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267B1 -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267B1
KR101748267B1 KR1020150155197A KR20150155197A KR101748267B1 KR 101748267 B1 KR101748267 B1 KR 101748267B1 KR 1020150155197 A KR1020150155197 A KR 1020150155197A KR 20150155197 A KR20150155197 A KR 20150155197A KR 101748267 B1 KR101748267 B1 KR 10174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urtain flow
map
route
flow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92A (ko
Inventor
양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2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1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character input or menus, e.g. menus of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운행중 화면의 터치 조작을 줄이기 위한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커튼플로우 메뉴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감응하여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상기 지도맵과 연계된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METHOD AND NAVIGATION DEVICE FOR HANDLING TOUCH SCREE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운행중 화면의 터치 조작을 줄이기 위한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켜고 운행 중인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여러번 터치하여 경로 정보를 터치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거나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등 터치 조작이 여러번 발생한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메뉴 소프트웨어 키 혹은 하드키를 이용하여 통합 검색과 관련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표시된 통합 검색 메뉴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메뉴를 터치 조작하며, 상기 터치 조작에 의해 비로소 운전자가 원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조작들은 운전중에 시선을 분사시키기 때문에, 차량 사고를 빈번하게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실시예는 터치 조작이 빈번하거나 긴급한 차량 상황을 커튼플로우 화면을 통해 신속히 제공하기 위한 화면 조작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지도맵 서비스와 관련한 커튼플로우 화면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커튼플로우 화면 조작 방법으로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튼플로우 메뉴를 상기 표시 화면의 중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감응하여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서브 리스트 화면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조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상기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터치 입력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주행중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은 상기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은 상기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지도맵의 대체 경로 요약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상기 지도맵의 목적지까지 도착 불가능한 연료 잔여량을 가질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상기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주유소 리스트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상기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정비 리스트 화면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각 화면 조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커튼플로우 메뉴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감응하여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상기 지도맵과 연계된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표시 화면과 상기 프로세서간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와 관련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주행중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상기 지도맵의 목적지까지 도착 불가능한 연료 잔여량을 가질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설정 상태는 목적지 입력, 시간 입력 및 지오펜스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은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운전 중 많은 터치 조작을 하지 않고서도 상황에 맞는 기능을 원터치 동작으로 실행시킬 수 있어, 시선의 분산을 막아 안전 운행에 매우 도움이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통해 운전 중에 차량 상황에 맞는 내용을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커튼플로우 화면으로 신속히 제공하여 운전 중이라도 간편한 터치 조작에 의해 긴급 상황을 신속히 아는데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면 조작 방법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조합 결과에 대한 판단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조합 결과에 따라 도출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및 서브 리스트 화면의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접미사인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및/또는'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포함하다" 또는 "배치하다" 등의 용어들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를 조합한 판단 결과를 커튼플로우 화면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표시 화면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단말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를 조합한 판단 결과를 커튼플로우 화면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관점을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 조작 방법의 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면 조작 방법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를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작 방법(10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지도맵 서비스와 관련한 커튼플로우 화면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110 단계 내지 130 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도맵의 지오펜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지도맵 서비스와 관련한 커튼플로우 화면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행 주체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지도맵을 동기화된 서버(120)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된 서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Time Division)-CDMA(TD-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가 GSM 네트워크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가 LAN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스위치, 라우터, 허브,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도맵에 맵핑되는 운행중이거나 멈춘 차량의 위치 정보를 GPS(140)로부터 수시로 또는 실시간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지도맵 서비스와 관련한 커튼플로우 화면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110 단계 내지 140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경로 설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경로 설정 상태는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커튼플로우 화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서, 목적지 입력, 시간 입력 및 지오펜스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입력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지도맵의 경로 설정과 관련한 정보 입력이면 경로 설정 상태의 범주안에 포함될 수 있다.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운행중이거나 도로상에서 멈춘 차량의 차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차량 상태는 운행중이거나 도로상에서 멈춘 차량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상황, 예컨대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필요한 연료 잔여량 상태, 운행중 교차로 등에서 멈춘 상태, 운행중에 발생된 차량 고장과 관련한 고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여려 유형의 차량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연료 체크 센서, 차량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한 감지 센서(160)에 연결되어, 이 감지 센서(160)로부터 여러 유형의 차량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 센서(160)가 아닌 임의의 측정 도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용된 감지 센서(160)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센서들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동기화된 서버(120)로부터 수신되거나 자체 구동된 지도맵을 표시 화면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커튼플로우 화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커튼플로우 화면은 전술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지도맵에 연동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해당하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가 발생시, 발생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를 조합하여 조합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조합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조합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커튼플로우 화면의 선택은 차후의 도 3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다룰 예정이다.
