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921B1 -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921B1
KR101747921B1 KR1020140114543A KR20140114543A KR101747921B1 KR 101747921 B1 KR101747921 B1 KR 101747921B1 KR 1020140114543 A KR1020140114543 A KR 1020140114543A KR 20140114543 A KR20140114543 A KR 20140114543A KR 101747921 B1 KR101747921 B1 KR 101747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uilding
wall
uni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309A (ko
Inventor
문현철
Original Assignee
문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철 filed Critical 문현철
Priority to KR102014011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9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이나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세척할 수 있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외벽세척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간판세척유닛과; 상기 외벽세척유닛 또는 상기 간판세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를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를 상기 건물 외벽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고 분사된 세척수를 세척롤러로 닦아내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창을 자동으로 깨끗하게 청소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신속성 및 인력 대체효과 등을 가진다.

Description

청소장치{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이나 외벽을 이루는 유리 또는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선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각종 건물, 교량, 선박 등 대형구조물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건물의 경우는 고층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에는 상당히 많은 유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층건물의 창에 부착된 유리나 외벽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건물의 외벽이나 외부유리의 청소에 있어서, 종래에는 건물 옥상의 곤돌라에 작업자가 타고 오르내리거나 로프 등에 메달 린 채로 수작업으로 청소하였다.
그러나, 대형 고층건물의 경우, 외벽이 너무 넓어 곤돌라에서 작업자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부위나 외부유리에는 직접 접근하여 청소하기가 어려운 곳이 많이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청소가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여 비용지출이 과다하게 되며, 또 청소 작업시간도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층 건물이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현기증이나 고소공포증을 유발하여 작업자의 수작업 청소시 쉽게 피로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 청소작업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항상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층 건물 청소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현실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건물 외벽 및 외부유리를 청소하는 건물 외벽 청소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어, 수작업보다 몇 배의 빠른 속도로 청소하고 있어 건물의 관리 서비스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건물 외벽 청소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회전 롤러 등의 청소유닛이 건물에 항상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건물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청소유닛의 낙하를 방지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구비되지 않아 청소유닛의 낙하(落下)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셋째, 하나의 브러시를 이용하여 물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금속, 석재 등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벽면이나 유리에 오랜 기간 동안 찌든 때를 깨끗이 청소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로 인해 장기간의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
넷째, 작업 세척수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도중 물탱크의 물이 모두 소진되면, 브러시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물을 재보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2013-0110438 A KR 20-0265415 Y1 KR 10-105465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고 분사된 세척수를 세척롤러로 닦아내어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창을 자동으로 깨끗하게 청소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신속성 및 인력 대체효과 등을 지니는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외벽세척유닛과; 상기 외벽세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를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를 상기 건물 외벽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벽세척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 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스크류잭와, 상기 제1스크류잭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크류잭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세척롤러와, 상기 제1세척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스크류잭의 양측에서 일 단이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안내돌기가 돌출된 이송브라켓과, 상기 이송브라켓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안내돌기가 통과할 수 있게 안내홈이 형성된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건물 외벽면에 흡착지지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가 상기 이송프레임을 따라 이동시 상기 건물 외벽에 구름마찰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전동 윈치 또는 길이 신장이 가능한 신축붐을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간판세척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간판세척유닛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이격되게 상기 본체의 내부 타 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스크류잭와, 상기 제2스크류잭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크류잭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와,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외벽세척유닛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을 이루는 유리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거나, 건물 외벽의 낡은 페인트 등을 벗겨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판세척유닛을 이용하여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벽세척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간판세척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송유닛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100)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외벽세척유닛(200)과;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100)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간판세척유닛(300)과; 상기 외벽세척유닛(200) 또는 상기 간판세척유닛(3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미도시)와; 상기 본체(100)를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500)과; 상기 본체(100)를 상기 건물 외벽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이송유닛(4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0)는 사방이 폐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 함체로 형성되어 있고, 건물의 외벽을 마주하는 일 면에는 외벽세척유닛(200)과, 간판세척유닛(300)이 출입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100) 내부에는 본체(100) 내부의 공간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지지유닛(500)에 의해 건물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부에 행거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행거부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있다.
