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6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67B1
KR101749567B1 KR1020100102876A KR20100102876A KR101749567B1 KR 101749567 B1 KR101749567 B1 KR 101749567B1 KR 1020100102876 A KR1020100102876 A KR 1020100102876A KR 20100102876 A KR20100102876 A KR 20100102876A KR 101749567 B1 KR101749567 B1 KR 10174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unit
driving
hous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039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67B1/ko
Priority to US13/271,289 priority patent/US8909089B2/en
Priority to EP11185206.7A priority patent/EP2444857B1/en
Publication of KR2012008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감광체와 현상롤러를 접촉/이격시키는 구동부와 연동하여 감광체로 광이 투과되는 광주사유닛의 투명창을 개폐 및/또는 클리닝하는 클리닝 유닛이 동작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을 클리닝 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광주사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에 레이저 빔을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주사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얻은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는 광원과 감광체 간의 경로상에 존재될 수 있는 불순물이 내부에 투입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가지고, 내부의 광원에서 주사된 빔은 투명창을 통하여 감광체에 투과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에는 여러 종류의 이물질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이물질들이 투명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창을 클리닝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투명창을 효율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접촉되는 제1위치와 상기 감광체와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롤러를 구비한 현상유닛;과,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주사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을 구비한 광주사유닛;과, 상기 투명창을 차폐하는 클리닝 커버를 구비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현상롤러의 이동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위치일 때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고,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투명창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현상롤러 및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작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커버에는 상기 투명창을 클리닝 하기 위한 클리닝 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운동을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변환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지지아암과, 상기 회전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작동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작동아암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커버의 양단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1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마젠타, 시안, 엘로우 및 블랙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는 제1 내지 제4현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은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닛의 각 감광체를 향해 광이 투과되는 제1 내지 제4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내지 제4투명창을 각각 차폐하는 제1 내지 제4클리닝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기의 각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각 현상롤러의 작동과 대응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투명창을 차폐하는 상기 제4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내지 제3클리닝 커버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클리닝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4클리닝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현상롤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커버의 양단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를 접촉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위치와 가압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도록 내부에 수용된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창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명창을 폐쇄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리닝 커버를 구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구동부의 왕복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커버에는 상기 투명창을 클리닝 하기 위한 클리닝 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될 때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고,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이격될 때 상기 투명창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클리닝 커버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 접촉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접촉 해제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가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운동을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변환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지지아암과, 상기 회전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작동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작동아암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엑츄에이터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클리닝 커버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제1링크와, 중앙부가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클리닝 커버의 타단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클리닝 엑츄에이터에 지지되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상기 감광체, 상기 현상롤러를 구비한 복수개의 현상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현상유닛의 각 감광체와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복수개의 투명창;과, 상기 복수개의 투명창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 중 나머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상기 감광체, 상기 현상롤러를 구비한 복수개의 현상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현상유닛의 각 감광체와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복수개의 투명창;과, 상기 복수개의 투명창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는 각각 대응되는 현상롤러와 감광체의 접촉 및 이격 동작과 연동되어 대응하는 하나의 투명창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를 접촉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가압하는 구동부;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도록 내부에 수용된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창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명창을 폐쇄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리닝 커버를 구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커버의 양단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2하우징에 지지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광주사유닛의 투명창을 개방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매 인쇄시마다 투명창을 클리닝할 수 있어 투명창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유닛에 결합되는 클리닝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플레이트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와 구동 플레이트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가 투명창을 폐쇄하는 제1위치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가 투명창을 개방하는 제2위치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커버가 투명창을 폐쇄한 상태에서의 감광체와 현상롤러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커버가 투명창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감광체와 현상롤러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배지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유닛(20)은 내부에 인쇄매체(P)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3)와, 픽업된 인쇄매체(P)를 현상유닛(4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엘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유닛(40Y, 40M, 40C,40K)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현상유닛(40Y, 40M, 40C,40K)에는 광주사유닛(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 감광체(4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2), 감광체(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43) 및 현상롤러(4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4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유닛(40)은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가 접촉하여 현상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이를 위해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는 서로 접촉되는 제1위치와, 서로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광주사유닛(30)은 엘로부(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각 현상기의 감광체(41)에 조사한다.
광주사유닛(30)은 화상신호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감광체(41) 상으로 편향 주사하는 폴리곤 미러(31), 폴리곤 미러(31)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렌즈부(33)를 내장하는 케이스(34)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34)에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각 현상유닛(40)의 감광체(41)로 투과되기 위한 투명창(35)이 구비될 수 있다.
