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399B1 - 축사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사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399B1
KR101752399B1 KR1020160053767A KR20160053767A KR101752399B1 KR 101752399 B1 KR101752399 B1 KR 101752399B1 KR 1020160053767 A KR1020160053767 A KR 1020160053767A KR 20160053767 A KR20160053767 A KR 20160053767A KR 101752399 B1 KR101752399 B1 KR 101752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n
housing
water
cough soun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유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금
Priority to KR102016005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축사에서 사육되는 각 가축들에 대한 질병 감염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축사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한편, 축사의 가축들에게 질병의 전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사(40) 가축의 기침소리를 감지하는 감청기(10); 및 상기 감청기(10)를 통해 가축의 기침소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기침소리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청기(10)의 가동을 축사의 전등이 소등되었을 시 작동시켜, 축사에서 기침소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이러한 기침소리의 감지를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사관리 시스템{SYSTEM FOR BUSINESS ADMINISTRATION OF LIVESTOCK PENS}
본 발명은 축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축사에서 사육되는 각 가축들에 대한 질병 감염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축사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한편, 축사의 가축들에게 질병의 전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畜舍)는 가축을 사육하는 곳으로써, 소, 돼지, 닭, 양 등의 가축을 사육하고 있으며, 사육하는 가축에 따라서 우사(牛舍), 돈사(豚舍), 계사(鷄舍)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축사는 가축의 건강상태는 물론이며, 가축이 사육되기 위한 환경과 축사 운영을 위해 소비되는 물품의 재고 및 가축이 섭취하는 사료를 관리해야한다.
아울러 축사 경영을 위해서 축사에서 소비되는 물품 및 가축을 거래하는 거래처와의 금전관계를 관리해야 하며, 특히 가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생산품(고기, 우유 등)을 관리하고,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거래시세를 관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축사에서 길러지는 가축들은 감기에 걸려도 그 증상이 쉽게 들어나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건강이 좋지 않은 여러 이유로 사료를 먹지 않거나 움직이지 않고 앉아만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축을 키우는 농가에서는 심야에 축사의 주변에서 가축들이 수면 중 기침을 하는가를 확인하게 되며, 특히, 소형 축산농가의 경우에는 농장주가 야간에도 수시로 축사의 주변을 순찰하면서 축사에서 가축이 기침을 하는가를 확인하나, 대형 농장에서는 농장주가 아닌 관리인들이 이러한 순찰을 해야 하는데 이를 잘 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겨울과 같은 추운 날씨에 수십 동의 축사를 순찰하면서 잠시 축사 내부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는 것은 무척 힘들어 피로도가 누적된다. 또한, 잠깐 사이에 가축이 기침을 하지 않을 수도 있고, 넓은 축사에서 멀리 있는 가축이 기침을 하는 것을 듣는 것 역시 쉬운일이 아니다.
특히, 닭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닭은 감기에 걸리면 그 전파 속도가 매우 빨라 한 축사 안에 있는 모든 닭들이 감기에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닭들이 감기에 걸리기 전, 한두 마리가 감기증상을 일으킬 때 신속히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기에 걸린 닭들을 빨리 치료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야간에 닭들이 기침을 하는지를 감시해야 하는데, 이는 무척 어려운 일이여서 대형 양계장에서는 감시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21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축사에서 사육되는 각 가축들에 대한 질병 감염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축사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한편, 축사의 가축들에게 질병의 전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산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사(40) 가축의 기침소리를 감지하는 감청기(10); 및 상기 감청기(10)를 통해 가축의 기침소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기침소리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청기(10)의 가동을 축사의 전등이 소등되었을 시 작동시켜, 축사에서 기침소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이러한 기침소리의 감지를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 내부의 가축이 감기에 걸리면 내는 기침소리가 미리 저장되며, 상기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이 기침소리를 발생하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침소리와 비교하여 유사하다고 판단할 경우 이를 상기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축사 관리자가 주간 또는 야간에 근무할 시 출퇴근 관리카드를 통하여 관리자가 출근 등록을 하고,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이 기침소리가 발생되어 감청기(10)에 의해 감청되면, 출근한 관리자에게만 통신수단(60)을 통해 기침소리 감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사(40)는, 그 외부에 경광램프 또는 스피커와 같은 표시수단(70)이 설치되어,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수단(70)을 통해 축사(40) 외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하여 기침소리를 감청기(10)를 통하여 감청할 경우, 이 감청신호를 기초로 하여 축사(40)에 공급되는 물에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사(40)는, 상기 축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축이 먹을 물을 공급하는 배관(51); 상기 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상수원의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50)와 상기 급수탱크(50)의 중간에 설치되는 물 공급밸브(52); 상기 급수탱크(50)와 물 공급밸브(52) 사이에 연결되며, 항생제가 저장되는 항생제 저장탱크(53); 및 상기 항생제 저장탱크(53)와 상기 물 공급밸브(5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항생제 저장탱크(53)의 항생제를 상기 배관(51)으로 유입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항생제 