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29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295B1
KR101212295B1 KR1020080002167A KR20080002167A KR101212295B1 KR 101212295 B1 KR101212295 B1 KR 101212295B1 KR 1020080002167 A KR1020080002167 A KR 1020080002167A KR 20080002167 A KR20080002167 A KR 20080002167A KR 101212295 B1 KR101212295 B1 KR 10121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utter
optical scanning
scanning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300A (ko
Inventor
설광조
장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95B1/ko
Priority to US12/332,637 priority patent/US8145098B2/en
Publication of KR2009007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컴팩트한 구성으로 복수의 통과창과 이에 대응하는 셔터장치사이의 dead space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빔을 주사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과창을 구비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을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체를 구비하고, 각 감광체에 형성된 각기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을 중첩시켜 컬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컬러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 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 방식으로는 감광체에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만들고 그 위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인쇄매체로 옮기는 전자사진방식과,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 표면에 액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을 일정 전위로 대전시킨 후 그 위에 빔을 주사하여 전위차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만든다. 그리고,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 후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해 분말 현상제로 이루어지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 표면에 정착시킴으로써 인쇄 출력물을 얻는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로는 흑백 화상을 인쇄하는 모노화상형성장치와, 컬러화상을 인쇄하는 컬러화상형성장치가 있다.
이중 컬러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가 하나인 소위 멀티패스형(multi-path type) 컬러화상형성장치와, 감광체가 각 현상기에 맞춰 복수가 구비되는 소위 싱글패스형(single-path type) 컬러화상형성장치로 구분된다.
멀티패스형 컬러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감광체가 일회전하는 동안 현상기가 하나만 작동하여 감광체에 단색의 가시화상이 형성되고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다른 현상기가 작동하기 전에 전사된다. 따라서, 멀티패스형 컬러화상형성장치는 단일의 감광체와 그에 대응하는 단일의 광주사유닛을 가진다.
이에 반해, 싱글패스형 컬러화상형성장치는 각 현상기에 구비되는 각 감광체에 각 색상의 가시화상이 약간의 시차를 두고 차례로 형성되고, 각 감광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과창이 형성된 광주사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통과창을 포함하는데, 통과창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면 화질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공개특허 특개2000-263839호에는 현상기로부터 떨어지는 토너나 먼지가 광주사장치의 광학 부품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체로 향하고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통과창과, 통과창을 차폐하는 셔터와, 셔터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셔터에 형성되고 셔터의 이동 범위에 서 레이저 빔의 광로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감광체의 현상 포인트의 아래쪽을 통과하지 않은 레이저 빔 통과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때 셔터는 검은 색용 셔터와, 유색용 셔터로 분활되고,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셔터를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모터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본체내에 구동모터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셔터가 동일 평면상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복수의 통과창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복수의 통과창 중 어느 일부와 이를 개폐하는 셔터와의 거리가 그만큼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셔터에 의한 통과창으로 떨어지는 이물질 등의 부착방지효과가 저하되며, 셔터와 통과창사이의 이격된 공간만큼 dead space가 발생하여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컴팩트한 구성의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통과창과 이에 대응하는 셔터장치사이의 dead space를 방지하고 셔터장치에 의한 복수의 통과창의 이물질 부착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이송수단없이 복수의 셔터 중 어느 일부와 나머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셔터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빔을 주사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과창을 구비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을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진퇴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터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운동한다.
