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526B1 -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526B1
KR100676526B1 KR1020060003630A KR20060003630A KR100676526B1 KR 100676526 B1 KR100676526 B1 KR 100676526B1 KR 1020060003630 A KR1020060003630 A KR 1020060003630A KR 20060003630 A KR20060003630 A KR 20060003630A KR 100676526 B1 KR100676526 B1 KR 10067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dough
belt
roller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에스피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에스피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102006000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삿갓형 라운드기로부터 공급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삿갓형 라운드기를 통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에 설치한 레일프레임을 갖는 프레임과;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한 바디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프레임 측으로 이송되는 새들과; 상시 새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새들구동장치와; 상기 새들에 감겨지게 설치되어 새들의 이송에 따라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벨트이송공급장치와; 새들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투하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에어분사장치와; 새들의 위치와 반죽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새들과 벨트이송공급장치의 구동 및 에어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송공급장치, 반죽물, 새들, 이송벨트, 컨베이어 벨트.

Description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Apparatus for feeding food dough}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공급장치의 새들이 전방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그 평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공급장치의 새들이 후방으로 조금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반죽물의 투입이 완료되어 초기상태로 새들이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베이어 벨트 150 : 프레임
160 : 레일프레임 200 : 이송공급장치
300 : 바디 310 : 가이드레일
320 : 로울러 400 : 새들
410 : 가이더 420,425 : 로울러
430 : 플레이트아암 440 : 가이드로울러
450 : 받침대 500 : 모터
510,520 : 휠 530 : 타이밍벨트
540 : 클램프 600 : 모터
610 : 구동로울러 620 : 로울러
630 : 이송벨트 700 : 노즐
800,810,820 : 감지센서 900 : 제어부
D : 반죽물 R : 삿갓형 라운드기
본 발명은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울러로부터 공급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이커리용 반죽물은 제과 제빵 등의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제조가 까다로운 반죽물의 특성과, 프렌차이즈화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베이커리 업계의 특성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반죽물을 베이커리 공장에서 일괄적으로 제조 및 숙성한 다음, 각 베이커리 대리점에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베이커리 공장을 통해서 고품질의 반죽물을 대량 공급하기 위해서는 밀가루, 소금, 설탕, 버터, 물 등 원재료를 이상적으로 배합하는 것뿐만 아니라, 반죽물을 일정한 온도와 시간 동안 잘 숙성하는 과정과, 숙성된 반죽물을 급속 동결하는 과정 등 여러 제반 공정에서 전사적 품질관리와 자동화가 필수적이다.
일 예로 반죽물의 생산과정 중에서 삿갓형 라운드기는 일정 크기의 반죽물을 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고, 급속동결기는 삿갓형 라운드기를 통해 공급된 반죽물을 급속 동결시키는 장치로서, 반죽물은 이러한 기계장치를 통하여 연속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삿갓형 라운드기를 통해 공급된 반죽물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운반하므로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원가를 크게 상승시키고, 작업자에 의한 운반과정 및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는 과정에서 반죽물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반죽물 공급과정은 작업자의 손을 통해 반죽물을 운반하므로 그 과정에서 작업자의 체온이 전달되어 일정한 반죽물의 성질이 변화되고, 반죽물의 공급과정도 매우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삿갓형 라운드기로부터 공급되는 반죽물을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급속동결기 측의 컨베이어 벨트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반죽물을 급속동결기 측의 컨베이어 벨트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는 삿갓형 라운드기를 통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에 설치한 레일프레임을 갖는 프레임과;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를 설치한 바디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프레임 측으로 이송되는 새들과; 상시 새들을 이송시키기 위한 새들구동장치와; 상기 새들에 감겨지게 설치되어 새들의 이송에 따라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벨트이송공급장치와; 새들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투하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에어분사장치와; 새들의 위치와 반죽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새들과 벨트이송공급장치의 구동 및 에어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평면도와 A-A선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프레임(150), 바디(300), 새들(400), 새들구동장치, 벨트이송공급장치, 에어분사장치, 감지센서(800)(810)(820), 제어부(900)로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150)은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에 설치한 것으로, 레일프레임(160)을 설치하여 새들(40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디(300)는 상기한 새들(400), 새들구동장치, 벨트이송공급장치 등이 설치되기 위한 몸체로서, 상부 양측에 가이드레일(31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고, 전단부 양측에는 가이드로울러(320)를 설치하여 새들(400)의 전후방 이송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새들(400)은 벨트이송공급장치의 이송벨트(630)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되어 반죽물(D)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에 투하시키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다수의 가이더(410)를 구비하여 상기한 가이드레일(310)에 설치하고, 전단부에는 로울러(420)와 플레이트아암(430)을 설치하며, 저면 중앙부분에도 로울러(425)를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플레이트아암(430)의 양측에는 가이드로울러(440)를 설치하여 새들(400) 이송시 상기한 프레임(150)의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새들(400)의 상면에는 받침대(450)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삿갓형 라운드기(R)를 통해 공급되는 반죽물(D)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새들구동장치는 새들(400)을 전후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바디 (300)의 일측면 후방에 휠(510)을 구비한 모터(500)를 설치하고, 바디(300)의 일측면 전방에는 휠(520)을 설치하며, 이러한 양 휠(510)(520)은 타이밍벨트(530)로 연결한다. 그리고 타이밍벨트(530)와 새들(400)은 클램프(540)를 통해 연결하므로 타이밍벨트(530)의 구동에 따라 새들(400)도 함께 전후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벨트이송공급장치는 삿갓형 라운드기(R)부터 공급되는 반죽물(D)을 새들(400)의 이송과 함께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바디(300)의 일측면 중앙부분에 모터(600)를 설치하고, 모터(600)에는 구동로울러(610)를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바디(300)의 전후단부 및 중앙부에는 공회전하는 로울러(620)를 설치하고, 구동로울러(610)와 로울러(620) 및 새들(400)의 로울러(420)에는 이송벨트(630)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치한다.
