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78B1 -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78B1
KR101756378B1 KR1020160152273A KR20160152273A KR101756378B1 KR 101756378 B1 KR101756378 B1 KR 101756378B1 KR 1020160152273 A KR1020160152273 A KR 1020160152273A KR 20160152273 A KR20160152273 A KR 20160152273A KR 101756378 B1 KR101756378 B1 KR 10175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valuation
food
termi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성
Original Assignee
서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성 filed Critical 서우성
Priority to KR102016015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업체 단말기(130) 및 종업원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에서 구현되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예약 과정(S10), 주문 과정(S20), 평가 과정(S30),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약 과정(S10) 내지 상기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실행 메뉴 선택 과정(S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Restaurant Total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업체 단말기(130) 및 종업원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에서 구현되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예약 과정(S10), 주문 과정(S20), 평가 과정(S30),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약 과정(S10) 내지 상기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실행 메뉴 선택 과정(S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식당 운영 환경에서는 종업원이 고객의 좌석을 안내하고, 고객에게 음식 설명을 하여 주문을 받고, 고객의 요청 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종업원이 고객을 응대하여 요청 사항을 전달받는다. 때문에, 식당에 종업원 수가 많을수록 고객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지만 종업원의 인건비로 인하여 식당의 음식 가격이 비싸지는 원인을 제공한다.
이에 일부 식당에서는 셀프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 셀프 서비스 식당에서는 고객이 종업원에게 부탁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본인의 편의 사항에 맞도록 음료나 식기 등을 직접 가져다 해결한다. 하지만, 셀프 서비스 식당이라도 음식 주문만큼은 고객이 직접 종업원을 불러서 주문해야만 한다. 이때 종업원의 실수로 먼저 방문한 고객의 주문 보다 나중에 방문한 고객의 주문을 받을 경우 고객은 내심 불쾌해한다.
이에 종업원이 고객의 테이블로 찾아가 일일이 응대하여 주문을 받는 것을 해결하고자 대형 식당에서는 아예 음식 주문 안내 창구를 설치하고 고객이 줄을 서서 담당 종업원에게 음식을 주문하는 데에 이르렀다. 하지만, 사람이 붐비는 식당의 경우 고객은 자신의 주문 차례가 오기까지 무작정 줄을 서서 대기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고객은 음식을 주문한 이후로는 서빙될 때까지 무한정 기다려야만 한다. 만약, 고객이 종업원에게 언제 서빙되는지 물어보는 경우 종업원은 다시 주방에 문의하여 답변을 받고 고객에게 응대하는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 문헌 1의 "테이블에 구비된 주문형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주문 시스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7606호)"에는, 테이블에 구비된 주문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문을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은 단순히 음식을 주문하고, 예상 완성 시간 및 조리 진행 사항을 안내하면서 조리 대기 시간을 기다릴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 불과한 것으로, 사용자가 외식 업체를 예약하거나 방문 전에 미리 선주문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식성이나 지병 등에 따라 특화된 외식 업체 또는 음식을 추천하거나, 외식 업체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이러한 평가 데이터를 빅 데이터로 체계적으로 관리 하는 등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7606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외식 업체를 예약하거나 방문 전에 미리 선주문을 할 수 있고, 외식 업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를 통하여 이러한 평가 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게재하여 바이럴 마케팅(Viral-Marketing)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누적된 평가 데이터를 빅 데이터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추 후 사용자 맞춤형 조리 및 추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소정의 상권에 속하는 외식 업체들을 서로 연계하여 연계 상권 군으로 분류한 후, 동일한 연계 상권군에 속하는 외식 업체들 사이에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계 상권군 내에서 더욱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한편, 사용자의 식성이나 지병 등에 따라 특화된 외식 업체 또는 음식을 추천하거나 조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취향이 유사한 사람들끼리의 식사 모임을 매칭하여 주선하는 것이 가능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업체 단말기(130) 및 종업원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에서 구현되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예약 과정(S10), 주문 과정(S20), 평가 과정(S30),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약 과정(S10) 내지 상기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실행 메뉴 선택 과정(S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약 과정(S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 전달된 업체 정보를 토대로 예약하고자 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단계(S11);와, 선택된 상기 업체의 예약 현황을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 전달되어 제공하는 예약 현황 제공 단계(S11a);와, 제공된 상기 예약 현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확인(S11b)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선택한 자리를 예약 요청하는 자리 예약 요청 단계(S12);와, 상기 자리 예약 요청에 대하여 요청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요청 승인 