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702B1 -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0702B1 KR101750702B1 KR1020160154919A KR20160154919A KR101750702B1 KR 101750702 B1 KR101750702 B1 KR 101750702B1 KR 1020160154919 A KR1020160154919 A KR 1020160154919A KR 20160154919 A KR20160154919 A KR 20160154919A KR 101750702 B1 KR101750702 B1 KR 1017507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horizontal
- supply
- discharg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초밥용 컨베이어의 유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밥을 순환 컨베이어를 통해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고객이 적은 경우 그 순환 구간의 단축을 가져오헤 함으로써, 고객현황에 따라 컨베이어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고객현황에 맞는 적절한 길이의 컨베이어를 운영함으로써 업소로 하여금은 적당한 량의 음식조절을 통한 초밥 제조 등에 따른 경비의 절감 및 ?F은 회전구간의 운영에 따른 신선한 상품 제공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소비자로 하여금은 초밥 선택의 폭 확대 및 보다 신선한 초밥의 섭취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초밥용 컨베이어의 유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 구간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순환하는 초밥의 순환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공급자로 하여금 적절한 음식량의 제공을 통한 경비의 절감 및 양질의 초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비자로 하여금 항시 신선한 초밥의 섭취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밥은, 일본 음식의 하나로 초와 소금 등으로 간을 한 흰밥을 갸름하게 뭉친 뒤에 겨자나 고추냉와 생선 쪽을 얹어 만든 음식으로, 섭취시 간장 등의 소스에 찍어 간편하게 섭취하는 음식이다.
이러한 초밥은 따뜻한 밥과 날 생선을 이용하여 만든 관계로 상온이나 상온 이하의 온도에 서늘한 상태로 짧은 시간안에 보관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성형한 후 단시간 내에 섭취하여야 최상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변질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밥을 완성한 후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관계로 영업소 등에서도 주문이 있을 때 즉시 만들어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보다 발전된 형태로는 초밥의 성형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성형자와 구매자가 마주보는 형태의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종 초밥을 실은 작은 접시를 객석에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로 된 회전 판매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편리하게 고객에게 공급 및 고객은 초밥을 자유롭게 골라 먹는 반 셀프 서비스 형식의 회전초밥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와 같은 회전초밥은 다수 종류의 초밥을 즉석에서 제조 및 컨베이어를 통해 객석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객석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초밥을 선택하여 섭취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판매자로 하여금은 인건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고객으로 하여금은 신선한 초밥을 신속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전 판매장치는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으나, 비교적 고객이 적은 경우에도 초밥을 컨베이어 전체를 순환시켜야 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고객에게 보다 신선한 초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고객이 미처 순환하는 초밥을 선택하지 못할경우 재차 컨베이어를 타고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을 기다려야 하는 등의 문제점과 이러한 과정에서도 초밥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초밥을 순환 컨베이어를 통해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고객이 적은 경우 그 순환 구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함으로써, 고객현황에 따라 컨베이어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고객현황에 맞는 적절한 길이의 컨베이어를 운영함으로써 업소로 하여금 적당한 량의 음식조절을 통한 초밥 제조 등에 따른 경비의 절감 및 짧은 회전구간의 운영에 따른 신선한 상품 제공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소비자로 하여금 초밥 선택의 폭 확대 및 보다 신선한 초밥의 섭취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배터리 작동하는 정역 구동형 구동모터가 내장되고 그 구동모터의 전원 ON/OFF와 정역 방향과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원스위치와 방향 전환스위치와 속도 조절스위치를 갖는 컨트롤부가 형성된 구동부와, 구동부와 연결되며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을 갖는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을 갖는 공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타측에서 전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배출컨베이어 장착공간을 갖는 배출 프레임으로 된 "ㄷ" 형 프레임체로 된 본체;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에 형성되어 구동모터로 구동되며, 순환 컨베이어의 양측 방향을 연결하되, 순환 컨베이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수평 컨베이어;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에 형성되어 수평 컨베이어와 연동되며, 순환 컨베이어의 일측 방향의 접시를 공급받아 수평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 및