공급밸브(5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관(51)의 말단에는 배관(51)의 물을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55); 및 상기 배출밸브(55)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5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며,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유량계(5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하여 감기가 걸린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유량계(56)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배출밸브(55)를 차단하고, 상기 항생제 공급밸브(54)를 개방하여 상기 배관(51)의 내부에 항생제가 함유된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사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축사에서 사육되는 각 가축들에 대한 질병 감염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축사관리자에게 이를 알림으로서 가축들의 폐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사의 가축들에게 감기와 같은 질병이 인접한 가축들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이를 감지하고, 항생제 등과 같은 약을 투여함으로서 질병의 전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산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기침감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축산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항생제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축산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각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축사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산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기침감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축산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항생제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축산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각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축사관리 시스템은, 축사(40) 가축의 기침소리를 감지하는 감청기(10)가 구비된다. 상기 감청기(10)는, 축사(40)의 규모에 따라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가축이 많이 모여 있는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사(40)에는 상기한 감청기(10) 외에 축사(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기(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감청기(10)를 통해 가축의 기침소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기침소리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청기(10)의 가동을 축사의 전등이 소등되었을 시 작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상황 중 축사(40)에서 기침소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이러한 기침소리의 감지를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기침소리 외에 축사(40) 내부의 온도가 가축이 감기가 걸릴 온도로 낮아지거나 기타 질병의 발생할 정도의 온도로 올라갈 경우 상기 온도감지부(20)는 이러한 상황을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이와 같은 신호를 받은 제어부(30)는 이상 온도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신수단(60)을 통하여 전송하는 한편, 축사(40)의 내부에 설치된 온열기 또는 냉방기를 가동시켜 적정온도로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 내부의 가축이 감기에 걸리면 내는 기침소리가 미리 저장되며, 상기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이 기침소리를 발생하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침소리와 비교하여 유사하다고 판단할 경우 이를 상기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즉, 축사 관리자는 제어부(30)에 가축이 감기에 걸려서 하는 기침 소리를 미리 입력하고, 실체로 축사의 가축이 기침을 할 경우 감청기(10)를 통하여 전송받은 기침소리를 미리 세팅된 기침소리와 비교하여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는 통신수단(60)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축사 관리자가 주간 또는 야간에 근무할 시 출퇴근 관리카드를 통하여 관리자가 출근 등록을 하고,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이 기침소리가 발생되어 감청기(10)에 의해 감청되면, 출근한 관리자에게만 통신수단(60)을 통해 기침소리 감지를 전송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이 기침을 하게 되면, 이를 감청기(10)는 제어부(30)로 전송하게 되고, 이때 제어부(30)는 통신수단(60)을 통하여 축사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두에게 이러한 상황을 연락하는 것이 아닌 축사(40)에 가축들을 관리하기 위해 근무하는 직원들에게만 전송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신수단(60)은 직원들이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탭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축사(40) 내부의 상황을 알리는 수단으로는 문자메시지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가축의 감염정보는 유무선 통신으로 구성되는 통신수단(60)외에 별도의 인터넷망을 구축하여 이러한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관계기관의 서버로도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사(40)는, 그 외부에 경광램프 또는 스피커와 같은 표시수단(7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수단(70)을 통해 축사(40) 외부로 알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축사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을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한 가축의 상태를 표시수단(70)을 이용하여 알릴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하여 기침소리를 감청기(10)를 통하여 감청할 경우, 이 감청신호를 기초로 하여 축사(40)에 공급되는 물에 항생제를 투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사(40)는, 상기 축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축이 먹을 물을 공급하는 배관(51)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51)의 중간에는 복수의 급수부(57)가 연결되어 축사(4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가축들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상수원의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50)와 상기 급수탱크(50)의 중간에 설치되는 물 공급밸브(52)와, 상기 급수탱크(50)와 