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360B1 - 도포재 압출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재 압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360B1
KR101750360B1 KR1020140088428A KR20140088428A KR101750360B1 KR 101750360 B1 KR101750360 B1 KR 101750360B1 KR 1020140088428 A KR1020140088428 A KR 1020140088428A KR 20140088428 A KR20140088428 A KR 20140088428A KR 101750360 B1 KR101750360 B1 KR 10175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ating material
pipe member
screw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373A (ko
Inventor
요시카즈 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15001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06Ink reservoirs with movable pistons for withdrawing ink from an ink-receptacl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도포재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도포재 압출 용기를 제공한다.
도포재 압출 용기(200)는, 선통(201)과, 선통(201)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삽입된 파이프 부재(208)를 구비하고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은 선통(201)의 전단보다 일정량 후방에 위치함과 함께, 도포재(M)는 파이프 부재(208)의 통공(208s) 내로부터 선통(201)의 통공(201s) 내에 걸쳐 충전되어 있다. 통공(201s)의 도포재(M)가 충전되는 영역의 내주면은,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다. 도포재 압출 용기(200)에서는, 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이 일방향/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으로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도포재(M)와 함께 전진/후퇴한다.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되면, 나사결합부(80)의 나사결합 작용으로 선통(201) 및 파이프 부재(208)에 대하여 도포재(M)가 전진한다.

Description

도포재 압출 용기{COAT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본 발명은, 도포재를 압출하여 사용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포재 압출 용기는, 통형상을 이루어 선단에 토출구(개구부)를 가지는 선통(先筒)과, 선통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삽입되어 그 내부에 도포재가 충전된 파이프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선통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가 도포재와 함께 전진 또는 후퇴하고,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의 일방향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상대 회전에 의하여, 선통 및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도포재가 전진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2-5526호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선통의 통공(筒孔)에 있어서, 선단의 토출구로부터 소정 길이 후측의 영역에 도포재 구멍이 형성되고, 도포재 구멍으로부터 후측의 영역에 당해 도포재 구멍보다 대경의 파이프 부재 구멍이 형성되며, 이 파이프 부재 구멍에 파이프 부재가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삽입되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선통의 통공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단차(단차면)가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파이프 부재의 진퇴가 반복되면, 충전된 도포재의 형상이 단차에 의하여 붕괴될 우려가 있고, 특히, 도포재가 부드러운 것인 경우, 당해 도포재는 단차에 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우려는 현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포재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도포재 압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는, 용기 내에 나사결합부를 구비하고, 도포재를 압출하여 사용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 상기 도포재는 막대형상 화장료이며, 통형상을 이루어 선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선통과, 선통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삽입된 파이프 부재를 구비하며, 초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의 전단은 선통의 전단보다 일정량 후방에 위치함과 함께, 도포재는 파이프 부재의 통공 내로부터 선통의 통공 내에 걸쳐 충전되고, 선통의 통공에 있어서 적어도 도포재가 충전되는 영역의 내측면은,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으며 둘레 방향으로 균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나사 결합부는 상기 선통에 상기 도포재가 충진되는 영역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고,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가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가 도포재와 함께 전진하고,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되면,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 및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도포재가 전진하며,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가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가 도포재와 함께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의 전단이 선통의 전단보다 일정량 후방에 위치하고, 도포재가 파이프 부재의 통공 내로부터 선통의 통공 내에 걸쳐 충전되며, 이 선통의 통공의 내측면에 있어서는, 그 적어도 도포재가 충전되는 영역이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파이프 부재가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경우이더라도, 충전된 도포재는, 통공의 내측면의 형상(단차 등)에 기인하여 붕괴되는 일 없이, 전진 또는 후퇴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재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파이프 부재의 전단은, 그 전진 한계에 있어서, 선통의 전단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로부터 압출된 도포재에 대해서는, 파이프 부재의 전단을 지점으로 하는 힘이 도포재에 작용한다. 따라서, 도포재의 파손 등의 붕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부재의 전단은 전방(사용자측)에 위치할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파이프 부재의 전단이 선통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면, 파이프 부재의 선단이 사용자에게 접촉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성이 악화되는 것이 우려된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 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의 전단을, 사용자에게 접촉하기 어려운 범위에서 가장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사용성을 높이면서 도포재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작용 효과를 적합하게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나사결합부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가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1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 또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가 도포재와 함께 전진하며,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되면, 제2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 및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도포재가 전진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재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도포재 압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에 있어서의 파이프 부재의 전진 한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전진 한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조작통을 일부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조작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a)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도 7(a)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이동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a)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도 10(a)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선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파이프 부재를 일부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선통에 있어서의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일부 확대화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D-D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선통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조작통을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에 있어서의 파이프 부재의 전진 한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에 있어서의 피스톤 전진 한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포재 압출 용기(200)는, 도포재(M)를 수용함과 함께 적절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압출 및 회수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도포재(M)로서는, 예를 들면, 립스틱, 립글로스, 아이라이너, 아이 컬러, 아이브로우, 립 라이너, 치크 컬러, 컨실러, 미용 스틱, 헤어 컬러 등을 비롯한 다양한 막대형상 화장료, 필기용구 등의 막대형상의 심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매우 부드러운(반고체형상, 연고체형상, 연질형상, 젤리형상, 무스형상, 및 이들을 포함하는 반죽형상 등의) 막대형상물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외경이 1mm 이하인 세경 막대형상물이나 10mm 이상인 굵은 막대형상물이 사용 가능하다.
또, 도포재(M)로서는, 경도가 비교적 낮은 반고체형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4N~0.9N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도포재(M)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도포재(M)의 경도는, 화장품에 있어서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측정 방법에 의하여 구해진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FUDOH RHEO METER[RTC-2002D.D](주식회사레오테크사(Rheotech) 제조)를 측정기로서 이용하고, 분위기 온도 25℃ 조건하에서 φ2mm의 강봉(어댑터)을 6cm/min의 속도로 도포재(M)에 깊이 10mm 정도 삽입하였을 때에 당해 도포재(M)에 발생하는 피크 시의 힘(강도)을 경도(침입도(針入度))로 하고 있다.
도포재 압출 용기(200)는, 내부에 도포재(M)가 충전되고 토출구(개구부)(201a)를 선단에 가지는 선통(201)과, 그 전반부에 선통(201)을 내부삽입하여 그 선통(201)을 축선방향 및 축선 둘레 회전방향(이하, 간단히 “회전방향”이라고도 함)으로 걸어 맞춰 일체가 되도록 연결하는 본체통(202)과, 이 본체통(202)의 후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여 축선방향으로 연결된 조작통(203)을 외형 구성으로 하여 구비하고, 선통(201) 및 본체통(202)에 의하여 용기 전측부가 구성됨과 함께, 조작통(203)에 의하여 용기 후측부가 구성되어 있다.
