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431B1 - 잉크 정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정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431B1
KR101751431B1 KR1020150139517A KR20150139517A KR101751431B1 KR 101751431 B1 KR101751431 B1 KR 101751431B1 KR 1020150139517 A KR1020150139517 A KR 1020150139517A KR 20150139517 A KR20150139517 A KR 20150139517A KR 101751431 B1 KR101751431 B1 KR 10175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ack
sensing
plat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486A (ko
Inventor
이효찬
Original Assignee
(주)아이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블럭 filed Critical (주)아이블럭
Priority to KR102015013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431B1/ko
Priority to PCT/KR2015/012703 priority patent/WO2017061660A1/ko
Publication of KR2017004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정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각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측에 잉크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잉크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복수개의 잉크팩 및 각 잉크팩의 잉크배출구와 프린터의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잉크배출관 및 상기 케이스본체 외부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대응되는 색상의 잉크가 각각 수용된 복수개의 잉크 공급탱크 및 각 잉크팩의 잉크공급구와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잉크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잉크공급관 및 각 잉크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각 잉크팩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개폐밸브 및 각 잉크팩의 외면 일측 또는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과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을 감지하는 센싱수단 및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차폐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팩 내부의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 설치된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잉크팩 내부로 지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쇄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Description

잉크 정압 공급장치{Ink supply device for Supplying Ink at Constant Pressure}
본 발명은 잉크 정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팩 내부의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 설치된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잉크팩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잉크 정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팅 과정에 있어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카트리지에는 일정량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바 수용된 잉크가 완전히 소모되는 경우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한다 하더라도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양이 한정되어 있는 바 사용시간이 길지 않아 주기적으로 카트리지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카트리지의 가격이 고가로 형성됨에 따라 일부에서는 카트리지의 사용을 완료한 경우 카트리지 내부에 잉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카트리지 내에 충전할 수 있는 잉크의 양이 많지 않아 충전주기가 잦아지면서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위와 같은 잦은 카트리지 교체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잉크공급장치에 설치된 복수개의 잉크팩을 카트리지와 연결하여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를 카트리지에 공급하고, 잉크팩 내부의 잉크가 소진되는 경우, 소진된 잉크팩을 재충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잉크공급장치는 잉크팩의 교체 시기에 잉크가 과다하게 충전된 잉크팩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 초기에 잉크팩으로부터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의 과도한 잉크압으로 인해 카트리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프린터를 사용함에 따라 잉크팩 내부의 잉크가 일정량 이상 소진된 경우, 잉크팩으로부터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의 잉크압이 낮아져 카트리지로 잉크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0918737호 “프린터의 외부 설치용 잉크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팩 내부의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 설치된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잉크팩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잉크 정압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각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측에 잉크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잉크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복수개의 잉크팩 및 각 잉크팩의 잉크배출구와 프린터의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잉크배출관 및 상기 케이스본체 외부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대응되는 색상의 잉크가 각각 수용된 복수개의 잉크 공급탱크 및 각 잉크팩의 잉크공급구와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잉크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잉크공급관 및 각 잉크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각 잉크팩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개폐밸브 및 각 잉크팩의 외면 일측 또는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과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을 감지하는 센싱수단 및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차폐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정압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센싱수단은 각 잉크팩의 상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접촉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의 접촉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감지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의 접촉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부 감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잉크팩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홀이 관통형성된 판상의 장착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고리와 대응되는 각 접촉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판상의 장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장착고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장착돌기의 저면이 각 잉크팩의 상면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잉크팩의 일측과 상기 상부 감지 플레이트의 일측 간에 개재되어 각 잉크팩의 일측에 상기 상부 감지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최소수용량 감지단자, 최대수용량 감지단자 및 각 접촉플레이트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잉크팩 식별단자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감지 플레이트는 상기 최소수용량 감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감지 플레이트는 상기 최대수용량 감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잉크팩 식별단자는 대응되는 각 접촉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본체 외면 일측에는 상기 센싱수단의 감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팩 내부의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 설치된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잉크팩 내부로 지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쇄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센싱수단이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잉크팩의 장착고리와 접촉 플레이트의 장착돌기의 결합구조에 따른 접촉 플레이트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탄성력 제공수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는 케이스본체(10), 잉크팩(20), 잉크배출관(30), 잉크 공급탱크(40), 잉크공급관(50), 개폐밸브(60), 센싱수단(70) 및 제어수단(80)을 포함한다.
케이스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격벽(11a)에 의해 복수개의 수납공간(11b)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개폐밸브(60), 센싱수단(70), 제어수단(80) 및 디스플레이수단(9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가 내장된다.
