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629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629A
KR20120065629A KR1020100126855A KR20100126855A KR20120065629A KR 20120065629 A KR20120065629 A KR 20120065629A KR 1020100126855 A KR1020100126855 A KR 1020100126855A KR 20100126855 A KR20100126855 A KR 20100126855A KR 20120065629 A KR20120065629 A KR 20120065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transfer roller
door
inter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782B1 (ko
Inventor
이영복
정태일
김기헌
윤은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782B1/ko
Priority to EP11192080.7A priority patent/EP2463727B1/en
Priority to US13/315,493 priority patent/US8768214B2/en
Priority to CN201110421286.7A priority patent/CN102540826B/zh
Publication of KR2012006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롤러와, 지지롤러와 인접하여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의 타측에 배치되는 전사롤러 어셈블리와,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에 접근 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은 본체프레임에 위치 고정되고,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도어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지지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신호에 따른 정전잠상을 현상장치를 이용하여 색상별 토너(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로 현상하여 가시적인 토너에 의한 컬러 화상을 형성한 후, 이 컬러 화상을 전사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에 전사하여 인쇄한다.
전사장치는 중간전사벨트와 전사롤러, 전사롤러 이격/가압장치를 포함한다.
전사롤러 이격/가압장치는 전사롤러를 중간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킨다. 전사롤러가 중간전사벨트로부터 이격된 경우 감광드럼의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로 전사되는 경우이고, 전사롤러가 중간전사벨트에 밀착된 경우 중간전사벨트의 토너화상이 인쇄용지로 전사되는 경우이다.
또한, 전사롤러는 후면커버에 지지되어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벨트구동롤러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후면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전사롤러는 중간전사벨트로부터 이탈되고, 후면커버를 닫는 경우 전사롤러는 중간전사벨트에 밀착된다. 이에 전사롤러와 중간전사벨트 사이에 인쇄용지가 끼이는 잼이 발생된 경우 후면커버를 개방하여 인쇄용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일 측은,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조립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다른 일 측은,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상장치를 개시한다.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본체프레임;과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와 인접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의 타측에 배치되는 전사롤러 어셈블리;와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지지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지지롤러 측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힌지돌기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돌기부를 수용하는 힌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프레임에 일 측이 결합하고, 상기 도어에 다른 일 측이 결합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의 일 측은 상기 롤러프레임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연동부재의 다른 일 측은 상기 도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롤러프레임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할 때 상기 연동부재는 그 회동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회동축방향 가이드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회동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회동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프레임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속/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결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결속돌기와 대응하는 결속돌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가 회동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결속돌기 수용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사롤러 가압부재;와,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의 회동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양측에 마련되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전사롤러와 간섭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롤러프레임에 탄성 지지시키는 전사롤러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 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원의 동력과 연결/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도어와 상기 롤러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롤러프레임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롤러프레임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롤러프레임의 회동 축 방향과 동일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소정 구만 만큼 개폐되는 동안 상기 롤러프레임에서 소정 구간 만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소정 구간 보다 더 열리는 경우 상기 롤러프레임과 함께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조립 시 편차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전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를 개방하여 잼(jam)된 인쇄용지를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어와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 본체프레임의 연동 구조를 단순화하여 본체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컴팩트한 화상형성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의 일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소정 각도 개방된 경우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와,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20)와,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장치(30)와,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40)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장치(50) 및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장치(6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본체프레임(11)과, 본체프레임(11)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도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어(12)는 본체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도어(12)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부품을 수리, 교체하거나 잼을 제거할 수 있다.
급지장치(20)는 용지(S)가 보관되는 급지카세트(21)와, 급지카세트(21)에 보관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40)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카세트(21)는 본체프레임(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광주사장치(30)는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광부재(31a)를 가지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의 내부에 장착되는 광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에서 광원(3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광부재(31a)를 통과해 하우징(31)의 외부로 출사되고, 현상장치(40)의 감광체(41)에 조사됨으로써 감광체(41)의 표면에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40)는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와, 감광체(41)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42)와, 감광체(41)에 현상된 정전잠상을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토너를 통해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43Y, 43M, 43C, 43K)와, 중간전사벨트(44)와, 제1전사롤러(45) 및 제2전사롤러(46)를 구비한다.