다만, “축선”이란, 도포재 압출 용기(200)의 전후로 뻗는 중심선을 의미하고, “축선방향”이란, 전후방향으로서 축선을 따른 방향을 의미한다(이하, 동일). 또, 도포재(M)의 배출방향을 전방(전진하는 방향)으로 하고, 도포재(M)의 회수방향을 후방(후퇴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도포재 압출 용기(200)는, 그 내부에, 이동 나사통(205),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 나사통(205)은, 선통(201)에 제1 나사결합부(70)를 통하여 나사결합된다. 이동체(206)는, 조작통(203)에 동기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방향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춰짐과 함께, 이동 나사통(205)에 제2 나사결합부(80)를 통하여 나사결합된다. 피스톤(207)은, 이동체(206)의 전단(선단)부에 장착되는 압출부이며, 후술의 파이프 부재(208)에 밀접하도록 내부삽입되어 충전 영역(X)의 후단을 구성(형성)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재 압출 용기(200)는, 선통(201)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삽입된 파이프 부재(208)와, 이동 나사통(205) 및 조작통(203)의 상대 회전을 일방향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20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포재 압출 용기(200)에서는, 본체통(202)(선통(201)이어도 가능) 및 조작통(203)이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이동 나사통(205)이 전진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과 함께 전진하고, 또한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2 나사결합부(80)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201) 및 파이프 부재(208)에 대하여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이 전진한다. 또, 본체통(202) 및 조작통(203)이 일방향과는 반대의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이동 나사통(205)이 후퇴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과 함께 후퇴한다.
본체통(202)은, 예를 들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 합성 수지)로 성형되고,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통(202)은, 그 축선방향 중앙부의 내주면에, 선통(201)을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추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요철부가 병설되어 당해 요철부가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뻗어 이루어지는 널링 툴(202a)을 가지고 있다. 또, 본체통(202)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선통(201)을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환형상 요철부(요철부가 축선방향으로 나열되는 것)(20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본체통(202)의 후부측의 내주면에서 널링 툴(202a)의 후측에는, 조작통(203)을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추는 것으로서, 내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뻗는 볼록부(20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조작통을 일부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조작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통(203)은, 예를 들면 ABS 수지로 성형되고, 전방으로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통(203)의 전단측은, 본체통(202)이 외부삽입되는 것으로서, 그 외경이 단차(203b)를 통하여 소경이 된 전단 통부(203a)를 구비하고 있다.
전단 통부(203a)의 외주면의 전측부에는, 본체통(202)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환형상 볼록부(213)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에는, 래칫 기구(209)의 래칫 치를 구성하는 일방의 돌출부(209a)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들 일방의 돌출부(209a)는,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에 있어서 둘레방향 12등배의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일방의 돌출부(209a)는, 둘레방향으로 톱니형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돌출부(209a)는, 이동 나사통(205)의 진퇴 시에 있어서 후술의 타방의 돌출부(209b)와 항상 맞닿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이들 일방의 돌출부(209a)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방측(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후술의 타방의 돌출부(209b)와 맞닿는 측)의 측면(209a1)은, 산형이 되도록 내주면(223)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일방의 돌출부(209a)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타방측(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을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후술의 타방의 돌출부(209b)와 맞닿는 측)의 측면(209a2)은, 내주면(223)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통(203)의 바닥부 중앙에는, 이동체(206)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축체(233)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축체(233)는, 비원형의 외형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체(233)는, 원기둥체의 외주면에, 둘레방향 6등배의 위치에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축선방향으로 뻗는 돌조(243)를 구비하는 횡단면 비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통(203)은, 그 전단 통부(203a)가 본체통(202)에 내부삽입되고, 그 단차(203b)가 본체통(202)의 후단면에 맞부딪치게 됨과 함께, 그 환형상 볼록부(213)가 본체통(202)의 볼록부(202c)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본체통(20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여 축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나사통(205)은,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 수지)으로 성형되고,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 나사통(205)은, 전단측의 전단부(205a)와, 그 전단부(205a)의 후측에 이어지는 대경부(205b)와, 그 대경부(205b)의 후측에 이어지는 본체부(205c)를 가지고 있다.
전단부(205a)는, 그 내주면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후방에 걸친 영역에, 제2 나사결합부(80)를 구성하는 암 나사(81)가 마련되어 있다. 다만, 제2 나사결합부(80)의 피치는, 제1 나사결합부(70)의 피치보다 세밀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제1 나사결합부(70)의 리드(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의 상대 회전 1회전당 추진량)가 제2 나사결합부(80)의 리드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전단부(205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파이프 부재(208)의 후단면에 축선방향으로 맞닿는 환형상의 플랜지부(215)가 마련되어 있다. 전단부(205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전방측에는, 파이프 부재(208)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환형상 볼록부(2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단부(205a)는, 전단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뻗어 대향하도록 한 쌍 형성된 슬릿(235)에 의하여, 직경방향 외측으로 확대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슬릿(235)의 후단측은, 측방으로부터 보아(도 7 참조) 둘레방향으로 장척의 타원형상이 되도록 확장되어 있으며, 이로써, 성형 시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이나 이동체(20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단부(205a)가 확대 개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대경부(205b)는, 전단부(205a)보다 대경의 외형을 가지고, 이동 나사통(205)에 있어서 축선방향 중앙부의 전방 가까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대경부(205b)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 후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전방에 걸친 영역에, 제1 나사결합부(70)를 구성하는 수 나사(72)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205c)는, 대경부(205b)보다 소경의 외형을 가지고, 이동 나사통(205)에 있어서 축선방향 중앙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친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이 본체부(205c)는, 그 외주면(275)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위치에, 래칫 기구(209)의 래칫 치를 구성하는 타방의 돌출부(209b)가 마련되어 있다. 타방의 돌출부(209b)는, 일방의 돌출부(209a)(도 6 참조)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이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본체부(205c)에 있어서 타방의 돌출부(209b)의 주위에는, 이동 나사통(205) 내외를 연통하는 단면 U자 형상의 절결(2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245)에 의하여 타방의 돌출부(209b)는 직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결(245)은, 본체부(205c)에 있어서의 타방의 돌출부(209b)의 축선방향 양측에 천설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뻗는 한 쌍의 슬릿(245a, 245b)과, 본체부(205c)에 있어서의 타방의 돌출부(209b)의 둘레방향 일방측에 천설되어 슬릿(245a, 245b)에 연속하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뻗는 슬릿(245c)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부(205c)에 있어서 절결(44)에 둘러싸인 벽부는, 직경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암(255)을 이루고, 이로써, 당해 암(255)의 선단부에 배치된 타방의 돌출부(209b)는,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부세력)을 가지게 된다.