물 공급밸브(52) 사이에 연결되며, 항생제가 저장되는 항생제 저장탱크(53) 및 상기 항생제 저장탱크(53)와 상기 물 공급밸브(52)의 개재되어 상기 항생제 저장탱크(53)의 항생제를 상기 배관(51)으로 유입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항생제 공급밸브(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축사(40) 내부의 가축들 중 일부가 기침 소리에 의해 감기가 걸린 것으로 제어부(30)가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30)는 항생제 공급밸브(54)를 개방하여 상기 배관(55)의 내부로 항생제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물과 항생제의 원활한 혼합을 위해 배관(55)의 중간 즉, 축사(40)로 유입되는 위치에 별도의 교반기 또는 혼합기를 설치하여 물에 항생제가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관(51)의 말단에는 배관(51)의 물을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55) 및 상기 배출밸브(55)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5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며,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유량계(56)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하여 감기가 걸린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유량계(56)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배출밸브(55)를 차단하고, 상기 항생제 공급밸브(54)를 개방하여 상기 배관(51)의 내부에 항생제가 함유된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즉, 유량계(56)에서 배출되는 양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항생제가 과도하게 배출되어 가축들에게 항생제의 신속한 투약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밸브(55)를 차단하고, 상기 항생제 공급밸브(54)를 개방하여 상기 배관(51)의 내부에 항생제가 함유된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침에 일어난 가축은 항생제가 첨가된 물을 즉시 마실 수 있게 되어 가축들에게 감기나 독감이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무리 아파서 못 움직이는 가축이라도 아침에 일어나면 목이 마를 것이며, 오히려 이런 가축들이 밤사이 열로 인해 갈증을 더 느낄 것이므로 바로 물을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가축이 감기에 걸렸다는 것을 인지한 후 최대 8시간 이내에 축사 내의 모든 가축에게 항생제를 투약할 수 있을 것이니 감기나 독감 등이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야간의 경우 관계기관의 출동 등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축사의 내부로 감기가 쉽게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감기에 걸린 가축들의 기침소리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전송하고, 축사의 내부에 항생제를 공급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그 외에 가축들이 걸릴 수 있는 다양한 질병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축들은 병에 감염되었을 시 각 질병에 따라 특이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이러한 질병에 대한 소리 정보를 미리 제어부에 저장하여 축사의 가축들이 평상시와 다른 소리를 발성할 경우 감청기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축사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한편, 각 질병에 따른 약을 급수배관에 공급하도록 하여 축사의 가축들이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축사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감청기 20 : 온도감지기
30 : 제어부 40 : 축사
50 : 급수탱크 51 : 배관
52 : 물 공급밸브 53 : 항생제 저장탱크
54 : 항생제 공급밸브 55 : 배출밸브
56 : 유량계 57 : 급수부
60 : 통신수단 70 : 표시수단

Claims (7)

  1. 축사(40) 가축의 기침소리를 감지하는 감청기(10); 및
    상기 감청기(10)를 통해 가축의 기침소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기침소리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청기(10)의 가동을 축사의 전등이 소등되었을 시 작동시켜, 축사에서 기침소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30)는 기침소리의 감지를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하여 기침소리를 감청기(10)를 통하여 감청할 경우, 이 감청신호를 기초로 하여 축사(40)에 공급되는 물에 항생제를 투여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축사(40)는, 상기 축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축이 먹을 물을 공급하는 배관(51); 상기 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되, 상수원의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50)와 상기 급수탱크(50)의 중간에 설치되는 물 공급밸브(52); 상기 급수탱크(50)와 물 공급밸브(52) 사이에 연결되며, 항생제가 저장되는 항생제 저장탱크(53); 및 상기 항생제 저장탱크(53)와 상기 물 공급밸브(5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항생제 저장탱크(53)의 항생제를 상기 배관(51)으로 유입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항생제 공급밸브(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 내부의 가축이 감기에 걸리면 내는 기침소리가 미리 저장되며, 상기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이 기침소리를 발생하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침소리와 비교하여 유사하다고 판단할 경우 이를 상기 통신수단(6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관리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축사 관리자가 주간 또는 야간에 근무할 시 출퇴근 관리카드를 통하여 관리자가 출근 등록을 하고, 축사(40)에서 감기에 걸린 가축의 기침 소리가 발생되어 감청기(10)에 의해 감청되면, 출근한 관리자에게만 통신수단(60)을 통해 기침소리 감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40)는,
    그 외부에 경광램프 또는 스피커의 표시수단(70)이 설치되어,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수단(70)을 통해 축사(40) 외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51)의 말단에는 배관(51)의 물을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55); 및
    상기 배출밸브(55)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5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며,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유량계(5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는 축사(40)의 가축이 기침을 하여 감기가 걸린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유량계(56)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배출밸브(55)를 차단하고, 상기 항생제 공급밸브(54)를 개방하여 상기 배관(51)의 내부에 항생제가 함유된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관리 시스템.
