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384A -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384A
KR20210067384A KR1020190156927A KR20190156927A KR20210067384A KR 20210067384 A KR20210067384 A KR 20210067384A KR 1020190156927 A KR1020190156927 A KR 1020190156927A KR 20190156927 A KR20190156927 A KR 20190156927A KR 20210067384 A KR20210067384 A KR 2021006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aurant
information
reservation
search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202B1 (ko
Inventor
심장섭
박해선
Original Assignee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filed Critical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2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및 앱(APP)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음식점과 같은 핫플레이스 검색 및 선택 후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예약비나 주문금액을 결제하는 매장의 포스기와 연동하여 처리하되, 다양한 조건에 따른 최적의 핫플레이스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On-offline linked non-face-to-face order &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문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웹 및 앱(APP)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음식점과 같은 핫플레이스 검색 및 선택 후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예약비나 주문금액을 결제하는 매장의 포스기와 연동하여 처리하되, 다양한 조건에 따른 최적의 핫플레이스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문화로 인해 다양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반영한 다양한 음식점의 숫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음식점을 찾기 위해 전화번호부, 전화안내서비스(114)를 사용하는 전통방식에서 근래에는 지역의 음식점 정보를 수록한 배달책자를 비롯하여 인터넷이나 앱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음식점을 검색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인터넷이나 앱을 통해 소비자들은 원하는 지역의 유명한 음식점 위치와 메뉴 및 해당 음식점을 이용한 고객들의 평가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고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도 크게 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의 과열은 소비자에게 유사한 앱의 범람과 앱 종류별 제공정보의 양과 질의 차이뿐 아니라 마케팅 목적의 가짜 후기 및 방문자 수 조작으로 인해 이용 신뢰도 저하와 소비자 혼선을 가중시키고, 과도하고 경쟁적인 광고로 인한 원가 상승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과 서비스 품질 저하 등의 민원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배달앱 중심으로 편중되고 온라인 주문 접수 및 정산 정보가 오프라인 음식점 내 POS(Point of Sales) 시스템과 제대로 연계되지 않은 문제가 있어 예약/테이크아웃 주문 등 오프라인 음식점 이용시에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는 여전히 부족하고, 일부 커피숍과 프렌차이즈, 패스트 푸드점에서 선주문 결제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활용도는 높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6378호(2017.07.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점과 같은 핫플레이스 검색시 바이럴 마케팅에 따른 광고성 정보를 고려한 가중치를 이용한 최적의 핫플레이스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예약 후 예약비나 주문금액을 결제하는 매장의 포스기와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 주문결제 시스템은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음식점 단말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주문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역 및 설정범위를 기반으로 음식점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검색부; 상기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이트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음식점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부; 수집된 음식점정보를 분석하여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웹 크롤링을 통해 2차 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부;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중 항목별 설정된 가산치를 부여하여 음식점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핫플레이스 지수와 함께 음식점 단위로 정렬하여 페이지 링크와 함께 출력하는 추천부; 선택된 음식점에 대하여 매장조감도 및 테이블 선택화면을 제공하며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하는 예약부; 음식점 측에서 예약 내역 확인 후 수락과 함께 예약자에게 예약비 결재 메시지를 발송하고, 예약자의 예약비 선결재 확인 후 음식점 단말기로 해당 내역을 전송하는 연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집부 및 제2수집부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으로 구분하여 웹상에서 게시된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산출부는 각 정보의 작성날짜 및 음식점의 개업기간과 해당 음식점 관련 게시글 수를 설정된 기준으로 구분하여 핫플레이스 지수를 차등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출부는, 게시물 형식은 19 내지 24개월을 주기로 설정 후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 게시글 수 대비 해시태그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시태그 형식은 게시물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되 12개월 이하의 설정 구간을 기준으로 이후 기간보다 