또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하여 상기 제1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차 결합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부에 전달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폐쇄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1기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셔터부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통과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1기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셔터부를 역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통과창을 폐쇄한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광주사장치가 상기 커버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수축,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터부는 제1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부와,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상기 랙부의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통과창을 개폐하는 복수의 셔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과창 중 어느 일부와 다른 일부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셔터부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2셔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셔터부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2셔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주사장치는 통과창을 통과한 빔이 상기 감광체에 정확하게 주사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광주사장치의 상대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를 포함하는 싱글패스형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며 적어도 2이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창이 형성된 광주사장치와,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적어도 2이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셔터부는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통과창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셔터부 중 어느 일부는 나머지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통과창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광주사장치가 상기 커버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수축,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광주사장치의 진퇴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셔터부를 직선왕복 운동시키는 제1기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광주사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커버에 접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레버부를 회전시키는 캠부와, 상기 레버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부에 전달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를 포함하는 싱글패스형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며 적어도 2이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창과,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셔터부가 형성된 셔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커 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셔터부가 상기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커버의 개폐와 연동하여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는 복수의 셔터판을 가지는 셔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모터를 제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통과창을 적어도 2개의 평면상에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셔터판을 복수의 통과창 각각에 인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통과창과 셔터장치사이의 dead space를 방지하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통과창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수단없이 복수의 셔터판 중 어느 일부와 나머지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통과창을 개폐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각기 다른 색상(예컨대,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의 가시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체를 구비하고, 각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첩되어 컬러화상이 형성되는 소위 싱글패스형 컬러화상형성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본체(10), 급지장치(20), 현상장치(30), 광주사장치(100), 전사장치(40), 정착장치(50), 배지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인 용지(S)를 전사장치(4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장치(40)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22)에 의해 한장씩 픽업되고, 픽업된 용지는 이송롤러(23)에 의해 전사장치(40)측으로 이송된다.
현상장치(3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30Y, 30M, 30C, 30K)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30Y, 30M, 30C, 30K)에는 광주사장치(10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31a,31b,31c,31d)와, 감광체(3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2)와, 각 감광체(3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33) 및 현상롤러(3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34)를 포함한다.
광주사장치(10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31)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빔을 발생하는 광원(미도시)과, 빔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편향시키는 폴리곤미러(101)와, 빔을 감광체(31)를 향해 등속으로 주사시키는 에프세타렌즈(102)와, 반사미러(103)를 포함한다.
폴리곤미러(101)는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소정 각도의 주사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미러(103)는 폴리곤미러(101)에서 반사된 광을 에프세타렌즈(102)로 반사시킨다. 에프세타렌즈(102)는 반사미러(103)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광의 촛점을 조절하고, 에프세타렌즈(102)를 통과하는 주사광은 통과창(104)을 통해 최종적으로 감광체(31)로 향하도록 한다.
광주사장치(1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사장치(40)는 중간전사드럼(41)과, 중간전사드럼(41)에 형성된 컬러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롤러(42)를 포함한다.
중간전사드럼(41)에서는 각 감광체(31)에 형성된 각기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이 차례로 전사되어 중첩된 컬러화상이 형성되고, 전사롤러(42)는 중간전사드럼(41)에 형성된 컬러화상을 인쇄매체의 표면에 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쇄매체가 중간전사드럼(41)과 전사롤러(42) 사이를 통과할 때 컬러화상이 인쇄매체의 표면으로 전사된다.
정착장치(50)는 용지에 전사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51)와, 가열롤러(51)에 소정 압력으로 압착되는 가압롤러(52)를 포함한다.
배지장치(60)는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61)와, 배지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62)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가 시작되면, 픽업롤러(22)가 작동하여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픽업한다. 픽업롤러(22)는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지만 급지트레이(21)는 인쇄매체를 픽업롤러(22)측으로 들어 올리기 때문에 픽업롤러(22)는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되는 복수의 인쇄매체를 연속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픽업롤러(22)가 인쇄매체를 픽업하여 이송롤러(23)로 이송시키면 이송롤러(23)는 인쇄매체의 선단을 정렬시킨 후 전사장치(40)측으로 이송시킨다.