KR1020160053767A 2016-05-02 2016-05-02 축사관리 시스템 KR10175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67A KR101752399B1 (ko) 2016-05-02 2016-05-02 축사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67A KR101752399B1 (ko) 2016-05-02 2016-05-02 축사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399B1 true KR101752399B1 (ko) 2017-06-30

Family

ID=5927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767A KR101752399B1 (ko) 2016-05-02 2016-05-02 축사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3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99A1 (ko) * 2017-10-25 2019-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0165587A1 (en) * 2019-02-12 2020-08-20 Greengage Lighting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livestock rearing
KR20230017517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테크 IoT 기반의 스마트 축사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27B1 (ko) * 2012-11-21 2014-04-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돈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가축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045B1 (ko) * 2014-12-22 2015-03-13 금호이앤지 (주)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주차장용 연동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27B1 (ko) * 2012-11-21 2014-04-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돈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가축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045B1 (ko) * 2014-12-22 2015-03-13 금호이앤지 (주)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주차장용 연동 조명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99A1 (ko) * 2017-10-25 2019-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46163A (ko) * 2017-10-25 2019-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94338B1 (ko) * 2017-10-25 2019-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1417304A (zh) * 2017-10-25 2020-07-14 Lg伊诺特有限公司 饲养场所管理装置和方法
US11350610B2 (en) 2017-10-25 2022-06-07 Lg Innotek, Co., Ltd. Rearing plac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WO2020165587A1 (en) * 2019-02-12 2020-08-20 Greengage Lighting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livestock rearing
KR20230017517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테크 IoT 기반의 스마트 축사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515B2 (en) Livestock location system
US20240023516A1 (en) Livestock Management
Farooq et al. A survey on the role of iot in agricult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livestock environment
AU2008206058B2 (en) Anim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adio animal tag and additional transceiver(s)
JP2022514115A (ja) 家畜の監視
KR101918762B1 (ko) 축사용 질병 확산방지 시스템
KR101752399B1 (ko) 축사관리 시스템
CN104700314A (zh) 一种可追溯禽畜养殖方法
Lyles et al. Bill E. Kunkle Interdisciplinary Beef Symposium: Practical developments in managing animal welfare in beef cattle: What does the future hold?
US202002886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production animals
JP2004500860A (ja) 通知方法および装置
US20150268646A1 (en) Methods, arrangements and devices for animal management
JP2003310078A (ja) 有線・無線通信を使用した遠隔飼育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50074253A (ko) 가축 관리 시스템
WO2023190024A1 (ja) 放し飼い家畜の管理サーバ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148913A1 (fr) Dispositif de suivi en temps reel d'animaux d'elevage
Koene Adding social network information to automated dairy cow management
US20200128787A1 (en) Feeder
BR122022005529B1 (pt) Método de contagem de rebanhos para gerar um inventário de rebanho
KR20230058779A (ko) 양방향 배출장치를 구비한 돼지 자동 급이 장치
KR20160150193A (ko) 위축돈 및 환돈 발생 감시 시스템
Vermeulen The biosecurity optio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