이전기간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 주문결제 방법은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음식점 단말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주문결제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주문결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역 및 설정범위를 기반으로 음식점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검색단계; 상기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이트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음식점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단계; 수집된 음식점정보를 분석하여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웹 크롤링을 통해 2차 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단계;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중 항목별 설정된 가산치를 부여하여 음식점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핫플레이스 지수와 함께 음식점 단위로 정렬하여 페이지 링크와 함께 출력하는 추천단계; 선택된 음식점에 대하여 매장조감도 및 테이블 선택화면을 제공하며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하는 예약단계; 음식점 측에서 예약 내역 확인 후 수락과 함께 예약자에게 예약비 결재 메시지를 발송하고, 예약자의 예약비 선결재 확인 후 음식점 단말기로 해당 내역을 전송하는 연동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집단계 및 제2수집단계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으로 구분하여 웹상에서 게시된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산출단계는 각 정보의 작성날짜 및 음식점의 개업기간과 해당 음식점 관련 게시글 수를 설정된 기준으로 구분하여 핫플레이스 지수를 차등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출단계는, 게시물 형식은 19 내지 24개월을 주기로 설정 후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 게시글 수 대비 해시태그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시태그 형식은 게시물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되 12개월 이하의 설정 구간을 기준으로 이후 기간보다 이전기간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스마트폰을 통해 음식점과 같은 핫플레이스 검색 및 선택 후 예약을 수행하고 예약비나 주문금액을 결제하는 매장의 포스기와 연동하여 처리하여 예약의 편의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바이럴 마케팅에 따른 광고성 정보를 고려한 가중치를 이용한 최적의 핫플레이스 추천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결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결제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플레이스 검색결과를 나타낸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을 나타낸 제1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을 나타낸 제2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예약 기능을 나타낸 제3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결제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음식점 단말기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검색부(110)와, 제1수집부(120)와, 제2수집부(130)와, 산출부(140)와, 추천부(150)와, 예약부(160)와, 연동부(17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결제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1과 같은 주문결제 시스템을 통해 일련의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검색부(110)는 사용자의 지역 및 설정범위를 기반으로 음식점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위치 또는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거리 순으로 표현되는 업체 리스트를 주변 (N)km 반경내에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많은 사람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은, 즉 인기가 있는 핫플레이스를 중심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수가 높은 순으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거리를 Km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위치확인 기능을 활용하거나 지역명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검색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핫플레이스는 기본적으로 음식점을 의미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문화, 여가 시설이나 숙박시설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집부(120)는 상기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이트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음식점정보를 1차적으로 수집하게 된다. 다양한 포털사이트 및 SNS를 활용하여 검색이 이루어지며, 대표적인 포털사이트로 네이버, SNS로는 인스타그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음식점정보는 지역 및 거리를 기반으로 검색된 1차적인 정보로 설정된 범위내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점의 존재를 1차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상기 제2수집부(130)는 수집된 음식점정보를 분석하여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웹 크롤링을 통해 2차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즉 1차적으로 검색된 음식점정보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를 얻기 위한 것으로 블로그, 카페를 비롯하여 SNS 상의 방문 후기 등 상기 제1수집부(120)를 통해 1차적으로 수집된 음식점에 대한 세부 평가데이터를 웹 크로울링 방식으로 업체의 관련 해시태그, 주소, 업체명을 활용해 SNS, 포털 등에 존재하는 업체의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집부(120) 및 제2수집부(130)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으로 