 치료는 60 년이 넘게 활용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인대를 감압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발전되고 있다.
요약하면, 두 개의 주요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다: 1) 인대 위로 손바닥의 장측(volar aspect) 피부를 절개하는 방식의 개방방식들(open methods) 그리고 2) 내시경방식들(endoscopic methods). 추가적으로 내시경방식들은 두 개의 하부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환자의 손바닥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시술되되, 2)a) 그 중 하나는 한 개의 절개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2)b) 다른 하나는 두 개의 절개가 사용되는 방식이다.
1) 개방방식들은 약간의 변형이 있으나 손바닥에서 피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고/절개하거나 (피부를) 정확히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써 기본적으로 모두가 동일한 방식으로서 수행된다. 대부분 환자들의 증세를 경감시키고 안전(일반적으로 상처의 범위에 반비례하여 다양하게 발생되는 안전성)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지만, 그것들은 상대적으로 긴 수술 후 손의 회복기간을 요구하고, 수근피부선(wrist crease)에서 떨어져 수술 상처의 각각에서 무지구(thenar) 및 소지구(hypothenar eminence)의 기저(base) 상의 통증으로써 소위 "기둥통(pillar pain)"이라 불리는 절개부위 주변에서 통증(tenderness)이 발생하는 현상이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참조문헌
미국특허 문헌
1995년 2월에 등록된 Strickland. 의 5,387,222 호(Carpal Tunnel Tome and Carpal Tunnel Release Surgery)
1995년 5월에 등록된 Stephenson. 의 5,413,5802 호(Carpal Tunnel Knife)
1999년 6월에 등록된 Eager. 의 5,908,433 호(Carpal Tunnel Knife)
2) 이러한 증세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로서 횡수근인대의 분리를 위한 내시경 방식들이 발전되어왔으며, 대중적으로 널리 특히 80 년대와 90 년에 동안에 채택되어왔다
가령 예를들면, Menon 의 미국 특허 5,273,024 호에 공개된 방법과 인대를 관찰하고 분할하기 위한 섬유광학기기(fiberoptics) 및 특별한 절개장치들을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기술들은 횡수근인대 아래로 특별한 기구들의 통로로서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고가의 특별한 장비들이 요구되는 것을 포함하여 몇가지 문제들을 동반하며, 외과의사의 특별한 교육 및 다소 긴 수련기간이 요구된다. 또한, 그것들의 기능이 항상 횡수근인대를 완전하게 분할시키기에는 적합치 못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으며, 수근관과 관계된 즉, 수근관 안쪽의 중앙신경과 그것의 분기신경들 및 힘줄들과 관계된 의인성 상처(iatrogenic injury)와 같은 합병증이 보고된 바 있다. 몇몇의 경우에서, 기구들은 척골의(ulnar) 신경과 동맥에 상처를 유발시키는 잘못된 경로로 진입된다. 수술 중에 드물지 않게, 계획된 장비들의 시야는 광학장비의 렌즈들 끝단이 흐려짐에 의해서 또는 횡수근인대가 감압됨에 따라 시술구간으로 떨어지는 손바닥지방(palmar fat)에 의해서 심각하게 손상된다. 만약, 손바닥 절개를 조금하는 기술이 있다면, 국부적 문제와 기둥통 문제는 완전히 해소되지 않터라도 감소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에 추가적으로, 내시경 시술의 주요 문제점들 중 하나는 절개장치를 유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확장기(dilators)"를 사용하는 수근관 내부의 사전 확장술(previous dilation)이 요구되는 것이라고 발명자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수근관증후근은 수근볼트(carpal vault)가 실질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경계물와 채워지는 것로 이뤄진 구성물들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수근관) 내부가 팽창하면, 중앙신경은 수근관증후근을 유발시키도록 압축된다. (신체 내의) 관(canal) 내부로 삽입되는 "확장기"는 동일한 문제를 가지며 압력이 구성물들로 전해지거나 절개기구들의 전단으로 전달되어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 있어 잠재적으로 위험하므로 최소한 일시적으로라도 이를 해소해야 한다.
참조문헌
미국특허문헌
1993년 12월에 등록된 Menon. 의 5,273,024 호(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ndoscopic Surgery)
1994년 8월에 등록된 Putnam. 의 5,334,214 호(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Transverse Carpal Ligament)
그러므로, 합병증과 수술 중의 위험성들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지 한 부분에서의 손목 절개만 요구하되 단순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이고 저렴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면과 특정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의도하고자 하는 권리 범위는 설명된 장치들의 수정이나 변형들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당업자라면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추가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수근관감압술에 적합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수술용 장비들의 세트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대의 직접적인 노출 없이 그것(TCL)의 최근방 가장자리를 제외하되, 잘못된 방향으로 절개될 가능성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나이프(knife)를 사용할 때 안전하게 가이드하는 TCL(transverse carpal ligament)의 절개술을 허용한다. 상기 세트는 하기의 사항을 포함한다:
끝단이 절곡되고, 손바닥의 선택된 지점을 가르도록 가요성(flexible) 금속재질의 가이드니들(guide needle)(33)의 통로를 안내하는 도 10 에 도시된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
장치의 헤드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홀더(blade holder)(21)의 내부면상에 부착된 하나의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prong)(20 또는 24) 그리고, 블래이드의 상하부에서 앞쪽으로 확장된 한 개 또는 두 개의 손가락 모양의 솔리드프롱들(solid prongs)(22, 23)를 최소한 포함하며 Strickland 의 미국특허등록 제 5,387,222 호에 공개된 외과용 나이프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절개용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
선택적으로, 블레이드부(blade portion)의 하부 끝단은 평탄하거나 끝부분이 만곡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아래로 확장되고, 하부의 손가락 모양의 솔리드프롱(22)을 대신할 수 있다. 손가락 모양의 상기 솔리드프롱(22)의 하부면 또는 그것의 대체면(replacement surface)에 부착되면, 한 개 또는 두 개의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들(20, 24)이 된다. 상기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들의 목적은, TCL(106)의 하부면 아래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이 위치한 후에 절곡된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의 보조를 받아서 상기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통과를 허용하는 것이다. 절개 시술 동안에 이러한 니들은 절개장치(25)의 끝단의 블레이드(21)의 진행을 보조할 것이므로, 장치가 의도된 경로를 벗어나 잘못된 경로로 진행될 가능성을 제거한다. 절개장치(25)의 끝단측 샤프트 부분에는 한 세트의 홀들(holes)이나 천공들(26)이 규칙적으로 있고, 참조적으로, 상기 장치의 끝단에서의 거리들과 서로 간의 거리는 손바닥으로 인도될 장치의 길이 및 횡수근인대(TCL)의 절개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절개장치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대를 따라서 장치가 더 쉽고 안전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의 (후방) 끝단에 부착된 핸들(34)을 포함한다. 손가락 모양을 갖는 상측 프롱의 끝단에는 블레이드의 폭이 감소되지 않게 편중되어 위치되도록 2mm 가 적정 크기인 금속구(metal sphere)(32)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구는 손가락 모양을 갖는 프롱의 무딤(bluntness)을 증가시켜 의도된 경로 즉 아랫쪽을 벗어나 횡수근인대(TCL)을 가로질러 중앙신경 및 힘줄 쪽으로 블레이드가 이동될 가능성을 사실상 제거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크기는 절개장치의 전진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다.
90°각도로 꺽인 샤프트(41)를 갖는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는 외과의사가 그것을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고려된 특정 형태의 핸들에 연결되고, 블레이드 홀더는 끝단에서 손가락 모양을 갖는 두 개의 솔리드프롱들(22, 23)가 결속된 블레이드부(21)를 가지며, (상기 솔리드프롱들은) Strickland 의 미국특허등록 제 5,387,222 호에 공개된 외과용 나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블레이드 위아래로 앞쪽으로 확장된다. 선택적으로, 블레이드의 하부 끝단은 평탄하거나 만곡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아래로 동일한 거리만큼 확장되어 하부의 손가락 모양을 갖는 프롱(22)들을 대체한다. 손가락 모양을 갖는 프롱들 각각의 끝단에는 적절하게는 2mm 의 크기를 갖는 금속구(32)가 존재하되 블레이드부의 폭이 좁아지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편심을 갖도록 위치한다. 상기 (금속)구들은 손가락 모양의 프롱들의 무딤을 증가시켜서 블레이드가 의도된 경로가 아니라 원위전완근막(distal antebrachial fascia)의 불완전한 절단이나 미절단을 초래하거나 아랫쪽으로 벗어나 횡수근인대를 가로질러 중앙신경 및 근육 쪽으로 이동될 가능성을 사실상 배제시킨다. 그러나, 그것의 바람직한 크기는 절개장치의 전진을 방해하지 않는다.
