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86B1 -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86B1
KR101748886B1 KR1020110089945A KR20110089945A KR101748886B1 KR 101748886 B1 KR101748886 B1 KR 101748886B1 KR 1020110089945 A KR1020110089945 A KR 1020110089945A KR 20110089945 A KR20110089945 A KR 20110089945A KR 101748886 B1 KR101748886 B1 KR 10174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digital
audio signa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650A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86B1/ko
Priority to CN201210278379.3A priority patent/CN102984625B/zh
Publication of KR2013002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04H40/4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for FM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8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in band on channel [IBOC]
    • H04H2201/183FM digital or hyb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8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in band on channel [IBOC]
    • H04H2201/186AM digital or hybrid

Abstract

본 발명은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망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망에서 공급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를 끊김 없이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라디오 방송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CAR AUDI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카 오디오의 라디오 방송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음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은 운전 중에 도로 교통 정보, 기상 정보, 각종 뉴스 등의 정보 및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킨다.
이러한 카 오디오 시스템은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선국된 채널을 동조하는 튜너, 테이프, CD 및 DAT 등과 같은 각종 기록매체에 수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플레이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프리 앰프, 메인 앰프 및 이퀄라이저 등과 같은 각종 앰프, 증폭된 음원을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자동차라는 공간 안에서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카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라디오 방송망으로부터 제공되는 라디오 방송 신호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예컨대,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 대한 기대와 강력한 정부의 의도에 따라 앞으로의 방송 시장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FM/AM)에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DAB)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강점은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서 발생하는 화이트 노이즈 및 잡음이 사라지고 고품질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고, 보다 높은 채널수로 잡음 없이 소비자에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라디오 시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예측되며 이에 대한 연구도 1990년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오늘날까지 많은 방송망과 라디오 방송을 위한 제품 들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활발한 연구 또한 디지털 방송망의 장점을 더욱더 부각시켜 디지털 방송을 확대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도 존속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방송국은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망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망에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날로그 방송 및 디지털 방송 양자를 동시에 자유롭게 선택 가능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시스템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스템 각각 별개로 작동되며 하나의 차량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서로 연관성이 없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서비스와 디지털 라디오 방송 서비스의 전환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서비스 및 디지털 라디오 방송 서비스의 상호 전환 시 소리가 끊어지는 등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라디오 방송을 전송할 수 있는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라디오 방송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간의 상호 전환을 끊김 없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은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감도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감도를 비교하여 상기 감도가 높은 오디오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상호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시에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기시키는 출력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감도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지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 경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출력을 상호 전환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감도 레벨이 상호 동일한 시점에 상호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방송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과 동기화시키도록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방송망과 상기 디지털 방송망에서 송출되는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는 동일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는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채널을 수신 지역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단계;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및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동기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감도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 경우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와 아날로그 라디오 신호의 감도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감도 레벨이 동일한 시점에 신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방송망과 상기 디지털 방송망에서 송출되는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는 동일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채널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레벨 및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레벨은 신호 대 노이즈비 정보 및 패킷(Packet) 에러 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디지털 라디오 방송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간의 상호 전환을 끊김 없이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운전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최적화된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라디오 방송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이용되는 시점에서 위 두 방송의 공용화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상호 전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망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은 차량의 엔진 상태 정보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일정 주파수 영역의 출력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최적화된 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 도 1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110),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120), 출력 오디오 처리부(100), 오디오 제어부(130), 출력부(140) 및 채널 데이터 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110)는 아날로그 방송 오디오 처리부(111), 버퍼(112), FM 튜너(113) 및 AM 튜너(114)를 포함한다.
FM 튜너(113)는 FM 라디오 방송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전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필요한 전파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동조장치이다.
AM 튜너(114)는 AM 라디오 방송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전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필요한 전파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동조장치이다.
아날로그 방송 오디오 처리부(111)는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버퍼(112)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동기 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을 조절한다.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120)는 디지털 방송 오디오 처리부(121), 버퍼(122), DAB 튜너(123) 및 DRM 튜너(124)를 포함한다.
DAB 튜너(123)는 DAB 라디오 방송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전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필요한 전파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동조장치이다.
여기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는 기존 AM 및 FM 방송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 신호 형태로 압축, 방송하는 서비스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이라고도 한다.
DAB을 이용하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수가 크게 늘어난다. 또 CD, DAT 및 연주실황 중계 등 고음질의 사운드를 디지털로 중계할 수 있고, 차량 등 이동체에서도 고음질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문자나 그래픽 및 동화상 등 다양한 데이터 정보 수신 기능을 포함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하다.
DAB는 지상파 또는 위성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방식으로는 유럽의 유레카와 미국의 IBOC(In-Band On-Channel) 방식이 있다.
DAB는 유럽의 유레카(Eureka: 첨단기술 공동 개발계획)의 '147 프로젝트'로 1987년 개발이 시작되었다. 영국의 BBC는 1995년 DAB 방송을 실시했으며, 독일과 캐나다 등에서도 99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DRM 튜너(124)는 DRM 라디오 방송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전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필요한 전파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동조장치이다.
여기서, DRM(Digital Radio Mondiale)은 30㎒ 이하 대역에서 사용 중인 중단파 방송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 또는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를 의미한다.
FM 모노 수준의 음질과 다양한 데이터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 중인 주파수대를 그대로 활용하여 디지털로 전환 가능하다.