구분하여 웹상에서 게시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즉 인터넷상에서 업체의 평가는 주로 블로그 형태의 게시물 형태나 SNS의 해시태그를 통해 수집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구분하여 수집함으로 추후 핫플레이스 지수 산출시 추천 정확도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출부(140)는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중 항목별 설정된 가산치를 부여하여 음식점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가산치를 적용하여 바이럴 마케팅 등을 통해 쏟아지는 정보를 활용하여 추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1순위의 SNS의 해시태그, 1순위의 포털에 대한 게시물에 대하여 본 발명을 통한 주문결재 이력을 반영하는 예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음식점에 대해 검색된 1순위의 SNS인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개수에 20%의 비율을 적용하고, 다음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블로그 데이터의 리뷰개수에 40%의 비율을 적용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결제한 이력에 40%의 비율을 적용 후 이를 합산하여 해당 음식점의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쉽게 산출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 실적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근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바이럴 마케팅 등에 의해 지수가 변화하고 추천된 결과가 소비자 만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산출부(140)는 각 정보의 작성날짜 및 음식점의 개업기간과 해당 음식점 관련 게시글 수를 설정된 기준으로 구분하여 핫플레이스 지수를 차등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게시물 형식은 19 내지 24개월을 주기로 설정 후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 게시글 수 대비 해시태그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시태그 형식은 게시물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되 12개월 이하의 설정 구간을 기준으로 이후 기간보다 이전기간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의 [표 1]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구분 오픈기간
1~12개월 7~8개월 19~24개월

게시물 형식
(블로그)
(x<10인 경우)
y=x×1.0
(x≥10인 경우)
y=(10×1)+(x-10)×0.5)
(x<5인 경우)
y=x×1.0
(x≥5인 경우)
y=(5×1)+(x-5)×0.5)

y=x×1.1

해시태그 형식
(인스타그램)
(x<10인 경우)
y=x×0.5
(x≥10인 경우)
y=(20×0.25)+((x-20)×0.5)
(x<20인 경우)
y=x×0.25
(x≥20인 경우)
y=(20×0.25)+((x-20)×0.5)
(x: 월 평균 게시글 수, y: 핫플레이스 지수)
기본적으로 게시물 형식의 핫플레이스 지수와 해시태그 형식의 핫플레이스 지수를 합하면 최종적인 통합 핫플레이스지수가 된다.
상기 방식에서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의 두 가지 형식을 연산하는 방식에 차이를 두고 있다. 그 이유는 게시물 형식(블로그)의 경우 광고성 방식으로 대표적이며, 단일 정보만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서 기본적으로 가중치를 높게 잡으나 광고성, 게시물의 목적성, 업체의 미래 광고 유지성 등을 고려해 7~18개월에는 반영 가중치를 낮췄으며, 19개월 이후 소상공인 생멸주기 중 24개월 미만에 살아남은 소상공인의 수가 적고, 19개월 이후에도 지속 게시물이 등록되는 업체의 경우 이미 많이 알려진, 단골이 확보된 업체라 임의 판단해 10%의 가중치를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해시태그 형식(인스타그램)의 경우 복수 형태로 게시물이 등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본적으로 가중치를 낮게 잡게 되나 향후 해시태그 지속 상승이 보편적인 사례이기 때문에 광고성보다는 실제 핫플레이스의 게시물로 볼 수 있는 사례가 많아 가중치를 더해준다.
특히 인스타그램의 경우 핫플레이스가 아닌 신생업체에서 게시물 등록하는 사례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임의 판단해 1~12개월에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추천부(150)는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핫플레이스 지수와 함께 음식점 단위로 정렬하여 페이지 링크와 함께 출력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플레이스 검색결과를 나타낸 화면으로. 웹 크로울링 방식으로 얻어진 정보를 한 번에 표현할 수 있고, 해당 건수 터치(클릭)시 모아 보여지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Web View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을 나타낸 제1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을 나타낸 제2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예약 기능을 나타낸 제3화면이다.
상기 예약부(160)는 선택된 음식점에 대하여 매장조감도 및 테이블 선택화면을 제공하며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의 건축물 대장 평면도를 API로 받아 매장 조감도를 표현하고, 이러한 매장 조감도를 이미지화하여 테이블 선택 방식으로 테이블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매장의 POS기에 테이블 위치대로 버튼 생성 가능토록 개발 후 해당 값을 API 화하여 선택 테이블에 이미지 및 버튼으로 반영하여 테이블 위치도를 구현 및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170)는 음식점 측에서 예약 내역 확인 후 수락과 함께 예약자에게 예약비 결재 메시지를 발송하고, 예약자의 예약비 선결재 확인 후 음식점 단말기로 해당 내역을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예약비 일부 선결제 후 실제 주문 및 계산시에 삭감 처리할 수 있으며, 예약시 주문 원하는 항목 미리 주문 및 결제 후 예약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매장상황에 따라 예약 거부도 가능하다. 즉 모바일을 통해 소비자가 예약 요청을 완료하면 업주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매장 관리에 사용되는 기기를 통해 예약 요청 수신하게 되며, 예약수락시 결재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예약비 결재와 예약 내역의 확정된다. 만약 매장 사정상 예약이 불가한 경우 업주는 예약을 거부하게 되며 이러한 거부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 종료된다.