12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선택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연동시켜 커튼플로우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튼플로우 화면은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어 커튼플로우 메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의해 구현된 각기 다른 유형의 커튼플로우 화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커튼플로우 메뉴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표시화면에 통상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3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커튼플로우 메뉴가 표시 화면의 중앙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발생)에 감응하여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커튼플로우 메뉴를 표시 화면의 중앙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커튼플로우 화면에 포함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서브 리스트 화면 형태로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가 발생시, 발생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를 조합한 조합 결과에 따라 도출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및 서브 리스트 화면을 슬라이딩 터치 동작만으로 즉시 표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언급된 경로 요약 화면은 목적지와 같은 경로 설정 상태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반영한 지도맵에서 축약된 요약 경로의 지도맵을 가리키며, 서브 리스트 화면은 다양한 유형의 차량 상태와 관련하여 도출된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11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조합 결과에 대한 판단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조합 결과에 따라 도출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및 서브 리스트 화면의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을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작 방법(100)의 110 단계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로 요약 화면 또는/및 서브 리스트 화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를 판단한 결과, 차량 상태와 관계없이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된 경우(111),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112)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130 단계에서 도출되는 서브 리스트 화면은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112)을 슬라이딩시킬시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터치 입력 화면(121)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터치 입력 화면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목적지용 터치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지오펜스 정보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지오펜스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과 그와 관련한 터치 입력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를 판단한 결과,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주행중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113),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114)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130 단계에서 도출되는 경로 요약 화면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114)을 슬라이딩시킬시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114)로부터 연동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122)일 수 있다.
또한,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를 판단한 결과,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115),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116)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130 단계에서 도출되는 경로 요약 화면은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116)을 슬라이딩시킬시,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116)으로부터 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지도맵의 대체 경로 요약 화면(123)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를 판단한 결과,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지도맵의 목적지까지 도착 불가능한 연료 잔여량을 가진다고 확인될 경우(117),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8)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130 단계에서 도출되는 서브 리스트 화면은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8)을 슬라이딩시킬시,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8)으로부터 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주유소 리스트 화면(124)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하지 않은 주유소 리스트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110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를 판단한 결과,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119),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9a)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130 단계에서 도출되는 서브 리스트 화면은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9a)을 슬라이딩시킬시,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9a)으로부터 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정비 리스트 화면(12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임의의 커튼플로우 화면이 선택되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되고, 표시된 커튼플로우 화면의 유형에 따라 연동된 각기 다른 경로 요약 화면 및/또는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한번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만으로도 필요한 정보들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화면 조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이러한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둘 다, 착탈식과 비착탈식 매체, 저장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저장 매체는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기타 형태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밖의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기술로 구현되는 착탈형(removable)과 고정형(non-removable), 및 휘발성과 비휘발성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다른 고체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예>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전술한 도 4 내지 도 8은 도 9를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210), 정보 인식부(220), 무선 통신부(230),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240), 출력 인터페이스부(250), 메모리(260), 표시부(270) 및 음성 출력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 인터페이스부(21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입력 수단(201)을 통해 입력된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를 프로세서(24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입력 수단(201) 사이에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프로세서(24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입력 수단(201)간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입력 수단(201)은 지도맵 서비스의 출발지, 도착 시간, 지오펜스 설정과 관련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키보드일 수 있다.
