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452B1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452B1
KR101748452B1 KR1020127000721A KR20127000721A KR101748452B1 KR 101748452 B1 KR101748452 B1 KR 101748452B1 KR 1020127000721 A KR1020127000721 A KR 1020127000721A KR 20127000721 A KR20127000721 A KR 20127000721A KR 101748452 B1 KR101748452 B1 KR 10174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esture
combined
touch
global input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529A (ko
Inventor
렌나르트 벤데발트
슈테판 헨쯔
크르슈토프 발러
폴크마르 바그너
프랑크 하우쉴트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3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메뉴가 한정되고, 여기서 메뉴의 수개의 대상(7)이 기능과 각각 결합되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대상(7)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며, 여기서 입력 제스쳐가 입력 장치의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이한 표시 내용이 표시 표면(2)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포획되며, 표시 표면(2)에서의 현재 제공된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기능이 수행되며, 이는 포획된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대상(7)과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작동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devic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표시 영역(display area)을 갖는 표시 장치를 갖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에 나타낸 표시 내용(display content)이 조절될 수 있는 조절 장치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메뉴와 관련한 표시 내용은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터치-민감성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 및 조절 장치는 특히 차량에서 사용된다.
원래, 차량, 특히 자동차에 제공되는 각종 장치는 별도의 조절 성분을 통해 작동되었다. 예를 들면, 공기유동 및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 스위치, 각종 배기 노즐을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 차량의 내부를 위한 조명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및 라디오 또는 CD 플레이어를 위한 조절 성분이 존재한다. 그 때 이래로, 현대의 자동차에는 많은 장치들이 현재, 모든 차량 장치에 대한 별도을 조절 성분을 제공하기에 더 이상 편리하지 않은, 각종 차량 기능, 정보 시스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광범위한 차량 장치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소수의 조절 성분과 함께 표준 조절 개념을 이용하여 조절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는 조절 성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변환 영역을 표시한다. 표시 목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인 형태에서, 표시는 상이한 정보 항목들의 일반적인 시그날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각종 형태의 액정 표시가 표시로서 사용된다. 표시 장치 위의 표시는 운전자에게 차량을 위한 교통 관련 또는 작동 관련 데이타를 가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운행중에 있거나, 외부 세계와 통신중인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다. 소위 조합 장치는 운전자의 주 시야 장(primary field of view) 근처에 배열된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운전대 뒷편의 계기판에 위치하며, 이 경우 이는 운전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볼 수 있다. 이는 특히 자동차와 관련된 속도, 연료 함량, 라디에이터 온도 및 기타 작동 관련 정보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라디오 및 기타 오디오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화, 네비게이션, 텔레마틱스 서비스(telematics services) 및 멀티미디어 제품을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표시는 또한 차량에서 각종의 추가 장치들의 조절을 보조한다.
조합 장치 외에도, 표시 장치는 종종 차량의 중앙 콘솔(console) 위에 배열되며, 이를 통해 추가의 정보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표시 장치는 다기능 표시로서 사용되며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지리학적 지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다기능 표시가, 예를 들면, DE 199 41 956 A1에 기술된다.
다기능 표시는, 각종 조절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조절 시스템과 함께 작동한다. 예를 들면, 차량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 및 기능 키(key)는 DE 199 41 956 A1에 제공된다. 다른 한편, DE 199 41 956 A1은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추가로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용 그룹 및 개개의 작용을 선택하기 위한 다기능 조절 성분을 기술한다. EP 1 026 041 A2는 자동차용 다기능 조절 장치를 기술한다. 이 조절 장치는, 라디오, 내장 컴퓨터, 전화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고정된 목적을 갖는, 기능 키를 갖는 표시 및 기능 스트립(function strip)을 포함한다. 기능 키가 작동하는 경우, 표시는 적절한 기구에 할당되며, 이 기구는 이의 현재의 작동 상태가 표시 위에 표시되도록 한다. 더욱이, 자유롭게 프로그램가능한 기능 키가 제공되며, 가능하게는 매크로-명령 능력(macro-command capability)을 갖는 기능 키도 제공된다. 이들 키는 자유 프로그래밍에 의해 차량내 기구에 할당될 수 있으며, 이의 각각의 작동 상태가, 적절한 기능 키가 작동되는 경우 표시 위에 표시되도록 한다.