전사유닛(50)은 각 현상유닛(40)의 감광체(41)에 접촉하여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51), 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53), 전사벨트(51)에 일정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55), 각 현상유닛(40)의 감광체(41)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롤러(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착유닛(60)은 토너가 전사된 인쇄매체(P)에 열을 가하는 열원을 구비한 가열롤러(61),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가열롤러(6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지유닛(70)은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지롤러(7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급지유닛(20)으로부터 픽업된 인쇄매체(P)는 현상유닛(40) 쪽으로 이송되고, 각 현상유닛(40)의 감광체(41)로부터 인쇄매체(P)에 전사된 컬러화상은 정착유닛(60)을 통해 정착된 후 배지유닛(70)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작동 중 본체(10) 내에 존재하는 토너 분진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광주사유닛(30)의 투명창(35)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광주사유닛(30)의 투명창(35)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10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주사유닛에 결합되는 클리닝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주사유닛(30)은 내부에 광을 주사하기 위한 부품들이 내장되는 케이스(34)를 구비하고, 케이스(34)의 상면에는 내부에 마련된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35)이 마련될 수 있다.
투명창(35)은 각 현상유닛(40Y, 40M, 40C,40K)의 감광체(41)와 대응하도록 4개의 투명창(35Y, 35M, 35C,35K)을 구비할 수 있다.
투명창(35)은 케이스(35)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투명창(35)을 개폐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100)이 마련될 수 있다.
클리닝 유닛(100)은 투명창(35)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투명창(35)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투명창(35)을 폐쇄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커버(110)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커버(110)는 광주사유닛(30)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투명창(35)을 덮음으로써 투명창(35)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리닝 커버(110)의 이동은 현상유닛(40)의 동작과 연동하여 투명창(35)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클리닝 유닛(100)은 클리닝 커버(110)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부(120)를 구비한다.
구동부(120)는 현상유닛(40)의 현상롤러(43)를 이동 및 클리닝 커버(110)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을 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현상롤러(43)를 이동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90)(도 6참조)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플레이트(121)는 클리닝 커버(11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리닝 커버(110)와 대응하는 수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 플레이트(121)는 엘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토너가 수용되는 현상유닛(40Y, 40M, 40C)의 각 감광체(41)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110Y, 110M, 110C)을 개폐하기 위한 클리닝 커버(110Y, 110M, 110C)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 플레이트(121a)와, 블랙(K) 색상의 토너가 수??되는 현상유닛(40K)의 감광체(41)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110K)을 개폐하기 위한 클리닝 커버(110M)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 플레이트(1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구동 플레이트(121a)는 블랙 색상의 현상장치(40K)가 동작되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블랙 색상의 현상장치(40K)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35K)만을 개방한다.
제2구동 플레이트(121b)는 컬러 인쇄시 동작되는 현상장치(40Y, 40M, 40C)와 연동하여 컬러 인쇄를 위한 투명창(35Y, 35M, 35C)을 개방시킨다.
구동 플레이트(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투명창(35)을 개폐하는 클리닝 커버(1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클리닝 유닛(100)은 클리닝 커버(110Y)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2)와, 제1링크(112)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링크회전축(114)을 구비한 클리닝 플레이트(113)와, 구동 플레이트(121)의 동작과 연동되어 제1링크(111)를 회전시키도록 클리닝 플레이트(113)에 그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링크(111)는 일측이 클리닝 커버(110Y)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는 링크회전축(114)이 삽입되는 회전공(111a)이 마련되고, 타측은 클리닝 엑츄에이터(115)에 지지되는 지지돌기(111b)가 구비된다.
제2링크(112)는 일측이 클리닝 커버(110Y)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케이스(34)에 마련된 회전축(34a)에 결합되는 회전공(112a)이 구비된다. 회전축(34a)에는 제2링크(112a)가 회전된 후 원 위치로 복귀를 용이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116)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 플레이트(113)는 양단이 각각 케이스(34) 및 고정플레이트(93)에 지지되는 평판 형태로 구비되고, 일측에는 엑츄에이터 회전공(113a)이 마련된다.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는 대략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에는 클리닝 플레이트(113)의 회전공(113a)에 결합되는 축(115a)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는 클리닝 플레이트(115)에 축(11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115b)은 제1링크(111)의 지지돌기(111b)에 지지되고, 타측(115c)은 구동 플레이트(121)에 지지된다.