상기 외벽세척유닛(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의 격벽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10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고정브라켓(210)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210)과 교차하도록 제1고정브라켓(210)에 고정설치되는 제1스크류잭(220)와, 상기 제1스크류잭(2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크류잭(2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고정브라켓(21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1지지브라켓(230)과, 상기 제1지지브라켓(2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세척롤러(240)와, 상기 제1세척롤러(24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지지브라켓(230)의 일 측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250)와, 상기 제1지지브라켓(23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세척롤러(240) 또는 건물 외벽을 향하여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260)과, 상기 제1스크류잭(220)의 양측에서 각각 일 단이 상기 제1지지브라켓(23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21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2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2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세척롤러(240)는 세척대상이 건물 외벽의 일부를 이루는 유리창인 경우 플렉시블하면서, 유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소재를 적용하며, 이와 다르게 세척대상이 건물 외벽에 도포된 페인트 등과 같이 제거해야할 대상인 경우, 일정 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 브러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류잭(220)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와 로드에 나사결합된 회전체 및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로드를 진퇴시킬 수 있도록 된 통상적인 스크류잭를 적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상기 외벽세척유닛(200)은 제1세척롤러(240)를 본체(100)로부터 돌출시키거나 인입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스크류잭(screwjack)를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세척롤러(240)를 진퇴(進退)시킬 수 있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간판세척유닛(300)은 상기 외벽세척유닛(200)이 본체(100)로부터 돌출 또는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간판세척유닛(300)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210)과 이격되게 상기 본체(100)의 내부 격벽 상에 고정설치되고 제1고정브라켓(21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좌우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고정브라켓(310)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310)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고정브라켓(310)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크류잭(320)와, 상기 제2스크류잭(3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크류잭(3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고정브라켓(31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베이스플레이트(3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30)에 설치된 가동플레이트(3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350)와, 상기 가동플레이트(3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360)와, 상기 제1롤러(35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70)와, 상기 제2롤러(360)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380) 및 상기 제2스크류잭(320)의 양측에서 각각 일 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3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2고정브라켓(31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봉(335)과, 일 단이 상기 가동플레이트(34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2고정브라켓(31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가동플레이트(3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봉(345)을 포함한다.
상기 제2스크류잭(320) 또한 상술한 제1스크류잭(220)과 같은 구조를 적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필요에 따라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롤러(350)와 제2롤러(360)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세척대상인 간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을 세척할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30)와 가동플레이트(340) 사이에는 제1베이스플레이트(330)에 대하여 가동플레트가 베이스플레이트(330)를 향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9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390)은 베이스플레이트(330)에 대하여 가동플레이트(340)가 소정거리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 즉, 상기 제2롤러(360)가 제1롤러(3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도 제2롤러(360)가 제1롤러(350)를 향하도록 가동플레이트(3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스프링(390)은 두께가 서로 다른 간판을 세척할 시 제2롤러(360)를 제1롤러(350)에 근접시키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제1롤러(350)와 제2롤러(360)를 간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하며, 이에 따라 두께가 서로 다른 간판도 용이하면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310)에는 가동플레이트(340)가 베이스플레이트(3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동플레이트(340)를 지지하는 제2안내봉(345)이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장공 형상의 안내슬릿(3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닛(400)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방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된 안내돌기(411)가 구비된 이송브라켓(410)과, 상기 이송브라켓(41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이송스크류(420) 및 상기 안내돌기(411)가 통과할 수 있게 안내홈(431)이 형성된 이송프레임(430)과, 상기 이송프레임(430)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420)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이송프레임(43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건물 외벽면에 흡착지지되는 흡착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프레임(430)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되, 안내돌기(411)가 안내홈(431)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즉, 안내돌기(411)를 안내홈(431)에 구속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서로를 향하여 구부러져 있다.
상기 흡착부(450)는 탄성을 갖고 내부에 흡착공간이 형성된 고깔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흡착부(450)는 후단에는 내부에 형성된 흡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흡착부(450)의 흡입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이송유닛에는 흡착부의 흡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흡착부가 흡착되는 대상영역을 미리 세척할 수 있는 보조세척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420)는 상기 이송프레임(430) 내부 즉, 안내홈(431)에서 이송모터(440)에 의해 회전되는데 흡착부(450)를 건물 외벽에 밀착지지시킨 뒤, 이송모터(440)를 구동시키면 이송스크류(420)의 회전에 의해 이송브라켓(410)에 구비된 안내돌기(411)가 이송스크류(420) 및 안내홈(431)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송브라켓(410)이 고정된 본체(100) 또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송유닛(4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건물의 외벽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유닛(400)은 상기 본체(100)가 상기 이송프레임(430)을 따라 이동시 상기 건물 외벽에 구름마찰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로부터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부(4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구름부(460)는 상기 이송프레임(43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본체(100)의 바닥부분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름부(460)는 본체(100)에 고정되는 구동실린더(461)와, 구동실린더(461)의 단부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461)의 구동에 따라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거나 본체(100) 내부로 인입되며 건물의 외벽을 따라 구름마찰되는 휠(462)을 포함한다. 