닫혔으나 중앙홀(33A)을 수단으로서 홀이 타공된 원위끝단과 개방된 근위끝단을 갖는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캐눌라(40)에는 원위 끝단에 인접한 지점에서부터 개방된 근위끝단에 인접한 지점까지 확장된 길이방향 슬롯(39)이 제공된다. 상기 캐눌라는 길이방향 슬롯의 림(rim)을 따라 놓인 C 또는 D 모양의 평평한 부분을 갖는 C 또는 D 모양의 내부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절개장치를 가이드하고, 끝단에서의 천공은 절곡된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의 유도에 따라서 횡수근인대(TCL)(106)을 가로질러 절개장치를 인도할 가요성 가이드 니들의 통과를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캐눌라의 원위끝단 가까이에는 아치(형) 브레이크(37)가 존재하며, 그것은 하기의 사항을 보조한다: a)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을 향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앞쪽 또는 윗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요소로서 절개장치(25)의 블레이드부(21)의 최종 전진을 억제함, b) TCL 하부근방의 약한 조직들을 배제시키고(이격시키고) 진입됨, C) TCL 의 하부 표면에 대한 의사의 촉감을 향상시킴. 개방된 끝단에서, 그것의 핸들링(조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핸들 또는 이어(ear)(38)가 구비된다.
요약하면, 종래 기술과 대비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장점들은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1) 개방방식들과 관련하여
1) 손바닥 상의 어떠한 절개도 회피함으로서, 절개통증(incision pain)과 "기둥통"을 억제하거나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2) 원위 수근피부선(distal wrist crease) 상에서 더 작은 절개가 이뤄진다.
3) 수술 후 통증이 감소한다.
4) 수술 후 더 좋은 결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절개는 (몇 달 안에) 신속하게 사실상 사라질 수 있다.
2) 내시경방식들과 관련하여
보다 단순한 기술로서, 하기의 사항을 피할 수 있다.
1) 전용으로서 (매우) 비싼 장비들의 필요성: 본 기술은 단지 4 개 또는 5 개의 저렴한 도구들만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2) 외과의사들의 특화 교육 및 긴 수련기간에 대한 필요성
3) 신속한 (수술) 절차
4) 수근관 내부의 사전 확장술에 대한 필요성
5)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인대의 완전한 감압을 보증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
6) 불안전성: 발명자에 의해 수행된 100 건 이상의 경우에 있어, 심각한 합병증이 조사된 경우는 없었던 안전한 기술이다.
도 1 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동안 손바닥과 손목의 해부학적 구성 및 수술을 위한 절개를 표시하도록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104 - 장장근(Palmaris Longus Muscle)의 힘줄
105 - 두상골(Pisiform bone)
106 - 횡수근인대(TCL)
107 - 유구골(hamate bone)의 후크(hook)
202 - 약지(ring finger)의 가쪽근방(radial border)에서 연장된 선
203 - 약지의 척측근방(ulnar border)에서 연장된 선
207 - 카플란의 카디날 라인(Kaplan's cardinal line)
208 - 네번째 손바닥뼈(metacarpal)
304 - 원위 수근손바닥피부선(Distal wrist palmar crease)
305 - 수술절개(Surgical Incision)
도 2 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동안 손바닥과 손목의 피부(스킨) 상의 수술 절개를 나타내되, 상기 피부의 가장자리는 두 개의 스킨후크(skin hook)로 벌어지고, 손목막(wrist fascia) 상에서 횡측 수술절개가 시술되는 나이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304 - 원위 수근손바닥피부선
305 - 수술절개(피부의 가장자리)
401 과 401A - 스킨후크
402 - 나이프(수술용 블레이드)
405 - 횡수근인대(TCL)의 근위말단
405A - 전완근막(antebrachial fascia)(손바닥측수근인대: palmar carpal ligament)(PCL)의 원위말단
406 - 에드슨의 포셉(Adson’s forcep)
407 - 수근막(palmar fascia) 상에서의 수술절개
도 3 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중에 전완근막의 원위말단을 절단하는 샤프트가 90°로 꺽인 절개장치가 도시된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41 - 샤프트가 90°로 꺽인 절개장치
106 - 횡수근인대(TCL)
305 - 수술절개
405A - 전완근막(손바닥측수근인대)(PCL)
501B - 피부(스킨)
502B - 피하지방(Subcutaneous fat)
504 - 원위 전원근막에서의 근접 절개
도 4A 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중에 횡수근인대(TCL) 아래 말단으로 인도되는 뭉뚝한 프로브(blunt probe) 또는 오브큐레이터(obturator)가 도시된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도 4C 에 표기된 것과 동일하다.
도 4B 는 횡수근인대(TCL) 아래 말단으로 인도되는 뭉뚝한 프로브(blunt probe) 또는 오브큐레이터(obturator)가 도시된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로서 도 4A 의 부분확대도이고, 도면부호는 도 4C 에 표기된 것과 동일하다.
도 4C 는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인 끝단이 꺽인(구부러진)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를 대체하는 뭉뚝한 프로브 또는 오브큐레이터가 도시되되, 도 4B 와 동일한 부분의 시상도(sagital view)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7 -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
106 - 횡수근인대(TCL)
401 - 스킨후크
305 - 수술절개
405A - 전완근막(손바닥측수근인대)(PCL)
501B - 피부
502B - 피하지방
601 - 뭉뚝한 프로브 또는 오브큐레이터
607 -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레이저 마크(Laser mark)
도 5A 는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하기의 사항이 나타난다: 1) 여기에서 설명되는 과정 동안에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루멘(lumen)을 통해서 횡수근인대(TCL)의 심층면(deep surface) 아래로 인도되는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2) 가요성 니들의 끝단의 빠져나옴(extrusion)을 촉진하기 위해 카플란의 라인을 고려하여 뭉뚝한 스패툴라(spatula)로 아랫쪽으로 가압되는 손 말단의 손바닥, 여기에서 도면부호는 도 5B 에 표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5B 는 이전 도면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과정을 나타내되 도 5A 의 부분확대도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7 -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샤프트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106 - 횡수근인대(TCL)
305 - 수술절개
405 - 횡수근인대(TCL)의 근위말단
501B - 피부
502B - 피하지방
706 - 스패툴라
도 6 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중에 횡수근인대(TCL) 아래에 위치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을 따라 인도되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횡수근인대 원위말단에서의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이 도시된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0 - 손가락 모양을 갖는 캐눌라삽입용 프롱
21 - 블레이드(나이프의 절단날)
25 - 절개장치
26 - 절개장치 샤프트의 천공
32 - 금속구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106 - 횡수근인대(TCL)
305 - 수술절개
405 - 횡수근인대(TCL)의 근위말단
810 - 와이어
도 7 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중에, 두 개의 강력한 니들홀더들(미도시)의 도움을 받아 긴장상태가 유지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의 안내에 따라 상기 인대를 가로지르며 횡수근인대(TCL)의 근위말단에서 삽입된 본 발명의 일부인 횡수근인대(TCL)의 절단장치 및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0 -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
21 - 블레이드(나이프의 절단날)
25 - 절개장치
26 - 절개장치 샤프트의 천공
32 - 금속구
33 - 가요송 금속재 가이드니들
106 - 횡수근인대(TCL)
405 - 횡수근인대(TCL)의 근위말단
810 - 와이어
도 8A 는 횡수근인대(TCL)를 따라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의 안내 하에 횡수근인대(TCL) 절단장치의 진입에 의해서 상기 횡수근인대(TCL)의 분리가 이뤄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도 8C 에 표시된 것과 같다.
도 8B 는 도 8A 의 부분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되 동일한 절차에 따라 횡수근인대(TCL)가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시상도이고, 도면부호는 도 8C 에 표시된 것과 같다.
도 8C 는 도 8A 의 부분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되 동일한 절차에 따라 횡수근 인대(TCL)가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가로면도(transverse plane view)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5 - 절개장치
26 - 절개장치 샤프트의 천공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106 - 횡수근인대(TCL)
810 - 와이어
405A - 전완근막(손바닥측수근인대)(PCL)
501B - 피부
도 9A 는 그것(가이드니들)의 천공된 끝단을 통해 인도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의 안내 하에 횡수근인대 아래로 인도된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선택적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천공된 끝단을 갖는 가이드캐눌라(guide cannula)를 사용하는 모습이 도시된 손바닥과 손목의 사시도이고, 도면부호는 도 9D 에 표시된 것과 같다.