더욱이, DE 35 14 438 C1은 차량에 설치되는 다수의 액세서리를 조절하기 위한 중앙 조절 입력 및 정보 출력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및 출력 장치는 표시된 메뉴에서 성분들과 명료하게 연결되는 표시 장치 및 조절 키를 포함한다. 메뉴에서 성분들은 각각의 조절 키에 의해 개시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개개의 액세서리에 대한 메뉴는 표시 상에 표시될 수 있는 기본 메뉴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시스템은 추가의 조절 성분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중앙 조절 입력 및 정보 출력, 및 액세서리의 특정한 기본 기능이 순간적으로 선택된 메뉴와 독립적으로 임의의 시점에서 접근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언급된 조절 성분 외에도, 표시 자체는 터치-민감성 표면이 장착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소위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의 경우, 조절 작용은 예를 들면, 그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한다.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평가하고 조절 단계와 결합한다. 조절 공정에서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는 표시 위의 그래픽 전환 영역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터치-민감성 표면을 갖는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DE 10 2005 020 155 A1에 기술되어 있다.
차량에서 정보의 표시 및 차량에서 광범위한 장치의 조절은 매우 특수한 요건에 적용된다. 정보 인식 및 조절 공정은 운전자가 특히 차량에서 수행한다. 따라서, 정보 항목들은 차량에서 표시하여 운전자가 인식한 정보가 운전중에 운전자를 유인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표시된 정보는 따라서 운전자가,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단지 매우 단시간 동안에 운전 상황으로부터 자신의 시야로부터 벗어나야 하는 방식으로, 직관적으로 및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차량 장치를 가능한한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 동안에도 장치를 작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조절 공정이 표시에 의해 보조되거나 안내되는 경우, 표시는, 운전이 조절 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단지 매우 간단하게 표시를 보아야 하도록 생성해야 한다.
광범위한 조절 및 표시 작동을 분명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계층적 메모리 구조(hierarchical memory structure)가 자주 사용된다. 메뉴는 각종 목록 입력 또는 대상을 나타내며, 가능하게는 목록 입력 또는 대상과 결합된 그래픽, 그래픽 변환 영역 또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목록 입력 또는 대상이 선택되는 경우, 부메뉴가 추가의 목록 입력 또는 대상과 함께 개방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계층적 수준을 통해 계속될 수 있다. 더욱이, 목록 입력 또는 대상은 부메뉴와 함께라기 보다는 특정한 표시 내용과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표시 내용은 이러한 목록 입력 또는 대상과 결합된 정보를 나타낸다.
차량에서 계층적 메뉴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하나의 문제점은 이들 메뉴 구조 내의 네비게이션이 운전자를 혼란시키도록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메뉴 구조 내의 네비게이션이 운전자에 의해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계층적 메뉴 구조에 대한 조절 개념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유형의 방법 및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어도 기본적인 기능에 대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방법, 청구항 9의 특징을 갖는 방법, 청구항 13의 특징을 갖는 조절 장치, 및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조절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유리한 개선 및 개발사항은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기능이 메뉴에서 다수의 대상의 각각과 결합되어 있는 메뉴가 한정된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global input gesture)는 각각의 경우에 대상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입력 제스쳐는 입력 장치의 터치-민감성 표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각종 표시 내용이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터치-민감성 표면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며, 결국 검출된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대상과 결합되는 기능은 그 시점에서 표시 영역에 나타난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당해 입력 제스쳐가 모든 메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됨을 의미한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어떠한 표시 내용이 해당 시간에 표시되는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위해 항상 사용된다. 예를 들면, 기능은, 특정 메뉴내의 특정한 대상이 항상 불러져야한다는 점을 명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해당 시간에 표시 내용에 좌우되는 특정 기능과 결합되는 입력과 상이하다. 변환 영역이, 예를 들면, 메뉴에 표시되는 경우, 이후에 기능은, 변환 영역 내에 나타낸 정보 내용에 좌우되는, 이러한 변환 영역의 영역 내 터치-민감성 표면의 터치와 결합된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항상 동일한 방법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국부적 변환 영역과 무관하게, 특정 기능과 결합된다. 그러나, 기능은 또한 당해 시점에서 표시 내용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은, 표시 내용과 무관하게, 목록에서 제3의 대상 또는 오른쪽의 상부에서 대상이 항상 선택되어야 하는 것을 명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상이한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의 동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손가락 끝을 사용하여 표면을 동시에 터치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터치-민감성 표면의 3개 이상의 상이한 영역을 동시 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표면을 포함하는 터치-민감성 표면 또는 입력 장치는,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가 검출되고 평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터치-민감성 표면에서 수행되는, 손가락 또는 다수의 손가락과 같은, 대상 또는 다수의 대상의 운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예를 들면, 터치-민감성 표면에 기록되고 숫자와 결합되는 스크립트(script)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터치-민감성 표면에 자신의 손가락끝을 사용하여 숫자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의 입력은 해당 시점에서 표시된 메뉴와 결합되는 가능한 다른 입력 옵션과 무관하게 확인된다. 예를 들면, 해당 시점에서 표시된 메뉴의 변환 영역과 결합되는 터치-민감성 표면의 영역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입력할 때 터치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입력은 변환 영역의 작동과 결합되지 않지만,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된다. 이 경우, 용도는, 특히 터치-민감성 표면이 다수의 영역에서 동일한 시간에 터치되어, 터치-민감성 표면이 하나의 시점에서 단지 하나의 영역에서 터치되는 입력들 사이에서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는 사실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소메뉴가 대상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다. 