이러한 배터리(B)는 일반적인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충전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충전 건전지를 사용하게 될 경우, 무선 충전 또는 USB 단자를 통한 충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잉크팩(20)은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의 양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팩 형태로서 선단 일측에 잉크배출구(21)가 형성되고, 잉크배출구(21)와 인접한 선단 타측에 잉크공급구(22)가 형성되며, 복수개가 케이스본체(10)의 각 수납공간(11b)에 수납된다.
위와 같은 복수개의 잉크팩(20)은 각 잉크팩(20)의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수용되며, 각 잉크팩(20)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프린터에 사용되는 청록색(Cyan:C), 황록색(Yellow:Y), 심홍색(Magenta:M) 및 흑백(Black:K)의 잉크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잉크팩(20)의 상면 중앙에는 잉크팩(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판상의 합성수지재의 양단부가 고정결합되어 잉크팩(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홀(23a)이 관통 형성되는 ‘┏┓’형상의 한 쌍의 장착고리(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고리(23)는 후술하는 접촉 플레이트(71)의 제 1 플레이트부(71a)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돌기(71aa)가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잉크배출관(30)은 각 잉크팩(20)의 잉크배출구(21)와 프린터의 카트리지(C)에 연결되어 각 잉크팩(20)의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잉크 공급탱크(40)는 케이스본체(11) 외부에 설치되어 각 잉크팩(20)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수용되며, 잉크팩(20)과 마찬가지로 청록색(Cyan:C), 황록색(Yellow:Y), 심홍색(Magenta:M) 및 흑백(Black:K) 의 잉크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잉크공급관(50)은 각 잉크팩(20)의 잉크공급구(22)와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각 잉크 공급탱크(40) 간에 연결되어 각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각 잉크팩(20)으로 잉크가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개폐밸브(60)는 각 잉크공급관(50)의 일측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어수단(80)에 의해 개방 또는 차폐되어 각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각 잉크팩(20)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센싱수단(70)은 각 잉크팩(20)의 외면 일측 또는 케이스본체(10) 내부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20)으로부터 프린터의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잉크의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과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수단(80)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 플레이트(71), 하부 감지 플레이트(72) 및 상부 감지 플레이트(73)를 포함한다.
접촉 플레이트(71)는 전도성 재질의 판상의 부재로서 각 잉크팩(20)의 상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플레이트부(71a)와, 플레이트부(71a)의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및 플레이트부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하부 접촉부(71c)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고리(23)와 대응되는 플레이트부(71a)의 일측에는 한 쌍의 장착고리(23)의 장착홀(23a)에 슬라이딩되어 삽입 결합되는 ‘ㄴ’형상의 한 쌍의 장착돌기(71aa)가 형성된다.
하부 감지 플레이트(72)는 전도성 재질의 판상의 부재로서 케이스 본체(10)의 내부 일측 중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플레이트(71)의 하부 접촉부(71c)의 단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감지 플레이트(72)는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의 하부 접촉부(71c)의 단부가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소진됨에 따라 각 잉크팩(20)이 수축하여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의 하부 접촉부(71c)의 단부가 접촉되는 경우, 후술하는 제어수단(80)이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부 감지 플레이트(73)는 전도성 재질의 판상의 부재로서 케이스본체(10) 내부 일측 중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 감지 플레이트(73)는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각 잉크 공급탱크(40)로 부터 각 잉크팩(20)의 내부로 잉크가 공급됨에 따라 각 잉크팩(20)이 팽창하여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접촉되는 경우, 후술하는 제어수단(80)이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에 접촉되는 높이를 격벽(11a)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 감지 플레이트(73)가 격벽(11a)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제어수단(80)은 센싱수단(70)의 각 접촉 플레이트(71)의 하부 접촉부(71c)의 단부가 하부 감지 플레이트(72)에 접촉되면,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최소 잉크압을 유지하는 최소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60)를 개방하여 각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각 잉크팩(20) 내부로 잉크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수단(80)은 센싱수단(70)의 각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_의 양단이 상부 감지 플레이트(71)에 접촉되면, 각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최대 잉크압을 유지하는 최대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60)를 차폐하여 각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각 잉크팩(20) 내부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을 차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는 케이스본체(10)의 외면 일측에 센싱수단(70)의 감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수단(9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센싱수단이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수단(80)은 최소수용량 감지단자(81), 최대수용량 감지단자(82) 및 각 접촉플레이트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잉크팩 식별단자(83)가 형성된다.