도 9B 는 도 9A 의 부분 확대된 모습으로서,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손바닥 피부의 심층면에 접하고 있는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에 의해 추가적인 진입이 방지될 때까지 슬롯이 형성되고 천공된 끝단을 갖는 가이드캐눌라가 횡수근인대(TCL)로 완전하게 인도된 모습이 나타난 시상도이고, 도면부호는 도 9D 에 표시된 것과 같다.
도 9C 는 도 9B 와 동일한 모습를 도시하되, 슬롯이 형성되고 천공된 끝단을 갖는 가이드캐눌라의 길이방향 슬롯을 따라 놓인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을 따라서 횡수근인대(TCL)의 초기인도(initial introduction)를 구성하는 절차가 포함된 시술과정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면부호는 도 9D 에 표시된 것과 같다.
도 9D 는 도 9C 와 동일한 모습을 도시하되 선택된 횡수근인대(TCL)를 따라서 슬롯이 형성되고 천공된 끝단을 갖는 가이드캐눌라를 따라 완전하게 인도된 횡수근인대(TCL) 절개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5 - 절개장치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40 - 슬롯이형성되고 천공된 끝단을 갖는 가이드캐눌라
105 - 두상골
106 - 횡수근인대(TCL)
305 - 수술절개
501B - 피부
502B - 피하지방
도 10 은 적합한 형태를 갖는 후방 핸들에 결합된 샤프트 끝단에서 "네일(nail)"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부가 되는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바람직한 모습이 나타난 3D 도면이고, 도명부호는 아래와 같다.
27 -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핸들
28 -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샤프트
29 -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굽은 원위끝단(원위말단)
30 - 치(tooth) 또는 네일
도 11A 와 11B 는 원위말단에서 "치" 또는 "네일"을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종류의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끝단을 강조하여 확대한 3D 도면들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30 - 치
31 - 네일
도 12 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곧은 샤프트 절개장치(straight shaft fasciotome)의 원위말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하나의 3D 도면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0 -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
21 - 블레이드(나이프의 절단날)
22 - 하위의(하부의) 손가락 모양의 프롱
23 - 상위의(상부의) 손가락 모양의 프롱
32 - 금속구
도 13 은 두 개의 나란한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들이 장착되며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횡수근인대(TCL) 절개장치의 샤프트 및 끝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3D 도면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0 -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
21 - 블레이드(나이프의 절단날)
22 - 하위의 손가락 모양의 프롱
23 - 상위의 손가락 모양의 프롱
24 -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
25 - 절개장치
26 - 절개장치 샤프트에서의 천공들
32 - 금속구
도 14 는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로서 상기 절개장치의 헤드부에서 상위의 손가락 모양의 프롱의 끝단에서 금속구를 구비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 및 횡수근관 절단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를 사용하는 시술에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3D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5 - 절개장치
32 - 금속구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37 - 방지용 금속 아치(metal arch) 또는 아치(형) 브레이크
40 -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
도 15 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근관 절단용 곧은 샤프트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의 후방 핸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4 에 도시된 조립체의 3D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5 - 절개장치
34 - 후방 핸들
40 -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
도 16 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되 바람직한 형태의 후방 핸들이 결합된 90°로 굽은 샤프트 절개장치의 3D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41 - 90°로 굽은 샤프트 절개장치
42 - 금속구
도 17 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되 캐눌라의 닫힌 원위말단의 천공을 통해 진입하는 끝단을 가지며,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의 길이방향 슬롯을 따라 놓이도록 시술에서 사용되는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3D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캐눌라의 원위말단에는 방지용 금속 아치가 도시되었다.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37 - 방지용 금속 아치 또는 아치 브레이크
38 - 이어(ear)/핸들
39 - 길이방향 슬롯
40 -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
도 18 은 캐눌라의 닫힌 원위말단의 천공을 통하여 진입하는 끝단을 가지며,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방향 슬롯을 따라 위치하는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을 구성하는 조립체의 3D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캐눌라의 원위말단에는 방지용 금속 아치가 도시되었다.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33A -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의 앞쪽 홀
37 - 방지용 금속 아치 또는 아치 브레이크
39 - 길이방향 슬롯
도 19 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조립물을 나타내는 3D 도면이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의 슬롯에서의(슬롯에 장착된) 횡수근인대 절단용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 그리고 90°로 굽은 샤프트를 갖는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를 나타내고, 도면부호는 아래와 같다.
25 - 절개장치
27 -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의 핸들
33 -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
38 - 이어/핸들
40 - 슬롯이 형성되고 끝단이 천공된 가이드캐눌라
41 - 90°로 굽은 샤프트 절개장치
본 발명은, 외과수술 기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근관 수술 동안에 횡수근인대(TCL)의 절개에 적합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외과수술 기구 세트 및 그것의 사용법에 관한 것이며, 하기의 사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고 두 개의 개방된 끝단을 구비하며, 굽혀진 원위말단(원위끝단)(29)을 갖는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를 포함한다. 그것의 루멘(관강:管腔, lumen)은 수근인대 절단용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블레이브부를 안내하도록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인도(introduction)를 허용한다. 상기 장치는 최소의 수술절개를 통하여 그리고 손의 손바닥에서 선택된 지점으로 상기 가이드니들(33)의 인도가 수행되도록 횡수근인대(TCL)의 하부표면 아래로 손바닥 안쪽으로 인도되기가 최적화되는 적절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로드(28)은 TCL 의 하부표면 아래로 그것의 인도를 촉진하기 위하여; TCL 의 하부표면을 그것의 끝단이 상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대략 25°내지 30°의 각도로 원위말단에서 약 1cm 정도 굽혀진 굽힘부(buckle)(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그것의 원위말단과 인대(ligament)에 관한 외과의사의 촉감을 향상시키며 손바닥의 표면에서 상측방향으로 가요성 가이드니들(33)의 끝단을 인도하여, 상기 가이드로드의 끝단에 근접한 손바닥의 한 지점에서 바늘의 끝단이 빠져나올 수 있게 할 것이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로드(28)는 인대의 원위가장자리(distal edge)을 지나쳤을 때의 움직임의 감촉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TCL 의 하부표면에서 외과의사의 촉감을 보조하며 향상시키도록 도 11A 와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굽은 쪽에서 최말단의 끝부분에 적어도 1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치(toothe)(30) 또는 네일(31)과 같은 볼록한 돌기가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CL 의 불완전한 절개를 피하기 위해 고려된 측정장치들의 일부로써,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 상기 로드의 끝단이 향하는 방향 및 손바닥으로 삽입된 장치의 (삽입)길이의 결정 이 두 가지를 참고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이 분야에 알려진 몇가지 수단들에 의하여 미터법으로 (치수나 눈끔 등이) 그것의 만곡된 면으로 고안된 샤프트(로드)(28)의 상위 면상에서 인쇄될 수도 있다.
상기 로드는, 외과용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철기반(iron based)의, 티타늄기반(titanium-based)의, 코발트기반(cobalt based)의 또는 다른 적합한 합금재의 생체적으로 적합한 금속들로서, 제조 목적에 맞도록 또는 외과수술의 인간공학적 상황에 맞도록 변경될 수도 있으나 아래의 바람직한 치수들에 따라서 이 분야에 알려진 몇 가지의 방식 중 하나에 의해 제조되어야 한다.