각각의 현상기(43Y, 43M, 43C, 43K)는 감광체(41)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하는 현상롤러(47)와, 현상롤러(47)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토너를 현상롤러(47)에 공급하는 공급롤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44)는 지지롤러들(49a)(49b)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4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45)는 감광체(41)와 대면되며, 감광체(41)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44)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46)는 중간전사벨트(44)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제2전사롤러(46)는 감광체(41)에서 중간전사벨트(44)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44)로부터 이격되고, 중간전사벨트(44)에 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44)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2전사롤러(46)가 중간전사벨트(44)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44)의 토너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정착장치(50)는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51)와, 가열롤러(51)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5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52)를 구비하고, 배지장치(60)는 정착장치(50)를 통과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이송하는 배지롤러(61)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42)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41)에 광주사장치(30)로부터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41)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옐로우 현상기(43Y)의 현상롤러(47)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옐로우 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41)에는 옐로우 색상의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이러한 토너화상은 제1전사롤러(45)에 의해 중간전사벨트(44)로 전사된다. 한 폐이지 분량의 옐로우 토너화상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장치(30)는 마젠타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1)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43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감광체(41)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토너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토너화상 위에 중첩되도록 중간전사벨트(44)로 전사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44)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첩된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중간전사벨트(44)와 제2전사롤러(46)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로 전사되고, 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장치(5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고착되며, 정착장치(50)를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6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의 일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70)는 롤러프레임(71)과, 제2전사롤러(46),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73), 커플러(74), 연동부재(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71)의 힌지돌기부(71a)가 본체프레임(11)의 힌지수용부(11a)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돌기부(71a)와 힌지수용부(11a)는 롤러프레임(71)의 제1회동축(C1)을 형성한다. 롤러프레임(71)은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본체프레임(11)에 대하여 상대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71)의 안착부(71b)가 본체프레임(11)의 지지부(11b)에 안착되는 구조이다. 롤러프레임(71)이 본체프레임(11)에 안착되는 경우 롤러프레임(71)은 더 이상 지지롤러(49b) 측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고, 이 위치에서 롤러프레임(71)의 장착 위치가 정해진다.
제2전사롤러(46)는 롤러프레임(7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전사롤러(46)는 롤러부(46a)와, 롤러부(46a)의 양측에 마련되는 축부(4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부(46b)는 이격/가압 몸체(46c)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격/가압 몸체(46c)는 롤러프레임(71)의 이격/가압 가이드홈(71c)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전사롤러(46)는 이격/가압 몸체(46c)에 삽입된 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고, 이격/가압 몸체(46c)와 함께 이격/가압 가이드홈(71c)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제2전사롤러(46)는 상대물인 지지롤러(49b)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상대물인 지지롤러(49b)를 가압하여 지지롤러(49b)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는 제2전사롤러(46)를 지지롤러(49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의 양단부는 롤러프레임(71)에 고정되고, 그 중간부는 이격/가압 몸체(46c)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는 지지롤러(49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가압 몸체(46c)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격/가압 몸체(46c)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제2전사롤러(46)는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에 의해서 롤러프레임(71)에 탄성 지지되어 지지롤러(49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73)는 제2전사롤러(46)를 지지롤러(49b)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73)는 샤프트(73a)와 캠부(7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캠부(73b)는 롤러프레임(71)의 양 측벽(71d)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샤프트(73a)는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 각각에 마련된 캠부(73b)를 연결한다. 여기서, 샤프트(73a)와 캠부(73b)는 제2회동축(C2)을 형성한다. 캠부(73b)의 제1결합부(73c)는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를 관통하여 샤프트(73a)의 단부를 수용한다. 캠부(73b)와 샤프트(73a)의 결합 단면은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즉, 샤프트(73a)의 일 측에 마련되는 캠부(73b)가 회전하는 경우 샤프트(73a)를 통하여 샤프트(73a)의 다른 일 측에 마련되는 캠부(73b)도 회전되도록 결합 단면이 형성된다. 일 예로, 결합 단면은 "ㄷ"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캠부(73b)의 가압부(73e)는 이격/가압 몸체(46c)와 접촉 가능하게 이격/가압 몸체(46c)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캠부(73b)가 회전하게 되면 캠부(73b)의 가압부(73e)는 이격/가압 몸체(46c)를 지지롤러(49b)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제2전사롤러(46)도 함께 이동하여 지지롤러(49b)에 밀착될 수 있다.
