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820B1 -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820B1
KR101749820B1 KR1020150155116A KR20150155116A KR101749820B1 KR 101749820 B1 KR101749820 B1 KR 101749820B1 KR 1020150155116 A KR1020150155116 A KR 1020150155116A KR 20150155116 A KR20150155116 A KR 20150155116A KR 101749820 B1 KR101749820 B1 KR 10174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sidual pressure
spring
spool valv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56A (ko
Inventor
송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8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5Solenoid valve using PWM or duty-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8Proportional solenoid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의 인가로 생성된 자기력 F_magnetic과 힘 균형을 형성하는 스프링력 F_spring이 형성된 유로부(20)에 스풀밸브 어셈블리(25)가 더 포함되고, 스풀밸브 어셈블리(25)는 자기력 F_magnetic과 스프링력 F_spring에 더해 피드백유로(21-3)의 바이패스 제어압 Psol'이 형성하는 P잔압(잔압 제어압)과 힘 균형을 이루는 잔압 스프링력 Fs'이 생성되고, 전류의 해제시 잔압 스프링력 Fs'과 잔압 제어압(P잔압)의 힘 균형으로 드레인유로(21-4)가 차단되어 상기 유로의 잔압을 유지시켜줌으로써 전원 미 인가시에도 제어측 유압이 약 0.1~0.3 bar의 잔압 수준으로 유지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Residual Pressure Remaining type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and Automatic Transmission therof}
본 발명은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이하 VFS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미 인가시 제어측 유압을 잔압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또는 무단변속기에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주요 형태로는 변속제어유닛으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온/오프 타입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타입, 변속제어유닛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을 위한 듀티 제어신호 출력에 맞춰 구동부 역시 출력 듀티에 비례하는 전류의 양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는 VFS타입 등이 있다.
특히, VFS 밸브는 자동 변속기 또는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는 라인 압력 가변제어 시스템의 유압 응답성과 라인 압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국내특허공개공보 10-2007-0076938(2007.07.25)
하지만, 상기 VFS 밸브는 자동변속기의 각 작동요소인 Clutch와 Brake류를 제어하는 제어압을 공급하는 제어측 유로에 제어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제어유로는 드레인유로(Ex유로)와 연결됨으로써 시간 경과 후 작동하지 않은 유로에서 유체가 누유(leak)된다. 그러므로, 실제 변속을 위하여 제어압을 인가 할 경우, 유로 내에 비어있는 공간을 제어압이 채우는데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자동변속기의 반응속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자동변속기의 밸브바디(50-1)의 유로에 장착된 VFS밸브(100)의 드레인유로(Ex유로)에는 도 4와 같이 0.2~0.3 kgf/cm2 수준의 잔압을 유지해주는 잔압밸브(200)가 적용됨으로써 제어의 반응속도를 높여 주지만, 상기 잔압밸브(200)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인 밸브바디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밸브의 유로부측 스플 밸브를 슬리브로 구분함과 더불어 잔압 유지용 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잔압 유지용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한 슬리브 이동으로 제어측 유압을 잔압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잔압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의 인가로 생성된 자기력 F_magnetic으로 밀려나는 로드가 수용된 하우징을 갖춘 전장부, 상기 자기력 F_magnetic으로 압축되어 유로로 유입된 공급압 Ps이 제어압유로를 통해 제어압 Psol으로 나가도록 스프링력 F_spring을 형성해 주는 플랜지를 갖춘 유로부가 포함되고; 상기 유로부에는 상기 자기력 F_magnetic과 상기 스프링력 F_spring에 더해 잔압 스프링력 Fs'이 작용하고, 상기 전류의 해제시 상기 제어압의 피드백으로 형성된 잔압제어압 P잔압에 대한 상기 잔압 스프링력 Fs'의 힘 균형으로 상기 유로의 드레인유로가 차단되어 상기 유로내 잔존하는 상기 제어압 Psol의 잔압 유지 작용을 하는 스풀밸브 어셈블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잔압 스프링력 Fs'과 상기 잔압제어압 P잔압의 힘 균형은 상기 잔압 유지의 압력을 0.1~0.3 bar로 형성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풀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자기력 F_magnetic과 상기 스프링력 F_spring을 좌우양쪽에서 직접 받는 스풀밸브, 상기 잔압 스프링력 Fs'을 직접 받도록 상기 스풀밸브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풀밸브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잔압 스프링력 Fs'을 발생하는 잔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풀밸브는 상기 스프링력 F_spring을 생성하는 스풀밸브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풀 바디 스프링 홈이 파여진 스풀밸브바디, 상기 스풀밸브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된 스풀 랜드로 구성된다. 상기 스풀 랜드는 상기 슬리브가 결합되는 단차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스냅링 홈을 형성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잔압 스프링은 상기 전장부에 탄발 지지되어 상기 슬리브로 상기 잔압 스프링력 Fs'을 가한다.