­ 길이: 50 내지 100 mm
­ 외경: 3 내지 5 mm
­ 내경: 2 내지 3 mm
이러한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는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서 그리고 외과의사가 장치를 제어하며 조작하기 위해서 어떠한 형태의 핸들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이 분야에서 알려진 몇몇의 수단들 중 하나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와 동일한 종류의 금속 합금 또는 고온에 저항성을 갖는 생체적합성을 갖는 재질 가령, 고밀도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재들 중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로드(28)의 근위말단이 장치의 루멘으로(내주면측으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이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핸들의 측면 상에서 항시 눈에 보이며 침투가능하게 되는 것은 치명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된 세트는, 캐눌라삽입용 관형상으로 손가락 모양을 갖는 프롱(20, 24)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된 절단(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를 포함하고, 그것(프롱)은 절단 블레이드(21)의 하부면에 있는 손가락 모양의 솔리드프롱(22)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캐눌라삽입용 관모양의 프롱(20)의 직접 고정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홀더(blade holder)의 하부 끝단이 끝부분이 만곡되되 평평하거나 또는 평탄한 모양으로 제조된다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것을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프롱(20)의 목적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의 보조와 함께 이 것이 위치된 후에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통로로서 인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니들은 절개 시술 동안에 의도된 경로에서 잘못된 경로로 벗어날 가능성을 배제시키며 상기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의 블레이드부(21)의 진입을 안내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개장치는 상측의 손가락 모양을 갖는 솔리드프롱(23)의 끝단에서 블레이드부(21)의 폭을 감소시키지 않키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편심을 갖는(편중되도록 장착되는) 2mm 크기가 적당한 금속구(32)가 부착된다. 아울러, 이러한 구(32)는 의도된 경로에서 잘못된 경로로 즉, 중앙신경과 힘줄을 향하여 횡수근인대(106)를 가로질러 아래쪽 블레이드(21)가 벗어날 가능성을 사실상 배제시킴으로서 손가락 모양의 솔리드프롱(23)의 무딤(bluntness)을 증가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그것의 바람직한 크기는 절개장치의 전진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개장치는 절개장치 샤프트(25)의 원위말단 근방 면이나 모서리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천공들(26)이 규칙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장치의 끝단을 향해 배치되며, 외과의사들이 손으로 진입된 기구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함으로 절개된 길이를 TCL(106)에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개장치는 인대를 통하여 장치를 더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는 이 분야에서 알려진 몇 개의 수단들 중 하나에 의해서 두 가지 다른 형태들로서 생체에 적합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회용"과 "반복사용 가능용" 또는 "영구용"으로서 제조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아래와 같다.
1) "일회용" 절개장치는 가령, 고밀도폴리에틸렌이나 다른 합성수지재들과 같이 고온에 대한 내열성을 갖으며 생체에 적합 재질의 일회용 샤프트 및 후방의 핸들과 결합되되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다른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고강도의 금속합금으로 만들어진 앞쪽부분이나 끝단 블레이부를 포함하도록 이 분야에 알려진 몇가지 수단 중 하나에 의해서 제조된다.
2) 영구용 또는 "반복사용 가능용" 절개장치는 설명된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와 같이 의료용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다른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고강도의 금속 합금으로 이뤄진 완전한 금속재 단품로서 이 분야에서 알려진 몇가지 수단들 중 하나로서 제조된다.
상기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남겨진 구조적 부분들과 그것들의 바람직한 치수는 제조상의 편이성이나 외과의사들의 인간공학적 특징에 맞도록 변형될 수도 있되, 우리는 의미를 두지않고 하기의 새로운 장치들을 제안한다:
­ 후방의 핸들
부등변사각형 모양(Trapezoid-shaped)으로서 길이방향 주축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되, 샤프트에서 멀어진 면 상에서는 오목함을 갖고 그것의 전체 폭을 따라 횡방향으로 (그루브들 또는 슬롯들과 같은) 얕은 양각 세트들이 가로지르는 구조.
추천하는 치수는:
- 길이: 29mm
- 폭: 10mm
- 두께: 5mm
- 스템에서 이격된 핸들의 오목한 표면상에서의 양각: (얕게) 1mm
­ 샤프트 또는 스템(stem)의로의 연결 - 상기 샤프트의 후방 끝단 상에서 그것에 직각으로 연결되되 하부의 횡측면이 상기 샤프트의 하부면 아래로 대략 5mm 정도보다 더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구성은 하기의 목적들이 달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1) 절개 시술 동안 TCL을 따라 절개장치(25)를 가압하도록 엄지에 편안한 표면과 기본적인 지지력를 제공하기 위함.
2) 엄지의 손바닥쪽 면 상의 볼록함에 맞도록 인간공학적인 구조를 가짐.
3) 시술 동안에 장치와 장갑이 끼워진 엄지 사이에서의 접착력 및 마찰을 증가시킴으로서 장치의 안정성에 상기 양각이 기여하기 위함.
4) 설명된 방법에 따라 스템으로 연결된 세부의 케이블이 상측으로 편중되어 TCL의 절개 과정 동안에 장치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손을 향해 절개장치(25)가 앞쪽으로 가압되는 동안 환자 팔뚝의 손바닥 면 상에서의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손을 보호하기 위함.
­ 샤프트 또는 스템
근위(후방) 끝단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6mm 의 추천된 측변의 치수들을 갖고 사각형 단면을 가짐.
골간부(diaphysi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근위(후방) 끝단에서부터 100mm 까지 연속적으로 원위 끝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테이퍼드된(뾰족해지는 tapered) 피라미드 형태 모양을 갖되, 바람직하게는 횡축에 방향으로 평평하고 폭 보다는 더 높은 높이를 갖는다. (골간부에 한하여) 추천된 치수들은 아래와 같다:
- 길이: 130-140mm
-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구조를 갖되 측변이 6mm 이고 후방 끝단에서 이격된 100mm 까지 근위 끝단 폭이 넓어지는 구조.
- 앞쪽 지점에서 스템의 테이퍼드된 구조는 장치의 후방에서 140mm 이격된 지점이며 장치의 말단에서 25mm 떨어진 지점인 스템의 네크(neck)에서 수직축 상의 길이가 4mm 에 도달할 때까지인 구조.
- 장치의 후방에서 140mm 이격된 지점이며 장치의 말단에서 25mm 떨어진 지점인 스템의 네크에서 횡축상으로 동일한 지점에서부터 2mm 까지 스템의 앞쪽의 좁아지는 구조.
상기 샤프트는 그것의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또는 두 방향 모두에서 바람직하게는 그것들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5mm 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섯 개의 홀들이 천공되어,원위말단의(원위말단에 놓일) 블레이드의 절단날에서 30mm 떨어진 곳에서부터 50mm 떨어진 곳까지 (천공들이) 놓이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에서, 레이져 마크들이나 종래에 알려진 다른 방식로서 숫자나 문자로 치수가 홀들(26)에 이웃하여 새겨질 수 있다.
원위의(앞쪽의) 끝단(블레이드부; 블레이드)
이러한 끝단을 구성하는 헤드부(head portion)는 하기의 사항을 포함한다:
1) 바람직하게는 오목하거나 (물고기 입모양의) "V" 형상을 갖는 날카로운 원위의 절단날을 가지며 헤드부의 맞은편 끝단에 부착된 부등변사각형의 블레이드는 하기의 추천된 치수들을 갖는다:
- 최대길이: 14mm
- (최후미에서) 오목한 곳의 길이: 10mm
- 높이: 4mm
- 폭: 1mm
TCL(106)을 쉽게 절개하되 절개를 시술하는 외과의사의 촉감을 향상시켜 저항감을 가질 수 있도록 날카로운 원위의 절단날은 과도하지는 않고 적당하게 날카로운 것이 추천된다.
2) 샤프트의 네크(neck)로서 연속되도록 블레이드 모서리 상단에 부착된 무딘(형태의) 손가락 모양의 솔리드 프롱은 다음의 바람직한 치수를 갖는다:
- 최대길이: 10mm
- 직경: 1mm
손가락 모양을 갖는 프롱의 끝단은 블레이드의 오목한 형상 부분에서 적어도 4mm 이상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것의 끝단에 부착된 대락 직경이 2mm 인 금속구(32)는 블레이드부의 폭을 감소시키지 않키 위하여 앞쪽을 향하여 편심을 갖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샤프트의 네크로서 연속되도록 블레이드의 하부 모서리에 부착된 손가락 모양의 무딘 솔리드 프롱은 다음의 바람직한 치수를 갖는다:
- 최대길이: 13mm
- 직경: 1mm
이러한 프롱은 블레이드의 앞쪽에서 유사한 형태로 돌출되도록 약 6mm 정도 블레이드의 오목한 형상부분에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손가락 모양의 무딘 솔리드 프롱의 하부에 부착된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은 선택적으로 그것(손가락 모양의 무딘 솔리드 프롱)을 전체적으로 대체하도록 블레이드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며, 샤프트의 네크에 연속되도록 솔리드 실린더(cylinder)의 치수 및 위치적 특징들을 갖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사가 형성된 끝단을 또한 갖되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그리고 앞쪽에서 뒷쪽으로 경사가 형성된 방향으로 배치되며 다음의 바람직한 치수를 갖는다:
- 최대길이: 13mm
- 외경: 2mm
- 내경: 1mm
- 경사가 있는 원위끝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함.
