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192B1 - 자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192B1
KR101755192B1 KR1020150091245A KR20150091245A KR101755192B1 KR 101755192 B1 KR101755192 B1 KR 101755192B1 KR 1020150091245 A KR1020150091245 A KR 1020150091245A KR 20150091245 A KR20150091245 A KR 20150091245A KR 101755192 B1 KR101755192 B1 KR 10175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leeve
automatic transmission
presen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76A (ko
Inventor
이병민
서각하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1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0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conveying reciprocating or limited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5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ets of orbital gear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intermeshing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변속기는,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며, 제1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부재와, 보스부재에 결합되며, 제2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부재와, 슬리브부재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1클러치부와,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클러치부가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수 및 조립 공정 수를 줄이고, 제품의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차량의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가 설치되며, 자동변속기의 다단 변속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된다.
복수의 유성기어세트는 선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고, 인풋샤프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회전토크 및 회전속도를 다단으로 변속하여 아웃샤프트로 전달한다.
또한, 자동변속기에는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행하거나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마찰요소가 설치되는데, 마찰요소는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클러치와,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자동변속기는 리테이너에 복수개의 클러치가 장착되는 경우 보스부재, 슬리브부재 및 드럼부재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부품의 관리가 어렵고, 각각의 구성을 결합하기 위한 복잡한 조립 공정이 필요하며, 생산단가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7710호(2012.09.0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변속기용 클러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며, 제1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부재; 상기 보스부재에 결합되며, 제2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1클러치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클러치부가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보스부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스부재가 내측으로 압입되는 슬리브바디부; 및 상기 슬리브바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피스톤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지지하고, 상기 드럼부재와 연결되는 슬리브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슬리브바디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스부재가 상기 슬리브바디부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압입제한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며, 제1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부재; 상기 보스부재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2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1클러치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클러치부가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제2피스톤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2피스톤을 지지하는 슬리브연장부; 및 상기 슬리브연장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드럼부재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드럼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드럼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상기 보스부재, 상기 슬리브부재 및 상기 드럼부재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복수 개의 클러치를 장착하기 위한 리테이너부의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을 줄여, 생산단가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에서 제1피스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에서 제2피스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1)는 케이스부(100), 리테이너부(200), 피스톤부(300), 유성기어세트부(500) 및 클러치부(7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0)는 자동변속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에 수용되는 리테이너부(200), 피스톤부(300), 유성기어세트부(500) 및 클러치부(700)를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리테이너부(200)는 인풋샤프트(10) 등을 통하여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피스톤부(300)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부(200)는 보스부재(210), 슬리브부재(230) 및 드럼부재(250)를 포함한다.
피스톤부(300)는 리테이너부(20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클러치부(70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부(300)는 보스부재(2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피스톤(310)과, 슬리브부재(23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스톤(330)을 포함하여, 각각 후술할 제1클러치부(710) 및 제2클러치부(73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부(300)는 리테이너부(200)에 형성된 유로부(9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압에 따라 이동되어 클러치부(70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310)은 보스부재(210) 상에 구비되는 제1유로(9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이동되어 제1클러치부(710)를 가압하고, 제2피스톤(330)은 슬리브부재(230) 상에 구비되는 제2유로(9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이동되어 제2클러치부(73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피스톤(330)은 제1클러치부(710), 예를 들어 제1디스크(711)를 관통하여 제2클러치부(730)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유성기어세트부(500)는 클러치부(700)를 매개로 리테이너부(200)에서 동력을 전달받으며, 기어비를 이용하여 리테이너부(200)에서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변경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유성기어세트부(500)는 제1피스톤(310)의 작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는 제1요소와, 제2피스톤(330)의 작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는 제2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요소, 제2요소는 유성기어세트 단위 또는 유성기어세트의 구성요소인 선기어, 캐리어 및 링기어 등이 될 수 있으며, 장치의 동력 전달 구성에 다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성기어세트부(500)는 제1유성기어세트(510) 및 제2유성기어세트(530)를 포함한다. 제1유성기어세트(510)는 제1선기어(511), 제1캐리어(513) 및 제1링기어(515)를 포함하고, 제2유성기어세트(530)는 제2선기어(531), 제2캐리어(533) 및 제2링기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유성기어세트의 구성인 선기어, 캐리어 및 링기어의 작동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요소인 제1캐리어(513)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허브 등을 매개로 제1디스크(711)와 연결된다. 제1디스크(711)는 제1피스톤(310)의 이동에 따라 제1플레이트(713)에 밀착됨으로써, 제1플레이트(713)가 결합된 리테이너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캐리어(513)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요소인 제2캐리어(533)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허브 등을 매개로 제2디스크(731)와 연결된다. 제2디스크(731)는 제2피스톤(330)의 이동에 따라 제2플레이트(733)에 밀착됨으로써, 제2플레이트(733)가 결합된 리테이너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캐리어(533)에 전달한다.