이러한 일련의 예약 내역은 도 6과 같이 화면을 통해 해당 예약 내역 및 상세 내역을 언제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주문결제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동일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첫 번째 검색단계(S 110)에서는 상기 검색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지역 및 설정범위를 기반으로 음식점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두 번째 제1수집단계(S 120)는 제1수집부(120)를 통해 상기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이트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음식점정보를 수집한다.
세 번째 제2수집단계(S 130)에서는 제2수집부(130)를 통해 수집된 음식점정보를 분석하여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웹 크롤링을 통해 2차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제1수집단계(S 120) 및 제2수집단계(S 120)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으로 구분하여 웹상에서 게시된 정보를 수집한다.
네 번째 산출단계(S 140) 산출부(140)를 통해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중 항목별 설정된 가산치를 부여하여 음식점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산출단계(S 140)는 앞서 산출부(140)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정보의 작성날짜 및 음식점의 개업기간과 해당 음식점 관련 게시글 수를 설정된 기준으로 구분하여 핫플레이스 지수를 차등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게시물 형식은 19 내지 24개월을 주기로 설정 후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 게시글 수 대비 해시태그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시태그 형식은 게시물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되 12개월 이하의 설정 구간을 기준으로 이후 기간보다 이전기간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다섯 번째 추천단계(S 150)에서는 추천부(150)를 통해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핫플레이스 지수와 함께 음식점 단위로 정렬하여 페이지 링크와 함께 출력한다.
여섯 번째 예약단계(S 160)에서는 예약부(160)를 통해 선택된 음식점에 대하여 매장조감도 및 테이블 선택화면을 제공하며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한다.
마지막 일곱 번째 연동단계(S 170)에서는 연동부(170)를 통해 음식점 측에서 예약 내역 확인 후 수락과 함께 예약자에게 예약비 결재 메시지를 발송하고, 예약자의 예약비 선결재 확인 후 음식점 단말기로 해당 내역을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검색부 120: 제1수집부
130: 제2수집부 140: 산출부
150: 추천부 160: 예약부
170: 연동부

Claims (6)

  1.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음식점 단말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주문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역 및 설정범위를 기반으로 음식점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검색부(110);
    상기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이트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음식점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부(120);
    수집된 음식점정보를 분석하여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웹 크롤링을 통해 2차 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부(130);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중 항목별 설정된 가산치를 부여하여 음식점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부(140);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핫플레이스 지수와 함께 음식점 단위로 정렬하여 페이지 링크와 함께 출력하는 추천부(150);
    선택된 음식점에 대하여 매장조감도 및 테이블 선택화면을 제공하며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하는 예약부(160);
    음식점 측에서 예약 내역 확인 후 수락과 함께 예약자에게 예약비 결재 메시지를 발송하고, 예약자의 예약비 선결재 확인 후 음식점 단말기로 해당 내역을 전송하는 연동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부(120) 및 제2수집부(130)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으로 구분하여 웹상에서 게시된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산출부(140)는 각 정보의 작성날짜 및 음식점의 개업기간과 해당 음식점 관련 게시글 수를 설정된 기준으로 구분하여 핫플레이스 지수를 차등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결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140)는,
    게시물 형식은 19 내지 24개월을 주기로 설정 후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 게시글 수 대비 해시태그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시태그 형식은 게시물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되 12개월 이하의 설정 구간을 기준으로 이후 기간보다 이전기간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결제 시스템.