상기 절개장치(25)의 헤드부의 다른 세 가지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횡수근인대의 폭은 성인의 경우 3mm 를 초과할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으므로 블레이드(21)의 양측 각각의 면에 결합된 두 개의 손가락 모양을 갖는 솔리드 프롱들(20, 24)의 하부 면 사이의 폭은 대략 4mm 이다. 그러므로, 길이가 4mm 인 것은 절개 시술 동안 인대를 통한 나이프의 잘못된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2) 추가적으로,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롱의 끝단에 메탈구(32)가 장착되어 있다면 (절개)장치의 잘못된 안내를 방지하기 충분하므로 상측의 손가락 모양을 갖는 솔리드 프롱(23)은 블레이드의 최말단에서 대략 4mm 이상으로 더 확장될 필요는 없다. 3) 마찬가지로, 횡수근인대(TCL)의 절개 시술 동안에 (절개)기구는, 프롱 그것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에 의해 인도되는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에 의한 전체 절개 부위를 따라 방향이 정해지므로, 하부에 위치한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20, 24)의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21)의 최말단에서 대략 6mm 이상으로 확장될 필요는 없다. 상기 프롱들의 돌출된 길이가 감소되는 것은, (절개)기구의 헤드부가 피부조직에 의해 (전진이) 방해받을 가능성를 방지하도록 도움을 준다.
90°로 굽은 샤프트(41)를 갖는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도 16)
이러한 절개 나이프 또는 절개장치(41)는 본 분야에서 알려진 몇 개의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생체적합성을 갖는 재질로 (하기의) 두 가지 다른 형태들로써 제조된다: "일회용" 그리고 "다회용"이나 "영구용"
1) "일회용" 절개장치는 i) 외과용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우리가 새로운 기구를 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알려진 몇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제조된 위에서 설명된 캐눌라 삽입용 가이드로드(28) 중 하나와 같이 다른 생체적합성을 갖는 고강도 합금;으로 제조된 앞쪽이나 원위의 블레이드부 및 ii) 생체 적합석 재질로서 고온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가령,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합성수지재로써 이 분야에서 알려진 몇 가지 방식 중 하나에 의해 제조되되 그것(블레이드부)에 장착되는 일회용 후방의 핸들 및/또는 후방의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의 핸들은, 우리가 새로운 기구를 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인간공학적인 특성에 맞게 외과의사에게 적합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산업적 제조상의 편이성에 맞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다.
2) 영구적인 또는 "다회용" 절개장치는 이 분야에서 알려진 몇 가지 방식 중 하나에 의해 제조되되, i) 외과용 스테일리스 스틸이나 여기에서 설명된 것 중 하나인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8)과 같이 다른 고강도 합금으로써 완전한 금속 단품으로서 제조되거나, ii) 반복되는 살균 과정 동안,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고온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생체적합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비금속 물질로 제조되되 위에서 설명된 일회용 절개장치와 동일한 특징을 갖도록 제조된다.
구성물의 일부 및 바람직한 치수들:
상기 절개 나이프/절개장치(41)의 남아있는(위에 언급되지 않은) 구성물 부분들 및 그것들의 바람직한 치수들은, 산업상 편이성이나 외과의사를 위한 인간공학적 특성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되, 다음의 사항이 새로운 기구를 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샤프트 또는 스템
끝단이 90°로 굽혀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합한 종래의 핸들에 부착되며, 바람직한 치수들 및 형태적 특징들은 하기와 같다:
굽혀지기 전까지: 육면체 모양으로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바람직한 치수는 다음과 같음:
- 길이: 30 내지 60mm
- 높이와 폭: 5mm
굽혀진 다음: 피라미드 모양으로서 근위말단은 사각단면을 갖되, 연속적으로 로드의 끝단으로 진행됨에 따라 그것의 말단을 향해 테이퍼드된(뾰족해지는) 모양을 가짐으로써, 폭 보다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된 횡축상에서 평탄한 피라미드 모양와 유사하 모양을 가지며 바람직한 치수는 다음과 같음:
- 전체 길이: 30 내지 50mm
- 높이: 굽혀진 곳에서는 3 내지 5mm; 말단에서는 2 내지 3mm
- 폭: 굽혀진 곳에서는 3 내지 5mm; 말단의 수평부에서는 1 내지 2mm
말단의 (헤드, 앞쪽) 끝단/(블레이드부; 블레이드)
이러한 말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의 최말단에서 대략 6mm 정도로 블레이드의 윗쪽과 아랫쪽에서 전방측으로 끝단에서 확장된 손가락 모양을 갖는 두 개의 솔리드프롱들(22, 2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 말단은, 블레이드 아래로 동일한 거리만큼 확장된 끝단 부분이 평평하거나 만곡될 수도 있다.
2)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롱들 사이에 마련된 부등변사각형태를 갖는 블레이드(도 12)의 헤드부 반대쪽 끝단에는 오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V"(물고기의 입) 모양을 갖는 끝부분의 절단날을 가지며 다음의 추천된 치수들을 갖는다:
- 최대길이: 14mm
- (최후방에서) 오목한 지점의 길이: 10mm
- 높이: 2 내지 3mm
- 폭: 1 내지 2.5mm
날카로운 끝단의 절단날은, 외과의사가 시술할 때 절개를 감촉으로 느낄 수 있게 소정의 저항력이 생성된 상태로 전완근막(405A)을 통해 쉽게 절단되도록 너무 날카롭지는 않고 통상적인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손가락 모양을 갖는 각각의 프롱의 끝단에는 대략 2mm 의 크기가 바람직한 금속구(42)가 블레이드부의 폭이 감소되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편심을 갖게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그것들은 프롱의 끝단 상에서 그것들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2mm 정도 되도록 중앙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나이프의 목적은 상기 전완근막을 지나 안보이는 상태로 절개하되 성인에게 있어 전완근막은 1mm 보다 더 두껍지 않으므로, 이러한 폭은 횡수근 절개장치(25)의 곧은 샤프트의 경우에 있어서 중요하지는 않다.
상기 구의 목적은 블레이드를 둘러싼 프롱들의 끝단의 무딤(bluntness)을 증가시켜, (절개)장치가 계획한 방향(수직 윗쪽으로서 팔뚝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근막(fascia)을 절개하도록 이동할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가이드 캐눌라(40)(도 17)
가이드 캐눌라(40)는 닫혀있지만 천공이 형성된 원위말단과 개방된 근위 말단을 가지며, 상기 캐눌라에는 원위 말단에서 근접한 지점에서부터 개방된 근위 말단에 근접한 지점까지 확장된 길이방향 슬롯(39)이 제공된다. 상기 캐눌라는 C 또는 D 모양의 하부 단면을 갖되, 길이방향 슬롯의 림(rim)을 따라 놓인 곳에는 C 또는 D 모양을 갖는 평탄한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슬롯이 형성되고 천공된 끝단을 갖는 가이드 캐눌라는 일반적인 슬롯이 타공된 프로브-캐눌라(probe-cannula)에서 수정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a) 천공의 포함 - 원형의 홀(33A) -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눌라의 앞쪽 끝단에서는 직경이 대략 1.5 내지 2mm 정도의 원형의 홀이 형성되고, 이 것은 여기에서 이미 언급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통과를 허용한다.
b)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로써, 캐눌라의 내측 림의 수평부분 윗쪽으로 대략 2mm 정도 확장된 억제용 금속아치 또는 아치-브레이크(37)가 또한 구비되고, 그것은 대략 1mm 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캐눌라의 원위말단의 내측 림에 3mm 정도 근접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아치-브레이크는 캐눌라(40)가 삽입되는 동안에 횡수근인대(106) 아래의 부드러운 조직들을 가압하는 것에 도움을 주며, 상기 인대(106)의 하부면에서 외과의사가 손의 감촉을 느끼는 것을 향상시킨다. 또한, 손바닥을 향하여 잘못된 경로로 블레이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구성요소로서, 상기 절개장치(25)의 블레이드(21)의 최종 진입을 억제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c) 상기 캐눌라(40)의 개방된 끝단에서는 두 개의 면들을 갖는 핸들들(38) 한 쌍이 부착되되, 각각의 모양은 90°각도로 중간이 굽혀지며 전체적으로 반원 모양을 가짐으로서 두 개의 L 자 모양을 형성하고, 수평 부분에는 상기 캐눌라의 샤프트가 부착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5mm 의 높이와 25mm 의 폭을 갖고, 그물망과 같이 다수 개의 원형 홀들이 타공된다. 이러한 L 자 모양의 구성은 조작하는 사람의 손이 어떤 손이던(왼손이던 오른손이던) 기구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물망'의 형태는 물품의 무게를 의미있을 정도로 줄여준다 즉, 다수 개의 천공들은 기구를 더 가볍게 한다.
