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77B1 - 차량용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4877B1 KR101754877B1 KR1020150085776A KR20150085776A KR101754877B1 KR 101754877 B1 KR101754877 B1 KR 101754877B1 KR 1020150085776 A KR1020150085776 A KR 1020150085776A KR 20150085776 A KR20150085776 A KR 20150085776A KR 101754877 B1 KR101754877 B1 KR 101754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key
- slide
- remote control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용 키(Key) 및 상기 차량용 키가 조립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버튼을 포함하는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키와 상기 리모컨은 분리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탈착 가능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분리위치 시 상기 차량의 운행은 통제하되,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용 키와 차량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리모컨 기능이 포함된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트럭 등의 대형 차량은 운전하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 도어를 개폐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이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도록 한다.
특히, 버스의 경우 운전자가 차량 내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버스 외부에 마련된 도어개폐키를 이용하여 버스의 도어를 개폐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도어개폐키는 버스가 운행하는 차량용 키와 별도의 부품이며, 차량 밖에 버스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키가 꽂히는 도어키장착부에 꽂아야 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버스나 트럭 등의 대형 차량의 차량용 키는 스마트 키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 차량의 차량용 키의 스마트화가 요청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스마트 키의 경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리모컨과,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용 키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서 리모컨을 작동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차량에서 키를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용 키가 사용되는 상황에서는 리모컨이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용 키와 차량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리모컨의 분리가 가능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이 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황에서 차량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용 키가 사용되는 상황에서도 차량의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형 차량의 차량용 키의 스마트화가 가능해진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용 키(Key) 및 상기 차량용 키가 조립되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버튼을 포함하는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키와 상기 리모컨은 분리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탈착 가능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분리위치 시 상기 차량의 운행은 통제하되,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용 키와 리모컨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차량용 키가 차량에 꽂혀있는 상태에서 차량용 키와 리모컨을 분리하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도 운전자는 리모컨에 구비된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지 않고, 차량에 차량용 키가 꽂혀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임의로 운행될 경우 차량의 도난 또는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리모컨만을 가지고, 차량에서 내리면, 차량용 키는 리모컨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키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이지만 구동하지 않고, 상기 리모컨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만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이 임의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도난 또는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 차량의 경우 승객이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차량에 차량용 키를 장착한 상태에서 내려도 리모컨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차량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가 잠시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차량 내에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차량 내에서 승객이 내릴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대형 차량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에 차량용 키를 꽂는 키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차량에 차량용 키를 꽂아둔 후, 차량에서 내린 상태에서도 리모컨을 통해 차량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키장착부에 차량용 키를 꽂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키와 리모컨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차량용 키와 리모컨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키와 리모컨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차량용 키와 리모컨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키와 리모컨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차량용 키와 리모컨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키(10)는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용 키(Key)(100) 및 상기 차량용 키(100)가 조립되며, 차량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버튼(220)을 포함하는 리모컨(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은 분리위치(도 2 참고)와 결합위치(도 1 참고)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탈착 가능하고, 리모컨(200)은 분리위치 시 상기 차량의 운행은 통제하되,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는 가능한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운행하는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결합 및 조립 가능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에 차량용 키(100)를 삽입한 뒤 차량에 시동을 건 후에도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분리된 리모컨(200)은, 운전자가 차량에서 나와 리모컨(200)의 제어버튼(220)을 통해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스마트키(10)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차량용 키(100)는, 상기 차량용 키(100)를 지지하는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20)는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탈착할 때, 운전자가 차량용 키(100)를 핸들링(handling)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바디(120)에 의하여 운전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을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20)는, 