커플러(74)는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73)를 구동원(미도시)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은 급지부의 픽업롤러(22), 이송롤러(23) 및 현상장치(40) 등과 같은 요소들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이다.
커플러(74)는 캠부(73b)와 결합한다. 캠부(73b)의 제2결합부(73d)가 커플러(74) 측으로 연장되어 커플러(74)의 삽입부(74c)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커플러(74)와 제2결합부(73d)의 결합 단면은 이들을 회전 방향으로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커플러(74)는 캠부(73b)와 함께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캠부(73b)와 별도로 제2회동축(C2)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74)는 캠부(73b)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커플러(74)와 캠부(73b) 사이에는 탄성부재(76)가 설치된다. 탄성부재(76)는 커플러(74)를 캠부(73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연동부재(75)는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에서 소정 구간(또는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연동부재(75)에는 롤러프레임(71)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에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71e)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 각각은 이와 대응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71e) 각각에 삽입되어 연동부재(75)가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의 단부에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의 내면에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71f)가 형성되고,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71f)의 상단에는 회동 방향 가이드안착부(71g)가 형성된다.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71f)를 따라서 상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올라갈 수 있고, 이때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회동축(C2) 방향을 따라서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 측으로 이동 할 수 있다. 이후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가 회동 방향 가이드안착부(71g)에 안착된 경우 연동부재(75)는 롤러프레임(71)과 함께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는 도어(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는 도어(12) 측으로 연장되고, 도어(12)에는 슬라이딩 돌기(75c)를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레일(12a)이 형성된다. 도어(12)가 개폐됨에 따라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는 슬라이딩 레일(12a)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연동부재(75)의 동작은 도어(12)의 개폐동작과 연동된다.
연동부재(75)는 롤러프레임(71)를 본체프레임(11)에 결속/해제시키도록 본체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연동부재(75)에는 본체프레임(11) 측으로 연장되는 결속돌기(75d)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본체프레임(11)에는 결속돌기(75d)가 삽입되는 결속돌기 수용부(11d)가 형성된다. 연동부재(75)가 제2회동축(C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결속돌기(75d)가 결속돌기 수용부(11d)에 삽입되는 경우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에 결속되고, 결속돌기(75d)가 결속돌기 수용부(11c)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으로부터 결속 해제된다.
한편, 연동부재(75)의 중앙 부분은 커플러(74)와 결합할 수 있다. 커플러(74)의 상측 일부분은 연동부재(75)의 중앙 관통부()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연동부재(75)의 관통부(75e)는 커플러(74)의 돌출외벽(74a)에 지지된다. 이에 연동부재(75)는 커플러(74)와 별도로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커플러(74)와 함께 제2회동축(C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연동부재(75)가 롤러프레임(71)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연동부재(75)의 관통부(75e)가 커플러(74)의 돌출외벽(74a)을 가압함으로써 커플러(74)도 함께 롤러프레임(7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커플러(74)가 탄성부재(76)에 의해서 롤러프레임(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플러(74)의 돌출외벽(74a)이 연동부재(75)의 관통부(75e)를 가압함으로써 연동부재(75)도 함께 롤러프레임(7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이때의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어(12)가 본체프레임(11)에서 열리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12)가 개방되기 시작하는 경우 슬라이딩 레일(12a)은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연동부재(75)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는 롤러프레임(71)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71e)에서 슬라이딩하기 시작하고,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한, 연동부재(75)의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는 롤러프레임(71)의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71f)를 타고 올라가기 시작하고,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 방향을 따라서 롤러프레임(71)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동부재(75)의 결속돌기(75d)는 본체프레임(11)의 결속돌기 수용부(11c)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연동부재(75)가 커플러(74)를 가압하면서 탄성부재(76)를 수축시키기 때문에 커플러(74)도 클러치(11e)에서 이탈된다. 