한편, 센싱수단(70)의 하부 감지 플레이트(72)는 각 잉크팩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각 접촉 플레이트(71)의 하부에 각 접촉 플레이트(7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측이 제어수단(80)의 최소수용량 감지단자(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센싱수단(70)의 상부 감지 플레이트(73)는 각 잉크팩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각 접촉 플레이트(71)의 상부에 각 접촉 플레이트(7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측이 제어수단(80)의 최대수용량 감지단자(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 접촉 플레이트(71)는 일측이 제어수단(80)의 대응되는 각 잉크팩 식별단자(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각 접촉 플레이트(71)가 하부 감지플레이트(72)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어수단(80)은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하고, 각 접촉 플레이트(71)가 상부 감지플레이트(73)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어수단(80)은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했을 감지하게 된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케이스본체(10)에 수납된 복수개의 잉크팩(20) 중 어느 하나의 잉크팩(20)을 일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프린터의 카트리지(C)로 공급되어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소진됨에 따라 잉크팩(20)의 상면이 하부 방향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잉크팩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가 하부 방향으로 동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최소 잉크압을 유지하는 최소 수용량에 도달되는 시점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플레이트(71)의 하부 접촉부(71c)의 단부가 하부 감지 플레이트(72)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제어수단(80)은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최소 잉크압을 유지하는 최소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60)를 개방하여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잉크팩(20) 내부로 잉크가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잉크팩(20) 내부로 잉크가 공급되어 잉크팩(20) 내부의 잉크가 충진됨에 따라 잉크팩(20)의 상면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잉크팩(20)의 상면에 설치된 접촉 플레이트(71)가 상부 방향으로 동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최대 잉크압을 유지하는 최대 수용량에 도달되는 시점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제어수단(80)은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카트리지(C)로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최대 잉크압을 유지하는 최대 수용량에 도달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60)를 차폐하여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잉크팩(20) 내부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는 카트리지(C)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팩(20) 내부의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을 조절하여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에 설치된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잉크팩(20) 내부로 지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쇄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간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잉크팩의 장착고리와 접촉 플레이트의 장착돌기의 결합구조에 따른 접촉 플레이트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는 각 잉크팩(20)의 상면 중앙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판상의 장착고리(23)의 장착홀(23a)에 접촉 플레이트(71)의 플레이트부(71a)에 형성된 판상의 장착돌기(71ab)가 삽입결합되어 플레이트부(71a)의 판상의 장착돌기(71ab) 저면이 각 잉크팩(20)의 상면과 면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각 잉크팩(20) 내부의 잉크가 외부로 배출되어 잉크팩이 수축되거나 외부에 설치된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잉크팩(20) 내부로 잉크가 공급되어 잉크팩(20)이 팽창하더라도 접촉 플레이트(71)의 플레이트부(71a)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접촉 플레이트(71)가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접촉 플레이트(71)의 하부 접촉부(71c) 및 상부 접촉부(71b)가 하부 감지 플레이트(72) 또는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에 접촉됨으로써,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 또는 최대 수용량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센싱수단(70)의 오감지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달리 일단부가 잉크팩(20)의 선단 일측에 형성된 비전도성 재질의 장착고리(23)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73a)에 고정 설치되어 잉크팩(20)의 선단 일측에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의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 제공수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의 탄성력 제공수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와 달리 탄성력 제공수단(1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잉크 공급탱크(40)로부터 잉크팩(20) 내부로 잉크가 공급되는 경우,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잉크팩(20)의 선단측이 후단측보다 먼저 충진되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함으로 인해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에 접촉되어 센싱수단(70)의 오감지 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정압 공급장치(1)는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제공수단(100)이 잉크팩(20)의 선단측에 상부 감지 플레이트(73)의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 인해 잉크팩(20)의 선단측과 후단측이 균일하게 충진되어 잉크팩(2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수용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한 상태에서 접촉 플레이트(71)의 한 쌍의 상부 접촉부(71b) 양단이 상부 감지플레이트(73)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센싱수단(70)의 오감지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잉크 정압 공급장치 10 : 케이스본체
11 : 하부케이스 11a : 격벽
11b : 수납공간 12 : 상부케이스
20 : 잉크팩 21 : 잉크배출구
22 : 잉크공급구 23 : 장착고리
23a : 장착홀 30 : 잉크배출관
40 : 잉크 공급탱크 50 : 잉크공급관
60 : 개폐밸브 70 : 센싱수단
71 : 접촉 플레이트 71a : 플레이트부
71aa : 장착돌기 71b : 상부 접촉부
71c : 하부 접촉부 72 : 하부 감지 플레이트
73 : 상부 감지 플레이트 73a : 고정돌기
80 : 제어수단 81 : 최소수용량 감지단자
82 : 최대수용량 감지단자 83 : 잉크팩 식별단자
90 : 디스플레이 수단 100 : 탄성력 제공수단
B : 배터리 C : 카트리지

Claims (6)