단계(S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약 과정(S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음식을 선주문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주문 선택 단계(S14);와, 선주문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주문 가능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에 선주문을 접수하는 음식 정보 제공 및 선주문 단계(S14a);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약 과정(S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선택하는 경우(S15),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더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선택(S16)하는 경우, 상기 업체까지의 길찾기 서비스를 더 제공(S16a)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문 과정(S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점유하게 된 좌석 정보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좌석 정보 매칭 단계(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주문 가능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에 주문을 접수하는 메뉴 정보 확인 및 주문 단계(S23);와, 상기 업체 단말기(130)가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조리가 필요한 음식인지를 판단(S24)하는 조리 필요 판단 단계(S24);, 와, 상기 주문이 조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방으로 상기 주문을 전송(S25)하고, 주방에서는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피드백(S25a)하는 조리 주문 단계;와, 상기 주문이 조리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와 연결된 종업원 단말기(140)에 상기 주문을 전송(S26)하고, 상기 주문을 수행가능한 것으로 선택(S26a)하는 경우, 상기 종업원은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피드백(S15a)하는 비조리 주문 단계;와, 상기 조리 주문 단계 또는 상기 비조리 주문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상기 주문 및 처리 상태를 전송하는 주문 처리 전송 단계(S2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문 과정(S20)은, 상기 좌석 정보 매칭 단계(S21)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선택하는 경우(S22),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 과정(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종업원을 평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종업원 평가 선택 단계(S31);와, 상기 종업원 평가 선택 단계(S31)에서 종업원을 평가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제공받은 종업원 평가지 항목에 따라 종업원을 평가하는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식당 및 음식 평가 선택 단계(S33);와,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 선택 단계(S33)에서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제공받은 식당 및 음식 평가지 항목에 따라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하는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와,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또는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 평가를 수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평가 포인트를 제공하는 평가 포인트 제공 단계(S35);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평가에 관한 포스팅 여부를 선택하는 포스팅 선택 단계(S36);와, 상기 포스팅 선택 단계(S36)에서 평가에 관한 포스팅을 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또는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 평가한 평가결과와 간략 의견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하는 포스팅 단계(S36a);와, 상기 포스팅 단계(S36a)를 수행한 경우, 상세한 평가내용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할 수 있는 상세 포스팅 기회를 부여하는 상세 포스팅 기회 부여 단계(S36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 과정(S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분할 결제 여부를 선택(S37) 한 후, 선택결과에 따라 분할 결제(S37a) 또는 통합 결제(S37b)를 수행한 후, 결제 금액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전송 하고(S38), 상기 종업원 단말기(140)로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의 평가 결과를 전송(S39)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 과정(30)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각 사용자별로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의 상기 평가결과를 취합하는 사용자별 업체 평가 단계(S30a);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취합된 상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평가 유사정도에 따라 각 사용자를 식성 유사군으로 분류하는 식성 유사군 분류 단계(S30b);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상기 식성 유사군에 따라 업체를 추천하는 식성 유사군 기반 업체 추천 단계(S30c);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은, 상기 포스팅 단계(S36a)에서 작성된 타 사용자의 포스팅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확인(S41)하고, 상기 타 사용자의 포스팅에 대한 공감 점수를 평가(S42)한 후, 업체를 방문(S43)하여 방문 후 공감 점수에 대하여 평가(S44)하고 상기 평가 과정(30)을 수행한 경우, 상기 업체는 상기 업체 단말기(120)를 통하여 상기 타 사용자에게 포스팅 포인트를 제공(S45)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 단계(S5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단계(S52)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연계 상권 군에 속하는 업체 중 연계 할인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를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연계 할인 서비스 가능 업체 추천 단계(S53);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업체를 방문하여 결제(S54)한 후, 상기 연계 할인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방문(S55)하는 경우, 결제시 소정 금액의 연계 할인을 제공(S55a)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사용자 위치 확인 단계(S51) 