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549B1 - 방진구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방진구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549B1
KR101752549B1 KR1020150076668A KR20150076668A KR101752549B1 KR 101752549 B1 KR101752549 B1 KR 101752549B1 KR 1020150076668 A KR1020150076668 A KR 1020150076668A KR 20150076668 A KR20150076668 A KR 20150076668A KR 101752549 B1 KR101752549 B1 KR 10175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wire
lifting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261A (ko
Inventor
신광식
김문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5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Abstract

방진구 리프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는, 방진구를 들어올리도록 방진구에 결합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로서, 방진구의 상측에 결합되고 핀 관통홀이 마련된 본체부; 핀 관통홀을 관통하여 방진구와 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핀; 및 방진구를 리프팅 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본체부 상부에 마련된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진구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FOR STEADY REST}
본 발명은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방진구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수평 세팅이 가능한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진구(Steady Rest)는 회전 대칭형 피가공물을 공작 기계상에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중이 많이 나가고 길이간 긴 회전 대칭형 피가공물의 경우에는 피가공물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방진구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지지한다. 이러한 방진구는 통상적으로 크레인과 와이어를 통하여 이동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방진구의 개략도인데, 종래의 방진구는 방진구(10)에 연결된 복수개의 아이볼트(Eye Bolt; 12)에 와이어를 체결하여 크레인 등에 의해 들어올린다. 따라서, 방진구를 운반하거나 설치장소에 배치시킬 때마다, 작업자는 아이볼트(12)에 와이어 로프를 하나하나 연결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인 작업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아이볼트(12)에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면서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른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일일이 조정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른 기울어짐으로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수도 있다.
(특허문헌 1) KR2012-0112095 A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진구에 핀 체결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하고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수평 세팅이 가능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는, 방진구를 들어올리도록 방진구에 결합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로서,
상기 방진구의 상측에 결합되고 핀 관통홀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핀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방진구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핀; 및 상기 방진구를 리프팅 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부에 마련된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그 사이에 상기 방진구가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관통홀은 2개 이상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핀 관통홀은 상기 결합핀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 마련된 복수개의 와이어 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핀의 미사용 시, 상기 결합핀을 보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핀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구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기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핀에는 보조핀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홀에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샤클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은 스크류 타입이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는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상호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 각각에 장착되는 로드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의 위치 또는 상호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로드셀로부터 부하정보와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따르면, 핀 체결을 통하여 방진구에 용이하게 결합가능하여 방진구의 운반 및 설치 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수평조절이 가능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로드셀과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방진구의 편하중을 감지하고, 샤클걸이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방진구의 리프팅 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진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결합되는 방진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결합되는 방진구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를 먼저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결합되는 방진구는, 도 1의 종래의 방진구와 비교할 때, 아이볼트(12) 대신에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홀(14)이 방진구(10)에 복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핀 홀(14)이 마련되고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방진구(10)에 마련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방진구 리프팅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방진구(10)에 결합되어, 크레인 등의 와이어에 연결하여 방진구(10)를 들어올리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방진구 리프팅 장치(100)는 방진구(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결합핀(150) 및 본체부 상부에 마련된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각각 판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02; 도 5 참조)와,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02)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부(102)의 측면은 'ㄷ'자 형상을 지니고, 방진구(10)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02) 사이 삽입공간(10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02) 각각에는 서로 