배출컨베이어 장착공간에 형성되어 수평 컨베이어와 연동되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접시를 공급받아 이송 및 순환 컨베이어의 타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는,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착탈 구조를 이루고 있어, 어느 위치에나 선택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고객현황에 따라 초밥의 순환 구간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컨베이어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컨베이어를 고객현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업소로 하여금 과도한 양의 초밥을 컨베이어에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밥 제조 등에 따른 경비 절감 및 초밥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함으로서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특히 고객으로 하여금 순환구간의 단축으로 원하는 초밥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초밥 선택의 폭이 한층 넓어지면서도 보다 신선한 초밥의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장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구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를 이용한 접시 순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설치상태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장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구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를 이용한 접시 순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설치상태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운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1)는, 통상의 회전초밥에 적용되는 하나의 컨베이어가 2열로 배열된 순환 컨베이어(도면중 미도시함)에 선택적으로 장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본체(100)와, 수평 컨베이어(200)와, 공급 컨베이어(300)와, 배출 컨베이어(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먼저 구동부(1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구동부(11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구동모터(111)와 그 구동모터(11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2)가 내장되고, 외부에는 구동모터(11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컨트롤부(113)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12)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교체형 또는 충전식 배터리의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11)는, 기존 순환 컨베이어의 구동 방향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정역 구동형 구동모터(111)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트롤부(113)는, 구동모터(111)의 전원 ON/OFF가 가능하도록 전원스위치(114)와, 구동모터(111)의 정역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방향 전환스위치(115)와, 순환 컨베이어의 제조사에 따라 그 모터의 속도가 대동소이하게 되는 것인바, 그 모터의 속도에 대응 가능하도록 다이얼 방식의 속도 조절스위치(116)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프레임체(120)가 구성된 것으로, 프레임체(120)는 하기하는 수평 컨베이어(200)와 공급 컨베이어(300)와 배출 컨베이어(400)의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체(120)는, 먼저 수평 프레임(130)이 구성된 것으로, 수평 프레임(130)은전,후(순환 컨베이어의 진행방향)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이격되는 판체의 사이에는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이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체(120)는, 공급 프레임(140)이 구성된 것으로, 공급 프레임(140)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각 연결되게 구성되되, 폭방향 양측으로 순환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거치 가능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이격되는 판체의 사이에는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141)이 구성되며, 수평 프레임(130)과는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과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141)이 서로 연통되도록 평면상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체(120)는, 배출 프레임(150)이 구성된 것으로, 배출 프레임(150)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타측에서 전방으로 직각 연결되게 구성되되, 폭방향 양측으로 순환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거치 가능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이격되는 판체의 사이에 배출컨베이어 장착공간(151)이 구성되며, 수평 프레임(130)과는 평면상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프레임체(120)는, 수평 프레임(13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이 구성된 것으로, 평면상 "ㄷ" 형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수평 컨베이어(200)는, 상기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에서 순환 컨베이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에 설치되며, 먼저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수평형 안내판(132)(132')이 각각 형성되되, 그 안내판(132)(13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수평 컨베이어(200)는, 구동모터(111)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된 것으로, 순환 컨베이어의 2열 진행방향과 직교를 이루어 양측 방향을 연결하며, 그 순환 컨베이어의 일측열에서 타측열로의 이송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수평 컨베이어(200)는, 먼저 수평 구동축(210)이 구성된 것으로, 수평 구동축(210)은, 수평 프레임(130)의 일측에 축설되되 그 후단이 상기 구동모터(1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그 선단에는 제1 수평베벨기어(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연동축(220)이 구성된 것으로, 수평 연동축(220)은 수평 구동축(210)과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열 및 수평 프레임(130)의 타측에 축설되게 구성되며, 후단에는 제2 수평베벨기어(221)가 형성되고, 수평 구동축(210)과는 통상의 벨트풀리(도면중 미도시함)로 연결되어 수평 구동축(210)이 구동시 연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벨트(230)가 구성된 것으로, 수평벨트(230)는 수평 구동축(210)과 수평 연동축(220)을 감싸게 구성되어 그 수평 구동축(210)과 수평 연동축(220)을 따라 회전하게 구성된다.
이때 수평벨트(23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고무벨트식 또는 체인 연결식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수평 구동축(210)과 수평 연동축(220)에 설치시에는 마찰롤러 또는 체인 스프라켓 등을 통해 연결 가능할 것이다.