압축방식으로는 음악을 포함할 경우 MPEG-4 AAC+(Advance Audio Coding Plus), 음성 위주의 낮은 비트 율은 MPEG-4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와 MPEG-4 HVXC(Harmonic Vector Excitation Coding)를 사용한다.
전송 방식은 OFDM, 변조 방식은 QAM을 사용하지만 채널 상태에 따라 16QAM과 64QAM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대역폭은 지역마다, 사용 주파수대에 따라 다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4.5㎑, 9㎑, 18㎑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오디오 처리부(121)는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버퍼(122)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동기 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을 조절한다.
오디오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110)가 생성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감도 및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120)가 생성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감도를 비교한다.
예컨대, 오디오 제어부(130)는 신호 대 노이즈비(SNR) 정보 및 패킷(Packet) 에러 정보 등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감도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감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오디오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감도가 높은 오디오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아날로그 방송망과 디지털 방송망에서 송출되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와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가 동일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일 때, 오디오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중 현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라고 감지되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출력 오디오 처리부(1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오디오 제어부(130)는 현재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되고 있는 라디오 방송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고, 이러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라디오 방송의 감도가 일정레벨 이하이면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출력 오디오 처리부(1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라디오 방송의 감도가 일정레벨 이하이면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출력 오디오 처리부(100)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 시키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 오디오 처리부(100)는 오디오 제어부(1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킨다.
즉, 출력 오디오 처리부(100)는 일례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경우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디지털 방송 오디오 처리부(121)는 이를 수신해서 디코딩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압축 또는 복원하는 데에 시간적 딜레이를 가지게 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출력시점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110) 및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120)는 각자 버퍼(112, 122)를 통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킨다. 이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의 전환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의 전환 동작을 끊김 없이 매끄럽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110)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채널을 수신 지역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채널 데이터 베이스(150)에 수신 지역에 따른 동일한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 해당하는 복수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채널들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수신 지역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채널로 자동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은 디지털 라디오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신호 중 수신 감도가 높은 라디오 신호를 감지하여 끊김 현상 없이 상호 전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음질의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것으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S210).
이후,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 해당하는 채널 링크 정보를 수신하고(S220), 해당 채널 링크 정보를 수신하면 그에 따라 튜닝 한다(S230).
이후, 지금 출력되고 있는 라디오 일례로 상기와 같은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수신 감도 즉,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한다(S240).
여기서,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뿐만 아니라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인지 판단한다(S250).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초과이면 계속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면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한다.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로 전환하여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260).
이후,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인지 판단한다(S270).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초과이면 사용자의 선택이 있을 때까지 계속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면서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한다.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다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선택 모드(S210)로 돌아가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로 전환하여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210).
여기서, 일례로 아날로그 방송망과 디지털 방송망에서 송출되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와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가 동일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일 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중 현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라고 감지되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상호 전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상호 전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주행하고 있는 차량 안에서 시간에 따른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DAB)의 감도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FM)의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차량이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여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동시에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 해당하는 채널 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채널 링크 정보에 따라 튜닝 한다.
이후, 지금 출력되고 있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수신 감도 즉,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뿐만 아니라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레벨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레벨은 신호 대 노이즈비 정보 및 패킷(Packet) 에러 정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S1) 이하이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의 상호 전환이 가능한 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 3의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을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 전환 가능 모드로 인식하고, 이러한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에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언제든지 상호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일례로 S1 레벨 이하이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하여 비교하는 모드로 전환하여 수신 감도 레벨이 더 높은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또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감도 레벨이 동일한 시점(S4)을 기준으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동일한 방송 신호 시점을 찾아서 서로 출력 시점 차이가 있으면 버퍼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송 신호가 동일 시점에 출력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지연시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호 전환할 때 끊김 현상 없이 매끄럽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망과 디지털 라디오 방송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예컨대, DAB의 SWR3 in Rheinland - Pfalz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 예컨대, FM-RDS의 SWR3 방송이 나오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디지털 방송(DAB: SWR3 in Rheinland - Pfalz)을 수신하고 있다가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의 상호 전환이 가능한 모드로 전환하여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및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계속적으로 감지한다.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보다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높아지는 때에 디지털 방송(DAB: SWR3 in Rheinland - Pfalz)에서 아날로그 방송(FM-RDS: SWR3)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Service Follow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라디오 방송 신호의 끊김 현상없이 보다 더 고품질의 라디오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차량 내에서 멀티미디어의 고급화 및 다기능화를 달성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고품질의 신뢰성 높은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이용되는 시점에서 위 두 방송의 공용화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의 신호 감도 및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신호 감도에 따라 끊김 현상 없이 상호 전환 가능한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카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구현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어느 변경 형태로 만들어지든지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봄이 상당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출력 오디오 처리부 110: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
120: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 130: 오디오 제어부
140: 출력부 150: 채널 데이터 베이스