에어분사장치는 새들(40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투하되는 반죽물(D)을 컨베이어 벨트(100) 상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새들(400)의 플레이트아암(430)에 3개의 노즐(700)을 설치하되, 새들(400)측으로 약간 향하도록 하향되게 설치한다.
감지센서(800)(810)(820)는 새들(400)의 위치와 반죽물(D)위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급속동결기 측 프레임(150)의 일단부에 상기한 감지센서(800)를 설치하여 새들(400)의 전방 이송을 감지하고, 바디(300)의 후방 내측에도 감지센서(810)를 설치하여 새들(400)의 후방이송을 감지한다. 그리고 새들(400)의 전방측에도 감지센서(820)를 설치하여 투하되기 위한 반죽물(D)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900)는 통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이송공급장치(200)의 전반 적인 작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특히 감지센서(800)(810)(8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값을 연산하여 반죽물(D)의 투하, 새들(400)과 이송벨트(630)의 구동, 노즐(700)의 작동 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새들(400)이 전방으로 이송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로서, 이 상태에서 이송벨트(630)는 계속 이송되므로 삿갓형 라운드기(R)로부터 계속 공급되는 반죽물(D)은 서로 부딪치지 않고 이송벨트(63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00) 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반죽물(D)이 새들(400)의 전단부까지 이송되면, 새들(400)의 전단부에 설치된 감지센서(820)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900)는 감지센서(820)의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500)를 작동시켜 타이밍벨트(530)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새들(400)은 도 4a,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160)과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벨트(630)는 구동이 정지되나, 새들(400)과 함께 전방으로 이송되므로 삿갓형 라운드기(R)를 통해 공급되는 반죽물(D)은 서로 부딪치지 아니하고 이송벨트(630)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100) 측으로 계속 이송된다.
도 4a, 4b는 이와 같이 새들(400)이 이송벨트(630)와 함께 전방으로 이송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급속동결기 측의 프레임(150)에 설치된 감지센서(800) 는 일정 위치까지 새들(400)이 도달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900)는 감지센서(800)의 신호에 따라 모터(500)의 작동을 정지시켜 타이밍벨트(53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새들(400)은 그 이송이 정지된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새들(400)을 정지시킨 후, 모터(600)를 구동시켜 구동로울러(610)를 회전시키고, 구동로울러(610)에 감겨진 이송벨트(630)를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630) 상의 최전방에 위치한 반죽물(D)은 컨베이어 벨트(100)로 투입되며, 이때 노즐(700)은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투하되는 반죽물(D)에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100)에 투하되는 반죽물(D)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00) 상에서 구르지 않고 투입된 위치에 그대로 정지하게 된다.