소메뉴는, 이러한 대상과 결합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표시된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기능은 이 경우 특정한 소메뉴의 표시이다. 특히, 소메뉴는 주 메뉴의 대상의 소메뉴이다. 이는 당해 방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기본 기능들 중의 하나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다른 입력과 보다 더 용이하게 구분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전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별도의 입력은, 다음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별도의 입력 후에 시간 간격 내에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이러한 개선은 기타 입력과의 혼동을 신뢰할만하게 피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다른 개선에 따라,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위한 영역은 터치-민감성 표면에 한정된다. 이 경우,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해당 시간에서 표시 내용의 함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또한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기타 입력 사이에서 수득되는 혼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하나의 기능이 메뉴 내의 다수의 대상들의 각각과 결합되는 메뉴가 정의되며, 상이한 숫자는 각각의 경우 대상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각각의 경우 대상들의 것들과 결합되며, 여기서 입력 제스쳐는 입력 장치의 터치-민감성 표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터치-민감성 표면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며 숫자와 결합된다. 이후에, 숫자가 결합되는 시점에서 표시된 메뉴내의 대상과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이러한 개선에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기능은 당해 시점에서 나타내어지는 표시 내용과 독립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로, 기능은 당해 시점에서 표시되는 메뉴에 관한 것인데, 그 이유는 숫자가 각각의 경우 이 메뉴에서의 대상과 결합되기 때문인데, 이는 이러한 물체와 글로벌 입력 제스쳐 사이의 관계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물체가 목록으로서 조직되는, 메뉴 내의 제3의 대상은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항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러한 개선은, 대상의 단지 관리가능한 숫자가 각각의 경우 각종 메뉴와 결합되는 경우에 특히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단지 5개의 대상 또는 5개 미만의 대상이 메뉴와 관련해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경우, 입력 제스쳐는, 예를 들면, 터치-민감성 표면의 각종 영역의 동시 터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술된 영역의 숫자는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숫자에 상응한다. 이 경우, 특히,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터치-민감성 표면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 공정에서 사용자는, 어떤 대상이 각각의 메뉴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지를 한정하기 위해 터치-민감성 표면을 터치하는 손가락끝의 수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터치-민감성 표면에 기록되고 입력 제스쳐와 결합된 숫자에 상응하는 스크립트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추가의 개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메뉴가 한정되는데, 여기서 기능은 추가의 메뉴에서 다수의 대상 각각과 결합된다. 상이한 수는 각각의 경우 추가의 메뉴에서 대상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각각의 경우 추가의 메뉴에서 이들 대상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이러한 개선에서, 숫자와 결합된 해당 시점에서 표시되는 메뉴에서 대상과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입력 제스쳐는 따라서 다수의 메뉴에 대해 해석될 수 있는 숫자와 결합되어, 해당 시점에서 표시되는 메뉴에서 숫자와 결합된 대상이 선택되고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조절 장치를 갖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에 나타낸 표시 내용이 조절될 수 있다. 메뉴와 관련되는 표시 내용은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메뉴에서 기능은 메뉴 내의 다수의 대상 각각과 결합되며, 여기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각각의 경우 대상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다. 조절 장치는 입력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터치-민감성 표면을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민감성 표면에서 수행된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은 당해 시점에서 표시 영역에 나타내어지는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다시 결합되는 대상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 상이한 숫자는 조절 장치에서 대상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는 경우에 존재하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이들 대상과 결합된 각각의 경우에 존재한다. 이 경우, 기능은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은 해당 시점에서 나타낸 메뉴에서 대상과 결합되며, 이 대상은 다시,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된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숫자와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 장치의 입력 장치는, 터치-민감성 표면의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터치-민감성 표면은 표시 영역과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소위 터치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터치-민감성 표면은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소위 터치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은 소위 다중-터치패드 또는 다중 터치 스크린이며, 이 위에서 다수의 손가락끝에 의해 동시 터치가 검출되고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특히 차량 장치를 위한 조절 공정을 보조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조절 장치는 특히 차량에서 수용된다. 이 경우, 표시 영역은 차량 탑승자, 특히 차량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배열한다. 더욱이, 입력 장치의 터치-민감성 표면은 차량 탑승자, 특히 차량 운전자의 손가락끝으로 터치할 수 있도록 배열한다.
이제는 도면은 참조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를 갖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에 나타낸 표시 내용이 조절될 수 있는 조절 장치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조절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메뉴와 관련한 표시 내용은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장치는 터치-민감성 표면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 및 조절 장치는 특히 차량에서 사용된다.