구동 플레이트(121)에는 클리닝 엑츄에이터(115)의 타측(115c)을 가압하여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를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 닙(122)이 마련된다.
구동 플레이트(121)에 형성되는 엑츄에이터 닙(122)은 투명창(35)을 개폐하고자 하는 클리닝 커버(110)의 수와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1구동 플레이트(121a)가 3개의 클리닝 커버(110Y, 110M, 110C)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각 대응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115)와 접촉되도록 제1구동 플레이트(121a)에는 3개의 엑츄에이터 닙(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플레이트(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클리닝 커버(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링크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하였으나, 구동 플레이트(121)의 직선 왕복 운동을 클리닝 커버(110)의 개폐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는 동력전달수단(랙, 링크, 기어 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플레이트(121)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2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플레이트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와 구동 플레이트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12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9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24)와, 구동기어(124)의 회전 운동을 구동 플레이트(121)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90)은 모터로 구성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동력전달기어 등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력은 구동기어(124)에 전달된다. 또한, 구동원(90)은 감광체(41)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변환부(125)는 회전축(125a)과, 회전축(125a)에서 구동기어(124)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아암(125b)과, 회전축(125a)에서 지지아암(125b)과 반대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작동아암(125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124)에는 지지아암(125b)이 지지되는 지지돌기(124a)가 돌출되고, 지지돌기(124a)는 지지아암(125b)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의 슬롯(125d)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동아암(125c)은 구동기어(12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125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구동 플레이트(12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 플레이트(121)에서 돌출 형성된 접촉돌기(127)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125a)에는 작동아암(125c)의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2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구동기어(124)는 구동 플레이트(121)의 수와 대응하는 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구동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9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124)는 제1구동 플레이트(121a) 및 제2구동 플레이트(121b)와 대응하도록 2개 구비될 수 있다. 각 구동기어(124)는 구동원(90)으로부터 커플링, 기어, 클러치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각각 별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각 구동기어(124)는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그 회전력을 대응하는 감광체(41)의 회전축에 전달할 수 있다.
초기 상태의 경우, 제1,2구동 플레이트(121a,121b)의 각 접촉돌기(127)는 동력변환부(125)의 작동아암(125c)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구동원(9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1구동 플레이트(121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어(124)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변환부(125)는 회전축(125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변환부(125)의 작동아암(125c)은 접촉돌기(127)를 가압하여 제1구동 플레이트(121a)를 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구동부(120)의 구동 플레이트(121)는 구동원(9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나, 동력변환부는 통상의 랙 기어를 통하여 구현되거나, 공지된 다른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구동 플레이트(121)와 클리닝 장치(100)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가 투명창을 폐쇄하는 제1위치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가 투명창을 개방하는 제2위치일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4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클리닝 커버(110)는 투명창(35)의 상부에 배치되어 투명창(35)을 폐쇄하는 제1위치에 있게 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121)가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90)에 의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는 구동 플레이트(121)의 동작과 연동되어 축(115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는 제1링크(111)를 가압하게 되므로,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2)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2)에 지지된 클리닝 커버(110)는 투명창(35)을 개방시키는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클리닝 커버(110)에는 투명창(35)을 개폐시 투명창(110)과 접촉하는 클리닝 시트(130)(도 3참조)가 부착될 수 있다. 클리닝 시트(130)는 융이나 브러쉬 형태로 구비되어 클리닝 커버(110)가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투명창(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클리닝 커버(110)가 투명창(35)을 개폐하면서 청소하도록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 이동되는 동작들은 각 투명창(35)과 대응하는 현상유닛(40)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과 클리닝 커버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은 클리닝 커버가 투명창을 폐쇄한 상태에서의 감광체와 현상롤러와의 관계를, 도 10은 클리닝 커버가 투명창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감광체와 현상롤러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현상유닛(40)은 감광체(41)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40a)과, 현상롤러(43)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4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40a)에는 폐현상제 수용부(46), 대전롤러(42) 및 감광체(41)가 지지되고, 제2하우징(40b)에는 현상제 수용부(45), 공급롤러(44) 및 현상롤러(43)가 지지될 수 있다.
제1하우징(40a) 및 제2하우징(40b)은 회전축(47)을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하우징(40a)과 제2하우징(40b)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8)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탄성부재(48)는 제1하우징(40a)과 제2하우징(40b)을 가압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2하우징(40a,40b)에 각각 지지되는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는 서로 이격되는 제1위치(도 6참조)와, 서로 접촉되는 제2위치(도 7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2하우징(40a,40b)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2하우징(40a,40b)은 탄성부재(48)에 의하여 서로 가압되어 서로 접촉되게 되고, 제1,2하우징(40a,40b)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1,2하우징(40a,40b)은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는 서로 이격되게 된다.