리모컨(200)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용 키(100)를 리모컨(200)의 키수납부(250)에서 돌출시켜, 차량용 키(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구동버튼(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키구동버튼(110)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통해 차량용 키(100)를 리모컨(200)의 키수납부(250)에서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지만, 키구동버튼(110)을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용 키(100)를 리모컨(200)의 키수납부(250)에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컨(200)은, 상기 차량용 스마트키(10)가 결합위치일 때, 차량용 키(100)가 수납되는 키수납부(250)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버튼(222)과, 차량의 도어를 폐쇄하는 폐쇄버튼(224) 및 차량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시동버튼(226)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개방버튼(222) 및 폐쇄버튼(224) 차량이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나와 차량의 도어 개폐만 가능하게 한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지 않고, 운전자가 리모컨(200)을 차량용 스마트키(10)에서 분리하여 차량에서 내릴 경우 차량에 차량용 키(100)는 차량에 꽂혀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차량용 키(100)는 리모컨(200)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키(100)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이지만 구동하지 않고, 상기 리모컨(200)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만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이 임의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도난 또는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리모컨(200)만을 가지고, 차량에서 내려 차량 도어를 폐쇄하고, 차량용 키(100)만 장착된 상태에서도 차량이 운행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도난 및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버튼(222) 및 폐쇄버튼(224)은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여 차량 내에 차량 이용자의 탑승은 안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이 대형 차량의 경우 승객이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차량 내부의 키삽입부에 차량용 키(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내리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차량 외부에서 리모컨(200)의 제어버튼(220)의 개방버튼(222) 또는 폐쇄버튼(224)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여 차량 내로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차량 내에서 승객이 내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에 차량용 키(100)를 꽂는 키장착부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키(10)가 사용되는 대형 차량의 경우 상기 키장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제어버튼(220)의 개방버튼(222)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방하거나, 상기 개방버튼(222)를 눌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시동버튼(226)은, 운전자가 차량에 승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시동버튼(226)을 누르면 차량의 시동을 끌 수 있다. 또한, 시동버튼(226)은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차량 시동을 걸거나, 차량 시동을 끌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분리 및 결합되기 위해서, 차량용 키(100)는, 리모컨(200)과 접하며, 분리위치와 결합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200)은 제1 슬라이드부(14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2 슬라이드부(24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부(140)는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240)은 제1 슬라이드부(140)가 끼움, 장착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슬라이드부(140)를 레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2 슬라이드부(240)를 제1 슬라이드부(140)가 삽입, 장착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슬라이드부(140)가 제2 슬라이드부(240)에 결합되면, 차량용 스마트키(10)가 결합위치 상태에서도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부(140)은, 헤드(142)와 복부(144)와 상부(146)를 포함한다. 상기 복부(144)의 너비(D₁)는 헤드(142) 또는 상부(146)의 너비(D₂)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슬라이드부(140)가 제2 슬라이드부(240)에 결합된 뒤, 상부(146)가 제2 슬라이드부(240)의 걸림턱(242)에 걸려 제1 슬라이드부(140)가 상, 하로 이동하는 방지하고,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140, 2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슬라이드부(140)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레일형 이외의 역 방향의 T-자 형과 같이, 형성되어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슬라이드부(140)가 돌부로 형성되고, 제2 슬라이드부(240)가 홈으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상기 제1 슬라이드부(140)가 홈으로 형성되고, 제2 슬라이드부(240)가 돌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슬라이드부(140)는, 제2 슬라이드부(24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결합위치 시, 제2 슬라이드부(240)의 고정수납부(290)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위치 시, 상기 차량용 스마트키(10)의 좌측면(도 1의 방향 참고)은 차량용 키(100)가 리모컨의 키수납부(25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용 스마트키(10)의 우측면(도 1의 방향 참고)는 락킹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슬라이드부(140)에 제2 슬라이드부(240)를 향해 돌출된 고정부(18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240)는 상기 고정부(180)가 삽입, 장착되는 고정수납부(290)를 형성하여, 결합위치 시, 고정부(180)가 고정수납부(290)에 삽입되어 장착되면서 차량용 스마트키(10)의 우측면이 락킹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180)가 제1 슬라이드부(140)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유지스프링(17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80)는 제2 슬라이드부(240)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슬라이드부(140)와 제2 슬라이드부(240)가 슬라이드 결합될 때, 고정부(180)는 바디(120)내에 형성된 고정부수납홈(190)에 수납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140, 240)의 슬라이드 결합 시, 제2 슬라이드부(240)의 표면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때, 상태유지스프링(170)은 고정부(18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140, 240)이 결합위치가 되면, 상기 상태유지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부(180)가 돌출되고, 고정수납부(290)에 수납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분리위치로 상태 변경 시, 고정수납부(290)에서 고정부(180)를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80)의 일 단과 인접하며, 고정수납부(290)에서 고정부(180)를 분리시키는 락킹해제부(280)와, 상기 락킹해제부(280)의 일 단에 설치되며, 고정수납부(290)에서 고정부(180)를 분리시키는 해제위치(도 4의 (a))로 슬라이드 이동 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락킹해제스프링(270)을 포함한다.