도 1은 장치의 하나의 양태의 설계, 및 차량의 다른 장치에 대한 이 장치의 커플링을 도시한다.
도 2 및 3은 글로벌 입력 제스쳐의 입력을 나타낸다.
도 4는 상이한 방식으로 글로벌 입력 제스쳐의 입력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사용되는, 표시 영역의 개선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6c는 대상에서의 마킹(marking)을 나타내며, 이는 결합된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가시화한다.
하기 내용에 기술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조절 장치 및 방법의 양태가 특히 차량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기타 장치, 특히 휴대폰 기구와 연결해서 사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에서 사용하는 경우, 이는, 상기 방법 및 조절 장치가 차량의 기본 기능에 아주 신속하게 접근하도록 하는 특별한 이점을 생성한다. 이는, 차량에서 장치를 조절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최소 수준의 가능한 혼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의 기본 기능에 아주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1명 이상의 차량 탑승자, 특히 운전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에 배열되는 표시 영역(2)을 갖는 표시 장치(1)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2)은 상기 방법 또는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 영역(2)은 목적하는 유형의 표시, 특히 액정 표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조절 장치(3)에 커플링된다.
조절 장치(3)는 표시 장치(1)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조절 장치는 데이타 저장을 위해 메모리(4)에 연결한다. 특히, 데이타는 계층적 메뉴를 이용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메뉴는 다수의 대상을 포함하며, 이를 사용하여 하나의 기능이 각각의 경우 결합된다. 특히, 대상은 선택가능한 변환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변환 영역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성분을 의미한다. 변환 영역은, 이들이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위 표시 성분 또는 표시 영역인 순수한 정보 표시를 위한 성분 및 영역과 상이하다. 변환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이와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변환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이와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이 기능은 정보 표시에서의 변화를 단지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변환 영역을 또한 사용하여 장치를 조절(제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절은 정보 표시에 의해 보조된다. 따라서, 변환 영역은 통상적인 기계적 변환을 대체할 수 있다. 변환 영역이 생성되고 자유롭게 프로그램가능한 표시 영역에서 임의의 목적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변환 영역은 또한 마킹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된 기능은 이 단계에서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마킹된 변환 영역은 기타 변환 영역과 비교하여 강조된 형태로 표시된다. 변환 영역의 마킹 및/또는 선택은 커서 조절(cursor control)를 사용하거나 표시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의 직접 작동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은 변환 영역의 형태로 5개의 대상 7-1 내지 7-5(대상 7-1 내지 7-5는 또한 다음 내용에서 대상 7 또는 대상들 7로서 일반적인 형태로 언급된다)를 포함하는 메뉴를 나타낸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메뉴는 차량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적인 주 메뉴이다. 대상(7)은, 예를 들면, 기후-조절 셋팅, 네비게이션 시스템, 통신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의 기본 기능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대상(7)은 숫자(1 내지 5)로 주석을 단다. 이들 숫자는 표시 영역(2)에 대상(7)과 관련지어 표시한다. 또한, 대상(7)은 그래픽 또는 문자숫자겸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대상(7)과 결합되는 기능을 가시화한다.
더욱이, 조절 장치는,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을 갖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예시적인 양태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은 표시 영역(2)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특히,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를 표시 영역(2)의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소위 다중-터치 스크린이다.
또한, 터치-민감성 표면은 표시 영역(2)과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장치는 따라서 터치패드, 특히 멀티-터치패드를 포함한다.
더욱이, 조절 장치(3: 제어 장치)는 차량 버스(vehicle bus)(6)에 커플링되며, 이를 통해 데이타가 차량내 광범위한 장치들 사이에서 상호교환될 수 있다. 이들 장치의 조절은 표시 영역(2) 위의 표시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장치는 입력 장치, 특히 터치-민감성 표면(5)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제1 양태는 도 2 내지 4를 참조로 하여 다음에 설명할 것이다.