즉, 수평 컨베이어(200)는, 순환 컨베이어의 양측열을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일측으로 이동하는 접시를 타측으로 운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30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141)에서 순환 컨베이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200)와 연동되게 구성된 것으로, 순환 컨베이어의 어느 한열로 이동하는 접시를 공급받아 수평 컨베이어(200)의 일측의 안내판(132)로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공급 컨베이어(300)는, 먼저 공급 구동축(310)이 구성된 것으로, 공급 구동축(310)은, 공급 프레임(140)의 일측에 축설되되 그 일단에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200)의 수평 연동축(220)의 제1 수평베벨기어(221)와 치합되는 공급 베벨기어(311)가 형성되어 수평 연동축(2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구동방향을 직각 전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한 쌍의 공급 연동축(320)(320')이 구성된 것으로, 공급 연동축(320)(320')은 공급 구동축(310)의 양측에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열 및 공급 프레임(140)에 축설되게 구성되며, 그 양측 공급 연동축(320)(320')은 통상의 벨트풀리(도면중 미도시함)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 구동축(210)에는, 공급 구동기어(312)가 더 포함되게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공급 연동축(320)에는, 상기 공급 구동기어(312)와 치합되는 공급 연동기어(321)가 형성되어 공급 연동축(320)(320')의 회전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급벨트(330)가 구성된 것으로, 공급벨트(330)는 양측 공급 연동축(320)(320')을 감싸게 구성되어 그 공급 연동축(320)(320')을 따라 회전하게 구성된다.
이때 공급벨트(33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고무벨트식 또는 체인 연결식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공급 구동축(310)과 공급 연동축(320)에 설치시에는 마찰롤러 또는 체인 스프라켓 등을 통해 연결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급 컨베이어(3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순환 컨베이어로부터 접시를 공급받는 전위로부터 수평 컨베이어(200)로 공급하는 후위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위해 공급 프레임(140)은 상단이 공급 컨베이어(300)를 따라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고, 그 하단은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수평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공급 컨베이어(300)는, 순환 컨베이어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접시를 공급받아 상기 수평 컨베이어(200)의 일측 안내판(132)으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400)는, 상기 배출컨베이어 장착공간(151)에서 순환 컨베이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200)와 연동되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 컨베이어(200)의 타측 안내판(132')로부터 접시를 공급받아 순환 컨베이어의 다른 한 열로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배출 컨베이어(400)는, 먼저 배출 구동축(410)이 구성된 것으로, 배출 구동축(410)은, 배출 프레임(150)의 일측에 축설되되 그 일단에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200)의 수평 구동축(210)의 제1 수평베벨기어(211)와 치합되는 배출 베벨기어(411)가 형성되어 수평 구동축(2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구동방향을 직각 전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한 쌍의 배출 연동축(420(420')이 구성된 것으로, 배출 연동축(420)(420')은 배출 구동축(410)의 양측에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열 및 배출 프레임(150)에 축설되게 구성되며, 그 양측 배출 연동축(420(420')은 통상의 벨트풀리(도면중 미도시함)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 구동축(410)에는, 배출 구동기어(412)가 더 포함되게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배출 연동축(420)에는, 상기 배출 구동기어(412)와 치합되는 배출 연동기어(421)가 형성되어 배출 연동축(412)의 회전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벨트(430)가 구성된 것으로, 배출벨트(430)는 양측 배출 연동축(420(420')을 감싸게 구성되어 그 배출 연동축(420(420')을 따라 회전하게 구성된다.
이때 배출벨트(43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고무벨트식 또는 체인 연결식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배출 구동축(410)과 배출 연동축(420)에 설치시에는 마찰롤러 또는 체인 스프라켓 등을 통해 연결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 컨베이어(4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수평 컨베이어(200)로부터 접시를 공급받는 후위로부터 순환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전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위해 배출 프레임(150)은 상단이 배출 컨베이어(400)를 따라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고, 그 하단은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수평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배출 컨베이어(400)는, 수평 컨베이어(200)의 안내판(132)에 위치된 접시를 공급받아 순환 컨베이어의 다른측 열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1)에는, 접시의 공급 컨베이어(300)로의 원활한 공급과 배출 컨베이어(400)로부터의 원활한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공급 안내판(145) 및 배출 안내판(155)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공급 안내판(145)은,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공급 프레임(140)의 전위에 형성되되, 그 일단이 공급 프레임(140)의 전위 사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고, 그 타단이 하방 경사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급 안내판(145)의 선단에는 순환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마찰에 의해 회전되는 힌지형 공급 가이드롤(146)이 구성된다.
