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705B1 - 미분기 - Google Patents

미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705B1
KR101751705B1 KR1020160033145A KR20160033145A KR101751705B1 KR 101751705 B1 KR101751705 B1 KR 101751705B1 KR 1020160033145 A KR1020160033145 A KR 1020160033145A KR 20160033145 A KR20160033145 A KR 20160033145A KR 101751705 B1 KR101751705 B1 KR 10175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pper
housing
differentiator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도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유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유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유니테크
Priority to KR102016003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7/00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4C1/00, B04C3/00, or B04C5/00; Multiple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Combinations of apparatu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기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가공 재료가 투입되는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 재료가 이송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스크루 하우징; 상기 스크루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크루 하우징 내의 가공 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루; 상기 이송 스크루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 스크루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출구와 연결되는 미분기 상부 프레임;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루에 의해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가 모이는 상부 가이드 호퍼; 상기 상부 가이드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를 1차로 분쇄하는 분쇄용 나이프;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분기 하부 프레임; 상기 미분기 하부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상기 분쇄용 나이프에 의해 1차로 분쇄된 가공 재료를 2차로 분쇄하는 분쇄롤러 유닛; 상기 분쇄롤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롤러 유닛에 의해 분쇄된 가공 재료가 모이는 하부 가이드 호퍼; 상기 분쇄롤러 유닛에 의해 분쇄된 미세입자가 하부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제1 사이클론; 및 상기 미세입자가 상기 하부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사이클론으로 향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제1 블로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분기{Pulverizer}
본 발명은, 미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영양소가 파괴되는 폐단을 저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미분기에 관한 것이다.
미분기는 예컨대, 가공 재료를 먼지처럼 미세한 입자, 즉 미세입자로 분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28931호 등에 공지되어 있으며, 한약재나 곡물 등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미분기의 경우, 매우 미세한 메쉬(Mesh)로 가공 재료를 강제로 밀어 미세입자를 생산하는 방식을 갖는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생산량이 소량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미분기의 경우, 메쉬의 홀 사이즈가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분쇄기를 가동하여 미세입자를 생산하는 중에 메쉬와 재료에 열이 발생됨에 따라 가공품의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음은 물론 메쉬의 수명이 너무 짧아 사용자의 불만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289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처럼 영양소가 파괴되는 폐단을 저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미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미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가공 재료가 투입되는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 재료가 이송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스크루 하우징; 상기 스크루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크루 하우징 내의 가공 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루; 상기 이송 스크루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 스크루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출구와 연결되는 미분기 상부 프레임;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루에 의해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가 모이는 상부 가이드 호퍼; 상기 상부 가이드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를 1차로 분쇄하는 분쇄용 나이프;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분기 하부 프레임; 상기 미분기 하부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상기 분쇄용 나이프에 의해 1차로 분쇄된 가공 재료를 2차로 분쇄하는 분쇄롤러 유닛; 상기 분쇄롤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롤러 유닛에 의해 분쇄된 가공 재료가 모이는 하부 가이드 호퍼; 상기 분쇄롤러 유닛에 의해 분쇄된 미세입자가 하부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제1 사이클론; 및 상기 미세입자가 상기 하부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사이클론으로 향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제1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사이클론에 수거되지 않은 미세입자가 투입되는 제2 사이클론; 및 상기 제2 사이클론에서 수거되지 않은 가공 재료가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로 전달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제2 블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관은, 상기 제1 사이클론으로 향하는 제1 배관; 상기 하부 가이드 호퍼의 하부에 마련되는 에어분사기로 향하는 제2 배관; 상기 하부 가이드 호퍼와 상기 제1 배관을 연결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기 측으로의 밸브 개방 시 상기 에어분사기 측으로 에어가 투입되어 상기 분쇄롤러 유닛의 상부로 향하는 에어흐름을 제공하여 상기 가공 재료에 유동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쇄롤러 유닛은, 다수의 분쇄롤러; 상기 다수의 분쇄롤러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모터; 및 분쇄되는 입자의 크기 조절을 위해 상기 다수의 분쇄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테이크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부는, 모터 브래킷에 고정되는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부 체인 기어; 상기 전동부 체인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는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 상기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와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이송 스크루와 결합되는 전동부 헤드 샤프트; 상기 전동부 헤드 샤프트를 지지하는 전동부 하우징 컬러; 및 상기 전동부 하우징 컬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동부 헤드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내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보조적으로 공급하는 가공물 보조 공급 수단이 마련되어 가공 재료가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내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루 하우징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출구 영역에는 스크루 하우징 부싱이 결합되며, 상기 가공 재료는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말단 양측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분쇄용 나이프는 나이프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 배치되되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나이프 하우징에는 구동 샤프트가 결합되며,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분쇄용 나이프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는 상부 팬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호퍼의 하단부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 메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영양소가 파괴되는 폐단을 저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미분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전동부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5는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스크루 하우징과 이송 스크루의 분리도이다.