이후에,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계 상권 군에 속하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 제공 단계(S5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할인 정보에서 원하는 할인이 있는지를 판단(S57)한 후, 실시간 할인 서비스를 선택(S57a) 한 후, 상기 예약 과정(S10)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가 제공한 기본 필터링 항목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기본 필터링 항목 설정 단계(S6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유료 필터 적용 여부를 선택(S62)하는 경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유료 필터링 항목을 더 제공(S62a)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상기 유료 필터링 항목을 더 설정하는 유료 필터링 제공 단계;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기본 필터링 항목 또는 상기 유료 필터링 항목을 서로 매칭하여 서로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각각 매칭 결과를 전송하는 매칭 및 연결단계(S63);와,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매칭된 타 사용자에게 식사 요청을 보내는 식사 요청 단계(S6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사 요청 단계(S64)에서 상기 식사 요청이 수락된 경우, 업체를 선택(S66)하고, 상기 예약 단계(S10) 또는 상기 주문 단계(S20)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맞춤 식성 항목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맞춤 식성 입력 단계(S71a);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병 항목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지병 식성 입력 단계(S71b);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따라, 업체를 추천하는 맞춤 추천 단계(S72);와, 상기 사용자가 추천받은 업체에 입장하는 경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따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추천 음식을 추천하는 음식 추천 단계(S73);와,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천 음식 주문 여부 판단 단계(S7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하지 않은 경우, 고객이 선택(S75)한 음식이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의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S75a)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경고를 발송하는 경고 발송 단계(S75b); 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S76)한 경우에는 상기 음식 추천 단계(S73)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천 음식 주문 여부 판단 단계(S74)에서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고객이 선택(S75)한 음식이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의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S75a)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경고 발송 단계(S75b)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하지 않은 경우, 주문 및 결제단계(S77)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 내용에 따라 식성을 분석(S78)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식생활 개선 사항 및 경고사항을 발송(S79)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업원 관리 과정(S80)은, 종업원의 근무 시간, 이동 거리, 처리 주문 갯수를 측정하고, 여 상기 업체 단말기(120)로 전송하고, 상기 종업원의 근무 시간, 이동 거리, 처리 주문 갯수 및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에서의 평가 결과를 통합하여 근무 점수를 산출(S82)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가 외식 업체를 예약하거나 방문 전에 미리 선주문을 할 수 있고, 외식 업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를 통하여 이러한 평가 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게재하여 바이럴 마케팅(Viral-Marketing)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누적된 평가 데이터를 빅 데이터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추 후 사용자 맞춤형 조리 및 추천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상권에 속하는 외식 업체들을 서로 연계하여 연계 상권 군으로 분류한 후, 동일한 연계 상권군에 속하는 외식 업체들 사이에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계 상권군 내에서 더욱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식성이나 지병 등에 따라 특화된 외식 업체 또는 음식을 추천하거나 조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취향이 유사한 사람들끼리의 식사 모임을 매칭하여 주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의 구성 블럭 다이어 그램.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구성 흐름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약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주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평가과정에 따른 업체 추천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평가과정에 따른 업체 추천과정의 진행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연계 할인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모임 매칭 주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사용자 맞춤형 조리/ 추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종업원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업체 단말기(130) 및 종업원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0), 업체 단말기(130) 및 종업원 단말기(140) 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각각의 단말기들은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 단말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단말기들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통신망(N)은 각각의 단말기들 및 운영 관리 서버(120)을 서로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망(N)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크게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에서 구현되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예약 