또한 배출 안내판(155)은,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배출 프레임(150)의 전위에 형성되되, 그 일단이 배출 프레임(150)의 전위 사이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고, 그 타단이 하방 경사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공급 안내판(145)은, 그 선단의 공급 가이드롤(146)이 순환 컨베이어의 어느 한열의 상부면에 접하여 회전하되, 순환 컨베이어의 어느 한 열로 이동하는 접시를 공급 컨베이어(300)로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배출 안내판(155)은, 순환 컨베이어의 다른 한 열로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1)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300)로부터 수평 컨베이어(200)로 접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수평 컨베이어(200)로부터 배출 컨베이어(400)로 접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양측 한 쌍의 가이드바(500)(5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바(500)(500)는, 각각의 후단이 수평 프레임(130)에 연결되고, 각각의 선단이 전위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를 이루어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의 외측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바(500)(500)는, 그 중간부에 다수의 수직형 가이드롤로(520)(520')가 구성된다.
즉, 각각의 가이드바(500)(500)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바(500)는 수평 프레임(130)과 공급 프레임(140)에 경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바(500')는 수평 프레임(130)과 배출 프레임(150)에 경사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1)에는, 이동식 유턴장치(1)를 순환 컨베이어 프레임에 장착 고정하기 위한 양측 한 쌍의 고정수단(600)(60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고정수단(600)(600')은,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에 각각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로, 가압형 또는 집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압 흡착형을 적용한다.
이때 각각의 고정수단(600)(60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먼저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직각 돌출되며 중앙에는 가이드장공(611)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판(610)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가이드판(610)에는, 그 가이드판(610)을 따라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ㄱ"형 브라켓(620)이 그 상부를 통해 가이드장공(611)을 관통하는 가이드볼트(630)로 결합 되게 구성된 것으로, 양측 브라켓(620)은 가이드판(610)을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 되어 양측 폭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620)에는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 측면에 가압 고정이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가압볼트(640)가 나삽되며, 그 가압볼트(640)의 단부에는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압착 가능하도록 흡착구(641)가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1)는, 통상의 2열로 배열되는 회전초밥용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 상부에 거치 장착하여 그 순환 컨베이어의 순환 구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먼저 이동식 유턴장치(1)는, 고객의 위치를 고려하여 단축하고자 하는 순환 컨베이어(10)의 구간에 설치하되, 순환 컨베이어(10)의 프레임(11)에 거치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설치시에는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이 각각 각열의 순환 컨베이어(10)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11)에 거치 설치하면 된다.
이후, 이동식 유턴장치(1)를 순환 컨베이어(10)의 프레임(11)에 고정하되, 고정시에는 도 6을 참조하여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에 각각 형성된 고정수단(600)(600')을 통해 가능하다.
이때 고정수단(600)(600')은, 최초 이동식 유턴장치(1)를 설치시에는 브라켓(620)이 프레임(11)과 간섭되지 않게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설치하며, 설치후에는 브라켓(620)을 이동시켜 프레임(11)의 양측에 근접한 상태에서 가압볼트(640)를 조여 프레임(11)의 측면을 가압 및 흡착구(641)를 통해 흡착 고정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이동식 유턴장치(1)는, 공급 컨베이어(300)가 어느 한 열의 순환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고, 배출 컨베이어(400)가 다른 한 열의 순환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설치되는 이동식 유턴장치(1)는 순환 구간에 대하여 대항되도록 복수개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 이동식 유턴장치(1)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구동부(110)의 컨트롤부(113)의 전원스위치(114)를 작동시켜 구동모터(111)를 구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때 컨트롤부(113)에서는 방향 전환스위치(115)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11)의 구동 방향의 설정과, 속도 조절스위치(116)를 통해 기존의 순환 컨베이어(10)의 속도에 맞게 조절하면 된다.
이에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200)는 일측의 순환 컨베이어(10)로부터 타측의 순환 컨베이어(10)로의 이송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 수평 컨베이어(200)와 연동되는 공급 컨베이어(300)는 일측의 순환 컨베이어(1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수평 컨베이어(200)와 연동되는 배출 컨베이어(400)는 타측의 순환 컨베이어(1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도 9의 도시와 같이 일측의 순환 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하는 접시(20)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 이동식 유턴장치(1)에 도달하게 되는 것으로, 공급 컨베이어(300)의 공급 안내판(145)에 도달하게 되면, 그 공급 안내판(145)의 선단에 형성된 공급 가이드롤(146)의 회전력에 의해 접시(20)가 공급 안내판(145)의 상부로 이동 및 공급 컨베이어(300)의 공급벨트(330)를 타고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공급 컨베이어(300)의 상부로 이동된 접시(20)는, 수평 컨베이어(200)의 안내판(132)을 통해 수평벨트(230)로 공급되게 되며, 이에 수평벨트(230)를 따라 반대측의 순환 컨베이어(1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수평 컨베이어(200)의 반대측으로 이동된 접시(20)는, 안내판(132')을 통해 배출 컨베이어(400)의 배출벨트(430)로 공급되게 되며, 이에 배출벨트(430)를 따라 하부로 이동 및 배출 안내판(155)을 통해 반대측 순환 컨베이어(10)로 공급 되게 된다.