바림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재는 스냅링, 어댑터, 스크류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는 전류의 인가로 생성된 자기력 F_magnetic으로 밀려나는 로드가 수용된 하우징을 갖춘 전장부와, 상기 자기력 F_magnetic과 힘 균형을 형성하는 스프링력 F_spring으로 유로로 유입된 공급압 Ps이 제어압유로를 통해 제어압 Psol으로 나가는 플랜지를 갖춘 유로부 및 상기 자기력 F_magnetic에 더해 상기 스프링력 F_spring과 힘 균형을 이루는 잔압 스프링력 Fs'이 작용하고, 상기 전류의 해제시 상기 잔압 스프링력 Fs'과 상기 스프링력 F_spring의 힘 균형으로 상기 유로의 드레인유로가 차단되어 상기 유로내 잔존하는 상기 제어압 Psol의 잔압 유지 작용을 하는 스풀밸브 어셈블리로 구성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이어지는 작동요소유로가 형성되고,상기 제어압 Psol이 상기 작동요소유로 공급되는 밸브 바디;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VFS 밸브는 잔압유지 스프링을 스플밸브 및 슬리브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VFS 밸브의 자체에서 잔압유지를 하므로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인 밸브바디는 별도의 잔압밸브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절감효과를 갖는다. 둘째, 밸브바디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으며, 유압회로도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셋째,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의 layout 설계 시 Size 축소 및 설계자유도를 증대 시킬 수 있다. 넷째, VFS 밸브에 외란을 야기시킬 수 있는 외부 적용 잔압밸브의 적용없이 잔압기능이 통합됨으로써 자동변속기의 스플 밸브간 상호연관성을 축소하고, 특히 유압문제 발생 시 원인 추적이 수월해 진다. 다섯째, 자동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유압성능에 직결된 VFS 밸브의 기능을 확대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여섯째, VFS 밸브의 자체적인 잔압 유지기능은 일반 Short형 VFS 및 대유량 VFS N/H. N/L 모두 적용가능한 범용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공급 시 스풀밸브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차단 시 스풀밸브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이고, 도 4는 잔압 밸브와 연계되어 잔압을 유지하는 종래에 따른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잔압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이하 VFS밸브)(1)는 전장부(10)와 유로부(20)로 구분되고, 작동요소인 Clutch와 Brake류를 제어하는 제어압을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바디(50-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장부(10)는 하우징(12)을 이용해 유로부(20)의 축 방향으로 이어지고, 커넥터(11)에 인가된 전원으로 자기력을 형성하는 요크(13), 코일(14), 보빈(15)이 하우징(12)에 구비되며, 하우징(12)의 내부에 구비된 코어(16)와 플런저(18)에 연계되어 자기력으로 축방향 전진 이동됨으로써 유로부(20)의 유로를 개폐하는 로드(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11)와 상기 하우징(12), 상기 요크(13), 상기 코일(14), 상기 보빈(15), 상기 코어(16), 상기 로드(17) 및 상기 플런저(18)는 VFS 밸브(1)의 통상적인 전장부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부(20)는 하우징(12)과 연결되어 전장부(10)의 축방향으로 이어진 중공의 플랜지(21), 플랜지(21)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스풀밸브 스프링(23)를 탄발 지지하는 캡(24), 플랜지(21)에 수용되어 로드(17)의 자기력과 스풀밸브 스프링(23)의 스프링력이 좌우 양끝부위로 작용하는 스풀밸브 어셈블리(25)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플랜지(21)에는 작동요소인 Clutch와 Brake류를 제어하는 제어압이 공급되는 다수의 유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밸브 바디(50-1)와 연계된다. 