도 7은 미분기 상부 프레임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분쇄용 나이프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9는 상부 팬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상부 가이드 호퍼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테이크업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전동부의 확대 구조도, 도 5는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의 확대도, 도 6은 스크루 하우징과 이송 스크루의 분리도, 도 7은 미분기 상부 프레임 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분쇄용 나이프의 평면 구조도, 도 9는 상부 팬의 평면 구조도, 도 10은 상부 가이드 호퍼의 평면 구조도, 그리고 도 11은 테이크업부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분기는 종전처럼 영양소가 파괴되는 폐단을 저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 이송 스크루(130), 분쇄용 나이프(141), 분쇄롤러 유닛(160), 제1 및 제2 블로워(181,182), 그리고 제1 및 제2 사이클론(173,17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종전의 미세입자 가공 방식은 미세한 메시(미도시)로 가공 재료를 강제로 밀어내는 방식이었던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블로워(181,182)에 의한 에어(air) 순환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전처럼 영양소가 파괴되는 폐단을 저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분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는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가공 재료가 투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의 하부에는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 내에서 가공 재료의 공급을 보조하여 가공 재료가 원활히 공급되게 하는 가공물 보조 공급수단(112)이 마련된다. 가공물 보조 공급 수단(112)은 제1 스크루 하우징(131a)의 이송 스크루(130)에 의해 회전이 촉발되는 것으로 가공물 보조 공급 수단(112)이 회전하면서,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로 투입된 가공 재료를 들썩이게 하여 가공 재료의 후단 공정에 공급할 때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의 하부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재료가 이송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스크루 하우징(131a~131c)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루 하우징(131a~131c)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제1 내지 제3 단위부분(131a~131c)을 포함한다.
이송 스크루(130)는 제1 내지 제3 스크루 하우징(131a~131c)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내지 제3 스크루 하우징(131a~131c) 내의 가공 재료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 스크루(130) 역시 조립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송 스크루(130)의 길이가 긴 점을 고려하여 조립과 운용에 용이하도록 제1 내지 제3 스크루 하우징(131a~131c)을 제작하여 상호 조립되도록 하고 있다. 이럴 경우, 이송 스크루(130)의 원활한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3 스크루 하우징(131a~131c)의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제1 내지 제3 스크루 하우징(131a~131c)의 변형 없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3 스크루 하우징(131c)의 출구 영역에는 스크루 하우징 부싱(132)이 결합된다. 스크루 하우징 부싱(132)은 축 받침의 역할을 하는데, 베어링에 비해 수명이 긴 장점을 갖는다. 제3 스크루 하우징(131c)의 말단 양측면에는 배출구(133)가 형성된다. 측면에 배출구(133)가 형성됨으로써, 이송되는 가공 재료가 양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어 이송 스크루(130)의 부하를 다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송 스크루(130)가 회전되면서 가공 재료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전동부(120)가 마련된다. 전동부(120)는 이송 스크루(130)와 연결되며, 이송 스크루(13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동부(120)는 도 1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브래킷(121)에 고정되는 전동 모터(122)와, 전동 모터(122)에 연결되고 전동 모터(122)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부 체인 기어(123)와, 전동부 체인 기어(123)와 기어 맞물림되는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124)와,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124)와 결합되어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124)와 한 몸체를 이루며, 이송 스크루(130)와 결합되는 전동부 헤드 샤프트(125)와, 전동부 헤드 샤프트(125)를 지지하는 전동부 하우징 컬러(126)와, 전동부 하우징 컬러(126)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동부 헤드 베어링 하우징(1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동 모터(122)가 동작되면 전동 모터(122)의 회전력이 전동부 체인 기어(123) 및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124)를 통해 전동부 헤드 샤프트(125)로 전달됨에 따라 전동부 헤드 샤프트(125)에 연결되는 이송 스크루(130)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스크루 하우징(131a~131c) 내의 가공 재료는 이송 스크루(130)의 회전에 의해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 쪽으로 투입될 수 있다.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은 스크루 하우징(131a~131c)의 출구와 연결되는 일종의 분쇄 캐비닛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 내의 하부에는 상부 가이드 호퍼(135)가 마련된다. 상부 가이드 호퍼(135)는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 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송 스크루(130)에 의해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가 모이는 장소를 이룬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호퍼(135)의 하단부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 메쉬(136)가 마련된다.