상기 휠(462)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건물의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본체의 하부에 하나의 이송프레임을 설치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본체 상부에도 별도의 이송프레임을 더 설치 즉, 이송프레임을 한 쌍으로 구성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본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물공급유닛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제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체에 거리센서 및 거리센서와 연결되어 구름부를 구동하는 구동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정보를 통해 본체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이거나 본체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는 구동실린더를 제어하여 본체와 건물 외벽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외벽과 마주하는 본체 일면에는 건물 외벽의 청소상태를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은 작업자나 관리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 등으로 무선송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청소 상태를 확인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를 통해서 건물 외벽의 청소상태뿐만 아니라 건물의 균열이나 파손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진단 기능도 함께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500)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를 승강시키는 전동윈치 또는 길이 신장이 가능한 신축붐을 구비한 크래인과 같은 고소작업차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500)을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전동윈치를 적용하는 경우, 전동윈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건물 옥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건물 옥상 바닥에 레일부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500)은 외벽세척유닛(200)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을 세척할 때에는 건물 옥상에 고정설치된 고정프레임(510)과, 고정프레임(510)에 지지되어 본체(100)를 승강시키는 전동윈치(530)를 적용하며, 이와 다르게 간판세척유닛(300)을 이용하여 건물에 설치된 간판 등을 세척할 때에는 이동 가능하면서 길이 신장 및 상하로 이동 또한 가능한 신축붐을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소형화하여 가정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이송유닛은 별도의 무선조종부를 통해 원격 조종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물공급부는 물뿐만 아니라 세척을 위한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후, 이송유닛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 외벽을 세척하는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이러한 구동메커니즘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일 뿐, 이와 다르게 건물 외벽의 설정된 영역 내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세척하는 메커니즘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외벽세척유닛
210 : 제1고정브라켓
220 : 제1스크류잭
230 : 제1지지브라켓
240 : 제1세척롤러
250 : 제1구동모터
260 : 제1분사노즐
270 : 제1가이드
300 : 간판세척유닛
400 : 이송유닛
500 : 지지유닛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외벽세척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건물에 설치된 간판을 세척하며, 상기 본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간판세척유닛과;
    상기 외벽세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를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전동윈치와, 상기 전동윈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건물 옥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건물 옥상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를 상기 건물 외벽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건물 외벽에 구름 마찰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건물의 외벽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정보를 통해 상기 구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건물 외벽면에 흡착지지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가 흡착되는 대상영역을 미리 세척하기 위한 보조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름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휠을 포함하며,
    상기 간판세척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제2스크류잭와, 상기 제2스크류잭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크류잭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와,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세척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스크류잭와, 상기 제1스크류잭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크류잭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세척롤러와, 상기 제1세척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과, 상기 제1스크류잭의 양측에서 일 단이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안내돌기가 돌출된 이송브라켓과, 상기 이송브라켓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안내돌기가 통과할 수 있게 안내홈이 형성된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14543A 2014-08-29 2014-08-29 청소장치 KR10174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43A KR101747921B1 (ko) 2014-08-29 2014-08-29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43A KR101747921B1 (ko) 2014-08-29 2014-08-29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09A KR20160026309A (ko) 2016-03-09
KR101747921B1 true KR101747921B1 (ko) 2017-06-15

Family

ID=5553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543A KR101747921B1 (ko) 2014-08-29 2014-08-29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539A (zh) * 2016-11-02 2017-03-22 重庆蓝岸通讯技术有限公司 自动清洗外墙玻璃设备和方法
CN108784561B (zh) * 2018-07-02 2021-01-22 林碧琴 一种玻璃墙清洗装置
CN110731733B (zh) * 2019-10-08 2021-11-05 台州鼎创智能科技有限公司 外墙清洁机器人整套设备及其清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15Y1 (ko) 2001-11-01 2002-02-25 김태훈 건물 외벽 청소 로봇
KR101054653B1 (ko) 2007-11-13 2011-08-11 정용훈 건물외장 청소로봇
KR20130110438A (ko) 2012-03-29 2013-10-10 주식회사 대화산기 건물 외벽 세정장치의 세척수 분사노즐 일체형 브러쉬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09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202713C3 (de) Einrichtung zum Steuern einer selbsttätigen Fensterwaschanlage
US7523517B2 (en) Window cleaning machine
KR102147328B1 (ko) 세정 시스템
US20080295265A1 (en) Remote controlled apparatus for cleaning of outer window surfaces of high rise buildings and building facades
KR101747921B1 (ko) 청소장치
KR100938701B1 (ko) 건물용 자동세척장치
KR101414503B1 (ko) 건물외벽 세정장치
US20120246847A1 (en) Machine to clean facade of building
KR101658820B1 (ko) 좁은 벽면 및 모서리 외벽 도장장치
WO2013105001A2 (en) In-cage motorized glass cleaner apparatus
CN104438239A (zh) 竖直抽油烟机管道的外壁自动清洗装置
JP2009078210A (ja) 自走型洗浄・塗装方法及び自走型の洗浄・塗装機
WO2013108141A2 (en) On-chair facade cleaner apparatus
KR100336908B1 (ko) 터널 청소장치
EP2191758A1 (en) Remote controlled apparatus for cleaning of outer window surfaces of high rise buildings and building facades
KR102252497B1 (ko) 도포 장치
US8713740B2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100835367B1 (ko) 저수조의 자동 코팅처리장치
CN108590127B (zh) 一种用于高空作业的自动刷墙装置
KR20180054094A (ko) 고층빌딩 외벽관리기
JP2002273281A (ja) ゴンドラ取付型外壁面塗装ロボットによる塗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2009043784A1 (de) Automatische Maschine zum Auftragen von Farbe auf Flächen
CN114575707B (zh) 门窗安装工艺
JP2002078648A (ja) 窓や壁面の洗浄装置
CN114146846B (zh) 一种用于pvc地板的涂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