시술 절차
수술 기법(operative technique)의 설명에 있어서, 여기에서 개시되는 방법 및 장치들의 진보성 있는 특징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방법의 단계들 및 기구들의 설명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을 포함한다.
환자가 마취되고 손이 적절하게(수술하기 적합하게) 준비되어 천이 씌어진 후에, 첫 째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가지의 주요지표들(landmarks)을 확인하고 표시한다. 즉: 1) (횡수근인대(TCL)의 근위척골(proximal ulnar)에 부착되어 놓인) 두상골(105); 2) 손바닥의 수근피선(wrist crease)에 높에 있는 장장근(104) 원위의 힘줄; 3) 카플란의 카디날 라인(Kaplan's cardinal line)(207); 그리고, 4) 넷째손가락 요골의(radial) 그리고 척골의 경계들에서 각각이 연속되는 두 개의 라인들(202, 203). 카플란의 카디날 라인은 근위의 손바닥 힘줄에 나란하게 손바닥의 척골측(ulnar side)을 향하여 엄지와 집게손가락 사이의 공간 윗쪽에서부터 통상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려진다. 넷째손가락(203)의 척골 경계들의 연장선상에서 이러한 라인(207)이 교차하는 것은 (즉, TCL 의 원위 척골에 부착된) 유구골(hamate)의 후크에 대응한다. 넷째손가락의 연장라인들(202, 203) 사이의 구역은 횡수근인대(TCL)가 하부구조물들(underlying structures)에 대해 최소한의 위험으로써 나눠질 수 있는 "안전한 구역(safe zone)"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인 1 센티미터의 횡방향 절개(305)는 손바닥의 원위 수근피선 상에서 시술되되, 장장근(104)의 요골측과 중앙측 경계에서 1 또는 2 밀리미터로 시작하여 척골측을 향해 확장된다. 피부는 단지 신속하게 절개된다. 이는 시술에 의해 발생되는 상처가 하부구조물들 즉, 중앙신경들의 표층수신경가지(superficial palmar branch)와 척골의 혈관들 및 중앙측의 신경들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는 피부후크들(401, 401A)로서 당겨지며, 예리한 해부가위들(dissecting scissors)(미도시)을 갖고 직접적으로 절개가 수행된다. 피하지방과 전완근막의 표피 섬유들(superficial fibbers)이 통상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개 및 당김(미도시)이 시술된다. 시술부위 상에 나타나는 지방은 깊은 전완근막이나 횡수근인대(미도시)의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개되어 제거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지방의 끝단을 손바닥 쪽으로 당겨낼 수도 있다.
약간 벌어진 손목에서, 손의 수근인대(405A)의 원위말단과 횡수근인대(405)의 근위말단의 교차점에 대응되는 구역은 예리한 한 쌍의 포셉들(406)로 들어올려지고, 횡방향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종방향으로도 역시 분할되어, 피부에서 만들어진 것과 유사하게 확장되어 다이아몬드 형태의 결손부(defect)를 만든다.
특정 근막유착들(fascial adhesions) 분리하기 위해서 가령, 맥도날드(MacDonald)(미도시)와 같은 날이없고 굽은 해부기구가 먼저 전완근막(405A) 아래에서 중앙쪽을 통과하되, 매끄러운 통과가 이뤄지는 것을 추가적으로 보증하도록 즉, 상기 근막의 중앙신경의 유착들로 4mm 직경을 갖는 무딘날의 로드, 캐눌라 삽입장치 또는 둥근 오브큐레이터(미도시)가 그 뒤를 따른다. 위에서 언급된 기구들이 팔뚝 안으로 자유롭게 들어가는 것을 알았을 때, 90°로 샤프트가 굽은 절개장치(41)를 수술부위에 놓고 그것이 횡수근인대를 벌리도록 그것의 절단날을 위치시킨다. 상기 인대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뚝의 주축에 평행하도록 나이프를 가압함으로서 대략 2 센치 정도의 크기로 안보이는 상태에서 절개된다. 상기 인대에서 나이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 모양의 프롱들(도 16 에서 가장 잘 보임) 끝단에서는 두 개의 구들(32)이 있음에 따라 절개를 눈으로 보면서 조절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동일한 방식이 말단에서 반복된다. 인대 아래에서 절개기구의 끝단 위치; 및 손바닥 말단의 영역에서 표시된 카플란의 카디날 라인(207)으로의 동일한 무딘 끝단의 돌출 위치;를 외과의사가 손으로 감촉을 느낌에 따라 확인될 수 있으므로, 날이 없고(무디고) 굽은 해부기구 및 무딘 로드(601)는 도 4A 및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대의 가장자리를 지나서 TCL 의 아래를 통과한다. 이러한 감촉은, 돌출된기구(미도시)의 구역에 손바닥이 놓인 반대쪽 손가락(contra-lateral finger)의 디지탈 압력(digital pressure)에 의해서(디지탈방식으로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향상될 수도 있다. TCL(106) 아래로 유착부분으로의 통과가 자유롭다는 것을 외과의사가 확인하면,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7)는, 도 4A 와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넷째 손가락의 테두리들에서 근위쪽으로(몸의 중심쪽으로) 확장된 두 개의 라인들 사이의 "안전한 구역"에서 인대의 원위의(몸의 바깥쪽으로) 말단을 지나서 대략 5mm 정도 지점으로 상기 인대의 심층면(deep surface) 아래로 동일한 방식으로서 통과된다. 이는, 횡수근인대의 절개장치(25)의 곧은 샤프트에 형성된 프롱들의 끝단들과 그것의 절단날 사이의 거리를 보상한다.
가이드로드(27)의 관통깊이는 (도 4C 에서 가장 잘 보이는) 로드(607)의 오목한 표면상에 레이져마크들(laser marks)을 표기함으로서 객관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외과의사는 수술 절개(305)의 말단 가장자리에 제일 근접한 레이져마크가 무엇인지를 체크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마크들은 항상 로드의 끝단이 어디를 향하는지를 가리키는데 도움을 준다.
한번 더, 수동의 감촉이 사용되어야 한다. 무딘 스패툴라(706)는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7)의 끝단이 느껴지는 곳을 아래로 가압하며 손바닥의 피부 위에 위치되어, 도 5A 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가이드니들의) 뾰족한 끝단이 손바닥의 피부를 뚫고 나올때까지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CONMED/Linvatec 사의 상품명 Doubled Armed Suture Needle, REF 8535)이 상기 로드의 루멘(관강: lumen)을 따라 통과하는 것을 보조한다. 외과의사는 상기 니들의 끝단이 넷째손가락에서 연장된 라인상에 있는 "안전한 구역"에서 그리고 표시된 카플란의 카디날 라인에서 10mm 이내에 실제로 위치하는 지를 관찰해야 한다. 만약 그렇치 않다면, 외과의사는 끝단이 굽은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를 재위치시키고 상기 니들을 다시 회수해야 한다(빼내야 한다).