과정(S10), 주문 과정(S20), 평가 과정(S30),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약 과정(S10) 내지 상기 종업원 관리 과정(S8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실행 메뉴 선택 과정(S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예약 과정(S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예약 과정(S10)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 전달된 업체 정보를 토대로 예약하고자 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단계(S11);와, 선택된 상기 업체의 예약 현황을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 전달되어 제공하는 예약 현황 제공 단계(S11a);와, 제공된 상기 예약 현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확인(S11b)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선택한 자리를 예약 요청하는 자리 예약 요청 단계(S12);와, 상기 자리 예약 요청에 대하여 요청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요청 승인 단계(S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예약 과정(S10)은 예약과 동시에 선주문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주문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음식을 선주문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주문 선택 단계(S14);와, 선주문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주문 가능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에 선주문을 접수하는 음식 정보 제공 및 선주문 단계(S14a);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예약 과정(S10)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선택하는 경우(S15),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약 과정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선택(S16)하는 경우, 상기 업체까지의 길찾기 서비스를 더 제공(S16a)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주문 과정(S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문 과정(S20)은 사용자가 실제로 업체에 입장한 이후에 주문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상기 주문 과정(S2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점유하게 된 좌석 정보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좌석 정보 매칭 단계(S21)를 먼저 수행한다. 그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주문 가능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에 주문을 접수하는 메뉴 정보 확인 및 주문 단계(S23)를 수행한다.
한편, 조리가 필요한 음식 또는 조리가 불필요한 음식(예를 들어 칵테일과 같이 제조가 필요한 것을 제외한 주류나 탄산음료 등 조리 없이 바로 제공 가능한 음식)에 따라, 주문 처리 절차를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문 과정(S2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업체 단말기(130)가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조리가 필요한 음식인지를 판단(S24)하는 조리 필요 판단 단계(S24)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주문이 조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방으로 상기 주문을 전송(S25)하고, 주방에서는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피드백(S25a)하는 조리 주문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주문이 조리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업체 단말기(130)와 연결된 종업원 단말기(140)에 상기 주문을 전송(S26)하고, 상기 주문을 수행가능한 것으로 선택(S26a)하는 경우, 상기 종업원은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피드백(S15a)하는 비조리 주문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리 주문 단계 또는 상기 비조리 주문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상기 주문 및 처리 상태를 전송하는 주문 처리 전송 단계(S27)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주문 과정(S2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좌석 정보 매칭 단계(S21)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선택하는 경우(S22),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평가 과정(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평가 과정(30)은 종업원 , 업체 또는 업체의 음식 등을 평가하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하는 경우 소정의 포스팅 포인트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한편, 이하에서 '평가 포인트' 또는 '포스팅 포인트'에서 사용되는 '포인트'는, 본 발명의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 내에서 결제 등을 수행하는 경우 현금/신용 카드등의 다른 결제 수단과 함께 또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일종의 가상 화폐 또는 결제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평가 과정(3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종업원을 평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종업원 평가 선택 단계(S31);와, 상기 종업원 평가 선택 단계(S31)에서 종업원을 평가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제공받은 종업원 평가지 항목에 따라 종업원을 평가하는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평가 과정(3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식당 및 음식 평가 선택 단계(S33);와,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 선택 단계(S33)에서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제공받은 식당 및 음식 평가지 항목에 따라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하는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평가 과정(3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또는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 평가를 수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평가 포인트를 제공하는 평가 포인트 제공 단계(S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평가 