즉, 접시(20)는, 순환 컨베이어(10) 전체를 순환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 이동식 유턴장치(1)를 통해 중간에서 그 유턴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순환 구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이동식 유턴장치(1)를 적용함에 있어, 도 5를 참조하여 가이드바(500)(500)가 형성된 것인바, 공급 컨베이어(300)로부터 수평 컨베이어(200)의 안내판(132)로 이동된 접시(20)는 그 일측의 가이드바(500)를 통해 유도되어 수평 컨베이어(200)로 원활히 공급되고, 수평 컨베이어(200)의 안내판(132')로부터는 타측의 가이드바(500')를 통해 유도되어 배출 컨베이어(400)로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안내판(132)(132')에 위치된 접시(20)는 각각의 가이드바(500)(500')에 형성된 가이드롤러(520)(520')에 의해 원활히 가이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 이동식 유턴장치(1)는, 순환 컨베이어(10)의 어느 한정된 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도 10의 도시와 같이 고객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구간에 설치하여 그 순환 구간의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는, 선택적으로 필요 위치에 설치하여 순환 컨베이어의 순환 구간의 단축이 가능한 것으로, 순환 컨베이어의 효율적인 순환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고객에게 신속하면서도 신선한 초밥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구동부
111 : 구동모터 112 : 배터리
113 : 컨트롤부 114 : 전원스위치
115 : 방향 전환스위치 116 : 속도 조절스위치
120 : 프레임체 130 : 수평 프레임
131 :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 132,132' : 안내판
140 : 공급 프레임 141 :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
145 : 공급 안내판 146 : 공급 가이드롤
150 : 배출 프레임
151 : 배출프레임 장착공간 155 : 배출 안내판
200 : 수평 컨베이어 210 : 수평 구동축
211 : 제1 수평베벨기어 220 : 수평 연동축
221 : 제2 수평베벨기어 230 : 수평벨트
300 : 공급 컨베이어 310 : 공급 구동축
311 : 공급 베벨기어 312 : 공급 구동기어
320,320' : 공급 연동축 321 : 공급 연동기어
330 : 공급벨트
400 : 배출 컨베이어 410 : 배출 구동축
411 : 배출 베벨기어 412 : 배출 구동기어
420,420' : 배출 연동축 421 : 배출 연동기어
430 : 배출벨트
500,500' : 가이드바 520,520' : 가이드롤러
600,600' : 고정수단 610 : 가이드판
611 : 가이드장공 620 : 브라켓
630 : 가이드볼트 640 : 가압볼트
641 : 흡착구
111 : 구동모터 112 : 배터리
113 : 컨트롤부 114 : 전원스위치
115 : 방향 전환스위치 116 : 속도 조절스위치
120 : 프레임체 130 : 수평 프레임
131 :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 132,132' : 안내판
140 : 공급 프레임 141 :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
145 : 공급 안내판 146 : 공급 가이드롤
150 : 배출 프레임
151 : 배출프레임 장착공간 155 : 배출 안내판
200 : 수평 컨베이어 210 : 수평 구동축
211 : 제1 수평베벨기어 220 : 수평 연동축
221 : 제2 수평베벨기어 230 : 수평벨트
300 : 공급 컨베이어 310 : 공급 구동축
311 : 공급 베벨기어 312 : 공급 구동기어
320,320' : 공급 연동축 321 : 공급 연동기어
330 : 공급벨트
400 : 배출 컨베이어 410 : 배출 구동축
411 : 배출 베벨기어 412 : 배출 구동기어
420,420' : 배출 연동축 421 : 배출 연동기어
430 : 배출벨트
500,500' : 가이드바 520,520' : 가이드롤러
600,600' : 고정수단 610 : 가이드판
611 : 가이드장공 620 : 브라켓
630 : 가이드볼트 640 : 가압볼트
641 : 흡착구
Claims (6)
- 배터리(112) 작동하는 정역 구동형 구동모터(111)가 내장되고 그 구동모터(111)의 전원 ON/OFF와 정역 방향과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원스위치(114)와 방향 전환스위치(115)와 속도 조절스위치(116)를 갖는 컨트롤부(113)가 형성된 구동부(110)와, 구동부(110)와 연결되며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을 갖는 수평 프레임(130)과 수평 프레임(130)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141)을 갖는 공급 프레임(140)과 수평 프레임(130)의 타측에서 전방으로 직각 연장되는 배출컨베이어 장착공간(151)을 갖는 배출 프레임(150)으로 된 "ㄷ" 형 프레임체(120)로 된 본체(100);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에 형성되어 구동모터(111)로 구동되며, 순환 컨베이어의 양측 방향을 연결하되, 순환 컨베이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수평 컨베이어(200);