  1.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본체와;
    각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일측에 잉크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잉크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복수개의 잉크팩과;
    각 잉크팩의 잉크배출구와 프린터의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잉크배출관과;
    상기 케이스본체 외부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대응되는 색상의 잉크가 각각 수용된 복수개의 잉크 공급탱크와;
    각 잉크팩의 잉크공급구와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와 동일한 색상의 잉크가 수용된 잉크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잉크공급관과;
    각 잉크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 공급탱크로부터 각 잉크팩으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개폐밸브와;
    각 잉크팩의 외면 일측 또는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고, 각 잉크팩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과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에 의해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차폐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수단은
    각 잉크팩의 상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접촉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하부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미리 설정된 최소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의 접촉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감지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부 일측 중 각 잉크팩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용량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각 잉크팩의 접촉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부 감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최소수용량 감지단자, 최대수용량 감지단자 및 각 접촉플레이트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잉크팩 식별단자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감지 플레이트는 상기 최소수용량 감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감지 플레이트는 상기 최대수용량 감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접촉플레이트는 각 잉크팩 식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 잉크팩의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홀이 관통형성된 판상의 장착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고리와 대응되는 각 접촉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판상의 장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장착고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장착돌기의 저면이 각 잉크팩의 상면에 면접촉되되,
    각 잉크팩의 일측과 상기 상부 감지 플레이트의 일측 간에 개재되어 각 잉크팩의 일측에 상기 상부 감지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정압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 외면 일측에는 상기 센싱수단의 감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정압 공급장치.
KR1020150139517A 2015-10-05 2015-10-05 잉크 정압 공급장치 KR10175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17A KR101751431B1 (ko) 2015-10-05 2015-10-05 잉크 정압 공급장치
PCT/KR2015/012703 WO2017061660A1 (ko) 2015-10-05 2015-11-25 잉크 정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17A KR101751431B1 (ko) 2015-10-05 2015-10-05 잉크 정압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86A KR20170040486A (ko) 2017-04-13
KR101751431B1 true KR101751431B1 (ko) 2017-07-11

Family

ID=5848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517A KR101751431B1 (ko) 2015-10-05 2015-10-05 잉크 정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1431B1 (ko)
WO (1) WO20170616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6809A (ja) * 2008-03-24 2009-10-08 Riso Kagaku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2704A (ja) * 2002-10-07 2004-04-2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7571995B2 (en) * 2005-04-27 2009-08-11 Intek Co., Ltd. Ink cartridge refill system for inkjet printers and method of refilling ink cartridges using the same
KR100918737B1 (ko) 2009-01-21 2009-09-24 양원석 프린터의 외부 설치용 잉크공급장치
KR101215197B1 (ko) * 2012-03-21 2012-12-24 김영숙 잉크공급장치 및 잉크팩 수납케이스
KR101326099B1 (ko) * 2012-10-30 2013-11-07 전문배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6809A (ja) * 2008-03-24 2009-10-08 Riso Kagaku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1660A1 (ko) 2017-04-13
KR20170040486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594B2 (en) Liquid supply unit
US20150375514A1 (e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KR101215197B1 (ko) 잉크공급장치 및 잉크팩 수납케이스
US9114623B2 (en) Liquid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ame
JP2011230513A (ja) アタッチメントシステム
TW201544338A (zh) 液體供給裝置
KR101751431B1 (ko) 잉크 정압 공급장치
JP2005047258A (ja) 液体収容体及び液体噴射装置
JP5021987B2 (ja) 液体供給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68248B1 (ko)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
US20060274129A1 (en) Ink supply system for ink cartridge
KR101337773B1 (ko) 잉크공급장치
JP2005306030A (ja) アタッチメント、アタッチメントシステム及び液体供給装置
US7121656B2 (en) Ink cartridge
KR100675982B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벌크잉크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재충전방법
TWI649215B (zh) 液體收容體、液體消耗裝置及電連接體
KR200463175Y1 (ko) 프린터의 잉크 공급장치
CN115139655A (zh) 液体容器
US9561663B2 (en) Ink cartridge and printer
WO2006069145A2 (en) Wick for an inkjet printhead
KR101701672B1 (ko)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KR101155397B1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용 바늘조립체
KR101722243B1 (ko) 잉크 공급장치
KR101634261B1 (ko) 프린트 카트리지용 무한 리필 잉크공급장치
KR101295417B1 (ko) 잉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