Claims (10)

  1.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감도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감도를 비교하여 상기 감도가 높은 오디오 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상호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시에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기시키는 출력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감도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지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 경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 출력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출력을 상호 전환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감도 레벨이 상호 동일한 시점에 상호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는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 방송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과 동기화시키도록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생성부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방송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을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출력시점과 동기화시키도록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방송망과 상기 디지털 방송망에서 송출되는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는 동일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생성부는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채널을 수신 지역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6. 디지털 방송망으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단계;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및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를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따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동기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감도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전환 가능 구역인 경우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와 아날로그 라디오 신호의 감도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신호의 감도 레벨이 동일한 시점에 신호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감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방송망과 상기 디지털 방송망에서 송출되는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와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는 동일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동일한 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방송망으로부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 채널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레벨 및 상기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의 감도 레벨은 신호 대 노이즈비 정보 및 패킷(Packet) 에러 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10089945A 2011-09-06 2011-09-06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4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945A KR101748886B1 (ko) 2011-09-06 2011-09-06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201210278379.3A CN102984625B (zh) 2011-09-06 2012-08-07 汽车音响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945A KR101748886B1 (ko) 2011-09-06 2011-09-06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650A KR20130026650A (ko) 2013-03-14
KR101748886B1 true KR101748886B1 (ko) 2017-06-20

Family

ID=4785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945A KR101748886B1 (ko) 2011-09-06 2011-09-06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886B1 (ko)
CN (1) CN1029846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14B1 (ko) * 2020-06-29 2021-05-17 이건수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023B1 (ko) * 2013-07-26 2020-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라디오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CN103763053B (zh) * 2014-01-07 2016-08-17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广播控制器及列车广播控制系统
KR102319432B1 (ko) * 2015-07-13 2021-10-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종 오디오 방송간 전환 방법
CN106330366A (zh) * 2016-08-19 2017-01-11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播放设备的dab与fm切换控制方法及系统
CN106685556B (zh) * 2016-12-16 2019-04-30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Fm-rds/dab信号接收机的检测设备及设备的检测方法
CN110224772B (zh) * 2019-05-16 2021-05-14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fm与cdr广播的自动切换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088A (ja) * 2005-07-11 2007-01-25 Sony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74930Y (zh) * 2006-01-13 2007-02-28 阿尔派株式会社 无线接收机
KR100770871B1 (ko) * 2006-02-1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방송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110660A (ko) * 2006-05-15 2007-11-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복합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절환 장치 및 방법
EP1879310A1 (en) * 2006-07-11 2008-01-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for decoding a digital radio stream
CN101521550B (zh) * 2008-02-26 2012-03-14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嵌入式多媒体系统及其相关数字广播解调装置
CN101800355B (zh) * 2009-02-05 2013-08-07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单极天线的馈入装置及相关模拟广播播放系统与整合系统
CN101651505B (zh) * 2009-09-02 2011-07-27 北京悦龙数字广播传媒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无线数字广播技术的推送式广播方法及推送式广播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088A (ja) * 2005-07-11 2007-01-25 Sony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14B1 (ko) * 2020-06-29 2021-05-17 이건수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84625B (zh) 2017-07-21
KR20130026650A (ko) 2013-03-14
CN102984625A (zh)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886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EP2051523B1 (en) Receiver with means for switching without discontinuity between the audio-video signals from two transport streams
US2007008914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the same
US9065574B2 (en) Frequency tracking for a FMR transmitter
KR100636216B1 (ko)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송 수신 장치
US201201154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wireless link
JP2004349805A (ja) Iboc放送受信機
JP5174623B2 (ja) 放送受信回路および放送受信装置
JP2009021900A (ja) サイマル放送受信装置
JP200820601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70062144A (ko)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채널정보 제공 방법
JP2006270825A (ja) 受信機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490258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US201101242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wireless link replacement
WO2005117275A1 (ja) 受信装置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51155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JP2006304073A (ja) 移動体のデジタル放送受信記録再生装置
JP2005005848A (ja) Iboc放送受信機
KR100698648B1 (ko) 방송 끊김 방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11234154A (ja) 多重放送受信機
KR101945742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방송 데이터 연속 디코딩 출력 장치
JP2011211585A (ja) ラジオ受信機
KR100867177B1 (ko) 멀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기 및 그 방법
JP2014204189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