공급컨베이어 장착공간(141)에 형성되어 수평 컨베이어(200)와 연동되며, 순환 컨베이어의 일측 방향의 접시를 공급받아 수평 컨베이어(200)로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300); 및
배출컨베이어 장착공간(151)에 형성되어 수평 컨베이어(200)와 연동되며, 수평 컨베이어(200)로부터 접시를 공급받아 이송 및 순환 컨베이어의 타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배출 컨베이어(400);
를 포함하되,
공급 프레임(140)의 전위에는,
공급 프레임(140)의 사이에 순환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벨트(330)로 원활한 접시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하방 경사 형태의 공급 안내판(145)이 힌지(H) 형성되게 구성하되,
공급 안내판(145)의 선단에는 순환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접하여 마찰 회전하는 공급 가이드롤(146)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며,
배출 프레임(150)의 전위에는,
배출 프레임(150)의 사이에 순환 컨베이어로 원활한 접시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하방 경사 형태의 배출 안내판(155)이 힌지(H)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수평 컨베이어(200)는,
수평컨베이어 장착공간(13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안내판(132)(132')을 각각 형성하되, 그 안내판(132)(132')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단이 구동모터(1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가지며 선단에는 제1 수평베벨기어(211)가 형성된 수평 구동축(210)과, 수평 구동축(210)과 이격 및 벨트풀리로 연결되어 연동되며 후단에는 제2 수평베벨기어(221)가 형성된 수평 연동축(220)과, 수평 구동축(210)과 수평 연동축(220)을 연결하는 수평벨트(230)로 구성하며,
공급 컨베이어(300)는,
일측에 수평 연동축(220)의 제2 수평베벨기어(221)와 치합되는 공급 베벨기어(311)가 형성되어 구동 방향을 직각 전환하는 공급 구동축(310)과, 공급 구동축(310)의 양측으로 이격되고 서로간에는 벨트풀리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양측 한 쌍의 공급 연동축(320)(320')과, 양측 공급 연동축(320)(320')을 연결하는 공급벨트(330)로 구성하되,
공급 구동축(310)에는 공급 구동기어(312)가 더 형성되고, 일측의 공급 연동축(320)에는 공급 구동기어(312)와 치합되어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공급 연동기어(321)가 형성되며,
배출 컨베이어(400)는,
일측에 수평 구동축(210)의 제1 수평베벨기어(211)와 치합되는 배출 베벨기어(411)가 형성되어 구동 방향을 직각 전환하는 배출 구동축(410)과, 배출 구동축(410)의 양측으로 이격되고 서로간에는 벨트풀리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양측 한 쌍의 배출 연동축(420)(420')과, 양측 배출 연동축(420)(420')을 연결하는 배출벨트(430)로 구성하되,
배출 구동축(410)에는 배출 구동기어(412)가 더 형성되고, 일측의 배출 연동축(420)에는 배출 구동기어(412)와 치합되어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배출 연동기어(421)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공급 컨베이어(300)는,
순환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는 전위로부터 수평 컨베이어(200)로 공급하는 후위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공급 프레임(140)은 상단이 공급 컨베이어(300)를 따라 경사를 이루고 하단은 수평을 이루게 구성하며,
배출 컨베이어(400)는,
수평 컨베이어(200)로부터 공급받는 후위로부터 순환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전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배출 프레임(150)은 상단이 배출 컨베이어(400)를 따라 경사를 이루고 하단은 수평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공급 컨베이어(300)로부터 수평 컨베이어(200)로 접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수평 컨베이어(200)로부터 배출 컨베이어(400)로 접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양측 한 쌍의 가이드바(500)(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가이드바(500)(500)는,
각각의 후단이 수평 프레임(130)에 연결되고, 각각의 선단이 전위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를 이루어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의 외측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하되,