메모리(4)에 저장된 데이타는 계층적 메뉴 구조로서 저장된다. 계층적 메뉴 구조와 결합된 메뉴는 표시 영역(2) 위의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최고의 계층적 수준에서, 대상(7-1 내지 7-5)을 포함하는 주 메뉴가 표시된다. 특수한 기능이 대상(7)들의 각각, 이 경우 소메뉴라고 불리우는 것과 결합된다. 예를 들면, 주 메뉴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예를 들면, 대상(7-1)의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을 터치함으로써, 대상(7-1)을 선택하면, 대상(7-1)과 결합되는 소메뉴가 표시된다. 기타 대상(7-2 내지 7-5)과 관련되는 소메뉴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입력 제스쳐는 대상(7)과 결합된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에 입력되는 경우, 상응하는 대상(7)과 결합된 기능은, 표시 영역(2)에 해당 시간에 나타낸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다시 말해서 또한 해당 시간에 표시된 메뉴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설명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숫자(1 내지 5) 중의 하나는 대상(7)의 각각과 결합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단지 하나의 손가락끝으로, 기술된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의 터치는 대상(7-1)을 갖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로서 결합되며, 이와 함께 숫자(1)가 결합된다. 예를 들면, 2개의 손가락끝을 사용하여, 2개의 기술된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의 동시 터치가, 숫자(2)와 결합되는, 대상(7-2)과 함께 글로벌 입력 제스쳐로서 결합된다. 상응하게는, 예를 들면, 3개, 4개 또는 5개의 손가락끝을 사용하여, 3개, 4개 또는 5개의 기술된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의 동시 터치가 대상(7-3, 7-4 및 7-5)과 함께 글로벌 입력 제스쳐로서 결합되며, 이와 함께 숫자(3, 4 및 5)가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대상(7)을 갖는 주 메뉴의 표시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는 우선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계층적 메뉴 구조 내에서 변환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목적하는 방법으로 운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층적 메뉴 구조내에 위치하는 메뉴와 독립적으로, 사용자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입력함으로써 임으의 시간에서 주 메뉴로부터 대상(7)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서 대상(7)과 관련되는 상응하는 소메뉴가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입력함으로써 직접 불러진다. 따라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신속한-접근 기능(숏컷)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사용자는 손가락끝을 사용하여, 계층적 메뉴 구조 내에서 임의의 목적하는 표시를 사용하여, 3개의 위치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을 동시에 터치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 장치(3)는, 터치-민감성 표면(5)이 동시에 터치되는 위치(9)를 검출한다. 3개의 기술된 영역에서 동시 터치는, 대상(7-3)과 결합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로서 직접 조절 장치(3)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조절 장치는 우선 위치(9)의 상대 위치를 조사할 수 있으며, 3개의 위치(9)가, 터치-민감성 표면(5)이 3개의 손가락끝(8)에 의해 동시에 터치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일단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면, 대상(7-3)과 결합되는 기능은 표시 영역(2)에서 해당 시점에서 나타낸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데, 그 이유는 이러한 대상이 검출된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대상(7-3)과 결합되는 소메뉴가 불러지고 표시된다.
더욱이, 추가의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각각의 대상(7)과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각각의 대상(7)과 직접, 즉 표시 영역(2)에 해당 시간에서 나타내는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기능을 불러오기 위한 추가의 옵션을 제공한다. 이 경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터치-민감성 표면(5)에 기록되고 대상(7)과 결합되는 숫자에 상응하는 스크립트이다. 예를 들면, 도 4는 숫자 3을 위한 스크립트(10)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끝(8)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스크립트(10)는 대상(7-3)과 결합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로서 해석된다. 상응하게는, 사용자는 또한 터치-민감성 표면(5) 위에 스크립트(10)로서 기타 숫자 1 내지 5 중의 하나를 기록하여, 대상(7)과 결합되는 기능을 부르도록 할 수 있다.
메뉴와 연결해서 수행되는 기타 입력과 글로벌 입력 제스쳐 사이를 구별하기 용이하게 만들기 위하여, 터치-민감성 표면(5)에 대한 글로벌 입력 제스쳐의 경우 3개 이상의 기술된 영역에서 동시에 터치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또한,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전에 별도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별도의 입력은, 예를 들면, 적절하게 확인되는 별도의 변환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이후에 별도의 입력 후의 시간 간격 내에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영역(2)은 2개의 영역(2-1) 및 (2-2)으로 세분될 수 있고; 영역(2-1)은 정보 항목 및 메뉴의 통상적인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표시 영역(2-2)은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입력하기 위해 남겨둔다. 이 표시 영역(2-2)은 터치-민감성 표면(5)과 함께 제공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당해 영역(2-2)을 사용하여 자신의 손가락끝(5)을 이용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당해 영역(2-2)의 위치 및/또는 크기는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위치 및/또는 크기는 또한 해당 시점에서 표시 내용의 기능으로 한정될 수 있으며, 이는 표시 영역(2)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두번째 예시적인 양태는 다음 내용에 기술될 것이며, 이는 또한 도 1을 참조로 하여 위에서 기술한 조절 장치로 수행할 수 있다.
첫번째 예시적인 양태의 경우에서와 같이, 다수의 메뉴가 메모리(4)에서 계층적 메뉴 구조에 저장된다. 이 경우, 다수의 메뉴는 다수의 대상(7)(목록 입력)을 갖는 목록을 포함한다. 각종 메뉴에서 대상(7)은, 그러나, 상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적용의 경우에, 예를 들면, 목록은 상이한 음악 곡, 또는 라디오 방송국 수를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사용자의 손에서 손가락끝(8)으로 터치-민감성 표면(5)을 동시 터치함으로써 수행되는 경우, 목록 내의 대상의 수는 5개 이하로 제한된다.