한편, 분쇄용 나이프(141)는 상부 가이드 호퍼(13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를 1차로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용 나이프(141)는 나이프 하우징(142)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 배치되되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분쇄용 나이프(141)는 나이프 하우징(142)에 방사상으로 4개 결합되며, 15도 각도로 설치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는 상부 가이드 호퍼(135)로 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부 가이드 호퍼(135)에는 약 15도 각도로 설치되는 분쇄용 나이프(141)가 마련되기 때문에 가공 재료가 유동하도록 하여 미세한 분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나이프 하우징(142)에는 구동 샤프트(143)가 결합된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143)의 구동을 위해 샤프트 모터(148)가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의 외측에 탑재된다. 그리고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의 외측에는 구동 샤프트(1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144)이 결합된다.
분쇄용 나이프(141)의 하부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143)에 연결되는 상부 팬(145)이 결합된다. 상부 팬(145)은 가공 재료의 유동층 형성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분쇄용 나이프(141)에 양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의 하부에는 미분기 하부 프레임(150)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미분기 하부 프레임(150)에 분쇄롤러 유닛(160)이 마련된다.
다시 말해, 분쇄롤러 유닛(160)은 미분기 하부 프레임(150) 내에 마련되며, 분쇄용 나이프(141)에 의해 1차로 분쇄된 가공 재료를 2차로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쇄롤러 유닛(160)은 다수의 분쇄롤러(161)와, 다수의 분쇄롤러(161)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모터(162)를 포함한다. 이때, 분쇄롤러 유닛(160)에는 테이크업부(163)가 더 마련된다.
테이크업부(163)는 분쇄되는 입자의 크기 조절을 위해 다수의 분쇄롤러(161)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분쇄롤러(161)는 블록타입으로서 설치, 교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며, 중앙의 메인롤러와 6개의 위성롤러가 설치되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공급되는 가공 재료를 2차로 분쇄하게 된다.
6개의 위성롤러 중 3개의 위성롤러는 작은 직경으로, 나머지 3개의 위성롤러는 큰 직경으로 형성하며, 표면에는 낮은 깊이의 홈을 헬리컬 기어처럼 비틀어지게 형성하여, 분쇄 동작 시 소음이 적고 부하를 덜 받게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크업부(163)로 인해서 분쇄롤러(161) 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가공되는 재료의 입자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분쇄롤러(161)의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 호퍼(155)가 구비되어 2차로 분쇄된 미세 입자를 후단 공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호퍼(155)의 하부에는 제1 블로워(181)로부터의 에어가 유입되어 가공물인 가공 재료가 추가적으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회전 중인 분쇄롤러(161)들에 의해 재차 미세가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분사기(137)가 설치된다.
에어분사기(137)는 다수의 작은 통공을 포함하도록 하여 강한 압력으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가이드 호퍼(155)에 가이드되는 미세입자를 재차 상부에 위치하는 분쇄롤러 유닛(160)을 향하여 유동시키게 된다.
에어분사기(137)에는 블로워(181)로부터 하부 배관(171) 중 어느 한 배관을 통하여 에어가 공급된다.