상기 유로는 밸브바디(50)에서 공급압이 플랜지(21)로 들어오는 필터(22)가 적용된 공급압유로(21-1), 플랜지(21)에서 밸브바디(50)로 제어압이 나가는 필터(22)가 적용된 제어압유로(21-2), 제어압이 플랜지(21)로 다시 복귀되는 피드백유로(21-3), 전원 미인가 시 플랜지(21)에서 밸브바디(50)로 잔존 제어압이 나가는 드레인유로(21-4), 플랜지(21)의 전단과 후단부위로 각각 형성된 전,후 리크유로(21-5a,21-5b)로 구분된다. 상기 공급압유로(21-1)와 상기 제어압유로(21-2), 상기 피드백유로(21-3), 상기 드레인유로(21-4) 및 상기 전,후 리크유로(21-5a,21-5b)는 VFS 밸브(1)의 통상적인 유로부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일례로, 상기 스풀밸브 어셈블리(25)는 스풀밸브(26), 슬리브(27), 고정부재(28), 잔압 스프링(29)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밸브(26)가 VFS 밸브(1)의 유로부(20)측 스플 밸브로 작용하면서 잔압 스프링(29)의 스프링력으로 제어측 유압을 잔압 수준으로 제어한다. 이 경우, 잔압 수준은 전원 미 공급에 의한 전류 해제시 제어압이 대기압으로 낮아지지 않는 약 0.1~0.3 bar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풀밸브(26)는 스풀밸브바디의 한쪽 끝부위에 스풀 바디 스프링 홈(26-1)을 파서 스풀밸브 스프링(23)이 삽입되고, 반대쪽 끝부위에 스풀 랜드(26-2)를 단차지도록 연장하여 슬리브(27)가 결합됨과 더불어 스냅링 홈(26-3)을 매개로 고정부재(28)가 고정된다. 상기 스풀 랜드(26-2)의 단차는 직경차를 이용한 단차외경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스풀 랜드(26-2)에 적용된 단차구조는 선정된 잔압 스프링(29)의 외경과 내경을 고려하여 형성됨으로써 슬리브(27)가 끼워져 슬라이동 이동되는 구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잔압 스프링(29)에 의한 외란 축소에 기여된다. 또한, 상기 스풀 랜드(26-2)의 전장 길이는 플랜지(21)의 유로에 대한 간극(underlap, overlap 량)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27)는 스풀 랜드(26-2)의 단차부에 끼워져 스풀 랜드(26-2)에서 고정부재(28)로 제한되는 슬라이딩 이동이 일어나도록 축방향의 단차 내경을 형성하고, 원주방향으로 리크 드레인 홀(27-1)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슬리브(27)는 스풀 랜드(26-2)의 단차외경에 일치하는 상기 단차내경을 이중 동심원으로 형성한다. 상기 리크 드레인 홀(27-1)은 상기 단차내경이 단차진 부위에서 슬리브(27)의 원주방향으로 뚫려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28)는 스냅링(Snap-Ring)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냅링은 스냅링 홈(26-3)에 끼워져 스풀 랜드(26-2)와 결합됨으로써 스풀 랜드(26-2)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리브(27)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28)는 슬리브(27)의 최종 형상에 맞춰 어댑터 또는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압 스프링(29)은 슬리브(27)를 탄발 지지함으로써 VFS(1)의 전장부(10)에 공급된 전류 해제시 잔압 스프링력을 스풀밸브(26)에 가하여 스풀밸브(26)가 유로부(20)의 제어압을 약 0.1~0.3 bar의 잔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준다. 이를 위해, 전장부(10)의 자기력과 유로부(20)의 스프링력은 상기 잔압 스프링(29)의 잔압 스프링력에 맞춰 재설정하거나 적절한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잔압 스프링(29)은 전장부(10)의 코어(16)에 돌출된 보스 형상과 슬리브(27)를 이용해 탄발 지지됨으로써 전장부(10)와 유로부(20)의 사이로 구비된다.
한편, 도 2는 전원 공급된 VFS(1)에서 스풀밸브 어셈블리(2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VFS(1)에 공급된 전원은 전장부(10)에 자기력 F_magnetic을 형성함으로써 로드(17)가 점선 표시된 위치와 같이 자기력 F_magnetic으로 밀려나고, 밀려난 로드(17)는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스플밸브(26)를 점선 표시된 위치와 같이 밀어냄으로써 스플밸브(26)는 스풀밸브 스프링(23)의 스프링력 F_spring을 이겨내고 밀려난다. 그러면, 점선의 화살 표시된 위치와 같이 공급압 Ps는 공급압유로(21-1)로 들어와 제어압 Psol로 제어압유로(21-2)로 빠져 나가고, 밸브 바디(50-1)의 유로 조건에 따라 제어압 Psol중 일부는 바이패스 제어압 Psol'로 피드백유로(21-3)로 복귀된다. 이때, 잔압 Ex는 드레인유로(21-4)가 슬리브(27)로 막혀있어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VFS(1)의 동작은 다음 방정식으로 설명된다.