내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하여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에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평가 과정(3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평가에 관한 포스팅 여부를 선택하는 포스팅 선택 단계(S36)와, 상기 포스팅 선택 단계(S36)에서 평가에 관한 포스팅을 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또는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 평가한 평가결과와 간략 의견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하는 포스팅 단계(S36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스팅 단계(S36a)를 수행한 경우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추 후에 좀 더 상세한 평가내용이나 후기를 포스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 또는 포스팅 단계(S36a)를 수행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 과정(3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세한 평가내용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할 수 있는 상세 포스팅 기회를 부여하는 상세 포스팅 기회 부여 단계(S36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가 과정(S3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분할 결제 여부를 선택(S37) 한 후, 선택결과에 따라 분할 결제(S37a) 또는 통합 결제(S37b)를 수행한 후, 결제 금액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전송 하고(S38), 상기 종업원 단말기(140)로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의 평가 결과를 전송(S39)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가 과정(30)은 상기 평가결과를 취합하여 빅 데이터(Big-Data)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업체를 추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평가 과정(30)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각 사용자별로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의 상기 평가결과를 취합하는 사용자별 업체 평가 단계(S30a)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취합된 상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평가 유사정도에 따라 각 사용자를 식성 유사군(도 2에서 각각 'A1', 'A2'와 같이 나누어 표현하였다.)으로 분류하는 식성 유사군 분류 단계(S30b)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상기 식성 유사군에 따라 업체를 추천하는 식성 유사군 기반 업체 추천 단계(S30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은 타 사용자가 작성한 포스팅에 의하여 사용자가 업체에 유인되는 경우, 이에 합당한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하여, 포스팅 촉진 효과와 함께 고객 유인 효과를 얻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포스팅 단계(S36a)에서 작성된 타 사용자의 포스팅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확인(S41)하고, 상기 타 사용자의 포스팅에 대한 공감 점수를 평가(S42)한 후, 업체를 방문(S43)하여 방문 후 공감 점수에 대하여 평가(S44)하고 상기 평가 과정(30)을 수행한 경우, 상기 업체는 상기 업체 단말기(120)를 통하여 상기 타 사용자에게 포스팅 포인트를 제공(S45)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소정의 상권에 속하는 외식 업체들을 서로 연계하여 연계 상권 군으로 분류한 후, 동일한 연계 상권군에 속하는 외식 업체들 사이에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계 상권군 내에서 더욱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 단계(S51)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단계(S52)를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연계 상권 군(도 2에서는 'C1'과 같이 묶어서 표현하였다.) 에 속하는 업체 중 연계 할인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를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연계 할인 서비스 가능 업체 추천 단계(S53)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업체를 방문하여 결제(S54)한 후, 상기 연계 할인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방문(S55)하는 경우, 결제시 소정 금액의 연계 할인을 제공(S55a)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상기 연계 상권 군에 속하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 위치 확인 단계(S51) 이후에,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계 상권 군에 속하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 제공 단계(S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할인 정보에서 원하는 할인이 있는지를 판단(S57)한 후, 실시간 할인 서비스를 선택(S57a)하고, 상기 예약 과정(S10)을 수행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상기 주문 과정(S20)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은 취향이 유사한 사람들끼리의 식사 모임을 매칭하여 주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은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가 제공한 기본 필터링 항목(예를 들어, 1. 성별, 2. 식성, 3. 지역(직장, 학교) 등)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기본 필터링 항목 설정 단계(S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좀 더 상세한 필터를 적용하여 좀 더 정확한 매칭이 가능하게 하는 급부로 소정의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유료 필터 적용 여부를 선택(S62)하는 경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유료 필터링 항목(예를 들어, 1. 선호하는 음식 종류, 2. 선호하는 연령대, 3. 선호하는 식당 지역, 4. 선호하는 식당 인테리어 취향, 5. 