대향하는 동일한 위치에 복수개의 핀 관통홀(112, 11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핀 관통홀(112, 114)은 2개가 마련되며, 그 중 하나의 핀 관통홀(112)은 기다란 형상의 장공이고, 다른 핀 관통홀(114)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다시 말해, 핀 관통홀(112, 114) 중 하나 이상의 핀 관통홀(112)은 결합핀(150)이 제1 방향으로(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slot) 형상의 장공이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02)에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100)의 형상에 따른 무게중심의 편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부재(14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핀(150)은 메인 플레이트(102)에 형성된 핀 관통홀(112, 114)과 방진구(10)에 형성된 핀 홀(14)을 관통하여, 메인 플레이트(102)와 방진구(10)를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핀(150)은 2개가 마련되며, 그 중 하나는 메인 플레이트(102)의 핀 관통홀(112) 및 방진구(10)의 핀 홀(14)을 관통하고, 다른 하나는 메인 플레이트(102)의 핀 관통홀(114) 및 방진구(10)의 핀 홀(14)을 관통한다. 방진구(10)의 형상과 핀 홀(14)의 위치는 가공 편차에 따라 조금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플레이트(102)의 핀 관통홀(112)이 슬롯형상의 장공이기 때문에, 메인 플레이트(102)의 핀 관통홀(112)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방진구(10)의 핀 홀(14)의 위치가 조금 상이하더라도 결합핀(15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결합핀(150)을 이용하여 방진구(10)와 메인 플레이트(102)를 결합하였을 때, 결합핀(1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결합핀(150)에는 보조핀(16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방진구(10)를 리프팅 시키기 위한 와이어(미도시)를 연결하도록 본체부 상부의 연결 플레이트(120)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연결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마련된 복수개의 와이어 연결홀(122)을 포함한다. 방진구(10)를 리프팅 하기 위한 와이어의 일단은 샤클(Shackle)과 같은 고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쌍의 샤클이 복수개의 와이어 연결홀(122) 중 어느 2개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연결홀(122)은 본체부의 상면에 마련된 연결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샤클의 연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방진구(10)의 리프팅 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진구 리프팅 장치(100)는 결합핀(150)의 미사용 시 결합핀(15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부에 마련된 핀 보관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핀 보관함(130)은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102) 중 어느 하나에 2개가 마련되고, 한 쌍의 결합핀(15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결합핀(150)은 각각의 핀 보관함(130) 내에서 보관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100)에 따르면, 결합핀(150)을 이용하여 방진구(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방진구(10)의 운반 및 설치 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방진구(10)의 리프팅 시, 방진구(10)의 무게중심에 따라 복수개의 와이어 연결홀(122) 중에서 샤클과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홀(122)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방진구(10)의 리프팅 시 수평유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진구(10) 별 핀 홀(14) 간의 거리가 상이하여도 장공형상의 핀 결합홀(112)을 이용함으로써 결합핀(150)을 방진구의 핀 홀(14) 위치에 대응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100)와 비교할 때, 본체부의 구성 및 결합핀(250)의 구성은 동일하고, 와이어 연결부의 구성만 상이하다. 따라서, 와이어 연결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방진구 리프팅 장치(200)의 와이어 연결부는, 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이송레일(230) 및 와이어 고정기구(220)를 포함한다.
이송레일(230)은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 고정기구(22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이송레일(230)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와이어 고정기구(220) 각각에는 크레인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가 결합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팅 와이어의 일단에 마련된 샤클을 같은 고리가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220)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이송레일(230)은 스크류 타입일 수 있고,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220)는 이송레일(230)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상호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방진구(10)의 무게중심에 따라 와이어 고정기구(220)의 상호 거리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방진구(10)의 리프팅 시 수평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200)의 와이어 연결부는, 방진구(10)의 무게중심에 따라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220)의 각각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어부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220)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와이어 고정기구(220) 각각에 장착되는 로드셀, 스크류 타입의 이송레일(2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70), 모터(270) 및 이송레일(230)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27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274), 및 와이어 고정기구(220)의 위치 또는 상호거리를 측정하도록 와이어 고정기구(220)에 연결되는 위치센서(222)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274)는 모터(270)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스프로켓과 스크류 타입의 이송레일(230)의 일단에 장착되는 스프로켓에 걸리는 체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제어부는, 로드셀로부터 와이어에 걸리는 부하정보와 위치센서(222)로부터 고정기구(22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방진구(10)의 리프팅 시 수평을 유지하가 위하여, 모터(270)를 회전시켜 와이어 고정기구(22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구 리프팅 장치(200)에 따르면, 와이어 고정기구(220)에 장착된 로드셀을 이용하여 방진구(10)의 편하중을 감지하고 위치센서(222)와 모터(270)를 이용하여 샤클이 체결되는 와이어 고정기구(220)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진구(10)의 무게중심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함으로써 방진구(10)의 리프팅 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방진구 12: 아이볼트(Eye Bolt)
14: 핀 홀 100, 200: 방진구 리프팅 장치
101: 삽입공간 102, 202: 메인 플레이트
112, 114: 핀 관통홀 120: 연결 플레이트
122: 와이어 연결홀 130: 핀 보관함
140: 밸런스 웨이트 부재 150, 250: 결합핀
160: 보조핀 220: 와이어 고정기구
222: 위치센서 230: 이송레일
270: 모터 274: 감속기