이들 타방의 돌출부(209b)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타방측(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일방의 돌출부(209a)와 맞닿는 측)의 측면(209b1)은, 산형이 되도록 외주면(275)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타방의 돌출부(209b)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방측(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을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일방의 돌출부(209a)와 맞닿는 측)의 측면(209b2)은, 외주면(275)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205c)에 있어서의 타방의 돌출부(209b)보다 후방부에는, 스프링부(265)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부(265)는, 축선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른바 수지 스프링이며, 제1 나사결합부(70)가 나사결합 복귀하도록 수 나사(72)를 부세한다. 스프링부(265)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뻗고 또한 내외를 연통하는 슬릿(265a)을 본체부(205c)에 형성함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이동 나사통(205)은, 본체통(202) 및 조작통(203)에 내부삽입됨과 함께, 그 타방의 돌출부(209b)가 조작통(203)의 일방의 돌출부(209a)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래칫 기구(209)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이동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206)는, 예를 들면 POM으로 성형되고, 선단측에 플랜지부(206a)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체(206)는, 그 플랜지부(206a)보다 후측으로부터 후단부에 걸친 외주면에, 제2 나사결합부(80)의 수 나사(8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체(206)의 내주면에 있어서 둘레방향 6등배의 위치에는, 조작통(203)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서, 방사형상으로 돌출되어 축선방향으로 뻗는 돌조(206c)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이동체(206)는, 그 후단측으로부터, 조작통(203)의 축체(233)와 이동 나사통(205)과의 사이에 외부삽입되어 있다. 이 때, 이동체(206)는, 그 수 나사(82)가 이동 나사통(205)의 암 나사(81)와 나사결합함과 함께, 그 돌조(206c)가 축체(233)의 돌조(243, 243) 사이에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조작통(203)에 대하여 동기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0(a)는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207)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LDPE(직쇄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피스톤(207)에 있어서의 후단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207a)의 내주면에는, 이동체(206)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 가능하게 하여 걸어 맞춰지는 환형상 돌출부(207b)가 마련되어 있다.
또, 피스톤(207)의 외주면에 있어서 둘레방향 4등배의 위치에는, 파이프 부재(208)에 밀착하는 영역으로서, 볼록부(207c)가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207c)는, 파이프 부재(208)에 대하여 맞닿아(밀접하여) 저항을 가지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축선방향 중앙부로부터 후단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207c)와 볼록부(207c)와의 사이, 및, 볼록부(207c)와 파이프 부재(208)의 후술의 통공(208s)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에어 트랩)을 형성함으로써, 온도 변화 등의 환경 변화로 도포재(M)가 저절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피스톤(207)은, 이동체(206)의 전단부에 외부삽입되고, 그 환형상 돌출부(207b)가 이동체(206)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동체(206)에 대하여 동기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방향 이동 가능(소정의 범위 내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선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201)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그 전단의 개구가 도포재(M)를 출현시키기 위한 토출구(201a)로 되어 있다. 이 선통(201)은,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나 ABS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토출구(201a)는, 축선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각도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만, 토출구(201a)는, 축선방향의 수직면으로 형성하는 플랫형상으로 하는 경우나 산형 형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또, 선통(201)의 외주면에는, 본체통(202)의 환형상 요철부(202b)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환형상 요철부(201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선통(201)의 외주면에 있어서 환형상 요철부(201b)보다 후측의 둘레방향 4등배 위치에는, 축선방향으로 뻗는 돌조(201g)가, 본체통(202)의 널링 툴(202a)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선통(201)의 내주면에 있어서 축선중앙부의 후방 가까이에는, 파이프 부재(208)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서, 축선방향으로 뻗는 홈부(201c)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홈부(201c)는, 선통(201)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4등배의 위치에 뻗어 있다. 선통(201)의 내주면에 있어서 홈부(201c)보다 후측은, 단차(201x)를 통하여 확경되어 있으며, 홈부(201c)의 바닥면과 연속하는 내경을 가지고 있다.
또, 선통(201)의 외주면에 있어서 돌조(201g)보다 후측에는, 선통(201) 내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으로서의 개구부(211)가,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11)는, 그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도 11 참조) 개략 직사각형상으로 천설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개구부(211)는, 둘레방향을 따라 뻗는 전방측 가장자리와, 둘레방향에 대한 나선방향을 따라 뻗는 후측 가장자리와, 축선방향을 따라 뻗는 양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선통(201)의 내주면에 있어서 개구부(211)의 후측에는, 제1 나사결합부(70)의 암 나사(71)가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암 나사(71)는, 선통(201)의 내주면에서 나선형상으로 뻗는 돌조로서, 개구부(211)의 둘레방향 위치에 축선을 중심으로 180° 회전 복사되도록 한 쌍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암 나사(71)는, 그 전방에서 개구부(211)로 연속됨과 함께, 당해 개구부(21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에 걸친 둘레방향 범위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 나사(71)로서의 돌조가 뻗는 나선방향은, 개구부(211)의 후측 가장자리의 상기 나선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암 나사(71)를 가지는 선통(201)에 대해서는, 개구부(211)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적합하게 수지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형, 하형 및 코어 핀을 서로 장착하였을 때, 상형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내측의 볼록부분과, 하형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내측의 볼록부분과, 코어 핀에 의하여 암 나사(71)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을 한 쌍 구획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 후(즉, 소정 공간에 용융 수지가 충전·고화되어 암 나사(71)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는, 일방의 개구부(211)로부터 상형의 볼록부분이 빠지도록 하여 그 상형을 직경방향 외측으로 분리함과 함께, 타방의 개구부(211)로부터 하형의 볼록부분이 빠지도록 하여 그 하형을 직경방향 외측으로 분리한 후, 코어 핀을 축선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시켜 빼낼 수 있다.
도 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선통(201)은, 그 후측으로부터 본체통(202)에 내부삽입되고, 그 환형상 요철부(201b)에 본체통(202)의 환형상 요철부(202b)가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짐과 함께, 그 돌조(201g)에 본체통(202)의 널링 툴(202a)이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본체통(202)에 축선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장착되고, 당해 본체통(202)과 일체화되고 있다. 또, 선통(201)은, 그 후측으로부터 이동 나사통(205)에 외부삽입되고, 그 암 나사(71)가 이동 나사통(205)의 수 나사(72)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 13은 도 1의 도포재 압출 용기의 파이프 부재를 일부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 부재(208)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그 전단의 개구는, 토출구(201a)(도 1 참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각도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파이프 부재(208)는 예를 들면 PP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208)의 통공(208s)을 형성하는 두께는, 일정하고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2~0.5mm로 성형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208)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선방향 중앙부의 후측에는, 선통(201)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서, 축선방향으로 뻗는 돌조(218)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돌조(218)는, 조립 시에 원주방향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둘레방향 불균등의 4개소의 위치(여기에서는, 둘레방향 4등배의 위치 중 2개소가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파이프 부재(208)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후단부는, 단차(208x)를 통하여 확경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208)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후단부에는, 이동 나사통(205)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8)가 대향하도록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파이프 부재(208)는, 선통(201)에 내부삽입되고, 그 선통(201)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그 돌조(218)에 선통(201)의 홈부(201c)가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고, 이로써, 선통(201)에 대한 파이프 부재(208)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선통(201)의 전단보다 일정량 후방에 위치하고, 또, 전진 한계에 있어서 선통(201)의 전단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파이프 부재(208)는, 이동 나사통(205)의 전방측에 외부삽입되고, 그 후단면이 이동 나사통(205)의 플랜지부(206a)에 맞부딪치게 됨과 함께, 그 돌출부(228)가 이동 나사통(205)의 환형상 볼록부(225)에 축선방향으로 걸어 맞춰지고, 이로써, 이동 나사통(205)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파이프 부재(208) 내에는, 피스톤(207)이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하여 내부삽입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재(M)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208)의 통공(208s) 내로부터 선통(201)의 통공(201s) 내에 걸쳐 채워지도록 충전(간극 없이 수용)되어 있으며, 즉, 도포재(M)가 충전되는 충전 영역(X)은, 선통(201)의 내주면과, 파이프 부재(208)의 내주면과, 피스톤(207)의 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통(201)의 통공(201s)에 있어서, 적어도 도포재(M)가 충전되는 영역의 내측면인 내주면은,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공(201s)을 구성하는 내주면에 있어서는, 파이프 부재(208)의 후퇴 한계(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 위치로부터 전방측 영역이, 단차나 모서리부, 오목부 및 홈 등 (이하, 간단히 “단차 등”이라고 함)을 가지고 있지 않고, 또한, 축선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 않으며, 또한,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직선으로 뻗어 있다. 여기에서는, 통공(201s)은, 도포재(M)가 충전되는 영역에서, 축선방향으로부터 보아 일정한 단면 원형이 됨과 함께, 측방으로부터 보아 양 가장자리가 축선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통(203)의 전단 통부(203a)가 이동 나사통(205)의 본체부(205c)에 외부삽입되기 전의 상태(조립 전의 상태)에서는, 본체부(205c)의 타방의 돌출부(209b)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외경(R3)은,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의 내경(R4)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외경(R3)이 내경(R4)보다 소정 길이 크게 되어 있으며, 외경(R3)이 φ9.4mm, 내경(R4)이 9.0mm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통부(203a)가 본체부(205c)에 내부삽입된 상태(조립 후의 상태)에 있어서, 타방의 돌출부(209b)는,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에 상시 맞닿아 있다.