선호하는 가격대 등)을 더 제공(S62a)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상기 유료 필터링 항목을 더 설정하는 유료 필터링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상기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기본 필터링 항목 또는 상기 유료 필터링 항목을 서로 매칭하여 서로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각각 매칭 결과를 전송하는 매칭 및 연결단계(S63)를 수행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매칭된 타 사용자에게 식사 요청을 보내는 식사 요청 단계(S64)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사 요청 단계(S64)에서 상기 식사 요청이 수락된 경우, 업체를 선택(S66)하고, 상기 예약 단계(S10) 또는 상기 주문 단계(S20)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맞춤 식성 항목(예를 들어, 다이어트, 저염식, 고단백, 각종 알레르기 등)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맞춤 식성 입력 단계(S71a)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병 항목(예를 들어 당뇨, 고혈압, 통풍성 관절염, 고지혈증 등)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지병 식성 입력 단계(S7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따라, 업체를 추천하는 맞춤 추천 단계(S72)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은 업체 추천에 더하여 그 업체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추천 음식을 추천하는 음식 추천 단계(S73)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천 음식 주문 여부 판단 단계(S74)를 더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하지 않은 경우,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객이 선택(S75)한 음식이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의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S75a)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경고를 발송하는 경고 발송 단계(S75b)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경고에 따라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S76)한 경우에는 상기 음식 추천 단계(S73)를 다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추천 음식 주문 여부 판단 단계(S74)에서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고객이 선택(S75)한 음식이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의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S75a)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경고 발송 단계(S75b)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하지 않은 경우, 주문 및 결제단계(S77)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주문 내용에 따라 식성을 분석(S78)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식생활 개선 사항 및 경고사항을 발송(S79)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운영 관리 서버
130: 업체 단말기
140: 종업원 단말기

Claims (17)

  1.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N)을 통하여 운영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업체 단말기(130) 및 종업원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100)에서 구현되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예약 과정(S10), 주문 과정(S20), 평가 과정(S30),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 종업원 관리 과정(S80)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약 과정(S10) 내지 상기 종업원 관리 과정(S80)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실행 메뉴 선택 과정(S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평가 과정(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종업원을 평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종업원 평가 선택 단계(S31); 상기 종업원 평가 선택 단계(S31)에서 종업원을 평가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제공 받은 종업원 평가지 항목에 따라 종업원을 평가하는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식당 및 음식 평가 선택 단계(S33);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 선택 단계(S33)에서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제공받은 식당 및 음식 평가지 항목에 따라 식당 및 음식을 평가하는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또는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 평가를 수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평가 포인트를 제공하는 평가 포인트 제공 단계(S35);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평가에 관한 포스팅 여부를 선택하는 포스팅 선택 단계(S36); 상기 포스팅 선택 단계(S36)에서 평가에 관한 포스팅을 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 또는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 평가한 평가결과와 간략 의견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하는 포스팅 단계(S36a); 상기 포스팅 단계(S36a)를 수행한 경우, 상세한 평가내용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망(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포스팅할 수 있는 상세 포스팅 기회를 부여하는 상세 포스팅 기회 부여 단계(S36b);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분할 결제 여부를 선택(S37) 한 후, 선택결과에 따라 분할 결제(S37a) 또는 통합 결제(S37b)를 수행한 후, 결제 금액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전송 하고(S38), 상기 종업원 단말기(140)로 상기 종업원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2)의 평가 결과를 전송(S39)하고,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각 사용자 별로 상기 식당 및 음식 평가지 제공 및 평가단계(S34)에서의 상기 평가결과를 취합하는 사용자별 업체 평가 단계(S30a);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취합된 상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평가 유사 정도에 따라 각 사용자를 식성 유사군으로 분류하는 식성 유사군 분류 단계(S30b);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서, 상기 식성 유사군에 따라 업체를 추천하는 식성 유사군 기반 업체 추천 단계(S30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과정(S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 전달된 업체 정보를 토대로 예약하고자 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단계(S11);
    선택된 상기 업체의 예약 현황을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에 전달되어 제공하는 예약 현황 제공 단계(S11a);
    제공된 상기 예약 현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확인(S11b)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선택한 자리를 예약 요청하는 자리 예약 요청 단계(S12);