상기 락킹해제부(280)는, 결합위치의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분리위치로 상태를 변경할 때, 상기 고정부(180)를 상기 고정부수납홈(190)으로 수납되게 하여 고정부(180)가 고정수납부(290)에서 이탈되게 한다. 보다 자세하게, 락킹해제부(280)가 고정수납부(290)에 삽입된 고정부(180)의 일 단을 고정부수납홈(190)으로 밀어내며 고정수납부(290)에서 고정부(180)가 분리되게 한다.
이때, 상기 락킹해제스프링(270)은 락킹해제부(280)가 상기 고정부(180)의 일 단을 고정부수납홈(190)으로 밀어내는 해제위치(도 4의 (a))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한다. 즉, 고정부(180)가 고정수납부(29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탄성이 유지되어 락킹해제부(280)가 락킹해제부(280)가 수납되고, 고정부(180)가 수납된 고정수납부(290)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운전자가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을 분리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리모컨(200)의 분리버튼(230)을 누르면 락킹해제스프링(270)을 가압하여 락킹해제스프링(270)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락킹해제스프링(270)이 락킹해제부(280)를 고정수납부(29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해제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락킹해제부(280)의 단부가 고정부(180)와 접하면서 고정부(180)를 고정부수납홈(190)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후, 고정부(180)가 고정수납부(290)에서 분리되고, 운전자가 분리버튼(230)의 가압을 중지하면, 상기 락킹해제스프링(270)을 복원되어 락킹해제부(280) 또한 고정수납부(290) 내부로 수납된 상태가 된다.
이때, 분리버튼(230)은 상기 해제위치 시, 락킹해제스프링(270)을 밀어내는 푸쉬(Push) 가이드부(2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푸쉬 가이드부(232)는 운전자가 분리버튼(230)을 누름과 동시에 락킹해제스프링(270)을 가압하여 락킹해제스프링(270)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리버튼(230)은 본 발명과 같이 리모컨(200) 상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리모컨(200)의 일 측면에 누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차량용 키(100)는, 결합위치 시, 리모컨(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60)를 포함하고, 리모컨(200)은, 결합위치 시, 스토퍼(160)와 맞물리는 스토퍼턱(26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60)는 결합위치 시, 제1 슬라이드부(140)와 제2 슬라이드부(240)의 슬라이딩 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수단이다. 또한, 스토퍼(160)는 리모컨(200)의 스토퍼턱(260)에 걸림되어 결합위치 시, 고정부(180)가 고정수납부(290)에 장착, 삽입되는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여 차량용 스마트키(10)의 우측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60)는 제1 슬라이드부(140)의 높이(h₁)보다 길게(h₂) 형성되어 스토퍼(160)가 스토퍼턱(260)에 걸림되면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140, 24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용 키(100)는 상기 스토퍼(160)와 소정 간격(G) 이격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140, 240)가 슬라이드 결합할 때, 차량용 키(100)가 리모컨(200)에 직접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차량용 키(100)가 차량에 꽂혀있는 상태에서 차량용 키(100)와 리모컨(200)을 분리하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도 운전자는 리모컨(200)에 구비된 제어버튼(220)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끌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지 않고, 차량에 차량용 키(100)가 꽂혀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임의로 운행될 경우 차량의 도난 또는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리모컨(200)만을 가지고, 차량에서 내리면, 차량용 키(100)는 리모컨(200)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키(100)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이지만 구동하지 않고, 상기 리모컨(200)만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만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이 임의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도난 또는 안전 사고 등이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대형 차량의 경우 승객이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차량에 차량용 키(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내려도 리모컨(200)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차량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가 잠시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차량 내에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차량 내에서 승객이 내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대형 차량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에 차량용 키(100)를 꽂는 키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차량에 차량용 키(100)를 꽂아둔 후, 차량에서 내린 상태에서도 리모컨(200)을 통해 차량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키장착부에 차량용 키(100)를 꽂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차량용 스마트키 100: 차량용 키
120: 바디 140: 제1 슬라이드부
160: 스토퍼 170: 상태유지스프링
180: 고정부 190: 고정부수납홈
200: 리모컨 220: 제어버튼
230: 분리버튼 240: 제2 슬라이드부
250: 키수납부 260: 스토퍼턱
270: 락킹해제스프링 280: 락킹해제부
290: 고정수납부
120: 바디 140: 제1 슬라이드부
160: 스토퍼 170: 상태유지스프링
180: 고정부 190: 고정부수납홈
200: 리모컨 220: 제어버튼
230: 분리버튼 240: 제2 슬라이드부
250: 키수납부 260: 스토퍼턱
270: 락킹해제스프링 280: 락킹해제부
290: 고정수납부
Claims (6)