분쇄롤러 유닛(160)에 의해 분쇄된 미세입자는 제1 사이클론(173)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블로워(181)는 미세입자가 하부 배관(171)을 통해 제1 사이클론(173)으로 향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하부 배관(171)은 제1 사이클론(173)으로 향하는 제1 배관(171a)과, 하부 가이드 호퍼(155)의 하부에 마련되는 에어분사기(137)로 향하는 제2 배관(171b), 및 하부 가이드 호퍼(155)와 제1 배관(171a)을 연결하는 제3 배관(17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관(171b)은 상기한 에어분사기(137) 측으로 밸브가 개방될 때, 제2 배관(171b)에 의해 에어분사기(137) 측으로 에어가 투입되어 분쇄롤러 유닛(160)의 상부로 향하는 에어흐름을 제공하여 가공물인 가공 재료에 유동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배관(171c)은 하부 가이드 호퍼(155)와 제1 배관(171a)을 연결함으로써, 제1 블로워(181)로부터 제1 배관(171a)을 통해 공급되는 강한 공기 흐름에 편승하여 분쇄된 가공물이 제1 사이클론(173)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1 사이클론(173)을 통해 1차로 분쇄된 미세입자가 수거되며, 제1 사이클론(173)에 수거되지 않은 미세입자는 제2 사이클론(174)으로 투입된다.
제2 사이클론(174)에서도 수거되지 않은 가공 재료는 재순환을 위하여 제2 블로워(182)에 의하여 에어가 송풍됨에 따라 딸려 나와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로 전달되어 공정이 재수행된다. 각 사이클론(173, 174)에는 메쉬스크린이 설치되어 미세입자를 통과시켜 수거할 수 있다.
이하, 미분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에서 이송 스크루(130)를 통해 미분기 상부 프레임(140)으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는 분쇄용 나이프(141)와 분쇄롤러(161)를 거쳐 1차, 2차로 분쇄된다.
이후에 분쇄된 입자는 하부 배관(171)의 제1 배관(171a)의 공기흐름에 딸려 나가 제1 사이클론(173)으로 향하게 되고, 제1 사이클론(173)을 통과하면서 미세하게 분쇄 완료된 미세입자는 서랍식의 수거함(미도시)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입자는 다시 제2 사이클론(174)으로 투입되고 거친 입자는 제1 사이클론(173)의 일부와 합쳐져 재순환을 위해 제2 블로워(182)의 에어송풍에 의해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는 재순환라인(L1,L2)을 경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영양소가 파괴되는 폐단을 저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112 : 가공물 보조 공급 수단
120 : 전동부 121 : 모터 브래킷
122 : 전동 모터 123 : 전동부 체인 기어
124 :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 125 : 전동부 헤드 샤프트
126 : 전동부 하우징 컬러 127 : 전동부 헤드 베어링 하우징
130 : 이송 스크루 131a~131c : 스크루 하우징
132 : 스크루 하우징 부싱 135 : 상부 가이드 호퍼
136 : 메쉬 137 : 에어분사기
140 : 미분기 상부 프레임 141 : 분쇄용 나이프
142 : 나이프 하우징 143 : 구동 샤프트
144 : 베어링 하우징 145 : 상부 팬
148 : 샤프트 모터 150 : 미분기 하부 프레임
160 : 분쇄롤러 유닛 161 : 분쇄롤러
162 : 롤러 구동모터 163 : 테이크업부
171 : 하부 배관 171a : 제1 배관
171b : 제2 배관 173 : 제1 사이클론
174 : 제2 사이클론 181 : 제1 블로워
182 : 제2 블로워

Claims (9)

  1. 미세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가공 재료가 투입되는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 재료가 이송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스크루 하우징;
    상기 스크루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크루 하우징 내의 가공 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루;
    상기 이송 스크루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 스크루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출구와 연결되는 미분기 상부 프레임;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루에 의해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가 모이는 상부 가이드 호퍼;
    상기 상부 가이드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 내로 투입되는 가공 재료를 1차로 분쇄하는 분쇄용 나이프;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분기 하부 프레임;
    상기 미분기 하부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상기 분쇄용 나이프에 의해 1차로 분쇄된 가공 재료를 2차로 분쇄하는 분쇄롤러 유닛;
    상기 분쇄롤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롤러 유닛에 의해 분쇄된 가공 재료가 모이는 하부 가이드 호퍼;
    상기 분쇄롤러 유닛에 의해 분쇄된 미세입자가 하부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제1 사이클론; 및
    상기 미세입자가 상기 하부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사이클론으로 향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제1 블로워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배관은,
    상기 제1 사이클론으로 향하는 제1 배관;
    상기 하부 가이드 호퍼의 하부에 마련되는 에어분사기로 향하는 제2 배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호퍼와 상기 제1 배관을 연결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기 측으로의 밸브 개방 시 상기 에어분사기 측으로 에어가 투입되며,
    상기 에어분사기는 다수의 작은 통공을 포함하도록 하여 강한 압력으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 호퍼에 가이드되는 미세입자를 재차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쇄롤러 유닛을 향하여 유동시켜 미세가공을 수행하며,