다음으로, 도포재 압출 용기(20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의 도포재 압출 용기(200)에 있어서는,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이 선통(201)의 전단보다 일정량 후방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도포재(M)가 파이프 부재(208)의 통공(208s)과 선통(201)의 통공(201s)과 피스톤(207)에 밀착하여 충전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파이프 부재(208)의 돌조(218)의 전면 및 단차(208x)가 선통(201)의 홈부(201c)의 전면 및 단차(201x)보다 후측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파이프 부재(208)가 선통(201)에 대하여 일정량 전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의 도포재 압출 용기(20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캡(C)이 제거되어 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이 배출방향인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이동 나사통(205)의 타방의 돌출부(209b)의 측면(209b1)(도 7 참조)이 조작통(203)의 일방의 돌출부(209a)의 측면(209a1)(도 6 참조)에 맞닿아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고, 조작통(203)과 이동 나사통(205)이 동기 회전한다. 이로써, 이동 나사통(205)과 선통(201)이 상대 회전하고, 이동 나사통(205)의 수 나사(72) 및 선통(201)의 암 나사(71)에 의하여 구성된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기능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이동 나사통(205)이 전진한다.
그 결과, 이동 나사통(205)의 당해 전진에 따라,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과 함께 전진하고, 도포재(M)가 선통(201)에 대하여 배출되어(즉,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도포재(M)와 함께 전진되어), 도포재(M)가 토출구(201a)로부터 출현한다.
계속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의 상대 회전이 계속되어,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이 선통(201)의 전단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파이프 부재(208)의 돌조(218)의 전면 및 단차(208x)가 선통(201)의 홈부(201c)의 전면 및 단차(201x)에 맞닿고, 파이프 부재(208) 및 이동 나사통(205)의 전진이 정지되며,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정지되고, 이로써, 파이프 부재(208) 및 이동 나사통(205)이 전진 한계에 도달한다.
그리고, 일방향의 상대 회전이 더욱 계속되면, 당해 정지 전보다도 큰 회전력이 조작통(203) 및 이동 나사통(205)에 가해져, 타방의 돌출부(209b)가 일방의 돌출부(209a)를 올라가듯이 슬라이딩하여 넘어, 조작통(203) 및 이동 나사통(205)이 래칫 회전(이른바 “공회전”)된다. 그 결과, 이동체(206)의 수 나사(82) 및 이동 나사통(205)의 암 나사(81)에 의하여 구성된 제2 나사결합부(80)의 나사결합 작용만이 작용하고, 정지한 파이프 부재(208) 내에 있어서 피스톤(207)에 의하여 도포재(M)가 압출되어 전진(즉, 선통(201) 및 파이프 부재(208)에 대하여 도포재(M)가 전진)한다. 그 후,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이 전진 한계에 도달한다(도 3 참조).
한편, 예를 들면, 사용 후의 도포재 압출 용기(200)에 있어서, 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이 회수방향인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이동 나사통(205)의 타방의 돌출부(209b)의 측면(209b2)(도 7 참조)이 조작통(203)의 일방의 돌출부(209a)의 측면(209a2)(도 6 참조)에 맞닿아 회전방향으로 걸려(강고하게 걸어 맞춰져), 조작통(203)과 이동 나사통(205)이 동기 회전한다. 이로써, 이동 나사통(205)과 선통(201)이 상대 회전하고,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기능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이동 나사통(205)이 후퇴한다.
그 결과, 이동 나사통(205)의 당해 후퇴에 따라,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과 함께 후퇴하고, 도포재(M)가 선통(201)에 대하여 회수되며(즉,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도포재(M)와 함께 후퇴되며), 도포재(M)가 토출구(201a) 내에 매립된다.
그리고, 타방향의 상대 회전이 계속되면, 이동 나사통(205)의 수 나사(72)가 선통(201)의 암 나사(71)로부터 빠져,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해제되고, 이동 나사통(205) 나아가서는 파이프 부재(208), 이동체(206) 및 피스톤(207)이 후퇴 한계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부(265)(도 7 참조)의 축소의 탄성력에 의하여 수 나사(72)가 전방측으로 부세되는 점에서, 타방향의 상대 회전이 더욱 계속된 경우, 암 나사(71) 및 수 나사(72)의 걸어 맞춤 및 걸어 맞춤 해제에 의한 클릭이 부여되고, 이동 나사통(205)의 후퇴 한계가 사용자에게 감지됨과 함께,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된 경우에는, 제1 나사결합부(70)가 즉시 나사결합 복귀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도포재 압출 용기(2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재(M)가 파이프 부재(208)의 통공(208s) 내로부터 선통(201)의 통공(201s) 내에 걸쳐 충전되어 있으며, 이 선통(201)의 통공(201s)의 내주면에 있어서는, 그 적어도 도포재(M)가 충전되는 영역이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다.