- 대형 차량의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차량 운행을 위해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키(Key); 및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버튼과, 상기 차량의 상기 도어를 폐쇄하는 폐쇄버튼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버튼 및 상기 차량용 키가 수납되는 키수납부를 포함하는 리모컨;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키와 상기 리모컨은 분리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탈착 가능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분리위치 시, 상기 차량 도어 개폐만 가능하며,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리모컨과 접하며 상기 분리위치와 상기 결합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제1 슬라이드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위치 시, 상기 제2 슬라이드부의 고정수납부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유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 단과 인접하며, 상기 고정수납부에서 상기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락킹해제부와,
상기 락킹해제부의 일 단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해제부가 상기 고정수납부에서 상기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해제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락킹해제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리모컨과 상기 차량용 키를 분리 시, 누름을 통해 상기 락킹해제스프링을 탄성 변형시켜 상기 락킹해제부를 상기 고정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분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키는,
상기 키수납부의 반대측면의 상기 제1 슬라이드부의 일 단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위치 시, 상기 리모컨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키수납부의 반대측면의 상기 제2 슬라이드부의 일 단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위치 시, 상기 스토퍼와 맞물리는 스토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5776A KR101754877B1 (ko) | 2015-06-17 | 2015-06-17 | 차량용 스마트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5776A KR101754877B1 (ko) | 2015-06-17 | 2015-06-17 | 차량용 스마트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946A KR20160148946A (ko) | 2016-12-27 |
KR101754877B1 true KR101754877B1 (ko) | 2017-07-06 |
Family
ID=5773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5776A KR101754877B1 (ko) | 2015-06-17 | 2015-06-17 | 차량용 스마트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487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1068A (ko) | 2017-08-22 | 2019-03-05 | (주)파트론 | 웨어러블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190127002A (ko) | 2018-05-03 | 2019-11-1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키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6862A (ja) * | 1999-11-22 | 2001-05-29 | Tokai Rika Co Ltd | 電子キーケース |
JP2008025145A (ja) * | 2006-07-19 | 2008-02-07 | Denso Corp |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
-
2015
- 2015-06-17 KR KR1020150085776A patent/KR1017548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6862A (ja) * | 1999-11-22 | 2001-05-29 | Tokai Rika Co Ltd | 電子キーケース |
JP2008025145A (ja) * | 2006-07-19 | 2008-02-07 | Denso Corp |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1068A (ko) | 2017-08-22 | 2019-03-05 | (주)파트론 | 웨어러블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190127002A (ko) | 2018-05-03 | 2019-11-1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8946A (ko) | 2016-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09870B (zh) | 门闩系统 | |
JPH0626167Y2 (ja) | シートベルト用ラッチバックル | |
US10525898B2 (en) |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seat | |
KR101827398B1 (ko) |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 |
US9452717B2 (en) | Attachment apparatus to connect an electronic device holder to a seat structure | |
CN108372815B (zh) | 车辆用滑动扶手 | |
EP3143896B1 (en) | Children's safety belt connection buckle | |
US20160172797A1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holder | |
JP2017193303A (ja) |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 |
US7264293B2 (en) | Device for connecting a vehicle seat to a vehicle floor | |
KR101754877B1 (ko) | 차량용 스마트키 | |
JP2002360311A (ja) | バックル装置 | |
EP1561886A1 (en) | Remote control device | |
JPS6228890Y2 (ko) | ||
US6738477B1 (en) |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telephone | |
JPS61386A (ja) | ドライシエ−バ | |
CN102729947A (zh) | 五点式安全带及安全带解锁机构 | |
JP2001122008A (ja) | ドリンク容器の拘束具 | |
WO2012053166A1 (ja) | 連結装置 | |
KR20140082311A (ko) | 차량용 시트의 트레이 박스 락킹 구조체 | |
US6427297B1 (en) | Buckle with smooth tongue insertion mechanism | |
GB2073810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buckle | |
JP2018001982A (ja) | コンソールボックス | |
JP6562327B2 (ja) |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 |
JPH0550875A (ja) |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ツク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