이로써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으로부터 결속 해제되어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커플러(74)는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73)로 동력을 차단한다. 이 경우 제2전사롤러(46)는 상대물인 지지롤러(49b)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전사롤러 이격부재(72)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상대물인 지지롤러(49b)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소정 각도 개방된 경우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이때의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도 8과 같은 상태로 소정 각도(또는 구간)만큼 개방된 경우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는 도어(12)의 슬라이딩 레일(12a)에서 더욱 슬라이딩한다. 이때 연동부재(75)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는 롤러프레임(71)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71e)의 우측 단부까지 슬라이딩 완료 하고,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회동 완료한다. 또한, 연동부재(75)의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는 롤러프레임(71)의 회동축 방향 가이드 경사부(71f)를 지나서 회동 방향 가이드안착부(71g)에 안착된다. 이때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와 회동 방향 가이드안착부(71g)는 결속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정도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 방향을 따라서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에 최대한 가깝게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부재(76)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도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으로부터 결속 해제되어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제2전사롤러(46)는 상대물인 지지롤러(49b)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도 10과 같은 상태로 완전히 개방된 경우 연동부재(75)는 롤러프레임(71)과 함께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는 도어(12)의 슬라이딩 레일(12a)의 하단부까지 슬라이딩 완료된 상태이다. 이때 연동부재(75)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75a)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롤러프레임(71)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71e)의 우측 단부까지 슬라이딩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제2전사롤러(46)는 상대물인 지지롤러(49b)로부터 완전히 떨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2)만 개방한 상태에서 별도의 작업 없이 잼된 용지를 매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12)가 본체프레임(11)에 닫히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12)가 닫히기 시작하는 경우 슬라이딩 레일(12a)은 연동부재(75)의 슬라이딩 돌기(75c)를 밀어 주게 된다. 이때 연동부재(75)의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와 롤러프레임(71)의 회동 방향 가이드안착부(71g)가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연동부재(75)와 롤러프레임(71)은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후 도어(12)가 계속 회전하다가 도 8같은 상태가 되면 롤러프레임(71)의 안착부(71b)는 본체프레임(11)의 지지부(11b)에 의해서 장착 위치가 결정되고, 롤러프레임(71)은 더 이상 제1회동축(C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도어(12)를 닫게 되면 도어(12)는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는 도 7과 같이 회동 방향 가이드안착부(71g)로부터 이탈되어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75b)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71f)를 타고 하측으로 슬라이딩하기 시작한다. 이때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회동축(C2) 방향을 따라서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커플러(74)도 탄성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서 롤러프레임(7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후 사용자가 도어(12)를 도 1과 같이 완전히 닫게 되면 연동부재(75)는 제2회동축(C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회동축(C2) 방향을 따라서 롤러프레임(71)의 측벽(71d)으로부터 더욱더 이격되고, 연동부재(75)의 결속돌기(75d)가 본체프레임(11)의 결속돌기 수용부(11c)에 삽입된다. 또한 커플러(74)도 탄성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서 롤러프레임(71)으로부터 더욱 이격되고, 구동원과 연결된 클러치(11e)와 결합된다. 이 경우 롤러프레임(71)은 본체프레임(11)에 완전히 결속된 상태가 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에 동작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커플러(74)는 구동원의 동력을 제2전사롤러 가압부재(73)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커플러(74)가 회전하면서 캠부(73b)를 회전시키게 되고, 캠부(73b)의 가압부(73d)는 이격/가압 몸체(46c)를 가압하게 되고, 제2전사롤러(46)는 지지롤러(49b)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전사롤러(46)는 용지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동부재(75)는 도어(12)의 개폐 동작을 롤러프레임(71)의 회동 동작과 연동시키고, 롤러프레임(71)의 본체프레임(11)에 결속/해제시키는 동작과 연동시키고, 커플러(74)를 구동원의 동력과 연결/차단시키는 동작과도 연동시킨다. 제2전사롤러 어셈블리(7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본체프레임(11)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컴팩트한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롤러프레임(71)의 제1회동축(C1)이 본체프레임(11)에 지지되기 때문에 도어(12)를 개폐하는 경우에 롤러프레임(71)의 장착위치가 일정해지고, 제2전사롤러(46)의 조립 편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균일한 전사성능을 얻는데 매우 유리하다.