첫번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이, 대상(7)은 숫자로 각각 확인된다. 이 경우 또한, 그래픽 기호 또는 추가의 문자숫자형 정보 항목은 상응하는 대상(7)의 기능을 추가로 가시화할 수 있다.
두번째 예시적인 양태에서, 숫자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된 각각의 경우에 존재하며 다시 메뉴에서 특정 대상(7)과 결합된다. 그러나,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이 경우에 수행되는 경우, 주 메뉴에서의 특정 대상(7)의 기능은 상기한 예시적인 양태의 경우에서와 같이 불러지지 않지만,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숫자와 결합되는 시점에서 표시된 메뉴에서 대상(7)과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이 경우, 3개의 기술된 영역에서 터치-민감성 표면(5)의 동시 터치는 숫자(3)와 결합되며, 4개의 기술된 영역에서의 동시 터치는 숫자(4)와 결합되며, 5개의 기술된 영역에서의 동시 터치는 숫자(5)와 상응하게 결합된다. 목록을 포함하는 각각의 메뉴에서, 3개의 손가락끝(8)을 사용한 터치-민감성 표면(5)의 터치는 따라서 불려지는 세번째 대상(7)을 생성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4개의 손가락끝(8)을 사용한 동시 터치는 불려지는 네번째 대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응하게는, 각각의 숫자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립트(1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별도의 영역(2-2)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별도의 입력은 또한 글로벌 입력 제스쳐의 실제 입력 전에 수행하여 글로벌 입력 제스쳐로서 시간 간격 내에 후속적인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잇는 대상은 적절하게 마킹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각각 마킹(11), 마킹(12) 및 마킹(13)이 제공되는 대상(14)을 나타낸다. 마킹(11)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한 터치-민감성 표면(5)의 터치 또는 숫자(1)이 대상(14)과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마킹(13)은, 3개의 손가락끝(8)을 사용한 터치-민감성 표면(5)의 동시 터치 또는 숫자(3)가 대상(14)와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면부호의 목록
1 표시 장치
2 표시 영역
3 조절 장치
4 메모리
5 터치-민감성 표면
6 차량 버스
7 대상
8 손가락끝
9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의 위치
10 스크립트
11 마킹
12 마킹
13 마킹
14 대상

Claims (15)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기능이 메뉴 내의 다수의 대상(7)들의 각각과 결합되는 메뉴가 정의되고,
    글로벌 입력 제스쳐(global input gesture)가 각각의 경우에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여기서 입력 제스쳐가 입력 장치의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각종 표시 내용이 표시 영역(2)에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고,
    검출된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대상(7)과 결합되는 기능이 해당 시간에 표시 영역(2)에 나타나는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모든 메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는 입력 제스쳐이고, 어떠한 표시 내용이 해당 시간에 표시되는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위해 항상 사용되고,
    소메뉴가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전에, 다음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별도의 입력이 수행되고, 여기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별도의 입력 후에 일정 시간 간격 내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의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의 3개 이상의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에 기록되고 숫자와 결합되는 스크립트(script)(10)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대상(7)과 결합된 소메뉴가, 이러한 대상(7)과 결합된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는 경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위한 영역이 터치-민감성 표면(5)에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해당 시점에서 표시 내용의 기능으로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기능이 메뉴 내의 다수의 대상(7)들의 각각과 결합되는 메뉴가 정의되고,
    상이한 숫자가 각각의 경우에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각각의 경우에 이들 대상(7)들과 결합되고, 여기서 입력 제스쳐가 입력 장치의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되고 숫자와 결합되며,
    숫자가 결합되는 시점에서 표시되는 메뉴 내의 대상과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모든 메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는 입력 제스쳐이고, 어떠한 표시 내용이 해당 시간에 표시되는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위해 항상 사용되고,
    소메뉴가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전에, 다음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별도의 입력이 수행되고, 여기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별도의 입력 후에 일정 시간 간격 내에 수행되어야 하고,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의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를 포함하고, 영역의 수가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에 기록되고 입력 제스쳐와 결합된 수에 상응하는 스크립트(script)(10)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기능이 추가의 메뉴에서 다수의 대상들 각각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메뉴가 한정되고,
    상이한 수가 각각의 경우에 추가의 메뉴에서 대상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각각의 경우에 추가의 메뉴에서 이들 대상과 결합되며,
    수와 결합되는 시점에서 표시되는 메뉴에서 대상과 결합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 표시 영역(2)을 갖는 표시 장치(1),
    - 표시 영역(2)에 나타난 표시 내용이 조절될 수 있는 조절 장치(3)로서, 여기서 메뉴와 관련되는 표시 내용은 조절 장치(3)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여기서, 이 메뉴에서 기능은 메뉴 내의 다수의 대상(7)들의 각각과 결합되며, 여기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각각의 경우에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는, 조절 장치(3), 및
    -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될 수 있는 터치-민감성 표면(5)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조절 장치로서,
    여기서 기능이 해당 시간에 나타난 표시 영역(2) 위의 표시 내용과 독립적으로, 조절 장치(3)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기능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한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대상(7)과 결합되고,
    상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모든 메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는 입력 제스쳐이고, 어떠한 표시 내용이 해당 시간에 표시되는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위해 항상 사용되고,
    소메뉴가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전에, 다음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별도의 입력이 수행되고, 여기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별도의 입력 후에 일정 시간 간격 내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4. - 표시 영역(2)을 갖는 표시 장치(1),