F_manetic = Psol * (Ab-Ac) + F_spring, Ab,Ac (스풀 밸브 단면적) -(1)
Psol = ( F_magnetic - F_spring ) / ( Ab - Ac ), Psol=제어압 -(2)
F_magnetic + Fs'(잔압용) = F_spring + Psol' X (Ab-Ac), Psol'=바이패스제어압, Psol' X (Ab-Ac) = P잔압(잔압 제어압) -(3)
방정식(1),(2)은 스풀밸브 어셈블리(25)가 미 적용된 상태에서 VFS(1)의 힘 균형 상태를 나타내고, 방정식(3)은 스풀밸브 어셈블리(25)가 적용된 상태에서 VFS(1)의 힘 균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Ab”와 “Ac”는 스풀밸브(26)의 스풀바디 스프링 홈(26-1)쪽 부위에 대한 스풀 밸브 단면적으로 “Ab”는 공급압 유로(21-1)쪽에 연계되고 “Ac”는 바이패스 유로쪽에 연계되며, “Ab”의 직영이 “A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인가된 전류 값에 비례하여 증가된 자기력 F_magnetic와 잔압스프링(29)의 잔압 스프링력 Fs'은 파스칼의 원리(F = P X A)에 따라 스프링력 F_spring와 스플 밸브(26)의 단면적 차이만큼의 미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좌우측의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공급압유로(21-1)로 공급된 공급압 Ps는 제어압유로(21-2)와 드레인유로(21-4)를 왕복하면서 인가된 전류에 비례하는 제어압 Psol를 생성한다.
한편, 도 3은 전원 차단된 VFS(1)에서 스풀밸브 어셈블리(25)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VFS(1)에 공급된 전원의 차단은 전장부(10)에 자기력 F_magnetic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로드(17)는 점선 표시된 위치와 같이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로드(17)의 복귀로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스플밸브(26)는 점선 표시된 위치와 같이 스풀 밸브 스프링(23)의 복원에 의한 스프링력 F_spring으로 밀려난다. 그러면 스플밸브(26)로 차단된 공급압유로(21-1)는 점선의 화살표시와 같이 공급압 Ps의 유입을 차단된다. 이때, 잔압 Ex는 드레인유로(21-4)가 슬리브(27)로 막혀있어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VFS(1)에 공급된 전원 차단은 전장부(10)에 자기력 F_magnetic을 해제하면서 유로부(20)에 스프링력 F_spring을 해제함으로써 잔압 스프링력 Fs'은 다음 방정식으로 결정된다.
Fs' = Psol' X (Ab-Ac) = P잔압(잔압 제어압) - (4)
방정식(4)은 바이패스유로(21-3)로 복귀되는 바이패스 제어압 Psol'과 Psol' 가 작용하는 스플 밸브 단면적(Ac)에 의한 P잔압(잔압 제어압)이 Fs' 와 동일함을 나타내고, 그 결과 Fs' 와 Psol' X (Ab-Ac)는 설정된 값인 대략 0.2 ~ 0.3 kgf/cm2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드레인유로(21-4)가 슬리브(27)로 막혀있어 드레인유로(21-4)로 제어압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스풀밸브 어셈블리(25)는 F_magnetic과 스프링력 F_spring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Fs'만으로 힘의 균형을 이를 수 있고, 이는 전류 해제상태에서도 드레인유로(21-4)가 차단됨으로써 시간 경과 후 작동하지 않은 유로에서 유체가 누유(leak)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변속을 위한 제어압 인가시 유로 내에 비어있는 공간을 제어압이 채우는데 시간이 소요되지 않음으로써 자동변속기의 반응속도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의 인가로 생성된 자기력 F_magnetic과 힘 균형을 형성하는 스프링력 F_spring이 형성된 유로부(20)에 스풀밸브 어셈블리(25)가 더 포함되고, 스풀밸브 어셈블리(25)는 자기력 F_magnetic과 스프링력 F_spring에 더해 피드백유로(21-3)의 바이패스 제어압 Psol'이 형성하는 P잔압(잔압 제어압)과 힘 균형을 이루는 잔압 스프링력 Fs'이 생성되고, 전류의 해제시 잔압 스프링력 Fs'과 잔압 제어압(P잔압)의 힘 균형으로 드레인유로(21-4)가 차단되어 상기 유로의 잔압을 유지시켜줌으로써 전원 미 인가시에도 제어측 유압이 약 0.1~0.3 bar의 잔압 수준으로 유지된다.