11: 본체프레임 12: 도어
20: 급지장치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장치 50: 정착장치
60: 배지장치 70: 전사롤러 어셈블리
71: 롤러프레임 72: 전사롤러 이격부재
73: 전사롤러 가압부재 74: 커플러
75: 연동부재

Claims (26)

  1.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과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와 인접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의 타측에 배치되는 전사롤러 어셈블리;와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경로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지지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지지롤러 측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힌지돌기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돌기부를 수용하는 힌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프레임에 일 측이 결합하고, 상기 도어에 다른 일 측이 결합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의 일 측은 상기 롤러프레임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연동부재의 다른 일 측은 상기 도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회동 방향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롤러프레임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할 때 상기 연동부재는 그 회동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회동축방향 가이드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회동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동축 방향 가이드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롤러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회동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프레임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속/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결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결속돌기와 대응하는 결속돌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가 회동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결속돌기 수용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롤러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사롤러 가압부재;와,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의 회동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가압부재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양측에 마련되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전사롤러와 간섭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롤러프레임에 탄성 지지시키는 전사롤러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 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되어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원의 동력과 연결/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도어와 상기 롤러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롤러프레임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롤러프레임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롤러프레임의 회동 축 방향과 동일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소정 구만 만큼 개폐되는 동안 상기 롤러프레임에서 소정 구간 만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도어가 소정 구간 보다 더 열리는 경우 상기 롤러프레임과 함께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126855A 2010-12-13 2010-12-13 화상형성장치 KR101766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855A KR101766782B1 (ko) 2010-12-13 2010-12-13 화상형성장치
EP11192080.7A EP2463727B1 (en) 2010-12-13 2011-12-06 Image forming apparatus
US13/315,493 US8768214B2 (en) 2010-12-13 2011-12-09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110421286.7A CN102540826B (zh) 2010-12-13 2011-12-13 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855A KR101766782B1 (ko) 2010-12-13 2010-12-1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29A true KR20120065629A (ko) 2012-06-21
KR101766782B1 KR101766782B1 (ko) 2017-08-24

Family

ID=4542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855A KR101766782B1 (ko) 2010-12-13 2010-12-1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68214B2 (ko)
EP (1) EP2463727B1 (ko)
KR (1) KR101766782B1 (ko)
CN (1) CN1025408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7371B2 (en) 2016-06-30 2018-05-22 S-Printing Solution Co., Ltd.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614B1 (ko) * 2011-11-21 2018-03-2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
JP6176912B2 (ja) * 2012-10-10 2017-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92982B2 (ja) * 2014-05-30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215455B1 (ko) * 2015-05-22 2021-02-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US11119439B2 (en) * 2019-07-30 2021-09-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ning/closing unit with a first closed position for forming a conveyance path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69B1 (ko) * 2004-10-18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7878725B2 (en) * 2006-06-12 2011-02-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movable units
CN100580572C (zh) * 2006-06-12 2010-01-13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JP5034609B2 (ja) 2007-03-30 2012-09-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74290B2 (ja) * 2007-07-17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9042376A (ja) * 2007-08-07 2009-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157688B2 (ja) * 2008-07-04 2013-03-06 株式会社リコー 転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979000B2 (en) * 2008-07-04 2011-07-12 Ricoh Company Limited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71439B2 (en) * 2009-10-16 2013-10-2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150655B2 (ja) * 2010-01-29 2013-0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7371B2 (en) 2016-06-30 2018-05-22 S-Printing Solution Co., Ltd.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782B1 (ko) 2017-08-24
US8768214B2 (en) 2014-07-01
EP2463727A1 (en) 2012-06-13
CN102540826A (zh) 2012-07-04
US20120148302A1 (en) 2012-06-14
CN102540826B (zh) 2016-01-13
EP2463727B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354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developing rolle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that can be contacted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83798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792805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3556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84689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848397B1 (ko) 화상형성장치
EP2455819B1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320794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20065629A (ko) 화상형성장치
CN104423239A (zh) 成像装置和处理盒
US89425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42614B1 (ko)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20055431A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83207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489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324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3244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