    - 이에 의해 표시 영역(2)에 나타난 표시 내용이 조절될 수 있는 조절 장치(3)로서, 여기서 메뉴와 관련되는 표시 내용은 조절 장치(3)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메뉴에서 기능은 각각의 경우에 메뉴 내의 다수의 대상(7)과 결합되며, 여기서 상이한 숫자가 각각의 경우에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각각의 경우에 이들 대상(7)들과 결합되는, 조절 장치(3) 및
    - 터치-민감성 표면(5)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검출될 수 있는 터치-민감성 표면(5)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조절 장치로서,
    여기서 기능이 조절 장치(3)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시간에 나타난 메뉴에서 대상(7)과 결합되고, 결합된 메뉴 대상(7)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된 글로벌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숫자와 결합되며,
    상기 글로벌 입력 제스쳐는, 모든 메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는 입력 제스쳐이고, 어떠한 표시 내용이 해당 시간에 표시되는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위해 항상 사용되고,
    소메뉴가 대상(7)들 중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글로벌 입력 제스쳐를 수행하기 전에, 다음 입력이 글로벌 입력 제스쳐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별도의 입력이 수행되고, 여기서 글로벌 입력 제스쳐가 별도의 입력 후에 일정 시간 간격 내에 수행되어야 하고,
    입력 제스쳐가 터치-민감성 표면(5)의 상이한 영역의 동시 터치를 포함하고, 영역의 수가 입력 제스쳐와 결합되는 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5. 삭제
KR1020127000721A 2009-06-12 2010-05-28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작동 장치 KR101748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4656A DE102009024656A1 (de) 2009-06-12 2009-06-12 Verfahren zum Steuern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e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DE102009024656.8 2009-06-12
PCT/EP2010/057457 WO2010142543A1 (de) 2009-06-12 2010-05-28 Verfahren zum steuern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e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529A KR20120030529A (ko) 2012-03-28
KR101748452B1 true KR101748452B1 (ko) 2017-06-16

Family

ID=4266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721A KR101748452B1 (ko) 2009-06-12 2010-05-28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10086B2 (ko)
EP (1) EP2440425B1 (ko)
KR (1) KR101748452B1 (ko)
DE (1) DE102009024656A1 (ko)
WO (1) WO2010142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478A1 (en) 2007-01-07 2008-07-10 Andrew Platz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US20080168402A1 (en)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US8645827B2 (en) 2008-03-04 2014-02-04 Apple Inc. Touch event model
US8549657B2 (en) 2008-05-12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20120330507A1 (en) * 2008-12-22 2012-12-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terface for cycling through and selectively choosing a mode of a vehicle function
US9684521B2 (en) 2010-01-26 2017-06-20 Apple Inc. Systems having discrete and continuous gesture recognizers
US8566045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285499B2 (en)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vent recognition
DE102009031649B4 (de) 2009-07-03 2024-05-16 Volkswagen Ag Eingab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0216408B2 (en) * 2010-06-14 2019-02-2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 interface objects based on view hierarchy
US9880604B2 (en) 2011-04-20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CN103180812A (zh) 2011-08-31 2013-06-26 观致汽车有限公司 车辆交互系统
US8732822B2 (en) * 2011-12-16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locking with hierarchical activity preservation
US9467834B2 (en) 2011-12-23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emergency service
US8874162B2 (en) 2011-12-23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363250B2 (en) 2011-12-23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coordination service
US9325752B2 (en) 2011-12-23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te interaction hubs
US9420432B2 (en) 2011-12-23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s control
US20130305354A1 (en) 2011-12-23 2013-11-14 Microsoft Corporation Restricted execution modes
US9817568B2 (en) * 2012-02-29 2017-11-1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JP6135942B2 (ja) * 2012-03-19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130275924A1 (en) * 2012-04-16 2013-10-17 Nuance Communications, Inc. Low-attention gestural user interface
CN102799453B (zh) * 2012-07-04 2016-05-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和控制区域的属性配置方法
US9230076B2 (en) 2012-08-30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hild share
KR20140051719A (ko) * 2012-10-23 201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733716B2 (en) 2013-06-09 2017-08-15 Apple Inc. Proxy gesture recognizer
US9998866B2 (en) 2013-06-14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geo-fence events using varying confidence levels
US9820231B2 (en) 2013-06-14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lescing geo-fence events
JP6470485B2 (ja) * 2013-06-21 2019-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4008484A1 (de) * 2014-06-07 2015-12-17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343365B1 (ko) * 2015-01-26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표시 방법
US20160257198A1 (en) 2015-03-02 2016-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vehicle component user interface
US20160259439A1 (en) * 2015-03-02 2016-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touch keyless entry pad