클러치부(700)는 제1클러치부(710) 및 제2클러치부(730)를 포함한다. 제1클러치부(710)는 제1요소에 결합되는 제1디스크(711)와, 드럼부재(250)에 결합되어, 제1피스톤(310)의 이동에 따라 제1디스크(711)에 밀착되는 제1플레이트(713)를 포함한다.
제2클러치부(730)는 제2요소에 결합되는 제2디스크(731)와, 드럼부재(250)에 결합되어, 제2피스톤(330)의 이동에 따라 제2디스크(731)에 밀착되는 제2플레이트(7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변속기(1)는 탄성부재(80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800)는 피스톤부(300)와 리테이너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유압에 의하여 이동된 피스톤부(300)를 이동 전 위치로 복원시킨다. 탄성부재(800)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으로 예시되며, 장치의 사양, 크기, 피스톤부(300)의 형상 등에 따라 다른 종류의 스프링도 적용할 수 있다.
보스부재(210)는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며, 제1피스톤(310)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리브부재(230)는 보스부재(210)에 결합되며, 제2피스톤(330)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럼부재(250)는 슬리브부재(230)와 결합되며, 제1피스톤(310)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1클러치부(710)와, 제2피스톤(330)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클러치부(73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변속기(1)는 보스부재(210), 슬리브부재(230) 및 드럼부재(250)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를 일체로서 형성하여 부품의 개수 및 조립 공정을 줄여, 장치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슬리브부재(230)와 드럼부재(250)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1 실시예와, 보스부재(210)와 슬리브부재(230)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 실시예와, 보스부재(210), 슬리브부재(230) 및 드럼부재(250)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3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자동변속기(1a)는 드럼부재(250a)와 슬리브부재(230a)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 슬리브부재(230a)는 슬리브바디부(231), 슬리브연장부(233) 및 압입제한돌기부(235)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슬리브바디부(231)는 보스부재(210a)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보스부재(210a)가 내측으로 압입결합된다.
제1 실시예에서 슬리브연장부(233)는 슬리브바디부(231)에서 외측인 반경방향(도 1 기준 우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피스톤(330)과의 사이에 탄성부재(800)가 개재되어 제2피스톤(330)을 지지하고, 드럼부재(250a)와 연결된다.
압입제한돌기부(235)는 슬리브바디부(23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보스부재(210a)가 슬리브바디부(231)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자동변속기(1b)는 보스부재(210b)와 슬리브부재(230b)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슬리브부재(230b)는 보스부재(210b)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2피스톤(330)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실시예에서 슬리브부재(230b)는 슬리브연장부(233) 및 드럼안착부(237)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슬리브부재(230b)는 제2피스톤(330)과의 사이에 탄성부재(800)가 개재되어 제2피스톤(330)을 지지한다.
드럼안착부(237)는 슬리브연장부(233)에서 회전축 방향(도 2 기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드럼부재(250b)의 내주면에 접하여, 드럼부재(250b)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2 실시예에서 드럼부재(250b)는 슬리브부재(230b)와 별물로 구비되어, 슬리브부재(230b)에 용접,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2 실시예에서 드럼부재(250b)는 제1피스톤(310)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1클러치부(710)와, 제2피스톤(330)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클러치부(730)가 장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자동변속기(1c)는 보스부재(210c), 슬리브부재(230c) 및 드럼부재(250c)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부품의 개수 및 조립 공정의 개수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보스부재(210c), 슬리브부재(230c) 및 드럼부재(250c)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프레스가공, 주조 가공 등의 방식으로 제작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에서 제1피스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에서 제2피스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피스톤(310)을 작동시키는 경우, 인풋샤프트(1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제1유로(910)를 통하여 제1피스톤(330)과 보스부재(210) 사이로 진입하여 제1피스톤(3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피스톤(31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1플레이트(713)를 가압하여, 제1디스크와 밀착시킨다. 제1플레이트(713)와 제1디스크(711)가 밀착되면, 마찰력이 증대되고, 리테이너부(200)의 회전력이 제1요소인 제1캐리어(513)에 전달되며, 제1유성기어세트(510)의 기어비에 의하여 변속된다.