인쇄매체가 전사장치(40)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각 감광체(31)에 인접하는 대전롤러(32)가 각 감광체(31)의 표면을 일정 전위로 대전시키고, 광주사장치(100)는 화상 신호에 따라 각 감광체(31)에 빔을 주사하여 각 감광체(31)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각 감광체(31)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각기 다른 색상(예컨대,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각 현상기(30Y, 30M, 30C, 30K)의 토너가 각 감광체(31)에 부착하여 각기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각 색상의 가시화상은 회전하는 중간전사드럼(41)에 차례로 전사되어 중간전사드럼(41)에는 각 색상의 가시화상이 중첩된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중간전사드럼(41)에 형성된 컬러화상은 인쇄매체가 중간전사드럼(41)과 전사롤러(42)사이를 통과할 때 인쇄매체의 표면으로 전사된다. 그리고, 컬러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가 정착장치(50)로 이송되면 정착장치(50)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해 분말 토너로 이루어지는 컬러화상을 인쇄매체 표면에 융착시킨다.
정착장치(50)를 통과한 인쇄매체는 배지장치(60)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커버와 광주사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해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1)와, 커버(11)에 고정되는 광주사장치(100)의 통과창(104:104a,104b,104c,10cd)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장치(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11)는 본체(10)내의 현상기 등 소모품을 교체하거나 jam된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본체(1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커버(11)의 하부에는 힌지부(12)가 형성되어 커버(11)가 힌지부(12)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한다.
커버(11)의 상부 배면에는 커버(11)가 본체(10)에 걸림 유지되도록 후크부(13)가 형성되며, 상부 전면에는 사용자가 후크부(13)를 동작시키기 위해 형성된 누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11)의 개폐를 위한 후크부(13) 및 누름부는 화상형성장치의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커버(11)의 배면에는 광주사장치(100)를 커버(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4)가 마련되고, 광주사장치(100)는 고정부재(14)내부에 마련되어 커버(11)에 대해 진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14)의 전면에는 개구부(15)가 형성되어 개구부(15)를 통해 광주사장치(100)의 통과창(104)이 외부로 노출된다.
광주사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내에 설치되는 폴리곤미러(101)와, 에프세타렌즈(102) 및 반사미러(103)를 포함한다.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사이에는 커버(11)의 개폐동작에 따라 광주사장치(100)가 커버(11)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16)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6)는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커버(11)가 본체(10)를 폐쇄하는 경우 탄성부재(16)가 수축되어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의 이격 간격이 좁혀지고, 커버(11)가 본체(10)를 개방하는 경우,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탄성부재(16)가 복원되어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의 이격 간격이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광주사장치(100)와 커버(11)가 탄성부재(16)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광주사장치(100)가 커버(11)에 대해 하측으로 쳐지거나 하는 등의 상대운동이 발생하여 커버(11)의 폐쇄시 감광체(31)와 통과창(104)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광주사장치(100)의 케이스(110) 양측면에는 커버(11)의 폐쇄시 본체(10)내에 마련된 각 감광체(31)와 대응하는 각 통과창(104)을 적절하게 위치시켜 통과창(104)을 통과한 레이저 빔이 정확하게 감광체(31)에 주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17)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7)의 선단에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되며 본체(10)내에는 가이드 홈(18)과 맞물리는 가이드봉(10a)이 형성된다.
광주사장치(100)의 케이스(110)는 광주사장치(100)의 각종 광학부품들을 감싸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 케이스(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창(104)이 마련된다. 이 통과창(104)은 복수의 감광체(31) 각각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통과창(104)의 폭은 감광체(31)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 통과창(104)을 통해 광주사장치(100)에서 주사된 광이 감광체(31)로 주사된다.
이 때 각 감광체(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중간전사드럼(41)의 외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중간전사드럼(41)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현상기(30Y, 30M, 30C, 30K)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 각 현상기(30Y, 30M, 30C, 30K)의 도면(도1)상 우측 단부가 일 직선으로 배치되지 아니한다.
즉, 4개의 현상기(30Y, 30M, 30C, 30K) 중 내측에 배치되는 2개의 현상기(30M, 30C)의 단부가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현상기(30Y, 30K)의 단부에 비해 측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현상장치(30)와 광주사장치(100)의 컴팩트한 배치를 위해 광주사장치(100)는 내측에 배치된 2개의 현상기(30M, 30C)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광주사장치(100)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부(105)가 형성된다. 수용부(105)의 상,하부는 상대적으로 돌출부(106)가 형성된다.