US9967717B2 (en) 2015-09-01 2018-05-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fficient tracking of personal device locations
US9914418B2 (en) 2015-09-01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vehicle control location
US9860710B2 (en) 2015-09-08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mmetrical reference personal device location tracking
US10046637B2 (en) 2015-12-11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vehicle component control user interface
US10082877B2 (en) 2016-03-15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rientation-independent air gesture detection service for in-vehicle environments
US9914415B2 (en) 2016-04-25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with interior vehicle components
DE102016218011A1 (de) 2016-09-20 2018-03-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nutzerschnittstelle für den Zugriff auf eine Menge von Funktionen, Verfahren und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zum Bereitstell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für den Zugriff auf eine Menge von Funktionen
DE102016223176B4 (de) * 2016-11-23 2022-01-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Nutzereingabe für eine Eingabevorrichtung mit mehreren Schaltelementen und Eingabevorrichtung
WO2019037008A1 (zh) * 2017-08-24 2019-02-28 深圳双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及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233A (ja) * 2006-01-12 2007-07-26 Victor Co Of Japan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2009042796A (ja) * 2005-11-25 2009-02-26 Panasonic Corp ジェスチャー入力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4438C1 (de) 1985-04-20 1986-09-18 Porsche Ag Zentrale Bedienungsein- und Informationsausgabe fuer Zusatzgeraete von Fahrzeugen
DE19904519A1 (de) 1999-02-04 2000-08-10 Volkswagen Ag Bedieneinheit, insbesondere multifunktionale Bedieneinheit
DE19941960A1 (de) 1999-09-03 2001-03-08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element
DE19941956B4 (de) 1999-09-03 2006-12-14 Volkswagen Ag Multifunktionsbedienelement mit einem Display
GB0017793D0 (en) 2000-07-21 2000-09-06 Secr Defence Human computer interface
US7038659B2 (en) * 2002-04-06 2006-05-02 Janusz Wiktor Rajkowski Symbol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DE102005020155B4 (de) 2005-04-29 2022-12-01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zeige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KR100797788B1 (ko) 2006-09-04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패턴인식을 통한 단축기능의 실행방법
KR20080056559A (ko) * 2006-12-18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그리고 이의명령 입력방법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8677285B2 (en) * 2008-02-01 2014-03-18 Wimm Labs, Inc. User interface of a small touch sensitive display for an electronic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US8169414B2 (en) * 2008-07-12 2012-05-01 Lim Seung E Control of electronic games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KR20100033202A (ko) * 2008-09-19 2010-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00238125A1 (en) * 2009-03-20 2010-09-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continuous Shapewriting
US8181123B2 (en) * 2009-05-01 2012-05-15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virtual port associations to users in a gesture-based computing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2796A (ja) * 2005-11-25 2009-02-26 Panasonic Corp ジェスチャー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2007188233A (ja) * 2006-01-12 2007-07-26 Victor Co Of Japan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0425A1 (de) 2012-04-18
US8910086B2 (en) 2014-12-09
US20120098768A1 (en) 2012-04-26
WO2010142543A1 (de) 2010-12-16
EP2440425B1 (de) 2018-08-01
KR20120030529A (ko) 2012-03-28
DE102009024656A1 (de)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45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절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작동 장치
EP2751650B1 (en) Interactive system for vehicle
US8527900B2 (en) Motor vehicle
EP2699444B1 (en) Input/output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nput/output device
CN110294009B (zh) 用于基于触摸控制操作方向盘的装置和方法
US989808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having a touch screen
KR20190122629A (ko) 제안 시스템의 추천된 조작 액션 및 제안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365928A1 (en) Vehicle's interactive system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JP6035828B2 (ja) 表示操作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10160902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399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rranged in lists
CN109890646B (zh) 在车辆中的图形用户界面的装置和用于提供在车辆中的图形用户界面的方法
KR102123342B1 (ko) 이미지 기록 유닛 및 차량의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및 조작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103870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 object from a list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109219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KR20140074339A (ko)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93134B1 (ko) 특히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203766531U (zh) 用于显示和操作功能组和/或功能的设备
GB2517792A (en) Human-machine interface
KR20190061053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와 조작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JP2017187919A (ja) 車載用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