감광체(41)와 현상롤러(41)를 접촉/이격 시키기 위한 동력은 클리닝 커버(11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120)의 구동 플레이트(12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상유닛(40)에는 구동 플레이트(121)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49)가 구비되고, 구동 플레이트(121)에는 구동 플레이트(121)의 이동시 걸림돌기(49)와 간섭되는 가압돌기(123)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49)는 제2하우징(40b)의 하부 외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가압돌기(123)는 구동 플레이트(121)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구동부(120)는 현상유닛(40)과 클리닝 유닛(100)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 플레이트(121)는 현상유닛(40)의 걸림돌기(49)를 가압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제2하우징(40b)은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 현상유닛(40)의 감광체(41)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35)은 클리닝 커버(11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121)는 구동원(9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A방향(도 5 참조)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 플레이트(121)의 가압돌기(123)는 현상유닛(40)의 걸림돌기(49)와 접촉 해제되고, 현상유닛(40)은 탄성부재(48)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는 서로 접촉하여 현상닙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 플레이트(121)는 구동 플레이트(121)의 엑츄에이터 닙(122)에 접촉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클리닝 커버(110)는 투명창(35)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고, 광주사유닛(30)의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은 투명창(35)을 투과하여 감광체(41)로 주사되게 된다.
따라서, 클리닝 유닛(110)은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만 투명창(35)을 개방시키고, 인쇄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명창(35)을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쇄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항상 투명창(35)이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매 인쇄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투명창(35)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가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청소성은 월등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인쇄동작을 수행하도록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동작에 연동되어 클리닝 유닛(100)의 클리닝 플레이트(110)는 투명창(35)을 개방시키는 위치와, 투명창(35)을 폐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하게 되므로 투명창(35)을 청소하는 횟수는 증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클리닝 유닛(100)은 현상장치(40)가 복수개 마련되더라도, 사용되는 현상장치(40)와 대응하는 투명창(35)만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클리닝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투명창(35)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가능성은 현저히 줄어들게 든다.
본 실시예의 사상은 상술한 설명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엑츄에이터(115)가 구동 플레이트(121)의 동작과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하였으나, 클리닝 엑츄에이터(115)는 현상유닛(40)의 하우징(40a,40b)의 동작과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를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부를 가지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클리닝 유닛(100)은 그 구동부의 동작과 연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감광체(41)와 현상롤러(43) 간의 현상닙을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구동부와 연동되어 클리닝 유닛(100)이 광주사유닛(30)의 투명창(35)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요소들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20: 급지유닛,
30: 광주사유닛, 35: 투명창,
40: 현상유닛, 40a: 제1하우징,
40b: 제2하우징, 50: 전사유닛,
60: 정착유닛, 70: 배지유닛,
100: 클리닝유닛, 110: 클리닝 커버,
113: 클리닝 플레이트, 115: 클리닝 엑츄에이터,
120: 구동부, 121: 구동 플레이트,
123: 가압돌기.