외과의사가 니들의 위치에 만족했을 때, 상기 가이드로드(27)는 회수되고, 횡수근인대 절개장치(25)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이 시작된다. 이는, 피부(미도시)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정확한 지점에서 블레이드(21)의 절단날이 가요성의 금속재 가이드와이어(33)에 근접하게 되도록 외과의사가 손바닥의 윗쪽에 절개장치의 평평한 부분을 위치시킴으로서 시작될 것이다. 또한, 절개장치의 샤프트에 위치한 천공이 수술 절개(부위)(305)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되는 것은 완전한 절개를 수행하기 위해서 TCL을 가로질러 인도되어야 할 절개장치의 대략적인 길이를 외과의사가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천공을 통하여, 외과의사는, 도 6 과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줄의 와이어(810) 또는 가령, 절개장치의 샤프트에 느슨하게 접히는 피하주사 니들(hypodermic needle)인 23G와 같은 금속재의 장치를 삽입시킬 수 있다. 도 8A, 8B,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표시된 지점 상에서 손바닥으로 절개장치가 삽입되지 않고도 외과의사를 가이드하도록 보조하므로, TCL(106)의 가장자리 즉, 천장동맥궁(superficial arterial palmar arch)(미도시)에서 손 내부 구성물들에 대한 시술상의 상처를 방지한다. 다음 단계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가락 모양의 캐눌라삽입용 프롱(20)의 루멘을 통해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을 주입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프롱들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장치의 블레이드 끝단이 인대의 근위 말단 가장자리를 벌리도록 향해진다. 끝단에 구(32)를 갖는 윗쪽의 프롱은 직접 눈에 보이도록 인대의 근위 말단의 윗쪽에서 정확하게 위치될 것이고, 블레이드의 하측 부분은 직접 눈에 보이도록 인대의 하부면 아래로 정확하게 위치될 것이다. 이는 수술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외과의사가 TCL의 가장자리에서 절개장치의 블레이드의 위치를 절대적으로 확신하면, 가령, 중량의 니들홀더들(heavy needle holders)(미도시)과 반대방향으로 그것(가이드니들)이 보조적으로 당겨짐에 따라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은 긴장된 상태로(당겨진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인대의 하부면에서 그것(니들)을 가압하기 위하여 외과의사가 상기 니들을 약간 들어올린다면, 이는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시술에 의해, 손은 뉴트럴(neutral) 상태거나 약간 확장된 위치에 놓일 것이다. 상기 니들(33)의 인도 하에 상기 절개장치(25)는, 그것의 원위 끝단이 도 8A, 8B,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의 피부의 심층면 상에서 접하게 될 때까지, 인대를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가압되어 그것(인대)를 절단한다. 또한, 이러한 시술의 마지막에서,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마커(와이어 표시: wire marker)는 TCL의 근위 말단 가장자리와 동일 수준이어야 한다(동일한 수평높이를 가져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나이프(25)의 유도에 앞서서, 슬롯이 형성되고 캐뉼라가 삽입되는 끝단을 갖는 가이드캐눌라(40)는, 그것의 끝단이 피부의 하부면에서 도 9A 및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아래로부터 손바닥의 피부를 상기 니들이 가로지르는 지점에 접하게 될 때까지, 손바닥 안으로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을 따라서 먼저 진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택일적인 선택은 안전성을 향상시킬 것이ㅁ며, 캐눌라가 TCL(106) 아래의 조직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슬롯이 형성된 캐눌라(40)가 위치된 후에,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안내 하에서 상기 절개장치(25)는 그것의 캐눌라삽입용 손가락 모양의 하부 프롱(22)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눌라의 길이방향 슬롯 위로 활주함에 따라 이를 통해 도 9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L을 가로지르는 모든 방향으로 진입될 것이다.
TCL(106)이 절단된 후에, 완전하게 인대가 나눠졌는 지를 보증하고 증명하기 위하여 장치를 빼내고 절차에 따라 확인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서, 손바닥의 피부 및 그것의 하부에 놓인 지방패드(fat pad)를 (수술용) 엘레베이터(elevator)(미도시)로 들어올리고 0°로 각도가 맞춰진 각도측정기(미도시)를 삽입한다. 삽입된 각도측정기 상에서 인대의 말단부에 남아있는 섬유조직들에 대한 의심점이 발견되면, 스티븐슨 타입의(Stephenson type) 나이프로 최말단의 섬유조직들을 절개한다. 다른 방법으로써, 단지 문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진촬영이 있다. 손바닥의 피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흡수성 스티치들(absorbable stitch)(미도시)로 봉합되고, 손은 적절한 방식으로 치료된다.

Claims (15)

  1.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로써,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 중 어느 하나는, 하부 끝단에서 하나 이상의 손가락 모양을 갖는 캐눌라삽입용 프롱(20, 24)을 갖되 앞쪽으로 연장된 형상의 샤프트;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된 블레이드(21)를 갖되 손가락 모양을 갖는 무딘 프롱들(22, 23)이 상기 블레이드에서 돌출되도록 블레이드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거나 또는 블레이드의 상부 및 하부 끝단 각각에서 장착되는 블레이드부; 그리고, 절개 시술 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블레이드부로 인도되기 적합한 가요성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니들(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절개 시술 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블레이드부로 인도되기 적합한 가요성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니들(33)을 통과시키며 인도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들(28, 29, 30, 31)을 갖는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는,
    손가락 모양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눌라삽입용 프롱(20)을 앞쪽 끝단에서 구비하는 연장된 형상의 샤프트;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된 블레이드(21)를 갖되 손가락 모양을 갖는 무딘 프롱들(22, 23)이 상기 블레이드에서 돌출되도록 블레이드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거나 또는 블레이드의 상부 및 하부 끝단 각각에서 장착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부 끝단에 장착된 프롱(23)은 다른 프롱(22) 보다 앞쪽으로 덜 돌출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구(32)가 손가락 모양을 갖는 상부의 무딘 프롱(23)의 끝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손가락 모양을 갖는 캐눌라삽입용 프롱(20, 24)은, 앞쪽의 하부 끝단면 상에서 중앙에 연결되거나 또는 오른쪽이나 왼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는, 손가락 모양을 갖는 두 개의 평행한 캐눌라삽입용 프롱들(20, 24) 및 그 중앙에 위치하는 손가락 모양을 갖되 무딘 형태의 프롱(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는 샤프트(25)에 형성된 안내용 천공들(26)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들은 샤프트의 면 또는 가장자리에서 두 개 이상이 형성되되, 샤프트의 앞쪽 끝단에서 부터 미리 알려진 거리만큼 서로 간에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는, 길이방향 축 및 오목한 면을 갖되 상기 오목한 면이 샤프트의 하부면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에 부착된 핸들(34)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엄지손가락으로 지지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는, 블레이드부(21)의 끝단에 장착된 구(32)를 포함하되, 상기 구는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메인 스템(샤프트: main stem)에서 수직축(orthogonal axis) 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9. 제 3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가 90°로 굽었고 핸들이 연결되며 손가락 모양의 무딘 프롱들(42)이 양측으로 형성된 메인 샤프트를 구비한 두 번째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41)를 더 포함하고,
    직경이 2 mm 이상인 금속구가 무딘 프롱들의 끝단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절개 시, 상기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의 블레이드부를 인도하기에 적합한 가요성 가이드니들(33)의 통과 및 인도를 허용하는 수단(37, 39)을 가지는 가이드캐눌라(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캐눌라(40)는 곧게 뻗은 형상이되 닫힌 앞쪽 끝단과 열린 뒷쪽 끝단을 가지며,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이 안착될 수 있고 절개나이프 또는 절개장치(25)를 안내할 수 있는 길이방향 슬롯(39)을 갖고,
    상기 가이드캐눌라의 뒷쪽의 열린 끝단에는 적어도 두 개의 면을 갖는 핸들들(38)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캐눌라의 앞쪽의 닫힌 끝단에는 홀(33A)이 천공되어 상기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의 통과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캐눌라(40)는 그것의 상측 림 위로 반원 모양의 방지용 금속아치 또는 아치브레이크(37)를 갖되,
    상기 금속아치 또는 아치브레이크는, 손바닥 쪽으로 블레이드(21)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절개장치(25)의 블레이드(21)의 최종 진입을 억제시키는 것을 보조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가이드캐눌라(40)가 삽입되는 동안에 횡수근인대(106) 하부의 부드러운 조직과 이격되어 가압되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캐눌라(40)는 가요성 금속재 가이드니들(33)이 안착되는 길이방향 슬롯(39)을 가지며,
    끝단에 면이 형성된 가이드캐눌라 조절용 이어들(ears) 또는 핸들들(3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7)는 캐눌라삽입용 원통형상의 로드(28)를 포함하고, 상기 캐눌라삽입용 원통형상의 로드는 두 개의 개방된 끝단들을 갖되 앞쪽의 끝단(29)은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눌라삽입용 가이드로드(27)는, 최말단에서 굽혀진 끝단을 포함하되 상기 끝단에는 굽혀진 면 상에서 치 또는 네일(30, 31)과 같이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미터법으로 치수(28)가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KR1020137005748A 2010-08-18 2010-12-10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KR101756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T105255 2010-08-18
PT105255A PT105255A (pt) 2010-08-18 2010-08-18 Instrumental cirúrgico de corte de precisão
PCT/IB2010/055721 WO2012023006A1 (en) 2010-08-18 2010-12-10 Surgical set of instruments for precision cu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031A KR20130099031A (ko) 2013-09-05
KR101756773B1 true KR101756773B1 (ko) 2017-07-12

Family