돌출부(106)에는 외측에 배치되는 2개의 현상기(30Y, 30K)의 감광 체(31a,31d)에 대응하는 제1,4통과창(104a,104d)이 배치되고, 수용부(105)에는 내측에 배치되는 2개의 현상기(30M, 30C)의 감광체(31b,31c)에 대응하는 제2,3통과창(104b,104c)이 배치된다.
즉, 현상기와 광주사장치의 컴팩트한 배치를 위해 제1,4통과창(104a,104d)과 제2,3통과창(104b,104c)은 서로 다른 평편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주사장치(100)는 커버(11)에 고정되기 때문에 커버(11)를 개방하는 경우 이물질 등이 통과창(104)에 부착되거나 광주사장치(100)의 레이저 빔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1)를 개방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광주사장치(100)의 통과창(104)을 폐쇄할 수 있는 셔터장치(12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셔터장치(120)는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를 폐쇄하는 경우 통과창(104)을 개방시키고 커버(11)를 개방하는 경우 통과창(104)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통과창(104)에 대응하는 셔터판(131,132,141,142)이 형성된 셔터부(130,140)와, 커버(11)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셔터부(130,140)를 직선왕복 운동 시키는 제1기어부(150)와, 커버(11)의 폐쇄시 제1기어부(1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커버(11)의 개방시 제1기어부(1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셔터부(130,14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케이스(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제1기어부(15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1,2셔터부(130,140)를 포함한다.
제1셔터부(130)는 돌출부(106)에 형성된 제1통과창(104a)과 수용부(105)에 형성된 제3통과창(104c)을 개폐하는 제1,3셔터판(131,132)과, 제1셔터부(1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3셔터판(131,132)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133)와, 제1연결부(133)에 형성되어 제1기어부(1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랙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통과창(104a)과 제1셔터판(131)의 이격 거리와 제3통과창(104c)과 제3셔터판(132)이 이격 거리가 대략 비슷한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제1셔터판(131)이 제3셔터판(132)에 비해 돌출 형성된다.
제2셔터부(140)는 수용부(105)에 형성된 제2통과창(104b)과 돌출부(106)에 형성된 제4통과창(104d)을 개폐하는 제2,4셔터판(141,142)과, 제2셔터부(1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2,4셔터판(141,142)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143)와, 제2연결부(143)에 형성되어 제1기어부(1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랙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2통과창(104b)과 제2셔터판(141)의 이격 거리와 제4통과창(104d)과 제4셔터판(142)의 이격 거리가 대략 비슷한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제4셔터판(142)이 제2셔터판(141)에 비해 돌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셔터판(131,132,141,142) 각각은 복수의 통과창(104) 각각과 대략 동일한 소정 이격간격을 유지하며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소정 이격간격은 셔터판(131,132,141,142)이 통과창(104)에 인접하며 셔터판(131,132,141,142)이 케이스(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의 간격이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수용부(105) 상방에 형성된 공간(107)을 이용하여 내측 현상기(30M,30C)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현상장치(30)와 광주사장치(100)를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본체(10)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랙부(134,144)는 제1기어부(150)의 대향되는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기어부(1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2셔터부(130,140)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1기어부(15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제1기어부(150)는 케이스(1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레버부(160)의 구동력을 제1,2랙부(1345,144)에 전달한다.