1,100 :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10 : 전장부 11 : 커넥터
12 : 하우징 13 : 요크
14 : 코일 15 : 보빈
16 : 코어 17 : 로드
18 : 플런저
20 : 유로부 21 : 플랜지
21-1 : 공급압유로 21-2 : 제어압유로
21-3 : 바이패스유로 21-4 : 배출유로
21-5a,21-5b : 전,후 리크유로
22 : 필터 23 : 스풀밸브 스프링
24 : 캡 25 : 스풀밸브 어셈블리
26 : 스풀밸브 26-1 : 스풀 바디 스프링 홈
26-2 : 스풀 랜드 26-3 : 스냅링 홈
27 : 슬리브 27-1 : 리크 드레인 홀
28 : 고정부재 29 : 잔압 스프링
50-1 : 밸브바디 200 : 잔압 밸브

Claims (9)

  1. 전류의 인가로 생성된 자기력으로 밀려나는 로드가 수용된 하우징을 갖춘 전장부, 상기 자기력으로 압축되어 유로로 유입된 공급압이 제어압유로를 통해 제어압으로 나가도록 스프링력을 형성해주는 플랜지를 갖춘 유로부가 포함되고;
    상기 유로부에는 상기 자기력과 상기 스프링력에 더해 잔압 스프링력이 작용하고, 상기 전류의 해제시 상기 제어압의 피드백으로 형성된 잔압제어압에 대한 상기 잔압 스프링력의 힘 균형으로 상기 유로의 드레인유로가 차단되어 상기 유로내 잔존하는 상기 제어압의 잔압 유지 작용을 하는 스풀밸브 어셈블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압 스프링력과 상기 잔압제어압의 힘 균형은 상기 잔압 유지의 압력을 0.1~0.3 bar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풀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자기력과 상기 스프링력을 좌우양쪽에서 직접 받는 스풀밸브, 상기 잔압 스프링력을 직접 받도록 상기 스풀밸브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풀밸브에 고정된 고정부재, 상기 잔압 스프링력을 발생하는 잔압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풀밸브는 상기 스프링력을 생성하는 스풀밸브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풀 바디 스프링 홈이 파여진 스풀밸브바디, 상기 스풀밸브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된 스풀 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풀 랜드는 상기 슬리브가 결합되는 단차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스냅링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잔압 스프링은 상기 전장부에 탄발 지지되어 상기 슬리브로 상기 잔압 스프링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스냅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어댑터 또는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9. 청구항1 내지 청구항8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이어지는 작동요소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이 상기 작동요소유로 공급되는 밸브 바디;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KR1020150155116A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KR10174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16A KR101749820B1 (ko)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16A KR101749820B1 (ko)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56A KR20170052956A (ko) 2017-05-15
KR101749820B1 true KR101749820B1 (ko) 2017-06-21

Family

ID=5873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16A KR101749820B1 (ko) 2015-11-05 2015-11-05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8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940A (ja) 2003-03-04 2004-09-30 Robert Bosch Gmbh 圧力調整ユニット
US20100301248A1 (en) 2008-06-27 2010-12-02 Aisin Aw Co., Ltd. Solenoid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940A (ja) 2003-03-04 2004-09-30 Robert Bosch Gmbh 圧力調整ユニット
US20100301248A1 (en) 2008-06-27 2010-12-02 Aisin Aw Co., Ltd. Soleno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56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759B2 (en) Electromagnetic spool valve
US9004105B2 (en) Valve device
JP5625054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モジュールに使用するための油圧弁
JP2001280516A (ja) 調圧弁
US9457784B2 (en) Brake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device
JP6310065B2 (ja) 比例圧力制御バルブ
US10146235B2 (en) Valve device
US10544869B2 (en) Valve
KR102186670B1 (ko) 보상 챔버를 포함한 압력 조절 밸브
US10584801B2 (en) Valve, in particular proportional pressure regulating valve
JP2012072797A (ja) 流体圧制御装置
US8602060B2 (en) Multiplexing control valve
US9546730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20130277585A1 (en) Solenoid valve with a piston damped armature
US20040129322A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wo pressure load paths
KR101749820B1 (ko) 잔압 유지타입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JP5993000B2 (ja) 弁、特に圧力調整弁又は圧力制限弁
JP5971908B2 (ja) スプール弁
JP2006307942A (ja) 油圧制御弁
JP5391037B2 (ja) 電磁弁装置
KR20120064037A (ko) 자동차 자동 트랜스미션용 슬라이드 밸브
JP2008157430A (ja) ソレノイド駆動装置及びソレノイドバルブ
JP4244346B2 (ja) 油圧制御弁
JP2017142696A (ja) 二段比例減圧弁
KR10179104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