각각의 가이드바(500)(500)에는, 그 중간부에 다수의 가이드롤러(520,520')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공급 프레임(140)과 배출 프레임(150)에는,
순환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600)(6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919A KR101750702B1 (ko) | 2016-11-21 | 2016-11-21 |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919A KR101750702B1 (ko) | 2016-11-21 | 2016-11-21 |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0702B1 true KR101750702B1 (ko) | 2017-06-27 |
Family
ID=5951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919A KR101750702B1 (ko) | 2016-11-21 | 2016-11-21 |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070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2870B1 (ko) | 2022-09-01 | 2023-03-21 | 김민재 | 회전식 음식 판매 시스템 |
KR20230146759A (ko) | 2022-04-13 | 2023-10-20 | 이정현 | 회전초밥 위생배송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4865A (ja) | 2004-06-30 | 2006-01-19 | Ishino Seisakusho:Kk | 循環型飲食容器搬送装置 |
JP2007007374A (ja) | 2005-05-30 | 2007-01-18 | Alpha Corporation Ltd | 回転寿司構造 |
JP2007097863A (ja) | 2005-10-05 | 2007-04-19 | Japan Crescent Co Ltd | 回転飲食台における巡回路短絡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2010024045A (ja) * | 2008-07-24 | 2010-02-04 | Fdk Engineering:Kk | 屈曲搬送装置 |
-
2016
- 2016-11-21 KR KR1020160154919A patent/KR1017507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4865A (ja) | 2004-06-30 | 2006-01-19 | Ishino Seisakusho:Kk | 循環型飲食容器搬送装置 |
JP2007007374A (ja) | 2005-05-30 | 2007-01-18 | Alpha Corporation Ltd | 回転寿司構造 |
JP2007097863A (ja) | 2005-10-05 | 2007-04-19 | Japan Crescent Co Ltd | 回転飲食台における巡回路短絡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2010024045A (ja) * | 2008-07-24 | 2010-02-04 | Fdk Engineering:Kk | 屈曲搬送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6759A (ko) | 2022-04-13 | 2023-10-20 | 이정현 | 회전초밥 위생배송 시스템 |
KR102512870B1 (ko) | 2022-09-01 | 2023-03-21 | 김민재 | 회전식 음식 판매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0702B1 (ko) | 회전초밥 컨베이어용 이동식 유턴장치 | |
KR100920333B1 (ko) | 누룽지 제조용 가열판의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 | |
CN102548454A (zh) | 饮料和食物输送装置 | |
KR100974617B1 (ko) |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 |
KR102010921B1 (ko) | 식품 성형 장치 | |
KR101130962B1 (ko) | 박스포장장치 | |
KR102080858B1 (ko) | 식품 성형 장치 | |
KR101851733B1 (ko) | 원단 자동 절단장치 | |
KR101282063B1 (ko) | 포장기용 트레이의 자동이송공급장치 | |
JP5188165B2 (ja) | 菓子などの移乗配列装置 | |
KR200491141Y1 (ko) | 근채류 절단장치 | |
KR100676526B1 (ko) |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 |
KR102538439B1 (ko) | 창문유리 고정용 가스켓 자동 결합장치 | |
CA2429842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food dough | |
KR101209228B1 (ko) | 견과류가 포에 말림된 과자 제조장치용 견과류 투입장치 | |
PL1894863T3 (pl) | Urządzenie dozujące | |
CN210191916U (zh) | 电子产品生产用压膜装置 | |
KR200179663Y1 (ko) | 사료 공급 장치 | |
CN217487454U (zh) | 一种新型挂面梳条装置 | |
CN213535279U (zh) | 一种物料整理排列输出装置 | |
CN112998050B (zh) | 一种蛋糕表面印花机及其使用方法 | |
CN214692529U (zh) | 一种裁床及其送料装置 | |
CN209635190U (zh) | 链板、输送带、输送结构、电镀装置及电镀系统 | |
KR20110052820A (ko) | 쌀국수 제조 장치용 쌀박막 절단 장치 | |
KR200226701Y1 (ko) | 제빵용 틀의 콘베어 벨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