도 5a, 5b는 다음 반죽물(D)을 투입시키기 위하여 새들(400)이 후방으로 조금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새들(400)의 후방 이송은 타이밍벨트(530)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지며, 반죽물(D)의 투입과 노즐(700)을 통한 에어의 분사과정은 도 4a, 4b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은 이송벨트(630) 상의 모든 반죽물(D)이 컨베이어 벨트(100)에 투입되고 초기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200)는 도 1,2내지 도 6에서 도시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므로 삿갓형 라운드기(R)로부터 공급되는 반죽물(D)을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반죽물(D)의 형상이 유지되고, 반죽물(D)의 반죽성질이 변화되거나 오염되지 않으며, 반죽물(D)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200)는 반죽물(D)의 연속 공급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100) 상에 반죽물(D)을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치되도록 투입시킬 수 있으므로 수작업에 의한 공정보다 단위 면적당 보다 많은 양의 반죽물(D)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반죽물(D)이 서로 접하지 않게 공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는 새들의 이송과 이송벨트를 통해 급속동결기 측으로 반죽물을 자동 이송하므로 반죽물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는 새들의 이송과 이송벨트를 통해 자동으로 반죽물을 이송하므로 반죽물의 형상이 유지되고, 반죽물의 반죽성질이 변화되거나 오염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는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반죽물을 서로 접하지 않도록 조밀하게 자동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위 면적당 보다 많은 양의 반죽물을 급속동결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삿갓형 라운드기를 통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측에 설치한 레일프레임(160)을 갖는 프레임(150)과;
    가이드레일(310)과 가이드로울러(320)를 설치한 바디(300)와;
    상기 가이드레일(310)를 따라 프레임(150) 측으로 이송되는 새들(400)과;
    상기 새들(4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새들구동장치와;
    상기 새들(400)에 감겨지게 설치되어 새들(400)의 이송에 따라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로 반죽물(D)을 이송시키는 벨트이송공급장치와;
    새들(40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투하되는 반죽물(D)을 급속동결기의 컨베이어 벨트(100) 상에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에어분사장치와;
    새들(400)의 위치와 반죽물(D)을 감지하는 감지센서(800)(810)(820)와;
    감지센서(800)(810)(8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새들(400)과 벨트이송공급장치의 구동 및 에어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400)은
    가이드레일(310)에 결합되는 가이더(410)와;
    이송벨트(630)의 이송을 위해 설치한 로울러(420)(425)와;
    상기 프레임(150)의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한 가이드로울러(440)와;
    반죽물(D)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 받침대(45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구동장치는
    휠(510)이 설치된 모터(500)와;
    휠(520)과;
    상기 휠(520)과 모터(500)의 휠(510)을 연결한 타이밍벨트(530)와;
    타이밍벨트(530)와 새들(400)을 연결 고정시키는 클램프(54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이송공급장치는
    모터(600)와;
    모터(6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로울러(610)와;
    바디(300)에 설치되어 공회전하는 로울러(620)와;
    상기 구동로울러(610)와 로울러(620) 및 새들(400)의 로울러(420)에 감겨지는 이송벨트(63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장치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새들(400)의 전단부에 설치한 노즐(700)을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00)은 새들(400) 측으로 약간 향하도록 하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KR1020060003630A 2006-01-12 2006-01-12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KR10067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30A KR100676526B1 (ko) 2006-01-12 2006-01-12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30A KR100676526B1 (ko) 2006-01-12 2006-01-12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068U Division KR200413516Y1 (ko) 2006-01-13 2006-01-13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526B1 true KR100676526B1 (ko) 2007-02-01

Family

ID=3810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630A KR100676526B1 (ko) 2006-01-12 2006-01-12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5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28B1 (ko) 2009-08-31 2011-07-11 에스피엘 주식회사 제빵용 유산지 투입장치
KR101103593B1 (ko) 2009-08-31 2012-01-09 에스피엘 주식회사 제빵용 유산지 제거장치
KR20170098443A (ko) 2016-02-22 2017-08-30 (주)동일기계 팬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28B1 (ko) 2009-08-31 2011-07-11 에스피엘 주식회사 제빵용 유산지 투입장치
KR101103593B1 (ko) 2009-08-31 2012-01-09 에스피엘 주식회사 제빵용 유산지 제거장치
KR20170098443A (ko) 2016-02-22 2017-08-30 (주)동일기계 팬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21314B (zh) 面条压制装置
US6951451B2 (en) Reciprocating head press
US9493307B2 (en) Conveyors for box making machines
US7229270B2 (en) Reciprocating head press
WO200106016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39;alimentation en matiere alimentaire
KR100676526B1 (ko)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JP2853032B2 (ja) 食品等の移載方法および装置
KR101410379B1 (ko) 만두 성형기의 만두피 이송장치
CN103858948A (zh) 一种加馅托盘及运用该托盘的线外加馅装置
KR100934333B1 (ko) 반제품 속재료를 포함한 식품재료 외피를 자동으로둘둘마는 식품기계
JP6362187B2 (ja) 連続生地の秤量切断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10061756U (zh) 海绵发泡设备
KR100974617B1 (ko)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KR101459930B1 (ko)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042639B1 (ko) 포자 만두의 성형장치 및 자동정렬 공급시스템
KR200413516Y1 (ko) 반죽물용 이송공급장치
CN201427368Y (zh) 弹性体供料系统
CN105857794A (zh) 撕膜设备
KR101047328B1 (ko) 제빵용 유산지 투입장치
KR100770002B1 (ko) 패스추리 생지용 레이어 이송장치
KR100851641B1 (ko) 정렬 이송장치
KR20170098443A (ko) 팬닝장치
US4334845A (en) Machine for producing rolls of bakery products
US6237473B1 (en) Transporting apparatus
JP2015029445A (ja) 米飯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