    상기 분쇄용 나이프는 나이프 하우징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 배치되되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나이프 하우징에는 구동 샤프트가 결합되며,
    상기 미분기 상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분쇄용 나이프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는 상부 팬이 결합되어 가공 재료의 유동층 형성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상기 분쇄용 나이프에 양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미세 가공 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론에 수거되지 않은 미세입자가 투입되는 제2 사이클론; 및
    상기 제2 사이클론에서 수거되지 않은 가공 재료가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로 전달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제2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 유닛은,
    다수의 분쇄롤러;
    상기 다수의 분쇄롤러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모터; 및
    분쇄되는 입자의 크기 조절을 위해 상기 다수의 분쇄롤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테이크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모터 브래킷에 고정되는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부 체인 기어;
    상기 전동부 체인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는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
    상기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전동부 헤드 체인 기어와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이송 스크루와 결합되는 전동부 헤드 샤프트;
    상기 전동부 헤드 샤프트를 지지하는 전동부 하우징 컬러; 및
    상기 전동부 하우징 컬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동부 헤드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내에 설치되어 가공물을 보조적으로 공급하는 가공물 보조 공급 수단이 마련되어 가공 재료가 상기 가공 재료 투입용 호퍼 내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하우징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단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출구 영역에는 스크루 하우징 부싱이 결합되며, 상기 가공 재료는 상기 스크루 하우징의 말단 양측면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호퍼의 하단부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 메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
KR1020160033145A 2016-03-21 2016-03-21 미분기 KR10175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45A KR101751705B1 (ko) 2016-03-21 2016-03-21 미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45A KR101751705B1 (ko) 2016-03-21 2016-03-21 미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705B1 true KR101751705B1 (ko) 2017-06-29

Family

ID=5928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45A KR101751705B1 (ko) 2016-03-21 2016-03-21 미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327A (zh) * 2022-01-10 2022-05-06 杨鸿玮 一种养殖业用中草药饲料加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15B1 (ko) * 2010-11-25 2011-03-07 (주)대동하이텍 미립자 분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15B1 (ko) * 2010-11-25 2011-03-07 (주)대동하이텍 미립자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327A (zh) * 2022-01-10 2022-05-06 杨鸿玮 一种养殖业用中草药饲料加工设备
CN114433327B (zh) * 2022-01-10 2023-08-18 河南银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养殖业用中草药饲料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105B1 (ko) 재활용 폐기물 분쇄장치
JP2014508642A (ja) ローラミル
CN205925934U (zh) 具磁选功能的多级粉碎装置
AU2003215448A1 (en) Particulate matter conveyor
KR101751705B1 (ko) 미분기
JP5124120B2 (ja) ロール粉砕機及びロール粉砕システム
CN209423798U (zh) 一种气流粉碎机
CA2166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nuting moist mineral material
KR101065460B1 (ko) 분쇄장치
CN212820394U (zh) 一种涂料生产用吸尘粉碎机
CN109482312A (zh) 一种气流粉碎机
CN107930808A (zh) 一种自除杂物的谷物粉碎机
CN207413556U (zh) 一种自动清洁的高效率磨粉机
KR101291139B1 (ko) 고추분쇄기
CN107755031A (zh) 一种工业自动化粉碎机
CN204710480U (zh) 一种应用于微粉生产加工的超级涡流磨
CN113996378A (zh) 一种生料高效研磨装置
CN206008836U (zh) 一种带送料的谷物磨浆装置
CN207839128U (zh) 一种工业自动化粉碎机
CN109311018A (zh) 可旋转送料分配器
CN218250477U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碎石机
CN2555091Y (zh) 小比重物料高效超细粉碎机
CN109571806A (zh) 一种酚醛模塑料用磨研装置
CN210552396U (zh) 一种橡塑磨粉回收生产线
CN107837866A (zh) 用于饲料加工的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