이로 인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전진할 때, 충전된 도포재(M)는, 통공(201s)의 내주면 형상에 기인하여 붕괴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내주면에 단차 등이 형성되는 경우에, 당해 단차 등에 도포재(M)가 들어가거나 도포되거나 하여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출현시킨 도포재(M)가 팽창하였다고 해도,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후퇴할 때, 단차 등에 도포재(M)가 들어가거나 발리거나 하여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전진 및 후퇴할 때, 도포재(M)의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부드러운 도포재(M)에 대해서도, 확실히 일정량 압출 및 회수할 수 있으며, 또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208)로부터 압출된 도포재(M)에 대해서는,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을 지점으로 하는 힘이나 휨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포재(M)의 파손 등의 붕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은 전방(사용자측)에 위치할 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이 선통(201)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면, 파이프 부재(208)의 선단이 사용자에게 접촉하기 쉬워져, 사용성이 악화되는 것이 우려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은, 그 전진 한계에서 선통(201)의 전단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을, 사용자에게 접촉하기 어려운 범위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사용성을 높이면서, 도포재(M)의 파손 등을 억제하여 형상이 붕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통(203)의 전단 통부(203a)가 이동 나사통(205)의 본체부(205c)에 외부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본체부(205c)의 타방의 돌출부(209b)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외경(R3)은,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의 내경(R4)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그리고, 전단 통부(203a)가 본체부(205c)에 내부삽입된 상태에서는, 이동 나사통(205)이 진퇴하는 동안에 있어서도 항상,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타방의 돌출부(209b)는, 일방의 돌출부(209a)와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도록 하여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에 상시 맞닿아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를 늘리는 일 없이, 전단 통부(203a)(조작통(203))로 본체부(205c)(이동 나사통(205))를 홀딩하도록 하여, 이들 간에서 회전방향으로 저항을 상시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포재 압출 용기(200)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을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하였을 때, 절결(245)에 의한 직경방향의 탄성력으로 타방의 돌출부(209b)가 직경방향 내측에 부세되는 점에서, 타방의 돌출부(209b)의 측면(209b1)이 일방의 돌출부(209a)의 측면(209a1)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올라가듯이 슬라이딩하여, 넘어 당해 걸어 맞춤이 해제된 후, 다시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그 결과, 일방의 돌출부(209a) 및 타방의 돌출부(209b)의 걸어 맞춤 및 걸어 맞춤 해제 시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일방의 돌출부(209a) 및 타방의 돌출부(209b)를, 도포재(M)의 추가적인 전진을 감지시키는 클릭 기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방의 돌출부(209a) 및 타방의 돌출부(209b)를, 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의 일방향의 상대 회전만을 허용하는 래칫 기구(209)로서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205c)의 타방의 돌출부(209b)의 주위에 절결(245)을 형성하여 타방의 돌출부(209b)에 탄성력을 부여하였지만, 이 대신에 혹은 추가하여, 전단 통부(203a)의 일방의 돌출부(209a)의 주위에 절결을 형성하여 일방의 돌출부(209a)에 탄성력을 부여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단 통부(203a)가 본체부(205c)에 외부삽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일방의 돌출부(209a)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내경이 본체부(205c)의 외주면(275)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전단 통부(203a)가 본체부(205c)에 외부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일방의 돌출부(209a)가 외주면(275)에 상시 맞닿아 있어도 된다.
도 15는 도 11의 선통에 있어서의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일부 확대화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D-D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201)은, 통형상의 통형상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주면(201d)으로 뻗은 돌기형상으로서의 암 나사(71)를 가지고 있다. 암 나사(71)는, 선통(201)의 둘레 벽을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개구부(211)와 연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11)를 향하는 측방에서 볼 때(도 11 및 도 16 참조), 개구부(211)는 사각형이며, 개구부(211)의 후측 가장자리(후측의 변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일변(211a)은, 암 나사(71)가 그리는 궤적을 따라 뻗어 있다. 즉, 일변(211a)은, 암 나사(71)가 그리는 궤적과 대략 동일한 선이며, 암 나사(71)와 대략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고 뻗어 있다. 환언하면, 개구부(21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개구부(211)는, 암 나사(71)의 연재방향에 대한 경사와 대략 동일한 경사를 일변(211a)에 가지고 있다. 개구부(211)의 후측의 개구면(211x)은, 암 나사(71)의 전단면(71x)과 이어지도록(동일 평면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개구부(211)를 향하는 측방에서 볼 때, 개구부(211)의 변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또한 일변(211a)의 양단에 접속된 한 쌍의 측변(211b, 211b)은, 축선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선통(201)의 내주면에 있어서는, 개구부(211)의 변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또한 일변(211a)과 마주 보는 전방측 가장자리(전방측의 변 가장자리)로서의 대향변(21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 나사(71)의 높이 이상의 단차부(201k)가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선통(201)의 내경은,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 감에 따라(일변(211a)측으로부터 대향변(211c)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차부(201k)를 통하여 축경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선통(20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도 11의 선통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다만, 도 17 중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통(201)의 전방측 테이퍼 부분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몰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외측면에 소정의 몰드형상을 가지는 코어 핀(50)을 준비한다. 또, 내측면에 소정의 몰드형상을 가지는 금형(성형 외형)으로서, 상측 분할몰드인 슬라이드(61)와, 하측 분할몰드인 슬라이드(62)를 준비한다. 그리고, 코어 핀(50)이 소정으로 둘러 싸이도록 슬라이드(61, 62)를 조합하여 배치하고, 코어 핀(50)과 슬라이드(61, 62)와의 사이의 간극에 용융 수지를 사출한다. 이로써, 당해 간극에 용융 수지가 흘러 들어가고, 그 후, 용융 수지가 고화됨으로써, 선통(201)이 성형된다.