ID=4382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748A KR101756773B1 (ko) 2010-08-18 2010-12-10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782192B2 (ko)
EP (1) EP2605714B1 (ko)
JP (1) JP5768130B2 (ko)
KR (1) KR101756773B1 (ko)
CN (1) CN103153215B (ko)
AU (1) AU2010359164B2 (ko)
BR (1) BR112013003719B1 (ko)
CA (1) CA2808480C (ko)
DK (1) DK2605714T3 (ko)
ES (1) ES2641489T3 (ko)
IL (1) IL224712A (ko)
MX (1) MX352235B (ko)
PT (2) PT105255A (ko)
WO (1) WO2012023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1033B2 (en) * 2012-04-30 2016-07-05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JP5804428B2 (ja) * 2013-07-02 2015-11-04 奈良精工株式会社 切開用手術器械
CN104814744A (zh) * 2014-02-04 2015-08-05 Gn尔听美公司 听力测试探针
KR101476671B1 (ko) * 2014-08-29 2014-12-30 유상호 방아쇠 수지 수술기구
WO2016044072A1 (en) 2014-09-18 2016-03-24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oft tissue cut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04188696B (zh) * 2014-09-22 2016-07-06 徐世民 腕管综合征微创手术器械
CN105708520B (zh) * 2014-09-22 2017-12-22 黄蕊萍 用于截取肌腱组织的微创手术剪
US9592071B2 (en) * 2014-10-27 2017-03-14 J. Lee Berger Grooved director with instrument guide
CN107106200B (zh) * 2014-12-03 2020-04-17 帕夫梅德有限公司 用于经皮分割纤维结构的系统和方法
US10383609B2 (en) 2014-12-24 2019-08-20 Public University Corporation Nara Medical University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incisions
KR101580858B1 (ko) * 2015-04-22 2015-12-30 박형배 수술용 피부 절개 블레이드
CN104921781B (zh) * 2015-05-19 2017-03-29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关节镜下韧带网状松解刀
US10499942B2 (en) 2016-02-24 2019-12-10 Ira Lown Carpal tunnel release systems and methods
US10441304B2 (en) 2017-02-07 2019-10-15 Axogen Corporation Surgical tool for tissue sizing and transection
US10864055B2 (en) 2017-10-13 2020-12-15 Sonex Health, Inc. Tray for a soft tissue cut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08577915A (zh) * 2018-05-21 2018-09-28 北京派尔特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吻合器切割刀
CN109620359A (zh) * 2019-01-09 2019-04-16 王海生 一种腱鞘炎手术刀组件
EP3908215B1 (en) 2019-01-11 2023-08-02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icro-invasive surgical device
CN109730746B (zh) * 2019-01-23 2021-05-14 薛峰 一种肝胆外科手术用结石取出装置
WO2020257115A1 (en) * 2019-06-17 2020-12-24 Smith & Nephew, Inc. Tendon harvesting system
US10772650B1 (en) 2020-01-03 2020-09-15 King Saud University Uncinectomy knife
CN113100875A (zh) * 2021-04-07 2021-07-13 杨安聪 腕管综合征的微创治疗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USD989961S1 (en) 2021-04-30 2023-06-20 Sonex Health, Inc. Soft tissue cut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7340A (en) 1991-08-21 1994-03-29 Hoechstmass Balzer Gmbh Parting tool
WO1994026182A1 (en) 1993-05-14 1994-11-24 Strickland James W Carpal tunnel tome and carpal tunnel release surgery
US20040054378A1 (en) 2002-09-17 2004-03-18 Cher-Chung Yang Set of surgical instruments for carpal tunnel surgery
US20060190021A1 (en) 2005-02-18 2006-08-24 Michael Hausman Cutting device for subcutaneous incisio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202A (en) * 1987-08-31 1988-11-01 Janese Woodrow W Biopsy cannula
US5299357A (en) * 1991-12-18 1994-04-05 American Safety Razor Company Disposable surgical scalpel with safety guard
US5334214A (en) 1992-05-21 1994-08-02 Putnam Matthew D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transverse carpal ligament
US5253659A (en) * 1992-07-14 1993-10-19 Endoscopic Heel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endoscopic surgery at locations where tissue inserts into bone
US5620446A (en) * 1992-07-14 1997-04-15 Endoscopic Heel Systems, Inc. Surgical apparatus for performing endoscopic surgery at locations where tissue inserts into bone
US5366465A (en) * 1992-12-07 1994-11-22 M. Ather Mirza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 and instrument for implementation thereof
US5586564A (en) * 1994-02-04 1996-12-24 Instratek, Inc. Instrumentation and surgical procedure for decompression for Morton's neuroma
US5957944A (en) 1995-11-07 1999-09-28 Biomet, Inc. Method for treatment of trigger finger
US6113637A (en) * 1998-10-22 2000-09-05 Sofamor Danek Holdings, Inc. Artificial intervertebral joint permitting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tion
US6159179A (en) * 1999-03-12 2000-12-12 Simonson; Robert E. Cannula and sizing and insertion method
CA2466835A1 (en) 2001-11-21 2003-06-05 Stanley R. Conston Ophthalmic microsurgical system
US8246640B2 (en) * 2003-04-22 2012-08-21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s and devices for cutting tissue at a vascular location
US8840621B2 (en) * 2006-11-03 2014-09-23 Innovative Spine, Inc. Spinal access systems and methods
WO2009094493A2 (en) * 2006-11-03 2009-07-30 Innovative Spine Spinal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8025670B2 (en) * 2006-11-22 2011-09-27 Minos Medical Methods and apparatus for natural orifice vaginal hysterectomy
US8430896B2 (en) * 2007-01-31 2013-04-30 Kurume University Surgical appliance for use in taking out transplant-use tendon and in regenerating operation of tendon at location where transplant tendon was taken out
US20090048620A1 (en) * 2007-08-14 2009-02-19 Illuminoss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pal tunnel release
US20090157002A1 (en) * 2007-12-14 2009-06-18 Csa Medical, Inc. Catheter having communicating lumens
US8579930B2 (en) 2008-09-15 2013-11-12 Del Palma Orthopedics, LL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for releasing soft tissue
US20110087258A1 (en) * 2009-10-14 2011-04-14 Sluss Robert K Cannulated arthroscopic knife
US8608763B1 (en) * 2009-10-15 2013-12-17 SonicSurg Innovations, LLC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tendon sheath rele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7340A (en) 1991-08-21 1994-03-29 Hoechstmass Balzer Gmbh Parting tool
WO1994026182A1 (en) 1993-05-14 1994-11-24 Strickland James W Carpal tunnel tome and carpal tunnel release surgery
US20040054378A1 (en) 2002-09-17 2004-03-18 Cher-Chung Yang Set of surgical instruments for carpal tunnel surgery
US20060190021A1 (en) 2005-02-18 2006-08-24 Michael Hausman Cutting device for subcutaneous inci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605714T3 (en) 2017-09-18
US20130144318A1 (en) 2013-06-06
CA2808480A1 (en) 2012-02-23
CN103153215A (zh) 2013-06-12
EP2605714B1 (en) 2017-06-28
EP2605714A1 (en) 2013-06-26
BR112013003719A2 (pt) 2016-08-23
PT105255A (pt) 2012-02-20
CA2808480C (en) 2017-10-24
AU2010359164B2 (en) 2016-05-12
MX2013001920A (es) 2013-06-05
WO2012023006A1 (en) 2012-02-23
MX352235B (es) 2017-11-15
JP2013534166A (ja) 2013-09-02
ES2641489T3 (es) 2017-11-10
PT2605714T (pt) 2017-09-12
IL224712A (en) 2016-11-30
JP5768130B2 (ja) 2015-08-26
KR20130099031A (ko) 2013-09-05
BR112013003719B1 (pt) 2020-10-06
CN103153215B (zh) 2016-11-23
US9782192B2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773B1 (ko) 정확한 절개를 위한 외과 장비 세트
US6019774A (en) Carpal tunnel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8608765B1 (en)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tendon sheath release
US20100100114A1 (en) Inflatable tissue elevator and expander
US9592071B2 (en) Grooved director with instrument guide
EP3813693B1 (en) Medical instrument for percutaneous release procedures
EP2398408B1 (en) Probe for carpal tunnel release tool or tissue dissection
US20200078039A1 (en) Shield for endoscopic surgical blade and method of use
JP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US5613938A (en) Digital retractor
JP5804428B2 (ja) 切開用手術器械
Jimenez et al.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US20220249080A1 (en) An endoscopic-release surgical retractor
Corley et al. Basic Surgical Instruments and Their Use
Kavitha Technology at finger tips: Bard-parker handle and blades
Jimenez Endoscopic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