  4.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와 음식점 단말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주문결제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주문결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역 및 설정범위를 기반으로 음식점 검색을 위한 검색정보를 입력받는 검색단계(S 110);
    상기 검색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이트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여 음식점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단계(S 120);
    수집된 음식점정보를 분석하여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웹 크롤링을 통해 2차 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단계(S 130);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중 항목별 설정된 가산치를 부여하여 음식점 핫플레이스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S 140);
    상기 음식점정보 및 2차 정보 핫플레이스 지수와 함께 음식점 단위로 정렬하여 페이지 링크와 함께 출력하는 추천단계(S 150);
    선택된 음식점에 대하여 매장조감도 및 테이블 선택화면을 제공하며 테이블을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하는 예약단계(S 160);
    음식점 측에서 예약 내역 확인 후 수락과 함께 예약자에게 예약비 결재 메시지를 발송하고, 예약자의 예약비 선결재 확인 후 음식점 단말기로 해당 내역을 전송하는 연동단계(S 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결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단계(S 120) 및 제2수집단계(S 130)는 게시물 형식과, 해시태그 형식으로 구분하여 웹상에서 게시된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산출단계(S 140)는 각 정보의 작성날짜 및 음식점의 개업기간과 해당 음식점 관련 게시글 수를 설정된 기준으로 구분하여 핫플레이스 지수를 차등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결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S 140)는,
    게시물 형식은 19 내지 24개월을 주기로 설정 후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 게시글 수 대비 해시태그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시태그 형식은 게시물 형식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되 12개월 이하의 설정 구간을 기준으로 이후 기간보다 이전기간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결제 방법.
KR1020190156927A 2019-11-29 2019-11-29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228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27A KR102288202B1 (ko) 2019-11-29 2019-11-29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27A KR102288202B1 (ko) 2019-11-29 2019-11-29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84A true KR20210067384A (ko) 2021-06-08
KR102288202B1 KR102288202B1 (ko) 2021-08-10

Family

ID=7639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927A KR102288202B1 (ko) 2019-11-29 2019-11-29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2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283A (ko) * 2012-11-14 2014-06-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56378B1 (ko) 2016-11-15 2017-07-26 서우성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96968B1 (ko) * 2016-08-05 2017-11-1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진촬영정보를 이용한 해시태그 추천방법
KR20180035423A (ko) * 2016-09-29 2018-04-06 유인창 위치 및 후기를 기반으로 매장을 추천하는 예약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3277A (ko) * 2017-08-01 2019-02-11 (주)레드테이블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정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283A (ko) * 2012-11-14 2014-06-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96968B1 (ko) * 2016-08-05 2017-11-1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진촬영정보를 이용한 해시태그 추천방법
KR20180035423A (ko) * 2016-09-29 2018-04-06 유인창 위치 및 후기를 기반으로 매장을 추천하는 예약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6378B1 (ko) 2016-11-15 2017-07-26 서우성 외식업체 통합 운영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13277A (ko) * 2017-08-01 2019-02-11 (주)레드테이블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정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202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0165A1 (en) Linking community programs and merchants in a marketing program
KR101808951B1 (ko)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US20160171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Scoring Customers of Businesses using Information Aggregated from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US20120166232A1 (en) Customer managed restaurant information system
US20140025524A1 (en) Examples of delivery and/or referral services that may use mobile enhancements and/or auction mechanisms
KR101894678B1 (ko) 음식주문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CN103608830A (zh) 基于位置和社交信息为用户提供相关通知
JP524502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2012008727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00028734A (ko) Nfc 기반의 리뷰 관리 시스템
KR102093553B1 (ko) 블록체인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및 ai를 통한 지역 기반 모바일 물물교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50683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b2c旅游网站管理方法
JP2012517634A (ja) データの転換価値を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76162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5548A (ko) 사용자 위치기반 상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81434B1 (ko) 크라우드 펀딩 및 빅데이터 기반 신혼여행을 포함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Griffin et al. Local government: A digital intermediary for the information age?
KR20190113452A (ko) 인터넷을 통해 맞춤 식재료의 조합에 의한 제조음식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88202B1 (ko) 온-오프라인 연계형 비대면 주문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
JP2016071580A (ja) 加盟店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提供方法
KR10154257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추천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9906A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00055835A (ko) 빅데이터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KR20230048928A (ko) 검증된 리뷰를 제공하는 음식점 플랫폼 시스템
EP3586301B1 (en) Non-standard data management in a data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