Claims (10)

  1. 방진구를 들어올리도록 방진구에 결합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로서,
    상기 방진구의 상측에 결합되고 핀 관통홀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핀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방진구와 상기 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핀;
    상기 방진구를 리프팅 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부에 마련된 와이어 연결부; 및
    상기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와이어 고정기구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 관통홀은 2개이고,
    2개의 핀 관통홀 중 하나의 핀 관통홀은 상기 결합핀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홀이고, 다른 하나의 핀 관통홀은 원형이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 각각에 장착되는 로드셀;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이송레일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의 위치 또는 상호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로드셀로부터 부하정보와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와이어 고정기구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사이에 상기 방진구가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플레이트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방진구의 무게중심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 마련된 복수개의 와이어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의 미사용 시, 상기 결합핀을 보관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핀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구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기 결합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핀에는 보조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홀에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샤클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은 스크류 타입이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고정기구는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상호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 리프팅 장치.
  10. 삭제
KR1020150076668A 2015-05-29 2015-05-29 방진구 리프팅 장치 KR10175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668A KR101752549B1 (ko) 2015-05-29 2015-05-29 방진구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668A KR101752549B1 (ko) 2015-05-29 2015-05-29 방진구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261A KR20160140261A (ko) 2016-12-07
KR101752549B1 true KR101752549B1 (ko) 2017-06-29

Family

ID=5757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668A KR101752549B1 (ko) 2015-05-29 2015-05-29 방진구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5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890A (ja) * 2001-04-25 2002-11-08 Sankyo Trading:Kk 吊 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890A (ja) * 2001-04-25 2002-11-08 Sankyo Trading:Kk 吊 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261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435B1 (ko) 자동 반전용 인쇄회로기판 적재장치
KR101513479B1 (ko) 로터의 센터링 셋업장치
KR102333577B1 (ko)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KR20180053977A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JP4698270B2 (ja) 自走式クレーンのブーム取り付け時の位置合せガイドおよび位置合せ方法
KR101752549B1 (ko) 방진구 리프팅 장치
CN106241622A (zh) 移动式吊机
KR200439342Y1 (ko)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KR20120070304A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JP2007313585A (ja) 電機設備盤の組立作業用装置及び組立作業方法
KR102400858B1 (ko) 철판 이송장치
KR200455417Y1 (ko)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CN209758275U (zh) 转运托盘板链运输系统及发动机板链运输系统
CN202358811U (zh) 一种吊装卡具
CN106477263A (zh) 直流轨道平车
KR20160127464A (ko) 지게차 수리용 받침장치
CN206345364U (zh) 直流轨道平车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US20140209570A1 (en) Machine tool
KR200482087Y1 (ko) 샤클 체결용 치구
CN218619903U (zh) 一种抓斗支持绳链条防卡装置
CN215047927U (zh) 一种设备吊具
KR102064382B1 (ko) 크레인용 유리판재 하역장치
CN215854773U (zh) 一种工程机械结构件吊转装置
CN219507496U (zh) 一种可调平衡式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