제1유로(910)를 통한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부재(800)의 복원력 등에 의하여 제1피스톤(310)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제2피스톤(330)을 작동시키는 경우, 인풋샤프트(1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제2유로(930)를 통하여 제2피스톤(330)과 슬리브부재(230) 사이로 진입하여, 제2피스톤(3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피스톤(33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2플레이트(733)를 가압하여, 제2디스크(731)와 밀착시킨다. 제2플레이트(733)와 제2디스크(731)가 밀착되면, 리테이너부(200)의 회전력이 제2요소인 제2캐리어(533)에 전달되며, 제2유성기어세트(530)의 기어비에 의하여 변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1)는 복수 개의 클러치부(710, 730)를 장착하기 위한 리테이너부(200)의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을 줄여, 생산단가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자동변속기 10: 인풋샤프트
100: 케이스부 200: 리테이너부
210: 보스부재 230: 슬리브부재
231: 슬리브바디부 233: 슬리브연장부
235: 압입제한돌기부 237: 드럼안착부
250: 드럼부재 300: 피스톤부
310: 제1피스톤 330: 제2피스톤
500: 유성기어세트부 510: 제1유성기어세트
511: 제1선기어 513: 제1캐리어
515: 제1링기어 530: 제2유성기어세트
531: 제2선기어 533: 제2캐리어
700: 클러치부 710: 제1클러치부
711: 제1디스크 713: 제1플레이트
730: 제2클러치부 731: 제2디스크
733: 제2플레이트 800: 탄성부재
900: 유로부 910: 제1유로
930: 제2유로

Claims (6)

  1.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며, 제1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부재;
    상기 보스부재와 연결되며, 제2피스톤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1클러치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클러치부가 장착되는 드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은,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클러치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제1클러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클러치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재, 상기 슬리브부재 및 상기 드럼부재는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91245A 2015-06-26 2015-06-26 자동변속기 KR10175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45A KR101755192B1 (ko) 2015-06-26 2015-06-26 자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45A KR101755192B1 (ko) 2015-06-26 2015-06-26 자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76A KR20170001876A (ko) 2017-01-05
KR101755192B1 true KR101755192B1 (ko) 2017-07-10

Family

ID=5783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245A KR101755192B1 (ko) 2015-06-26 2015-06-26 자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1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685A (ja) 2005-10-31 2007-05-17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JP2008309238A (ja) 2007-06-14 2008-12-25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685A (ja) 2005-10-31 2007-05-17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JP2008309238A (ja) 2007-06-14 2008-12-25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76A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867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10385931B2 (en) Transmission brake device
JP2019508640A (ja) 摩擦クラッチ
CN108884934B (zh) 自动变速器及摩擦接合单元
JP6197743B2 (ja) 変速機のブレーキ装置
JP2018035850A (ja) クラッチユニット
KR102470317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US11226015B2 (en) Friction engaging device
KR101785936B1 (ko) 자동변속기
KR101755192B1 (ko) 자동변속기
KR101534658B1 (ko) 스냅링 조립장치
JP2011002054A (ja) 自動変速機の遠心油圧キャンセル構造
KR101534657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JP2010078156A (ja) 車両用摩擦クラッチ装置
JP2008128392A (ja) キャンセルプレート
JP2015194178A (ja) 変速機のブレーキ装置
KR101469530B1 (ko) 자동변속기
JP6278092B1 (ja) 自動変速機の摩擦締結装置
KR20190063771A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어셈블리
KR101785937B1 (ko) 자동변속기
JP6570466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1495821B1 (ko) 브레이크
KR100854284B1 (ko) 마찰요소
JP2015218856A (ja) 自動変速機
KR20200105307A (ko) 차량의 클러치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