    상기 자리 예약 요청에 대하여 요청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요청 승인 단계(S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과정(S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음식을 선주문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주문 선택 단계(S14);
    선주문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주문 가능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에 선주문을 접수하는 음식 정보 제공 및 선주문 단계(S14a);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과정(S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선택하는 경우(S15),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더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길찾기 서비스를 선택(S16)하는 경우, 상기 업체까지의 길찾기 서비스를 더 제공(S16a)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과정(S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점유하게 된 좌석 정보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좌석 정보 매칭 단계(S21);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주문 가능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업체 단말기(130)에 주문을 접수하는 메뉴 정보 확인 및 주문 단계(S23);
    상기 업체 단말기(130)가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조리가 필요한 음식인지를 판단(S24)하는 조리 필요 판단 단계(S24);,
    상기 주문이 조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방으로 상기 주문을 전송(S25)하고, 주방에서는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피드백(S25a)하는 조리 주문 단계;
    상기 주문이 조리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업체 단말기(130)와 연결된 종업원 단말기(140)에 상기 주문을 전송(S26)하고,
    상기 주문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선택(S26a)하는 경우,
    상기 종업원은 상기 주문을 확인한 후 예상 소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피드백(S15a)하는 비조리 주문 단계;
    상기 조리 주문 단계 또는 상기 비조리 주문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 상기 주문 및 처리 상태를 전송하는 주문 처리 전송 단계(S2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과정(S20)은,
    상기 좌석 정보 매칭 단계(S21)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선택하는 경우(S22), 상기 연계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팅 포인트 제공 과정(S40)은,
    상기 포스팅 단계(S36a)에서 작성된 타 사용자의 포스팅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확인(S41)하고, 상기 타 사용자의 포스팅에 대한 공감 점수를 평가(S42)한 후, 업체를 방문(S43)하여 방문 후 공감 점수에 대하여 평가(S44)하고 상기 평가 과정(30)을 수행 한경우,
    상기 업체는 상기 업체 단말기(130)를 통하여 상기 타 사용자에게 포스팅 포인트를 제공(S45)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 단계(S5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단계(S52);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연계 상권 군에 속하는 업체 중 연계 할인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를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연계 할인 서비스 가능 업체 추천 단계(S53);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업체를 방문하여 결제(S54)한 후, 상기 연계 할인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방문(S55)하는 경우, 결제시 소정 금액의 연계 할인을 제공(S55a)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할인 또는 실시간 할인 제공 과정(S50)은,
    사용자 위치 확인 단계(S51) 이후에,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계 상권 군에 속하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실시간 할인 정보 제공 단계(S5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할인 정보에서 원하는 할인이 있는지를 판단(S57)한 후, 실시간 할인 서비스를 선택(S57a) 한 후, 상기 예약 과정(S10)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임 매칭 주선 과정(S60)은,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가 제공한 기본 필터링 항목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기본 필터링 항목 설정 단계(S61);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유료 필터 적용 여부를 선택(S62)하는 경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유료 필터링 항목을 더 제공(S62a)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상기 유료 필터링 항목을 더 설정하는 유료 필터링 제공 단계;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기본 필터링 항목 또는 상기 유료 필터링 항목을 서로 매칭하여 서로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각각 매칭 결과를 전송하는 매칭 및 연결단계(S63);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매칭된 타 사용자에게 식사 요청을 보내는 식사 요청 단계(S6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 요청 단계(S64)에서 상기 식사 요청이 수락된 경우, 업체를 선택(S66)하고, 상기 예약 과정(S10) 또는 상기 주문 과정(S20)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조리 또는 추천 과정(S7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맞춤 식성 항목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맞춤 식성 입력 단계(S71a);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병 항목을 입력하여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지병 식성 입력 단계(S71b);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는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따라, 업체를 추천하는 맞춤 추천 단계(S72);