여기에서, 코어 핀(50)은, 계단식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선통(201)의 단차부(201k)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된 단차부(51)를 가지고 있다. 코어 핀(50)은, 단차부(51)보다 전방측이 후측에 대하여 축경되어 있다. 코어 핀(50)의 외주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180° 회전 전사된 2개소에는, 암 나사(71) 및 개구부(211)를 성형하기 위한 개구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오목부(52)는, 단차부(51)에 연달아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 오목부(52)는, 단차부(51)의 가장자리로부터 후측에 마련되어, 직경방향 외측 및 축선방향 전방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개구 오목부(52)는, 그 대향하는 방향(도시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서 볼 때 개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 오목부(52)는, 둘레방향에 대한 나선방향을 따라 뻗는 후측 가장자리와, 축선방향을 따라 뻗는 양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개구 오목부(52)의 후측 가장자리는, 개구 오목부(52)를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암 나사(71)가 그리는 궤적을 따라 뻗어 있다. 개구 오목부(52)의 후벽면은, 암 나사(71)의 후단면(71y)(도 15 참조)에 대응한다. 이 개구 오목부(52)의 깊이(직경방향의 치수)는, 단차부(51)의 높이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환언하면, 단차부(51)의 높이는, 개구 오목부(52)의 깊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61, 62)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개구부(211)를 성형하기 위한 볼록부분(63)을 각각 가지고 있다. 볼록부분(63)은, 개략 직사각형상이며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분(63)은, 개구부(211)의 대향변(211c)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뻗는 전방측 가장자리와, 개구부(211)의 후측 가장자리의 일변(211a)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에 대한 나선방향을 따라 뻗는 후측 가장자리와, 개구부(211)의 측변(211b)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축선방향을 따라 뻗는 양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볼록부분(63)의 후측 가장자리는, 암 나사(71)가 그리는 궤적을 따라 뻗어 있다. 볼록부분(63)의 선단면(직경방향 내측의 면)은, 개구 오목부(52)의 바닥면과 동일한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부분(63)은, 코어 핀(50)에 슬라이드(61, 62)를 조합하였을 때, 그 전방측 가장자리가 코어 핀(50)의 단차부(5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태로, 코어 핀(50)의 개구 오목부(52) 내에 배치됨과 함께, 그 선단면이 개구 오목부(52)의 바닥면에 맞닿는다. 이로써, 개구 오목부(52) 내에 있어서 볼록부분(63)과의 사이에, 암 나사(71)의 형상에 상당하는 소정 공간이 구획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성형 후(즉, 소정 공간에 용융 수지가 충전·고화되어 암 나사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는, 슬라이드(61)의 볼록부분(63)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빠지도록 하여 당해 슬라이드(61)를 상측으로 개방함과 함께, 슬라이드(62)의 볼록부분(63)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빠지도록 하여 당해 슬라이드(62)를 하측으로 개방한다. 또, 코어 핀(50)을 축선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시켜, 선통(201) 내로부터 빼낸다. 이로써, 선통(201)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통(201)의 개구부(211)를 이용함으로써, 1개의 코어 핀(50)을 이용하고 또한 당해 코어 핀(50)을 회전하여 빼내는 일 없이, 또한, 코어 핀(50)을 무리하게 빼내는 일 없이, 제1 나사결합부(70)의 암 나사(71)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재 압출 용기(200)의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211)를 향하는 측방에서 볼 때 한 쌍의 측변(211b)은, 축선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언더컷형상의 암 나사(71)를 성형할 때, 무리하게 빼내는 일 없이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통(201)의 내주면에는, 대향변(21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 나사(71)의 높이 이상의 단차부(201k)가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선통(201)의 내경은, 단차부(201k)를 통하여 전방측이 축경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언더컷형상의 암 나사(71)를 성형할 때, 무리하게 빼내는 일 없이 용이하게 이형하는 것이 더욱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211)는, 선통(201)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180° 회전 전사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선통(201)의 성형 시, 슬라이드(61, 62)를 이용하여 상하 2방향으로 개방되는, 이른바 2방향 분할을 실시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부(211)의 한 쌍의 측변(211b)은, 전방측으로 감에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뻗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예를 들면 언더컷형상의 암 나사(71)를 성형할 때에, 무리하게 빼내는 일 없이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덧붙여서, 코어 핀(50)을 전방으로 빼내도록 하여 암 나사(71)를 형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개구부(211)의 전방측의 내측면이 암 나사(71)의 후단면과 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 나사(71)의 후단면(71y)(도 16 참조)은, 그 둘레방향의 일단측(본체통(202)과 조작통(20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수 나사(72)와 먼저 걸어 맞춰지는 측)이, 당해 일단측으로 감에 따라 암 나사(71)의 축선방향의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져도 된다. 환언하면, 둘레방향의 일단측이 점점 가늘어 지도록, 암 나사(71)의 후단면(71y)에 있어서 둘레방향 일단측이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암 나사(71)와 수 나사(72)를 용이하게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종래,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30531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와, 본체의 선단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선통과, 선통에 수용됨과 함께 내부에 막대형상체(도포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전된 파이프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선통과 본체가 상대 회전되면, 제1 나사결합부(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가 막대형상체와 함께 전진되고, 제2 나사결합부(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선통 및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막대형상체가 전진되며, 그 결과, 막대형상체가 사용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통상, 나사결합부의 암 나사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 성형 후에 코어 핀(중심)을 회전하여 빼낼 필요가 있는 점에서, 성형 시간이 걸림과 함께 금형도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한 쌍의 코어 핀을 서로 맞댐으로써 암 나사를 사출 성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39173호 참조). 그러나 이 경우, 코어 핀을 회전하여 빼낼 필요는 없어지지만, 코어 핀의 선단 형상이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한 도포재 압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는,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를 포함하는 용기 내에 이동체 및 나사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전측부와 상기 용기 후측부를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이 기능하여 상기 이동체가 전진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 통형상의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통형상 부재의 내주면에서 나선형상으로 뻗는 돌조로서의 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통형상 부재의 둘레 벽에는, 그 둘레 벽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 나사는, 상기 개구부와 연속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측방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의 변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일변은, 상기 암 나사가 그리는 궤적을 따라 뻗는다.
이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개구부를 이용함으로써, 1개의 코어 핀을 이용하고 또한 당해 코어 핀을 회전하여 빼내는 일 없이, 나사결합부의 암 나사를 성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금형 및 코어 핀을 서로 장착하였을 때, 금형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내측의 볼록부분과, 코어 핀에 의하여 암 나사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을 구획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 후(즉, 소정 공간에 용융 수지가 충전·고화되어 암 나사가 형성된 후)에 있어서는, 금형의 볼록부분이 빠지도록 하여 그 금형을 분리함과 함께, 코어 핀을 축선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딩시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상기 개구부는, 그 후측의 내측면이 상기 암 나사의 전단면과 이어지도록, 또는, 그 전방측의 내측면이 상기 암 나사의 후단면과 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측방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의 변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일변의 양단에 접속된 한 쌍의 측변은, 축선방향을 따라 뻗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언더컷형상의 암 나사를 성형할 때에, 무리하게 빼내는 일 없이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상기 통형상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변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일변과 마주 보는 대향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암 나사의 높이 이상의 단차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통형상 부재의 내경은, 상기 일변측으로부터 상기 대향변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를 통하여 축경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언더컷형상의 암 나사를 성형할 때, 무리하게 빼내는 일 없이 용이하게 이형하는 것이 더욱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통형상 부재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180° 회전 전사된 2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이른바 2방향 분할(금형으로서 상하 2방향으로 개방되는 분할몰드를 이용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조의 용이화가 가능한 도포재 압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 대하여, 도 18~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도포재 압출 용기(200)와 동일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조작통을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이동 나사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의 래칫 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횡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재 압출 용기(300)는, 조작통(203) 대신에 조작통(303)을 구비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재 압출 용기(300)는, 이동 나사통(205) 대신에 이동 나사통(30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통(303)은, 이동 나사통(305) 및 조작통(303)의 상대 회전을 일방향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209)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1 래칫 치로서, 일방의 돌출부(309a)를 복수 가지고 있다. 일방의 돌출부(309a)는, 전단 통부(203a)의 내주면(223)에 있어서 둘레방향 12등배의 위치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돌출부(309a)는, 본체통(202)과 조작통(30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후술의 타방의 돌출부(309b)와 맞닿는 맞닿음면(11)을 포함하고 있다. 일방의 돌출부(309a)에 있어서 맞닿음면(11)의 전방측 부분으로서의 측면(12x)은, 맞닿음면(11)의 후측 부분으로서의 측면(13x)보다 둘레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측면(12x)의 둘레방향의 경사 정도가, 측면(13x)의 둘레방향의 경사 정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돌출부(309a)에 있어서의 축선방향 중앙부의 후방 가까이로부터 전단에 걸친 전측부(14)는, 축선방향에서 볼 때 산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전측부(14)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일방측(본체통(202)과 조작통(30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타방의 돌출부(309b)와 맞닿는 측)의 측면(12x)은, 산형이 되도록 내주면(223)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음과 함께, 둘레방향의 타방측(본체통(202)과 조작통(303)을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타방의 돌출부(309b)와 맞닿는 측)의 측면(12y)은, 내주면(223)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방의 돌출부(309a)에 있어서의 축선방향 중앙부의 후방 가까이로부터 후단에 걸친 후측부(15)는, 축선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후측부(15)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일방측의 측면(13x) 및 타방측의 측면(13y)은, 내주면(223)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나사통(305)은, 래칫 기구(209)의 타방을 구성하는 제2 래칫 치로서, 타방의 돌출부(309b)를 가지고 있다. 이 타방의 돌출부(309b)는, 절결(245)에 의하여 직경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타방의 돌출부(309b)는, 축선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방의 돌출부(309b)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의 측면(16)은, 외주면(275)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포재 압출 용기(300)에서는, 본체통(202)과 조작통(303)이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나사통(305)의 타방의 돌출부(309b)의 측면(16)이, 조작통(303)의 일방의 돌출부(309a)에 있어서의 후측부(15)의 측면(13x)에 맞닿아 회전방향으로 걸린다(강고하게 걸어 맞춰진다). 이로써, 조작통(303)과 이동 나사통(305)이 동기 회전하고, 이동 나사통(305)과 선통(201)이 상대 회전하며,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기능하여 선통(201)(및 조작통(303))에 대하여 이동 나사통(305)이 전진한다.