레버부(160)는 커버(11)의 폐쇄시 가압되어 제1기어부(150)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커버(11)의 개방시 복원되어 제1기어부(150)를 B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가압되거나 복원되어 이동하는 캠부(161)와,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여 캠부(161)의 이동과 연동하여 제1기어부(150)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부(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셔터장치(120)의 구성으로 커버(11)를 폐쇄하는 경우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6)가 수축됨과 동시에 커버(11)의 배면(11a)이 레버부(160)의 캠부(161)를 가압하여 레버부(160)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162)가 회전하여 제1기어부(150)를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는 제1셔터부(130)는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3셔터판(131,141)이 제1,3통과창(104a,104c)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는 제2셔터부(140)는 C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4셔터판(132,142)이 제2,4통과창(104b.104d)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커버(11)를 회동시켜 본체(10)를 개방하는 경우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사이의 탄성부재(16)가 복원함과 동시에 레버부(160)의 캠부(161)가 복원하여 레버부(160)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16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기어부(150)를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는 제1셔터부(130)는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3셔터판(131,141)이 제1,3통과창(104a,104c)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는 제2셔터부(140)는 C'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4셔터판(132,142)이 제2,4통과창(104b,104d)을 폐쇄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장치에 형성된 통과창을 개폐하는 셔터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과 비교하여 광주사장치의 통과창을 개폐하는 셔터장치의 구성에 대해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장치(220)는 커버(11)를 폐쇄하는 경우 통과창(104)을 개방시키고 커버(11)를 개방하는 경우 통과창(104)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통과창(104)에 대응하는 셔터판(231,232,233,234)이 형성된 셔터부(230)와, 커버(11)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셔터부(230)를 직선왕복 운동시키는 제1기어부(150)와, 커버(11)의 폐쇄시 제1기어부(1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커버(11)의 개방시 제1기어부(1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셔터부(2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셔터부(230)는 일체로 형성되는데, 돌출부(106)에 형성된 제1,4통과창(104a,104d)을 개폐하는 제1,4셔터판(231,234)과, 수용부(105)에 형성된 제2,3통과창(104b,104c)을 개폐하는 제2,3셔터판(232,233)과 각 셔터판(231,232,233,234)을 연결하는 연결부(235)와, 연결부(235)에 형성되어 제1기어부(1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부(2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4통과창(104a,104d)과 제1,4셔터판(231,234)의 이격 거리와 제2,3통과창(104b,104c)과 제2,3셔터판(232,233)의 이격 거리가 대략 비슷한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제1,4셔터판(231,234)이 제2,3셔터판(232,233)에 비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셔터판(231,232,233,234)은 통과창(104)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두개의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셔터장치(220)의 구성으로 커버(11)를 폐쇄하는 경우 탄성부재(16)가 수축됨과 동시에 커버(11)의 배면(11a)이 레버부(160)의 캠부(161)를 가압하여 레버부(160)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162)가 회전하여 제1기어부(150)를 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는 셔터부(130)는 E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복수의 셔터판(231,232,233,234)이 복수의 통과창(104)을 동시에 개방시킨다.
이와 반대로 커버(11)를 회동시켜 본체(10)를 개방하는 경우 커버(11)와 광주사장치(100)사이의 탄성부재(16)가 복원함과 동시에 레버부(160)의 캠부(161)가 복원하여 레버부(160)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16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기어부(150)를 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기어부(150)와 치차 결합하는 셔터부(230)는 E'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복수의 셔터판(231,232,233,234)이 복수의 통과창(104) 각각을 동시에 폐쇄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커버와 광주사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0a : 가이드봉
11 :커버 16 : 탄성부재
17 : 가이드부 20 : 급지장치
30 : 현상장치 31 : 감광체
30Y,30M,30C,30K : 현상기 40 : 전사장치
100 : 광주사장치 104 : 통과창
105 : 수용부 106 : 돌출부
110: 케이스 120 : 셔터장치
130,140 : 제1,2셔터부 131,132,141,142 : 제1,2,3,4셔터판
134,144 : 제1,2랙부 150 : 제1기어부
160 : 레버부 161 : 캠부
162 : 제2기어부

Claims (18)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빔을 주사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과창을 구비하는 광주사장치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을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랙부와,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셔터판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판은 직선 운동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부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운동하는 셔터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하여 상기 제1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차 결합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부에 전달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폐쇄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1기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복수의 셔터판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통과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1기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복수의 셔터판을 역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통과창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광주사장치가 상기 커버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수축,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과창 중 어느 일부와 다른 일부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2셔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장치는 통과창을 통과한 빔이 상기 감광체에 정확하게 주사되도록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광주사장치의 상대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를 포함하는 싱글패스형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며 적어도 2이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창이 형성된 광주사장치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과창과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통과창을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셔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셔터판 