입력 수단(201)을 통해 입력된 경로 설정 상태는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커튼플로우 화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서, 목적지 입력, 시간 입력 및 지오펜스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입력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지도맵의 경로 설정과 관련한 정보 입력이면 경로 설정 상태의 범주안에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인식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터치 패널(22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21)은 표시 화면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을 슬라이딩시키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 커튼플로우 화면의 정보 선택과 관련한 터치 동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팬 등의 임의의 적합한 물건이나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센시티브 표면 혹은 터치센시티브표면 부근에 대하여 터치를 진행하는 조작)을 인식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관련된 접속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221)은 터치 검출 수단 및 터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수단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고 그 터치 정보를 터치 제어기에 송신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수단으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하는 정보를 접촉점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40)에 송신함과 동시에, 프로세서(240)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30)는 동기화 서버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지도맵을 수신거나, 및/또는 GPS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30)는 직렬, 병렬 네트워크,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동기화 서버 및/또는 GPS간 전술한 정보들을 원활하게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부(220)와 동기화 서버 및/또는 무선 통신부(230)와 GPS 사이에서 접속 및/또는 통신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4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제어 센터이며, 각종 인터페이스 및/또는 회로를 경유하여 각 부분에 접속되며, 메모리(26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메모리(26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 실행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4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입력 수단(201)을 통해 입력된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를 메모리(270)로 보내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경로 설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로세서(240)는 GPS로부터 획득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중이거나 도로상에서 멈춘 차량의 차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차량 상태는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필요한 연료 잔여량 상태, 운행중 교차로 등에서 멈춘 차량의 상태 및 운행중에 발생된 차량 고장과 관련한 고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여려 유형의 차량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4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료 체크 센서, 차량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한 센서들에 연결되어, 이 센서들로부터 전술한 여러 유형의 차량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는 임의의 측정 도구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적용된 센서들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센서들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동기화된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자체 구동된 지도맵을 표시 화면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커튼플로우 화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커튼플로우 화면은 전술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해당하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가 발생시, 발생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를 조합하여 조합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조합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로 들면, 프로세서(240)는 차량 상태와 관계없이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표시 화면의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주행중인 것으로 조합 결과를 판단할 경우,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표시 화면의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조합 결과를 판단할 경우,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표시 화면의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지도맵의 목적지까지 도착 불가능한 연료 잔여량을 가진다고 조합 결과를 판단할 경우,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표시 화면의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경로 설정 상태가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차량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조합 결과를 판단할 경우, 여러 유형으로 제작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커튼플로우 화면 중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표시 화면의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40)는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된 각기 다른 형태의 커튼플로우 화면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감응하여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 또는/및 지도맵과 연계된 서브 리스트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프로세서(240)의 동작에 의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로 요약 화면 또는/및 서브 리스트 화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40)는 이미 생성된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서브 리스트 화면을 도출해낼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112)을 슬라이딩시킬시,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112)로부터 슬라이딩된(연동된) 터치 입력 화면(121)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터치 입력 화면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목적지용 터치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지오펜스 정보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지오펜스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과 그와 관련한 터치 입력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114)을 슬라이딩시킬시,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114)으로부터 슬라이딩된(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122)을 도출해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116)을 슬라이딩시킬시,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116)으로부터 슬라이딩된(연동된) 서브 리스트 화면(123)을 도출해낼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도 6에서와 같이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으로(116)부터 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주유소 리스트 화면(123)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하지 않은 주유소 리스트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8)을 슬라이딩시킬시,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8)으로부터 서브 리스트 화면(124)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124)은 도 7에서와 같이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8)으로부터 슬라이딩된(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주유소 리스트 화면(124)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하지 않은 주유소 리스트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의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9a)을 슬라이딩시킬시,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9a)으로부터 서브 리스트 화면(125)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125)은 도 8에서와 같이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119a)으로부터 슬라이딩된(연동된)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정비 리스트 화면(125)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 결과에 따라 임의의 커튼플로우 화면이 선택되어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되고, 표시된 커튼플로우 화면의 유형에 따라 연동된 각기 다른 경로 요약 화면 및/또는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한번의 슬라이딩 터치 동작만으로도 필요한 정보들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처리를 위하여, 프로세서(240)는 선택적으로 1 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알고리즘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하기의 메모리(260)를 내장할 수도 있다.