일방향의 상대 회전이 계속되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돌출부(309b)의 측면(16)이 일방의 돌출부(309a)에 있어서의 전측부(14)의 측면(12x)에 맞닿아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지고, 이어서 조작통(303)과 이동 나사통(305)이 동기 회전하여,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으로 이동 나사통(305)이 더욱 전진한다. 그 후, 이동 나사통(305)의 전진이 정지되고,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정지되어, 이동 나사통(305)이 전진 한계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일방향의 상대 회전이 더욱 계속되면, 당해 정지 전보다 큰 회전력이 조작통(303) 및 이동 나사통(305)에 가해져, 타방의 돌출부(309b)가 일방의 돌출부(309a)의 측면(12x)을 올라가듯이 슬라이딩하여 넘어, 조작통(303)과 이동 나사통(305)이 상대 회전(공회전)되게 된다.
한편, 본체통(202)과 조작통(303)이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타방의 돌출부(309b)의 측면(16)이 일방의 돌출부(309a)의 측면(12y) 또는 측면(13y)에 맞닿아 회전방향으로 걸림 고정되어, 조작통(303)과 이동 나사통(305)이 동기 회전한다. 이로써, 이동 나사통(305)과 선통(201)이 상대 회전하고, 제1 나사결합부(70)의 나사결합 작용이 기능하여 선통(201)(및 조작통(303))에 대하여 이동 나사통(305)이 후퇴하게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도포재 압출 용기(300)에서는, 본체통(202)과 조작통(303)을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 먼저, 맞닿음면(11)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경사 정도가 작은 후측 부분의 측면(13x)을 통하여 돌출부(309a, 309b)가 서로 맞닿는다. 따라서, 돌출부(309a, 309b)를 서로 걸림 고정시켜 이동 나사통(305) 및 조작통(303)을 동기 회전시키고, 이동 나사통(305)을 전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하였을 때, 맞닿음면(11)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경사 정도가 작은 전방측 부분의 측면(12x)을 통하여 돌출부(309a, 309b)가 서로 맞닿는다. 따라서, 타방의 돌출부(309b)를 측면(12x) 상에서 올라가듯이 슬라이딩시키고, 이동 나사통(305) 및 조작통(303)을 상대 회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나사결합부(70)의 파손 등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동 나사통(305) 및 조작통(303)의 동기 회전 및 상대 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의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를 포함하는 용기 내에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이동 나사통을 구비하고,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를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으로 이동 나사통이 용기 후측부에 대하여 전진하여 정지되는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 나사통의 동작을 확실하게 제어하는 것이나, 나사결합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 등을 위하여,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이동 나사통 및 용기 후측부의 동기 회전 및 상대 회전(공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 나사통 및 용기 후측부의 동기 회전 및 상대 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도포재 압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도포재 압출 용기는,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를 포함하는 용기 내에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이동 나사통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전측부와 상기 용기 후측부를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 상기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으로 상기 이동 나사통이 상기 용기 후측부에 대하여 전진하여 정지되는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 상기 이동 나사통 및 상기 용기 후측부의 상대 회전을 일방향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나사통은, 상기 래칫 기구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1 래칫 치를 가지며, 상기 용기 후측부는, 상기 래칫 기구의 타방을 구성하는 제2 래칫 치를 가지고, 상기 제2 래칫 치는, 상기 용기 전측부와 상기 용기 후측부를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래칫 치와 둘레방향으로 맞닿는 맞닿음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은,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후측 부분보다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된다.
이 도포재 압출 용기에서는,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를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였을 때, 먼저, 맞닿음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경사 정도가 작은 후측 부분에서 제1 및 제2 래칫 치가 맞닿는 점에서, 이들을 걸림 고정시켜 이동 나사통 및 용기 후측부를 동기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나사통을 전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하였을 때, 맞닿음면에 있어서 경사정도가 작은 전방측 부분에서 제1 및 제2 래칫 치가 걸어 맞춰지는 점에서, 제2 래칫 치가 제1 래칫 치를 올라가듯이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나사통 및 용기 후측부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포재 압출 용기에 의하면, 이동 나사통 및 용기 후측부의 동기 회전 및 상대 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래칫 치의 후측 부분은, 축선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래칫 치의 전방측 부분은, 축선방향에서 볼 때, 둘레방향 일방측의 측면이 상기 용기 후측부의 내주면의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둘레방향 타방측의 측면이 상기 탄젠트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는 산형 단면을 가져도 된다. 또, 상기 제1 래칫 치는, 직경방향에 탄성을 가지고 또한 축선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 단면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경우, 이동 나사통 및 용기 후측부의 동기 회전 및 상대 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하는 상기 효과가 적합하게 나타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하거나, 또는 다른 것에 적용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포재(M)로서는, 예를 들면, 립글로스, 립스틱, 아이 컬러, 아이라이너, 미용액, 세정액, 네일 에나멜, 네일 케어 용액, 네일 리무버, 마스카라, 안티에이징, 헤어 컬러, 두발용 화장료, 오랄 케어, 마사지 오일, 피지 제거액, 파운데이션, 컨실러, 스킨 크림, 마킹 펜 등의 필기용구 등의 잉크, 액상의 의약품, 진흙형상물 등을 비롯한 액상의 도포재를 이용한 도포재 압출 용기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통(202) 및 조작통(203)이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70, 80)의 나사결합 작용의 협동에 의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도포재(M)와 함께 전진하여도 되고, 마찬가지로,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70, 80)의 나사결합 작용의 협동에 의하여 선통(201)에 대하여 파이프 부재(208)가 도포재(M)와 함께 후퇴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70, 80)를 구비하고 있지만, 1개의 나사결합부만을 구비하고 당해 1개의 나사결합부에 의하여 도포재(M)를 압출하여도/회수하여도 된다.