Claims (33)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접촉되는 제1위치와 상기 감광체와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롤러를 구비한 현상유닛;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주사된 광이 투과되는 투명창을 구비한 광주사유닛;
    상기 투명창을 차폐하는 클리닝 커버를 구비한 클리닝유닛; 및
    상기 현상유닛 및 상기 클리닝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현상롤러의 이동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현상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클리닝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위치일 때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고, 상기 제2위치일 때 상기 투명창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현상롤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현상롤러 및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작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커버에는 상기 투명창을 클리닝 하기 위한 클리닝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운동을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지지아암과, 상기 회전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작동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작동아암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커버의 양단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1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마젠타, 시안, 엘로우 및 블랙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는 제1 내지 제4현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은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유닛의 각 감광체를 향해 광이 투과되는 제1 내지 제4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내지 제4투명창을 각각 차폐하는 제1 내지 제4클리닝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내지 제4현상기의 각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각 현상롤러의 작동과 대응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투명창을 차폐하는 상기 제4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1 내지 제3클리닝 커버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클리닝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4클리닝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현상롤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가압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커버의 양단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를 접촉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위치와 가압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도록 내부에 수용된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창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명창을 폐쇄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리닝 커버를 구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구동부의 왕복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현상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클리닝 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커버에는 상기 투명창을 클리닝 하기 위한 클리닝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될 때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고,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이격될 때 상기 투명창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클리닝 커버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 접촉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접촉 해제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운동을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지지아암과, 상기 회전축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작동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작동아암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엑츄에이터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클리닝 커버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제1링크와, 중앙부가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클리닝 커버의 타단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클리닝 엑츄에이터에 지지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 23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감광체, 상기 현상롤러를 구비한 복수개의 현상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현상유닛의 각 감광체와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복수개의 투명창;과,
    상기 복수개의 투명창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상기 클리닝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 중 나머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 22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감광체, 상기 현상롤러를 구비한 복수개의 현상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현상유닛의 각 감광체와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복수개의 투명창;과,
    상기 복수개의 투명창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상기 클리닝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리닝 커버는 각각 대응되는 현상롤러와 감광체의 접촉 및 이격 동작과 연동되어 대응하는 하나의 투명창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를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를 접촉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가압하는 구동부;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도록 내부에 수용된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창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투명창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상기 투명창을 폐쇄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리닝 커버를 구비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커버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현상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클리닝 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클리닝 커버의 양단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리닝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2하우징에 지지되는 클리닝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102876A 2010-10-21 2010-10-21 화상형성장치 KR10174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76A KR101749567B1 (ko) 2010-10-21 2010-10-21 화상형성장치
US13/271,289 US8909089B2 (en) 2010-10-21 2011-10-12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rive device to move cleaning unit
EP11185206.7A EP2444857B1 (en) 2010-10-21 2011-10-14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lean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76A KR101749567B1 (ko) 2010-10-21 2010-10-2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39A KR20120088039A (ko) 2012-08-08
KR101749567B1 true KR101749567B1 (ko) 2017-06-21

Family

ID=4479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876A KR101749567B1 (ko) 2010-10-21 2010-10-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09089B2 (ko)
EP (1) EP2444857B1 (ko)
KR (1) KR101749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5306B2 (ja) * 2007-08-21 2012-10-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29174B2 (ja) 2011-12-26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60028217A (ko) *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60028218A (ko) *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9964891B2 (en) * 2014-12-17 2018-05-08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s for optical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replaceable unit of the image forming device
MY197113A (en) 2016-09-30 2023-05-26 Canon Kk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ing mechanism
KR20180129125A (ko) 2017-05-25 2018-12-0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027121B2 (ja) * 2017-10-27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318266B2 (ja) * 2019-03-28 2023-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409166B2 (ja) * 2020-03-09 2024-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076A (ja) 2003-12-26 2005-07-14 Ricoh Co Ltd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4228A (ja) 2004-11-29 2006-06-1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8310293A (ja) * 2007-05-15 2008-12-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90269102A1 (en) 2008-03-31 2009-10-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6911B2 (ja) * 2003-03-28 2009-08-19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67137A (ja) * 2005-03-22 2006-10-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1239973B1 (ko) * 2006-07-14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장치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111902B1 (ko) * 2007-02-06 2012-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창 클리닝셔터를 갖는 광주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7903994B2 (en) * 2007-05-15 2011-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8311440B2 (en) * 2010-05-19 2012-11-13 Xerox Corporation Laser scanner window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076A (ja) 2003-12-26 2005-07-14 Ricoh Co Ltd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4228A (ja) 2004-11-29 2006-06-15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8310293A (ja) * 2007-05-15 2008-12-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90269102A1 (en) 2008-03-31 2009-10-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9886A1 (en) 2012-04-26
US8909089B2 (en) 2014-12-09
EP2444857B1 (en) 2019-07-31
KR20120088039A (ko) 2012-08-08
EP2444857A3 (en) 2017-08-02
EP2444857A2 (en)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567B1 (ko) 화상형성장치
US91222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window open-closing shutter
EP1722279B1 (en) Process cartridge with attachable toner cartridge exerting a pressure to urge the developing roller towards the image carrier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3556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s for ensuring mounting of cartridges in associated mounting portions
JP506787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111902B1 (ko) 광주사창 클리닝셔터를 갖는 광주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8320794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234200A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187379A1 (en)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065629A (ko) 화상형성장치
EP254933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17781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전사장치
US8185033B2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12295B1 (ko) 화상형성장치
CN107797413B (zh) 光扫描装置和具备该光扫描装置的图像形成装置
KR20170126716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7336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87652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80000454A (ko) 화상형성기기의 광주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