중 적어도 한 쌍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통과창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판 중 어느 일부는 나머지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통과창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광주사장치가 상기 커버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수축,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광주사장치의 진퇴에 따라 회전하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셔터판을 직선왕복 운동시키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광주사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커버에 접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광주사장치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레버부를 회전시키는 캠부와, 상기 레버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부에 전달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내에 마련된 복수의 감광체를 포함하는 싱글패스형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대응하며 적어도 2이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창과, 상기 복수의 통과창 각각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대응되는 통과창을 개폐하는 복수의 셔터판을 가지는 셔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셔터판은, 2이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통과창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는 셔터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02167A 2008-01-08 2008-01-08 화상형성장치 KR10121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167A KR101212295B1 (ko) 2008-01-08 2008-01-08 화상형성장치
US12/332,637 US8145098B2 (en) 2008-01-08 2008-12-11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utt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167A KR101212295B1 (ko) 2008-01-08 2008-01-0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00A KR20090076300A (ko) 2009-07-13
KR101212295B1 true KR101212295B1 (ko) 2012-12-12

Family

ID=4084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167A KR101212295B1 (ko) 2008-01-08 2008-01-0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45098B2 (ko)
KR (1) KR101212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4955A (zh) * 2020-07-30 2020-10-16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打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397B1 (ko) 2012-01-16 2018-05-2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450626B2 (ja) * 2014-05-30 2019-01-0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72B1 (ko) * 2002-02-05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4170643A (ja) * 2002-11-19 2004-06-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走査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3839A (ja) 1999-03-11 2000-09-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16911B2 (ja) * 2003-03-28 2009-08-19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266327B2 (en) 2003-07-25 2007-09-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process cartridge
EP1516738B1 (en) * 2003-09-18 2007-05-23 Ricoh Company, Ltd. Preventing scattered toner and powder dust from entering the optical writing device
US7724276B2 (en) * 2003-11-03 2010-05-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assembly lock/unlock apparatus and method
KR101014666B1 (ko) 2004-05-18 2011-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785085B1 (ko) * 2005-02-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JP4439445B2 (ja) * 2005-07-19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露光装置
US7872664B2 (en) * 2005-09-26 2011-01-18 Ricoh Company, Limited Optical scanning device including shutter member that closes or opens an emission window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device
KR101079577B1 (ko) * 2007-02-08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1525479B1 (ko) * 2008-08-19 2015-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72B1 (ko) * 2002-02-05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4170643A (ja) * 2002-11-19 2004-06-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走査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4955A (zh) * 2020-07-30 2020-10-16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打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00A (ko) 2009-07-13
US20090175649A1 (en) 2009-07-09
US8145098B2 (en)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22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window open-closing shutter
US8081200B2 (en) Laser exposure device, cleaning too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702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09169B2 (ja) 画像形成装置
JP4316911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06469B2 (en)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toner adhered onto endless belt
US89090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rive device to move cleaning unit
KR101101824B1 (ko) 현상전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20004192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12295B1 (ko) 화상형성장치
US20060051127A1 (en) Unit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8314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85033B2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5192076A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17781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전사장치
US10048611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015352B2 (en) Exposur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s, LED head as the exposure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exposure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CN107797413B (zh) 光扫描装置和具备该光扫描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6598831B2 (ja) 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79482B1 (en)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the exposure device
KR20240028676A (ko) 화상 품질 조정용 센서 유닛을 개폐하기 위한 구조
JP201012026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