    상기 사용자가 추천받은 업체에 입장하는 경우, 상기 운영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따라, 상기 업체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추천 음식을 추천하는 음식 추천 단계(S73);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천 음식 주문 여부 판단 단계(S7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하지 않은 경우, 고객이 선택(S75)한 음식이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의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S75a)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경고를 발송하는 경고 발송 단계(S75b);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S76)한 경우에는 상기 음식 추천 단계(S73)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음식 주문 여부 판단 단계(S74)에서 상기 추천 음식을 주문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고객이 선택(S75)한 음식이 상기 맞춤 식성 항목 및 상기 지병 항목에 의하는 경우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S75a)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경고 발송 단계(S75b)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주문을 취소하지 않은 경우, 주문 및 결제단계(S77)를 수행하고,
    상기 주문 내용에 따라 식성을 분석(S78)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식생활 개선 사항 및 경고사항을 발송(S79)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17. 삭제
KR1020160152273A 2016-11-15 2016-11-15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73A KR101756378B1 (ko) 2016-11-15 2016-11-15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73A KR101756378B1 (ko) 2016-11-15 2016-11-15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378B1 true KR101756378B1 (ko) 2017-07-26

Family

ID=5942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273A KR101756378B1 (ko) 2016-11-15 2016-11-15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509B1 (ko) * 2019-04-15 2020-02-27 최종건 점원에게 보상 제공이 가능한 모바일 주문 시스템
KR20200135036A (ko) 2019-05-24 2020-12-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랫폼 유니트가 구비된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KR20210067384A (ko) 2019-11-29 2021-06-08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KR20210147829A (ko) * 2020-05-29 2021-12-07 김일현 지역화폐와 상점 간 연계를 활용한 중복할인 및 수익 공유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230072691A (ko) 2021-11-18 2023-05-25 윤강민 지역기반 외식업체 통합운용 서버
KR102670880B1 (ko) * 2023-06-15 2024-05-31 주식회사 거흥푸드 배달 경로 및 소비자 맞춤 식품 추천을 통한 스마트 식당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57B1 (ko) * 2015-10-26 2016-09-22 이준희 음식점 예약 플랫폼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57B1 (ko) * 2015-10-26 2016-09-22 이준희 음식점 예약 플랫폼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509B1 (ko) * 2019-04-15 2020-02-27 최종건 점원에게 보상 제공이 가능한 모바일 주문 시스템
KR20200135036A (ko) 2019-05-24 2020-12-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랫폼 유니트가 구비된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KR20210067384A (ko) 2019-11-29 2021-06-08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KR20210147829A (ko) * 2020-05-29 2021-12-07 김일현 지역화폐와 상점 간 연계를 활용한 중복할인 및 수익 공유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102424127B1 (ko) * 2020-05-29 2022-07-22 김일현 지역화폐와 상점 간 연계를 활용한 중복할인 및 수익 공유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230072691A (ko) 2021-11-18 2023-05-25 윤강민 지역기반 외식업체 통합운용 서버
KR102670880B1 (ko) * 2023-06-15 2024-05-31 주식회사 거흥푸드 배달 경로 및 소비자 맞춤 식품 추천을 통한 스마트 식당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25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lobal dynamic hierarchical ordering system
KR101756378B1 (ko)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15085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Personal Agents for Identifying Intent to Buy
KR101731189B1 (ko)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US201602034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usiness Operations
US20140149234A1 (en) Management of restaurant information and service by customers
US20120123837A1 (en) Social network shopping system and method
TW201447792A (zh) 設備、製成品與套利購買方法
KR101894678B1 (ko) 음식주문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JP2015524955A (ja) メニュー・レベルの支持と報酬システム
KR20120037597A (ko) 위치기반 가맹점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89668A1 (en) On-demand active cash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KR20140137883A (ko) 카드 사용 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24450B1 (ko) 장바구니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쇼핑몰 운영 방법
KR20160127915A (ko) 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612482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172626A1 (en) Recommendation-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recommendation-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681534B1 (ko)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지급결제수단 추천 시스템
JP6714454B2 (ja) 訪日外国人用サンプルマッチング販売システム
KR101187338B1 (ko) 맞춤형 의료관광 서비스 정보제공 시스템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560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901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32311A (ko) 웹서비스 사용자의 검색 행태에 기반한 능동형 프랜차이즈창업 지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