다만, 상기에 있어서, “나사결합 작용의 해제”란, 수 나사와 암 나사와의 나사산끼리의 걸어 맞춤이 풀려, 나사결합 작용이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나사결합 작용의 정지”란, 수 나사와 암 나사와의 나사산끼리가 걸어 맞춰져 맞물린 상태로 맞닿아 나사결합이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나사결합 복귀”란, 수 나사가 암 나사의 나사산의 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되돌아오는 단계를 의미하고 있다.
또,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과 선통(201)의 전단에 있어서의 “대략 동일 위치”란, 완전하게 동일한 위치에 더해, 대략 동일한 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설계상, 제조상이나 장착상의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파이프 부재(208)의 전단이, 선통(201)의 전단에 대하여 다소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대략 동일한 선 또는 경사각”이란, 완전하게 동일한 선 또는 경사각에 더해, 대략 동일한 선 또는 경사각을 포함하고 있으며, 설계상, 제조상이나 장착상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일변(211a), 측변(211b) 및 대향변(211c)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직선 이외에 곡선 또는 자유 곡선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수 나사 및 암 나사는, 나사산이나 나사홈뿐만 아니라,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군, 또는 나선형상 또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군과 같이 나사산이나 나사홈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포재(M)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선통(201)의 통공(201s)이나 파이프 부재(208)의 통공(208s)의 단면 내경형상이 되지만, 원형 단면에 더해 타원형, 트랙형, 및, 정점을 둥글게 한 다각형 및 물방울형 등의 다양한 비원형 단면 형상도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도포재 압출 용기(200)를 제조(성형)하기 위한 제조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70: 제1 나사결합부(나사결합부)
80: 제2 나사결합부(나사결합부)
200, 300: 도포재 압출 용기
201a: 토출구(개구부)
201: 선통(용기 전측부)
201s: 통공
202: 본체통(용기 전측부)
203, 303: 조작통(용기 후측부)
208: 파이프 부재
208s: 통공
M: 도포재

Claims (3)

  1. 용기 내에 나사결합부를 구비하고, 도포재를 압출하여 사용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로서,
    상기 도포재는 막대형상 화장료이며,
    통형상을 이루어 선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선통과,
    상기 선통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삽입된 파이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정지시키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전단은 상기 선통의 전단보다 일정량 후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도포재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통공 내로부터 상기 선통의 통공 내에 걸쳐 충전되며,
    상기 선통의 통공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도포재가 충전되는 영역의 내측면 전체가 축선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균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나사 결합부는 상기 선통에 상기 도포재가 충전되는 영역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고,
    용기 전측부와 용기 후측부가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상기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선통에 대하여 상기 파이프 부재가 상기 도포재와 함께 전진하며,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되면, 상기 파이프 부재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선통 및 상기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상기 도포재가 전진하고,
    상기 용기 전측부와 상기 용기 후측부가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상기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선통에 대하여 상기 파이프 부재가 상기 도포재와 함께 후퇴하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상기 선통의 전단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선통에 있어서의 상기 도포재가 충전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상기 선통의 전단까지의 내주면은 단차 없이 매끄러운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전단은, 그 전진 한계에 있어서, 상기 선통의 전단과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전측부와 상기 용기 후측부가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상기 제1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선통에 대하여 상기 파이프 부재가 상기 도포재와 함께 전진하며, 일방향으로 더욱 상대 회전되면, 상기 제2 나사결합부의 나사결합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선통 및 상기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상기 도포재가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재 압출 용기.
KR1020140088428A 2013-07-29 2014-07-14 도포재 압출 용기 KR101750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6453 2013-07-29
JP2013156453 2013-07-29
JPJP-P-2014-031678 2014-02-21
JP2014031678A JP5895257B2 (ja) 2013-07-29 2014-02-21 塗布材押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373A KR20150014373A (ko) 2015-02-06
KR101750360B1 true KR101750360B1 (ko) 2017-06-23

Family

ID=5233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428A KR101750360B1 (ko) 2013-07-29 2014-07-14 도포재 압출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32635B2 (ko)
JP (1) JP5895257B2 (ko)
KR (1) KR101750360B1 (ko)
CN (1) CN104337209B (ko)
FR (1) FR3008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4348B2 (en) * 2013-07-29 2016-10-25 Tokiwa Corporatio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6281068B2 (ja) * 2015-07-01 2018-02-21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101855922B1 (ko) * 2016-09-22 2018-05-23 펌텍코리아(주)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JP7060861B2 (ja) * 2017-09-15 2022-04-27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FR3071389B1 (fr) * 2017-09-28 2022-06-24 Reboul S A S Mecanisme tournant d'un etui cosmetique
JP2022129906A (ja) * 2021-02-25 2022-09-06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繰出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526A (ja) * 2010-06-22 2012-01-12 Tokiwa Corp 塗布材押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2676B1 (fr) * 1989-02-07 1991-06-21 Oreal Distributeur a piston pour produit pateux ou solide
JP3725205B2 (ja) * 1995-06-05 2005-12-07 鈴野化成株式会社 棒状材繰出容器
JP3837681B2 (ja) * 1997-05-22 2006-10-2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固形糊容器
JP4253889B2 (ja) * 1998-12-14 2009-04-15 株式会社カツシカ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3050548B1 (ja) * 1999-03-31 2000-06-12 鈴野化成株式会社 化粧材容器のカ―トリッジおよび化粧材容器
JP2002085154A (ja) * 2000-09-11 2002-03-26 Shiseido Co Ltd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4499811B2 (ja) * 2008-05-28 2010-07-07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JP4355753B1 (ja) 2008-10-29 2009-11-04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JP6393923B2 (ja) * 2014-07-04 2018-09-26 株式会社トキワ 棒状物繰出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526A (ja) * 2010-06-22 2012-01-12 Tokiwa Corp 塗布材押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0371A1 (en) 2015-01-29
CN104337209B (zh) 2017-07-28
FR3008868B1 (fr) 2018-10-19
US9532635B2 (en) 2017-01-03
JP2015043961A (ja) 2015-03-12
JP5895257B2 (ja) 2016-03-30
CN104337209A (zh) 2015-02-11
FR3008868A1 (fr) 2015-01-30
KR20150014373A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360B1 (ko) 도포재 압출 용기
KR101647652B1 (ko) 도포재 압출 용기
JP4355753B1 (ja) 塗布材押出容器
JP5108919B2 (ja) 充填物押出容器
US7731440B2 (en) Application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and forming method of application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US8104984B2 (en) Filled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US20090123213A1 (en) Stick-Shaped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5393599B2 (ja) 塗布材押出容器
US9474348B2 (e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4921277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6561278B2 (ja) 塗布材押出容器
KR101695661B1 (ko) 도포재 압출 용기
JP2008043591A (ja) 棒状物押出容器
JP4939334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5895261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4410293B1 (ja) 塗布材押出容器
JP7060861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5421084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5887584B2 (ja) 繰出容器
JP2019103554A (ja) 化粧料繰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