동작 프로세서는 전술하거나 후술하는 구성간 송수신되는 데이터 제어 뿐만 아니라, 전술한 알고리즘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과 관련한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24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부(250)는 표시 화면(202)과 프로세서(240)간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260)는 전술한 입력 인터페이스부(210), 정보 인식부(220), 무선 통신부(230),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240), 출력 인터페이스부(250)에서 처리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60)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 설정 상태 및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차량 상태, 조합 결과 등을 저장하고, 전술한 프로세서(24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270)는 프로세서(240)에 의해 처리된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화면(202)은 표시 패널(271)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27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및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터치 패널(221)과 표시 패널(271)은 2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출력 및 입력 기능이 실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실현시키는 형태로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출력부(280)는 프로세서(240)에 의해 처리되거나 인식된 결과, 예컨대 커튼플로우 화면, 슬라이딩 터치 동작,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 또는/및 서브 리스트 화면과 관련한 내용을 음성 형태로 처리하고, 이를 출력시키기 위한 오디오 회로(281) 및 스피커(28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전중에도 슬라이딩 터치 동작 등에 따라 처리된 결과를 음성을 통해 미리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200 : 네비게이션 단말기 120 : 동기화 서버
140 : GPS 210 : 입력 인터페이스부
220 : 정보 인식부 230 : 무선 통신부
240 : 프로세서 250 : 출력 인터페이스부
260 : 메모리 270 : 표시부
280 : 음성 출력부

Claims (20)

  1.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지도맵 서비스와 관련한 커튼플로우 화면을 가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커튼플로우 화면 조작 방법으로서,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튼플로우 메뉴를 상기 표시 화면의 중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감응하여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서브 리스트 화면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조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 조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상기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터치 입력 화면인 것인 화면 조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주행중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 조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은,
    상기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인 것인 화면 조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 조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은,
    상기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지도맵의 대체 경로 요약 화면인 것인 화면 조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상기 지도맵의 목적지까지 도착 불가능한 연료 잔여량을 가질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 조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상기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주유소 리스트 화면인 것인 화면 조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 조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은, 상기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를 반영한 정비 리스트 화면인 것인 화면 조작 방법.
  12.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면 조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3. 지도맵의 경로 설정 상태 및 차량 상태의 조합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여 커튼플로우 메뉴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커튼플로우 화면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터치 동작에 감응하여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으로부터 연동된 지도맵의 경로 요약 화면 또는 상기 지도맵과 연계된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표시 화면과 상기 프로세서간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목적지 검색 커튼플로우와 관련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주행중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경로 요약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대체 경로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상기 경로 요약 화면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상기 지도맵의 목적지까지 도착 불가능한 연료 잔여량을 가질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주유소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상기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 설정 상태가 상기 지도맵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 상태가 고장 상태인 경우,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 중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정비 리스트 커튼플로우 화면과 관련한 서브 리스트 화면을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설정 상태는,
    목적지 입력, 시간 입력 및 지오펜스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네비게이션 단말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플로우 화면은, 표시 화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커튼플로우 메뉴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KR1020150155197A 2015-11-05 2015-11-05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74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97A KR101748267B1 (ko) 2015-11-05 2015-11-05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97A KR101748267B1 (ko) 2015-11-05 2015-11-05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92A KR20170052992A (ko) 2017-05-15
KR101748267B1 true KR101748267B1 (ko) 2017-06-16

Family

ID=5873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97A KR101748267B1 (ko) 2015-11-05 2015-11-05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2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600A (ja) * 2001-05-18 2002-11-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5017167A (ja) * 2003-06-27 2005-01-20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初期メニュー画面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600A (ja) * 2001-05-18 2002-11-2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5017167A (ja) * 2003-06-27 2005-01-20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初期メニュー画面の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92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283B1 (ko)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US92227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 activity of a user based on a chronological order of detected movements of a computing device
US8433336B2 (en)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325495B1 (ko) 관심 지점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7564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pting signal covered area
KR101820288B1 (ko) 지오펜스 설정 방법,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544664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533844A (ja) 表示制御方法、システム及び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デバィス
KR2013013609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메시지 교환 시스템, 메시지 표시 방법 및 메시지 교환 방법
CN104598712A (zh) 定位点筛选方法及其系统
CN105737837A (zh) 一种定位导航方法、装置和系统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KR101557836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KR102166713B1 (ko) 경로 이탈 방지를 위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732230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80069477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CN105246032B (zh) 一种基于ktv的室内导航方法及移动终端
KR101748267B1 (ko)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EP2800948B1 (en)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 and navigation method thereof
KR102400300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7225B1 (ko)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14527B1 (ko) 자녀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N105628018A (zh) 一种信息获取方法和电子设备
US20130095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nd service interface based on position
KR20170047922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